KR20220157789A -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789A
KR20220157789A KR1020210065756A KR20210065756A KR20220157789A KR 20220157789 A KR20220157789 A KR 20220157789A KR 1020210065756 A KR1020210065756 A KR 1020210065756A KR 20210065756 A KR20210065756 A KR 20210065756A KR 20220157789 A KR20220157789 A KR 20220157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film
negative pressure
entrance
isolatio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547B1 (ko
Inventor
배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6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5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압 격리 시스템은, 출입구 및 통풍구가 구비된 격리실을 음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음압 격리 시스템은, 상기 격리실의 외측에서 상기 출입구를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출입구 차단막; 상기 출입구 차단막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격리실의 내측에서 상기 통풍구를 커버하도록 부착된 통풍구 차단막; 및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풍구 차단막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격리실의 내부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음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DOORWAY BARRIER, VENT BARRIER, NEGATIVE PRESSURE GENERATOR AND NEGATIVE PRESSURE-ISOL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격리실을 음압으로 유지시키는 음압 격리 시스템과, 상기 음압 격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및 음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압 격리실은,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의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하기 위한 특별 병실로서, 내부압을 외부압보다 낮게 유지하여 병실 내의 공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이나 비말 중에 포함된 병원체가 격리실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격리실 내의 공기는 병원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HEPA(highly Efficient Particular Air Filter) 필터가 적용된 배기 시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기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음압 격리실은 병원 등 전염병 치료를 위한 한정된 시설에만 존재하고 있으므로, 전염병 환자의 숫자가 크게 증가하는 팬데믹 사태 시에 의심 환자 또는 경증 환자까지 수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호텔이나 가정집 등 비치료 시설에 음압 격리실을 구현하고자 할 때, 복잡한 도구나 설치 기술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음압의 격리실을 간단하게 구현 가능한 음압 격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압 격리 시스템은, 출입구 및 통풍구가 구비된 격리실을 음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음압 격리 시스템은, 상기 격리실의 외측에서 상기 출입구를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출입구 차단막; 상기 출입구 차단막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격리실의 내측에서 상기 통풍구를 커버하도록 부착된 통풍구 차단막; 및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풍구 차단막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격리실의 내부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음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차단막 또는 통풍구 차단막 중 적어도 하나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차단막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갖는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차단막은, 차단막 본체; 상기 차단막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물품이나 식료품을 투입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부;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이너 커버; 및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아우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 인접하도록 접히는 접힘 상태와,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서 멀어지도록 펼쳐져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투입부,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는, 상기 차단막 본체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에는 상기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탈부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차단막에는,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을 당길 수 있는 비상용 스트랩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상용 스트랩은, 상기 출입구 차단막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출입구 차단막의 접착 부재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압기는 에어 덕트를 통해 상기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통풍구 차단막에는 상기 에어 덕트의 외둘레 단부를 둘러싸는 연질의 덕트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 차단막에는, 상기 덕트 연결부재를 상기 에어 덕트의 외둘레에 대해 죄거나 릴리즈하는 조절용 스트랩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팬 모터;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키트 백이 안착 가능한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차단막은, 음압으로 유지되는 격리실의 출입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차단막은, 상기 격리실의 외측에 부착되는 차단막 본체; 상기 차단막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물품이나 식료품을 투입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부;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이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차단막은, 상기 차단막 본체를 접착시키며 상기 차단막 본체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본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가지고 상기 투입부보다 상측에 위치한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본체, 투입부,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 인접하도록 접히는 접힘 상태와,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서 멀어지도록 펼쳐져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에는, 상기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탈부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본체에는,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을 당길 수 있는 비상용 스트랩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상용 스트랩은, 상기 차단막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차단막 본체의 접착 부재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차단막은, 음압으로 유지되는 격리실의 통풍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통풍구 차단막은, 상기 격리실의 내측에 부착되는 차단막 본체; 상기 차단막 