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469B1 - 직조형 전선결합체 - Google Patents

직조형 전선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469B1
KR100785469B1 KR1020060055982A KR20060055982A KR100785469B1 KR 100785469 B1 KR100785469 B1 KR 100785469B1 KR 1020060055982 A KR1020060055982 A KR 1020060055982A KR 20060055982 A KR20060055982 A KR 20060055982A KR 100785469 B1 KR100785469 B1 KR 10078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coated
sheathed
wi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재화
Original Assignee
석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재화 filed Critical 석재화
Priority to KR102006005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병렬로 배열된 다수의 피복전선이 섬유사에 의해 직조되도록 구성되는 전선결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병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피복전선; 상기 병렬로 배열된 다수의 피복전선 좌우측 양단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선재; 및 상기 피복전선 및 보강선재와 교차되도록 직조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과 보강선재를 결합시키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된 다수의 전선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접히거나 인장되더라도 단선되지 아니하며, 배선이 복잡하더라도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선, 직조, 섬유, 코팅, 피복, 보강

Description

직조형 전선결합체{Woven electric wire assembly}
도 1은 종래 전선결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복전선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선 200 : 섬유사
300 : 보강선재
본 발명은 다수의 피복 전선이 결합된 전선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섬유사를 위사(緯絲)로 이용한 직조에 의해 다수의 피복 전선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전선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기 전자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각종 전기 전자 제품에는 여러 종류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선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각 전선을 따로 따로 배선하는 경우에는 배선이 매우 복잡해지며 각 전선이 서로 꼬임으로 인하여 단선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선을 결합한 여러 종류의 전선결합체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선결합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전선결합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복전선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결합체는,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피복전선(10)과,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을 하나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 피복전선(10)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층(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선결합체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은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결합층(20)은 전선결합체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피복재 또는 접착시트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복전선(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로 묶여진 내측동 선(12)과, 상기 내측동선(1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외측동선(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동선(12)과 외측동선(14) 사이에는 내측동선(12)과 외측동선(14) 간의 절연을 위한 피복층(14)이 마련되며, 상기 외측동선(14)의 외측면에도 외측동선(14)의 절연을 위한 피복층(14)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내측동선(12)과 외측동선(14)의 절연을 위한 피복층(14)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합성수지 피복재로 이루어지면 피복전선(10)의 전체 지름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최근 들어서는 테프론 등의 물질로 동선(12, 14)의 외측면을 코팅함으로써 피복층(14)을 형성하는 방법이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테프론은 표면이 매우 매끄러워 접착력이 낮으므로, 상기와 같이 피복층(14)이 테프론 코팅으로 형성되면 결합층(20)이 피복전선(10)으로부터 쉽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배선 작업 시 전선 조립체를 구부리거나 잡아당기는 경우 결합층(20)과 피복전선(10)이 분리되고 피복전선(10)이 단선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선결합체는 포개어지도록 접혀지는 경우에도 피복전선(10)이 단선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된 다수의 전선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접히거나 인장되더라도 단선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전선결합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병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피복전선; 및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과 교차되게 직조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을 결합시키는 섬유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유사는,
