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690B1 -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690B1
KR100785690B1 KR1020060100158A KR20060100158A KR100785690B1 KR 100785690 B1 KR100785690 B1 KR 100785690B1 KR 1020060100158 A KR1020060100158 A KR 1020060100158A KR 20060100158 A KR20060100158 A KR 20060100158A KR 100785690 B1 KR100785690 B1 KR 10078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node
portable terminal
outpu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이종훈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00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상기 리시버로 외부 출력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상기 트랜스미터와 접속되는 일단은 풀업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어 ② 노드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리시버의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③ 노드를 형성하는 그라운드선이 형성되고, 상기 풀업 저항의 타단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① 노드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스미터에는 상기 그라운드선 및 풀업 저항이 형성하는 ② 노드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는 컨트롤러가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케이블, 트랜스미터, 리시버, 그라운드선

Description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Detecting method about external cable and output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도 1은 종래 HPD를 이용한 케이블의 연결 유무 검출 방법(HDMI)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잭에 내장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그라운드 패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트랜스미터 110 : 디스플레이 장치
120 : 비디오 오디오 출력단 130 : 컨트롤러
140, 210 : 잭 150 : 전원
160 : 풀업 저항 170, 220 : 그라운드
200 : 리시버 310 : 케이블
320 : 그라운드선
본 발명은 외부출력 기능을 가진 단말기에서 외부출력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노트북, 휴대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게임기(일례: 소니사의 플레이스테이션),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캠코더 등이 있다. 그리고 그 종류와 기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한히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특성상 소비전력의 효율적 사용을 통한 작동시간의 연장이라는 문제는 날이 갈수록 중요시해지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모되는 대부분의 전력은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LCD, EL 등)에서 소비된다. 따라서 굳이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자동으로 오프(off) 시켜줄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시판 중인 외부출력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들은, 사용자가 화면을 외부출력을 이용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 수단(TV,모니터 등)에 출력하고자 할 때,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하는 기능이 없거나, 출원번호 10-2004-60260 발명의 명칭 "음성 출력과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와 제어방법"에 나타나 있듯 사용자가 직접 UI화면에서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출력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HDMI 등의 특수 케이블의 경우, 신호선에 할당되어 있는 HPD(Hot Plug Detect)와 같은 특수 신호선을 이용하여 외부출력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한다. 반면, 일반 AV 케이블은 잭 자체에 스위치를 내장하여 외부출력 케이블의 연결 유무 감지한다. 상기 예시된 케이블 감지용 특수 신호선을 두거나, 잭 자체에 스위치를 내장하는 방법은 구현이 다소 복잡하며, 별도의 신호선 또는 스위치 구현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을 야기시킨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보다 높아지며, HDMI와 같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 일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에 적용되는 방식이 상이하여 구현에 일관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케이블 연결 시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자동으로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케이블의 종류와 관계없이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동일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과,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HPD를 이용한 케이블의 연결 유무 검출 방법(HDMI)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10)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리시버(receiver;20)가 형성된다. 상기 트랜스미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로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오디오 출력단(12), 상기 비디오 오디오 출력단(12)의 출력 및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3) 및 상기 컨트롤러(13)와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20)로 외부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잭(14)을 포함한다. 반면, 상기 리시버(20)는 상기 트랜스미터의 잭으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잭(21)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미터의 잭(14)과 리시버의 잭(21) 사이는 비디오,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케이블(31)과,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는 HPD(Hot Plug Detect;32)가 형성된다. 상기 HPD(32)는 본래 트랜스미터(10)에 케이블(31) 및 리시버(20)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선이다. HPD(32)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하면, 트랜스미터(10)는 케이블(31)을 통하여 리시버(20)의 EDID(Extended Data Identification Data)를 읽어서 적절한 해상도 및 포맷에 맞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한다. 