본체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차단막 본체의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에어 덕트의 단부 외둘레를 둘러싸는 연질의 덕트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구 차단막은, 상기 차단막 본체를 접착시키며 상기 차단막 본체의 외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구 차단막은, 상기 덕트 연결부재를 상기 에어 덕트의 외둘레에 대해 죄거나 릴리즈하는 조절용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압기는, 격리실의 음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음압기는,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격리실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에어 덕트로 토출시키는 팬 모터;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구 차단막 및 통풍구 차단막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되어 격리실의 출입구와 통풍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차단막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입구 차단막 또는 통풍구 차단막 중 적어도 하나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차단막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접었을 때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각 차단막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입구 차단막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갖는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격리실의 외부에서 격리실의 내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출입 차단막의 차단막 본체에는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는 이너 커버 및 아우터 커버에 의해 격리실의 내부 및 외부에서 각각 개폐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커버와 아우터 커버를 동시에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통로를 통해 식료품이나 물품을 격리실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투입부는 차단막 본체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투입부도 용이하게 접혀 보관이나 운반 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의 탈부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는 평상시에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출입구 차단막에는, 격리실의 외부에서 출입구 차단막을 당길 수 있는 비상용 스트랩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비상시에 출입구 차단막을 신속하게 분리시켜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비상용 스트랩은, 출입구 차단막의 두께 방향으로 출입구 차단막의 접착 부재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비상용 스트랩을 당기는 외력이 접착 부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더 작은 외력으로도 접착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통풍구 차단막에는 음압기와 연결된 에어 덕트의 외둘레 단부를 둘러싸는 연질의 덕트 연결부재와, 덕트 연결부재를 에어 덕트의 외둘레에 대해 죄거나 릴리즈하는 조절용 스트랩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복잡한 도구 없이도 에어 덕트와 통풍구 차단막의 연결이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음압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휠 및 안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음압기는 출입구 차단막과 통풍구 차단막, 그 외의 격리용 물품들을 운반 가능한 카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 격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차단막의 외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차단막의 내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커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커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차단막 및 음압기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차단막의 내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차단막의 외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기에서 핸들이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 격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격리 시스템(이하, '격리 시스템')은, 격리자(예를 들어, 전염병 환자)이 위치한 격리실(1)을 음압(negative-pressure)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격리실(1)의 내부 압력은, 상기 격리실(1)과 인접한 인접실(2)의 내부 압력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격리실(1) 내의 병원체나 바이러스가 인접실(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리실(1)에는, 인접실(2)과 연통된 출입구(4)와, 실외(3)와 연통된 통풍구(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4)에는 문(미도시)이 구비되어 출입구(4)를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문은 출입구(4)에 경첩 등으로 연결되어 격리실(1)의 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문이 미닫이 방식으로 출입구(4)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출입구(4)에 문이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통풍구(5)는 격리실(1)와 실외(3)를 연통시킬 수 있다. 통풍구(4)에는 창문(W)이 구비되어 통풍구(4)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풍구(4)의 크기는 창문(W)의 개방 정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다만, 통풍구(5)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덕트(duct) 형상 등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좀 더 상세히, 격리 시스템은, 출입구(4)를 커버하는 출입구 차단막(10)과, 통풍구(5)를 커버하는 통풍구 차단막(20)과, 격리실(1)의 내부 공기를 실외(3)로 배출시키는 음압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 차단막(10)은 격리실(1)의 외측에서 출입구(4)를 커버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즉, 출입구 차단막(10)은 인접실(2)의 벽면 또는 문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출입구 차단막(10)의 하측 일부가 폴딩되어 인접실(2)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출입구 차단막(10)은 문의 개폐와 무관하게 출입구(4)를 막을 수 있다.
출입구 차단막(10)의 외면은 인접실(2)을 향하고, 내면은 격리실(1)을 향할 수 있다.
출입구 차단막(10)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윈도우(1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나 관리자는 윈도우(13)를 통해 격리실(1)의 외부, 즉 인접실(2)에서 격리실(1) 내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 차단막(10)에는 식료품이나 물품 등을 인접실(2)에서 격리실(1)로 투입 가능한 통로(P)(도 5a 및 도 5b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P)는 아우터 커버(16)에 의해 격리실(1)의 외부, 즉 인접실(2)에서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로(P)는 이너 커버(15)(도 5a 및 도 5b 참조)에 의해 격리실(1)의 내부에서도 개폐가 가능하다. 이러한 인터록(Inter-lock) 구조에 의해 격리실(1) 내의 공기가 상기 통로(P)를 통해 인접실(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 차단막(10)에는 격리실(1)의 외부, 즉 인접실(2)에서 출입구 차단막(10)을 당길 수 있는 비상용 스트랩(19)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나 보호자는 비상시에 비상용 스트랩(19)을 당김으로써 출입구 차단막(10)을 신속하게 떼어내고 출입구(4)를 개방할 수 있다.