트랜스미터(10)는 HPD(32)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HDMI, DVI)의 연결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케이블(31)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미터(10)와 리시버(2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HPD(32)는 로(Low)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케이블(31)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미터(10)와 리시버(20)가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HPD(32)는 하 이(High) 상태로 반전되어 상기 케이블(31)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미터(10)와 리시버(20)가 연결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케이블(31)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미터(10)와 리시버(20)가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트랜스미터(10)의 전원으로부터 생성된 신호가 상기 HPD(32)를 통하여 상기 리시버(20)로 전송되고, 상기 리시버(20)로 전송된 신호는 다시 상기 HPD(32)를 통하여 상기 트랜스미터(10)로 전송되어 상기 HPD(32)의 상태를 하이로 반전시키는 것이다. 만약 상기 케이블(31)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미터(10)와 리시버(2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HPD(32)는 오픈(open)되어 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그 구현이 다소 복잡하며, HPD(32)라는 별도의 신호선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2는 종래 잭에 내장된 물리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트랜스미터(40)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리시버(50)가 형성된다. 상기 트랜스미터(40)는 디스플레이 장치(4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1)로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오디오 출력단(42), 상기 비디오 오디오 출력단(42)의 출력 및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3) 및 상기 컨트롤러(43)와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50)로 외부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잭(44)을 포함한다. 상기 잭(44)에는 상기 트랜스미터(40)와 리시버(50)의 연결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스위치(45)가 내장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리시버(20) 는 상기 트랜스미터(40)의 잭(44)으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잭(51)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미터의 잭(44)과 리시버의 잭(51) 사이는 비디오,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케이블(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5)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A/V 케이블에서 주로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61)을 상기 트랜스미터(40)와 상기 리시버(50)의 잭(44, 51)에 연결하면 상기 트랜스미터(40)의 잭(44)에 내장된 상기 스위치(45)가 물리적인 힘을 받아서 감지 신호의 상태가 변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케이블(61)의 연결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방법은 물리적인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불량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외부출력 기능을 갖춘 단말기에서 외부출력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출력 케이블이 연결되었을 시, 자동적으로 자체 디스플레이 출력을 오프시키고, 외부 출력만을 온시킴으로써, 자체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상기 리시버로 외부 출력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상기 트랜스미터와 접속되는 일단은 풀업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어 ② 노드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리시버의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③ 노드를 형성하는 그라운드선이 형성되고, 상기 풀업 저항의 타단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① 노드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스미터에는 상기 그라운드선 및 풀업 저항이 형성하는 ② 노드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는 컨트롤러가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그라운드선은 오픈되고,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① 노드 및 ② 노드를 거쳐 전량 컨트롤러로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② 노드의 상태는 하이로 반전되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는 과정과,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① 노드를 통해 풀업 저항으로 입력되고, 상기 풀업 저항을 거쳐 ② 노드로 출력되며, 상기 ② 노드로 출력된 신호는 상기 리시버의 그라운드로 유입되어, 상기 ② 노드를 로 값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외부 출력 신호를 오프시키고, 자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케이블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또는 (C) 단계를 통하여 결정된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오프 상태를 수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은 HPD를 이용하거나, 잭 자체에 스위치를 내장하여 외부출력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거나, 그라운드 패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인터럽트 처리 방법이나, 폴링 방법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오프 상태를 수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라운드 패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트랜스미터(100)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리시버(200)로 구성된다. 상기 트랜스미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오디오 출력단(120), 상기 비디오 오디오 출력단(120) 및 디스플레이 장치(41)의 출력 및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30) 및 상기 컨트롤러(130)와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200)로 외부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잭(140)을 포함한다. 반면, 상기 리시버(200)는 상기 트랜스미터의 잭으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잭(210)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미터의 잭(140)과 리시버의 잭(210) 사이는 비디오,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케이블(310)과, 상기 케이블(310)의 그라운드(Ground)선(320)이 연결된다. 상기 그라운드선(320)이 상기 트랜스미터(100)와 접속되는 일단에는 풀업(Pull-Up) 저항(160)의 일단에 연결되어 ② 노드를 형성하며, 상기 풀업 저항(160)의 타단은 전원(150)과 연결되는 ① 노드를 형성한다. 상기 풀업 저항(160)과 상기 그라운드선(320)이 연결되는 ② 노드는 상기 컨트롤러(130)와 연결되며, 상기 ② 노드의 전압을 측정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라운드선(320)의 타단과 상기 리시버(200)가 접속하는 부분은 ③ 노드를 형성하며, 리시버(200)의 그라운드(220)와 연결된다.