통풍구 차단막(20)은 격리실(1)의 내측에서 통풍구(5)를 커버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즉, 통풍구 차단막(20)은 격리실(1)의 벽면 또는 창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W)을 적어도 일부 개방하여 통풍구(5)를 형성하고, 통풍구 차단막(20)을 부착하여 상기 통풍구(5)를 막을 수 있다.
통풍구 차단막(20)의 외면은 실외(3)을 향하고, 내면은 격리실(1)을 향할 수 있다.
출입구 차단막(10) 및 통풍구 차단막(20)은 경질이 아닌 연질의 재질을 가져 용이하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출입구 차단막(10) 및 통풍구 차단막(20)는 고밀도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출입구 차단막(10) 및 통풍구 차단막(20)는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 바람직하게는 항균, 방염, 방수 등의 기능성을 가진 타이벡(Tyvek)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출입구 차단막(10) 및 통풍구 차단막(20)은 폴딩되어 작은 부피를 유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 또는 보관될 수 있고, 언폴딩되어 출입구(4) 및 통풍구(5)를 막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출입구 차단막(10) 및 통풍구 차단막(20)의 무게가 가벼우므로 운반 및 부착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음압기(30)는 격리실(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격리실(1)의 내부 공기를 실외(3)로 배출시켜 격리실(1)을 음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음압기(30)는 통풍구 차단막(20)을 통해 격리실(1)의 내부 공기를 실외(3)로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압기(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의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32) 및 필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에어 덕트(39)를 통해 통풍구 차단막(20)과 연결될 수 있다. 에어 덕트(39)와 통풍구 차단막(20)의 연결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우징(31)에는 격리실(1)의 내부 공기를 흡입 가능한 흡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32)는 하우징(31)의 흡입공을 통해 격리실(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 덕트(39)로 토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팬모터(32)는, 흡입부 및 토출부가 구비된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팬(fan)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32)의 상세한 구성은 주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터(33)는 팬모터(3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팬모터(32)는 필터(33)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거나, 팬모터(32)에서 토출된 공기가 필터(33)를 거쳐 실외(3)로 토출될 수 있다. 이로써, 격리실(1) 내의 병원체나 바이러스가 실외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필터(33)는 헤파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차단막의 외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차단막의 내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커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커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출입구 차단막(10)은, 차단막 본체(11)와, 투입부(14)와, 이너 커버(15)와, 아우터 커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 본체(11)는, 유연성을 갖는 고밀도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 본체(11)는 항균, 방염, 방수 등의 기능성을 가진 타이벡(Tyvek) 재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차단막 본체(11)는 격리실(1)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막 본체(11)는 인접실(2)의 벽면이나 문틀에 부착되는 메인 바디(11a)와, 메인 바디(11a)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인접실(2)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서브 바디(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차단막 본체(11)는 출입구(4)를 더욱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메인 바디(11a)와 서브 바디(1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막 본체(11)의 대부분은 메인 바디(11a)를 이룰 수 있고, 차단막 본체(11)의 하측 일부가 절곡되어 서브 바디(11b)를 이룰 수 있다. 즉, 차단막 본체(11)의 외면은 메인 바디(11a)의 외면과 서브 바디(11b)의 상면을 포함할 수 있고, 차단막 본체(11)의 내면은 메인 바디(11a)의 내면과 서브 바디(11b)의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차단막 본체(11)가 서브 바디(11b)를 포함하지 않고 메인 바디(11a)만으로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출입구 차단막(10)의 내면에는 접착 부재(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12)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 부재(12)는 출입구 차단막(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접착 부재(12) 중 일부는 메인 바디(11a)에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서브 바디(11b)에 구비될 수 있다.
차단막 본체(11)의 외면과 내면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 차단막(10)의 부착 과정 시 작업자는 출입구 차단막(10)의 외면과 내면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막 본체(11)의 외면은 은색을 가져 격리실(1)에 대한 보호를 시각화할 수 있고, 차단막 본체(11)의 내면은 흰색을 가져 격리자에게 심리적 안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차단막 본체(11)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갖는 윈도우(1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3)은 PVC(Polyvinyl chlorid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3)는 차단막 본체(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3)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윈도우(13)는 의료와 관련된 구성임을 강조하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차단막 본체(11)에는 비상용 스트랩(19)이 연결될 수 있다. 비상용 스트랩(19)은 차단막 본체(11)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고, 차단막 본체(11)의 일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비상용 스트랩(19)은 접착 부재(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비상용 스트랩(19)은 차단막 본체(11)의 두께 방향으로 접착 부재(12)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비상용 스트랩(19)에 당기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외력이 접착 부재(12)에 직접 작용하게 되므로, 출입구 차단막(10)을 격리실(2)의 외벽 또는 문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투입부(14)는 인접실(2)에서 격리실(1)로 물품이나 식료품을 투입 가능한 통로(P)를 형성할 수 있고, 이너 커버(15)는 상기 통로(P)를 격리실(1) 측에서 개폐할 수 있으며, 아우터 커버(16)는 상기 통로(P)를 인접실(2) 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투입부(14)는 차단막 본체(11)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너 커버(15) 및 아우터 커버(16)도 차단막 본체(11)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투입부(14), 이너 커버(15) 및 아우터 커버(16)는 고밀도 섬유 재질, 좀 더 상세히는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타이벡(Tyvek)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4)는 차단막 부재(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투입부(14)는 메인 바디(11a)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14)는, 투입부(14)의 둘레면이 차단막 본체(11)에 인접하도록 접히는 접힘 상태와, 투입부(14)의 둘레면이 차단막 본체(11)에서 멀어지도록 펼쳐져 통로(P)를 형성하는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투입부(14)는 차단막 부재(11)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고, 차단막 부재(11)의 내면에서 격리실(1)을 향해 돌출 변형될 수 있다.
투입부(14)가 접힘 상태이면, 투입부(14)의 둘레면은 안쪽으로 접혀 차단막 본체(11) 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힘 상태인 투입부(14)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고, 출입구 차단막(10)의 운반이나 보관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
투입부(14)가 펼침 상태이면, 투입부(14)의 둘레면은 차단막 본체(11)에서 멀어지도록 펼쳐져 통로(P)를 형성할 수 있다. 투입부(14)의 둘레면은 차단막 본체(11)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져 격리실(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통로(P)는 투입부(14)의 둘레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너 커버(15)는 투입부(14)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투입부(14)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P)를 격리실(1) 내에서 개폐할 수 있다. 이너 커버(15)는 투입부(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커버(15)는 커버 본체(15a)와 한 쌍의 연결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15a)는 통로(P)를 개폐할 수 있고, 한 쌍의 연결부(15b)는 투입부(14)와 커버 본체(15a)를 연결할 수 있다.
커버 본체(15a)의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측 가장자리)는 투입부(14)와 직접 연결되고, 다른 가장자리(예를 들어, 양측 가장자리)는 한 쌍의 연결부(15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너 커버(15)는 연결부(15b)가 접혀 커버 본체(15a)가 통로(P)를 막는 접힘 상태와, 연결부(15b)가 펼쳐져 커버 본체(15a)가 통로(P)를 개방하는 펼침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너 커버(15)의 접힘 상태 시, 한 쌍의 연결부(15b)는 안쪽으로 접히고, 커버 본체(15a)는 상기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통로(P)를 막을 수 있다.
이너 커버(15)의 펼침 상태 시, 한 쌍의 연결부(15b)는 투입부(14)의 둘레면에서 연장되도록 펼쳐질 수 있고, 커버 본체(15a)는 상기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통로(P)를 개방할 수 있다. 각 연결부(15b)는 펼쳐졌을 때 대략 삼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너 커버(15)에는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탈부착 부재(17b)가 구비될 수 있고, 투입부(14)에는 상기 탈부착 부재(17b)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탈부착 부재(17b)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7a)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부착 부재(17b) 및 고정 부재(17a)는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탈부착 부재(17b)는 커버 본체(15a)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탈부착 부재(17b)는 커버 본체(15a)에서 투입부(14)와 직접 연결된 일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측 가장자리)의 반대편 가장자리(예를 들어,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이너 커버(15)가 통로(P)를 막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격리자는 통로(P)로 물품이나 식료품이 공급된 경우에만 이너 커버(15)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이너 커버(15)가 한 쌍의 연결부(15b)를 포함하지 않고 커버 본체(15a)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탈부착 부재(17b)는 커버 본체(15a)에서 투입부(14)와 직접 연결된 일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아우터 커버(16)는 차단막 본체(11)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고, 투입부(14)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P)를 격리실(1) 외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커버(16)는 커버 본체(16a)와 한 쌍의 연결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16a)는 통로(P)를 개폐할 수 있고, 한 쌍의 연결부(16b)는 차단막 본체(11)와 커버 본체(16a)를 연결할 수 있다.