상기 그라운드 패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은 모든 신호 케이블에 존재하는 신호선(310) 외에 그라운드선(320)을 케이블 연결 유무 감지용 신호선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어느 하나의 그라운드선(320)을 그라운드에 연결시키지 않고, 풀업 저항(160)에 연결시킨 후, 상기 그라운드선(320) 및 풀업 저 항(160)이 형성하는 ② 노드의 상태를 컨트롤러를 통하여 점검함으로써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케이블(310)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그라운드선(320)은 오픈되고, 상기 전원(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① 노드 및 ② 노드를 거쳐 전량 컨트롤러(130)로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② 노드의 상태는 하이로 반전되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케이블(310)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케이블(310)이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전원(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① 노드를 통해 풀업 저항(160)으로 입력되고, 상기 풀업 저항(160)을 거쳐 ② 노드로 출력된다. 상기 ② 노드로 출력된 신호는 상기 리시버(200)의 그라운드(220)로 유입되고, 상기 ② 노드는 상기 리시버(200)의 그라운드(220)와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그라운드(220)와 동일한 전압값을 가지게 된다. 즉, ② 노드는 로 값을 유지하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케이블(310)이 연결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은 모든 신호 케이블에 존재하는 신호선(310) 외에 그라운드선(320)을 케이블 연결 유무 감지용 신호선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특수한 신호선을 두거나 특별한 장치없이 손쉽게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케이블, 아날로그 케이블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 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여야 한다(S100). 여기서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종래 HPD를 이용하거나, 잭 자체에 스위치를 내장하여 감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운드 패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판단하여(S110),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외부 출력 신호를 오프시키고(S120), 자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시킨다(S130). 상기 S110 단계에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S140), 케이블로 신호를 송출한다(S150).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면, 불필요한 자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S130 단계나, S150 단계를 통하여 결정된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오프 상태는 수시 또는 주기적인 체크를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즉각 인지가 가능한 인터럽트 처리 방법이나, 수 msec 내에 인지가 가능한 주기적인 체크(polling)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S160). 상기 S160 단계를 통하여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S170),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S120 단계로 진행하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면, S140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해서, 외부케이블 연결 유무를 손쉽게 추가적인 비용없이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자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나 신호선을 제어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출력 기능을 갖춘 단말기에서 외부출력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출력 케이블이 연결되었을 시, 자동적으로 자체 디스플레이 출력을 오프시키고, 외부 출력만을 온시킴으로써, 자체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대부분의 전력은 자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을 통하여 전력소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종래 방법보다 더욱 간단한 방법으로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상기 리시버로 외부 출력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상기 트랜스미터와 접속되는 일단은 풀업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어 ② 노드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리시버의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③ 노드를 형성하는 그라운드선이 형성되고,
    상기 풀업 저항의 타단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① 노드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스미터에는 상기 그라운드선 및 풀업 저항이 형성하는 ② 노드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는 컨트롤러가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시스템.
  2.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라운드선은 오픈되고,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① 노드 및 ② 노드를 거쳐 전량 컨트롤러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으로 인하여 상기 ② 노드의 상태는 하이로 반전되며, 상기 ② 노드의 상태가 하이로 반전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는 과정과,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① 노드를 통해 풀업 저항으로 입력되고, 상기 풀업 저항을 거쳐 상기 ② 노드로 출력되며, 상기 ② 노드로 출력된 신호는 상기 리시버의 그라운드로 유입되어, 상기 ② 노드를 로우 값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3. (A)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외부 출력 신호를 오프시키고, 자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케이블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또는 (C) 단계를 통하여 결정된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오프 상태를 수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은 HPD를 이용하거나, 잭 자체에 스위치를 내장하여 외부출력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 거나, 그라운드 패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유무를 감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인터럽트 처리 방법이나, 폴링 방법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오프 상태를 수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KR1020060100158A 2006-10-16 2006-10-16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KR10078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158A KR100785690B1 (ko) 2006-10-16 2006-10-16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158A KR100785690B1 (ko) 2006-10-16 2006-10-16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690B1 true KR100785690B1 (ko) 2007-12-14

Family

ID=3914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158A KR100785690B1 (ko) 2006-10-16 2006-10-16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460A (ko) * 2013-12-23 2015-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테스트장치
CN106251795A (zh) * 2015-06-04 2016-12-21 三星显示有限公司 测试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159A (ja) 1997-12-26 1999-07-21 Denso Corp 携帯型通信装置および表示データ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159A (ja) 1997-12-26 1999-07-21 Denso Corp 携帯型通信装置および表示データ変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460A (ko) * 2013-12-23 2015-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테스트장치
KR102113620B1 (ko) * 2013-12-23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테스트장치
CN106251795A (zh) * 2015-06-04 2016-12-21 三星显示有限公司 测试板
CN106251795B (zh) * 2015-06-04 2021-06-11 三星显示有限公司 测试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6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HDMI port that is shared between HDMI source function and an HDMI sink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1566174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47808B2 (en) Method for charging external device by which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alleviated and displaying apparatus using thereof
CN108509166B (zh) 自动切换装置及自动切换方法
US108669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in bidirectional ReDriver IC chip
US10345879B2 (en) Capacitance based accessory connection detection for a battery powered unit
US7945796B2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s to an external apparatus via a connector based on user setting information
US9366712B2 (en) Determination of physical connectivity status of devices based on electrical measurement
KR1013547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탈착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9189617B (zh) 一种通用串行总线c型接口检测方法和终端
EP3444706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system
US20100097357A1 (en) Compu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device
US20190213159A1 (en) Universal serial bus type-c interface circuit and pin bypass method thereof
JP2011166747A (ja) 自動で受信器のパワーダウンを検出する送信器及びそれを含むシステム
JP2008165012A (ja) 表示装置の電源監視制御装置
KR20180019277A (ko) 파워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785690B1 (ko) 케이블 연결 유무 자동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US8427392B2 (en) Circuit for detect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adapted to notebook computer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JP201217420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に接続されたブランチ機器の電源供給要否判定方法
CN110134216B (zh) 一种电源控制装置、方法及终端设备
KR100763947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225980A (ja) モニタ接続手段を有する処理装置およびモニタ検出方法
US20080031366A1 (en) Networ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network chip
JP5060979B2 (ja) 携帯情報装置およ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100732716B1 (ko)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