커버 본체(16a)의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상측 가장자리)는 차단막 본체(11)와 직접 연결되고, 다른 가장자리(예를 들어, 양측 가장자리)는 한 쌍의 연결부(16b)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16)는 연결부(16b)가 접혀 커버 본체(16a)가 통로(P)를 막는 접힘 상태와, 연결부(16b)가 펼쳐져 커버 본체(16a)가 통로(P)를 개방하는 펼침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16)의 접힘 상태 시, 한 쌍의 연결부(16b)는 안쪽으로 접히고, 커버 본체(16a)는 상기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상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통로(P)를 막을 수 있다.
아우터 커버(16)의 펼침 상태 시, 한 쌍의 연결부(16b)는 차단막 본체(11)의 외면에 대해 대략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펼쳐질 수 있고, 커버 본체(16a)는 상기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상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통로(P)를 개방할 수 있다. 각 연결부(16b)는 펼쳐졌을 때 대략 삼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16)에는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탈부착 부재(18b)가 구비될 수 있고, 차단막 본체(11)에는 상기 탈부착 부재(18b)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탈부착 부재(18b)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8a)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부착 부재(18b) 및 고정 부재(18a)는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탈부착 부재(18b)는 커버 본체(16a)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탈부착 부재(18b)는 커버 본체(16a)에서 차단막 본체(11)와 직접 연결된 일 가장자리(예를 들어, 상측 가장자리)의 반대편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아우터 커버(16)가 통로(P)를 막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보호자나 관리자는 통로(P)로 물품이나 식료품을 공급할 때에만 아우터 커버(16)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아우터 커버(16)가 한 쌍의 연결부(16b)를 포함하지 않고 커버 본체(16a)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탈부착 부재(18b)는 커버 본체(16a)에서 차단막 본체(11)와 직접 연결된 일 가장자리(예를 들어, 상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이너 커버(15) 및 아우터 커버(16)에 의해 통로(P)에 대한 인터 록(Inter-Lock)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인접실(2)의 관리자나 보호자는 아우터 커버(16)를 오픈하고 통로(P)에 물품이나 식료품을 투입한 후 아우터 커버(16)를 클로즈 할 수 있다 이후, 격리실(1)의 격리자는 이너 커버(15)를 오픈하고 상기 통로(P)에 놓여있던 물품이나 식료품을 수령한 후 이너 커버(15)를 클로즈 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커버(15) 및 아우터 커버(16)를 동시에 개방하지 않고도 통로(P)를 통해 물품이나 식료품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차단막 및 음압기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차단막의 내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차단막의 외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기에서 핸들이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통풍구 차단막(20)은, 차단막 본체(21)와, 개구(23)와, 덕트 연결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풍구 차단막(20)은 조절용 스트랩(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 본체(21)는, 유연성을 갖는 고밀도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 본체(21)는 항균, 방염, 방수 등의 기능성을 가진 타이벡(Tyvek) 재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차단막 본체(21)는 격리실(1)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막 본체(21)는 격리실(2)의 벽면이나 창틀에 부착될 수 있다.
통풍구 차단막(20)의 외면에는 접착 부재(2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22)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 부재(22)는 통풍구 차단막(20)의 외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차단막 본체(21)의 외면과 내면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통풍구 차단막(20)의 부착 과정 시 작업자는 통풍구 차단막(20)의 외면과 내면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구(23)는 차단막 본체(21)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구(23)는 차단막 본체(21)에서 접착 부재(22)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23)는 차단막 본체(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23)는 음압기(30)에 연결된 에어 덕트(39)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음압기(30)로 흡입된 격리실(1)의 내부 공기는 에어 덕트(39) 및 개구(2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실외(3)로 토출될 수 있다.
덕트 연결부재(24)는 차단막 본체(21)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덕트 연결부재(24)는 차단막 본체(21)의 내면에서 개구(23)의 주변부에 연결될 수 있다.
덕트 연결부재(24)는 실링 성능이 높은 연질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덕트 연결부재(24)는 에어 덕트(39)의 단부 외둘레를 둘러쌈으로써 개구(23)와 에어 덕트(39)를 연통시킬 수 있다. 덕트 연결부재(24)는 환형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조절용 스트랩(25)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조절용 스트랩(25)은 덕트 연결부재(24)를 에어 덕트(39)의 외둘레에 대해 죄거나 릴리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조절용 스트랩(29)의 일부는 덕트 연결부재(24)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고리를 이루며, 다른 일부는 덕트 연결부재(24)를 관통하여 덕트 연결부재(24)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의 크기를 가변시켜 에어 덕트(39)에 대한 덕트 연결부재(24)의 죄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덕트(39)는 주름관일 수 있다. 즉, 에어 덕트(39)의 외둘레에는 환형의 그루브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조절용 스트랩(29)은 덕트 연결부재(24)를 상기 그루브에 대해 죄임으로써, 덕트 연결부재(24)가 에어 덕트(39)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압기(30)는, 하우징(31)과, 팬모터(32)(도 1 참조)와, 필터(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원용한다. 음압기(30)는 하우징(31)의 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34)과, 하우징(31)의 상측에 형성되고 대상물(K)이 안착되는 안착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휠(34)은 하우징(31)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휠(34)에 의해, 작업자는 음압기(30)에 외력을 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핸들(36)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36)을 잡고 음압기(30)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36)은 하우징(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하우징(31)에 대한 핸들(36)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안착부(35)는 하우징(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안착부(35)는 하우징(31)의 상면 일부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31)의 상면에 별도 제작된 안착부(35)가 체결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음압기(30)는 대상물(K)을 운반하는 카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물(K)은 접힌 상태의 출입구 차단막(10) 및 통풍구 차단막(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물(K)은 격리자에게 필요한 물품이 담긴 키트 백(kit-ba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은 음압 마스크, 개인 보호장비, 소독제, 의료 폐기물용 쓰레기 봉투, 온도계 또는 소독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 차단막(10)과, 통풍구 차단막(20)과, 키트-백(kit-bag)과, 음압기(30)를 단일의 키트로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출입구 차단막 11: 차단막 본체
12: 접착 부재 13; 윈도우
14: 투입부 15: 이너 커버
16: 아우터 커버 19: 비상용 스트랩
20: 통풍구 차단막 21: 차단막 본체
22: 접착 부재 23: 개구
24: 덕트 연결부재 30: 음압기
31: 하우징 32: 팬모터
33: 필터 34: 휠
35: 안착부 K: 대상물
P: 통로

Claims (24)

  1. 출입구 및 통풍구가 구비된 격리실을 음압으로 유지시키는 격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의 외측에서 상기 출입구를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출입구 차단막;
    상기 출입구 차단막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격리실의 내측에서 상기 통풍구를 커버하도록 부착된 통풍구 차단막; 및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풍구 차단막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격리실의 내부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음압기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 또는 통풍구 차단막 중 적어도 하나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섬유 재질을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갖는 윈도우가 구비된 음압 격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은,
    차단막 본체;
    상기 차단막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물품이나 식료품을 투입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부;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이너 커버; 및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아우터 커버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 인접하도록 접히는 접힘 상태와,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서 멀어지도록 펼쳐져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형되는 음압 격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차단막 본체와 동일한 재질을 갖는 음압 격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에는 상기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탈부착 부재가 구비된 음압 격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에는,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을 당길 수 있는 비상용 스트랩이 연결된 음압 격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스트랩은, 상기 출입구 차단막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출입구 차단막의 접착 부재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연결된 음압 격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기는 에어 덕트를 통해 상기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통풍구 차단막에는 상기 에어 덕트의 외둘레 단부를 둘러싸는 연질의 덕트 연결부재가 구비된 음압 격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 차단막에는, 상기 덕트 연결부재를 상기 에어 덕트의 외둘레에 대해 죄거나 릴리즈하는 조절용 스트랩이 구비된 음압 격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팬 모터;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키트 백이 안착 가능한 안착부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13. 음압으로 유지되는 격리실의 출입구를 커버하는 출입구 차단막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의 외측에 부착되는 차단막 본체;
    상기 차단막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물품이나 식료품을 투입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부;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이너 커버를 포함하는 출입구 차단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본체를 접착시키며 상기 차단막 본체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출입구 차단막.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본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가지고 상기 투입부보다 상측에 위치한 윈도우가 구비된 출입구 차단막.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본체, 투입부,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섬유 재질을 포함하는 출입구 차단막.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 인접하도록 접히는 접힘 상태와, 상기 투입부의 둘레면이 상기 차단막 본체에서 멀어지도록 펼쳐져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형되는 출입구 차단막.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 및 이너 커버에는, 상기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탈부착 부재가 구비된 출입구 차단막.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본체에는, 상기 격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출입구 차단막을 당길 수 있는 비상용 스트랩이 연결된 출입구 차단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스트랩은, 상기 차단막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차단막 본체의 접착 부재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연결된 음압 격리 시스템.
  21. 음압으로 유지되는 격리실의 통풍구를 커버하는 통풍구 차단막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의 내측에 부착되는 차단막 본체;
    상기 차단막 본체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차단막 본체의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에어 덕트의 단부 외둘레를 둘러싸는 연질의 덕트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통풍구 차단막.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본체를 접착시키며 상기 차단막 본체의 외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풍구 차단막.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부재를 상기 에어 덕트의 외둘레에 대해 죄거나 릴리즈하는 조절용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통풍구 차단막.
  24. 격리실의 음압을 유지시키는 음압기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의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격리실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에어 덕트로 토출시키는 팬 모터;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음압기.
KR1020210065756A 2021-05-21 2021-05-21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KR10259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56A KR102590547B1 (ko) 2021-05-21 2021-05-21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56A KR102590547B1 (ko) 2021-05-21 2021-05-21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89A true KR20220157789A (ko) 2022-11-29
KR102590547B1 KR102590547B1 (ko) 2023-10-18

Family

ID=8423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756A KR102590547B1 (ko) 2021-05-21 2021-05-21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5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69Y1 (ko) * 2002-03-15 2002-06-22 김용희 현관문의 배달물품 수취함
KR20040035551A (ko) * 2002-10-22 2004-04-29 산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환자 격리 유닛
KR100785831B1 (ko) * 2007-02-12 2007-12-13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KR200466788Y1 (ko) * 2011-05-30 2013-05-07 유재섭 차단구
KR20200002012U (ko) * 2019-03-06 2020-09-16 박원철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배출구를 갖는 톤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69Y1 (ko) * 2002-03-15 2002-06-22 김용희 현관문의 배달물품 수취함
KR20040035551A (ko) * 2002-10-22 2004-04-29 산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환자 격리 유닛
KR100785831B1 (ko) * 2007-02-12 2007-12-13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KR200466788Y1 (ko) * 2011-05-30 2013-05-07 유재섭 차단구
KR20200002012U (ko) * 2019-03-06 2020-09-16 박원철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배출구를 갖는 톤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547B1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932B2 (en) Convertible patient isolation pod
KR101668378B1 (ko) 이동형 아이솔레이터
EP1065976B1 (en) Self-contained isol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system
US11905096B1 (en) Enclosure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from contaminated devices
US4458680A (en) Protective supplied breathing air garment
US10376720B2 (en) Sealed and ventilated receptacle
US4939803A (en) Stretcher cover
US10561750B2 (en) UV disinfecting unit
US20230018659A1 (en) Protective face mask
US20200147248A1 (en) Uv disinfecting unit
KR102145148B1 (ko) 이동형 음압 격리 부스
KR102222135B1 (ko) 출입구 설치형 접이식 차폐 및 소독 부스
US20230130301A1 (en) Intubation Protective Enclosure and Method of Use and Disinfecting
KR20230027061A (ko) 에어로졸 봉쇄 인클로저
KR20220157789A (ko)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JP3104211U (ja) 安全キャビネット型クリーンベンチ
US6725893B1 (en) Cover assembly for a crash cart
KR20200118776A (ko) 마스크를 접힌 상태로 유지해주는 자석이 구비된 마스크
US20220062081A1 (en) Isolation room systems and methods
JPH05269006A (ja) ファスナ装置
JP2018146167A (ja) 粉体の吸引除去装置と粉体の吸引除去方法
US20230213225A1 (en) An isolation chamber
US7601143B2 (en) Ostomy/fistula bag
JP2022054504A (ja) 住宅
KR20220004361A (ko) 기능성 시신 보관이송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