하나의 행(行)이 서로 다른 피복전선의 상면과 저면을 일정한 주기로 교번으로 감싸도록 결합되고, 이웃하는 두 행(行)은 상기 피복전선을 교번으로 감싸는 주기가 엇갈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섬유사는,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 즉, 상기 피복전선을 교번으로 감싸는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이 상기 피복전선의 배열방향과 교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섬유사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과 상기 피복전선의 배열방향이 교차되는 각도는 45도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섬유사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은 상기 피복전선의 방향으로 사 선패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섬유사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은 1회 이상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섬유사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피복전선은,
외주면이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병렬로 배열된 다수의 피복전선 좌우측 양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보강선재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섬유사는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 및 보강선재와 교차되게 직조됨으로써 상기 피복전선과 보강선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선재는 나일론 사(絲)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선재는 상기 피복전선과 상이한 색상으로 제작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조형 전선결합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일정한 높이로 병렬 배열되는 다수의 피복전선(100)과,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직조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섬유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피복전선(100)은 경사(經絲)역할을 하고, 상기 섬유사(200)는 위사(緯絲)역할을 하여, 상호 직조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섬유사(200)는 상기 피복전선(100)의 배열방향으로 다수의 행(行)을 이루도록 직조되며, 상기 섬유사(200) 하나의 행(行)은 서로 다른 피복전선(100)의 상면과 저면을 일정한 주기로 교번으로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다수의 피복전선(100)이 섬유사(200)에 의해 결합되므로,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으로 코팅되어 합성수지 피복재 또는 접착시트에 의한 결합이 불가한 피복전선(100)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섬유사(200) 행(行)이 두 개의 피복전선(100) 상면을 덮은 후 그에 이웃하는 또 다른 두개의 피복전선(100) 저면을 덮도록 즉, 피복 전선(100)을 두 개씩 교번으로 감싸도록 일정 주기로 반복 결합되고 있으나, 피복전선(100)을 교번으로 감싸는 주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 피복전선(100)을 하나씩 교번으로 감싸거나 셋 이상씩 교번으로 감싸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섬유사(200)에 의해 상면이 덮이는 피복전선(100)의 개수와 저면이 덮이는 피복전선(100)의 개수가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섬유사(200)의 모든 행(行)이 상기 피복전선(100)을 교번으로 감싸는 주기가 일정하면 즉, 일부 피복전선(100)은 섬유사(200)에 의해 상면만이 덮여지고 나머지 피복전선(100)은 섬유사(200)에 의해 저면만이 덮여지면, 섬유사(200)에 의해 상면만이 덮여지는 피복전선(100)을 아래로 쳐지게 되고 섬유사(200)에 의해 저면만이 덮여지는 피복전선(100)은 위로 들어 올려지므로, 각 피복전선(100)이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커넥터를 장착하거나 또는 납땜을 하는 작업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섬유사(200)는, 각 행(行) 중에서 이웃하는 두 행(行)은 상기 피복전선(100)을 교번으로 감싸는 주기가 엇갈리도록 즉, 피복전선(100)의 상면을 덮는 부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히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섬유사(200)가 직조되면, 모든 피복전선(100)들은 상면과 저면이 고른 비율로 섬유사(200)에 의해 덮여지므로 아래로 처지거나 위로 들어올려지는 현상 없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의 각도가 상기 피복전선(100)의 배열방향에 가까울수록, 상기 피복전선(100)은 섬유사(200)에 의해 상면이 덮이는 부위와 저면이 덮이는 부위의 반복이 잦아지게 되므로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과 상기 피복전선(100)의 배열방향이 교차되는 각도(θ)는 45도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65도로 구성된다.
상기 섬유사(200)는, 전선결합체가 구부러질 때 상기 피복전선(100)이 상기 섬유사(200)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섬유사(200)가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면, 전선결합체가 폭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병렬로 배열된 다수의 피복전선(100) 좌우측 양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보강선재(300)가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섬유사(200)는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과 보강선재(300)를 직조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병렬로 배열된 다수의 피복전선(100) 좌우측 양단에 각각 보강선재(300)가 마련되면, 전선결합체가 구부러지도록 외력이 인가되어 굽힘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보강선재(300)가 굽힘응력을 받아 견디는 역할을 되므로 피복전선(100)이 완전히 접힘으로써 단선 및 손상될 우려가 감소되고, 전선결합체에 길이방향으로의 인장력이 인가되어 전단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보강선재(300)가 상기 전단응력을 받아 견디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피복전선(100)의 절단 및 변형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선재(300)는 상기 언급한 굽힘응력 및 전단응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탄성 및 강도가 높은 나일론 사(絲)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선재(300)는 상기 피복전선(100)과 상이한 색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선재(300)와 피복전선(100)이 상이한 색상으로 제작되면, 작업자가 보강선재(300)와 피복전선(100)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선재(300)가 각 전선결합체별로 상이한 색상으로 제작되면, 상기 보강선재(300)의 색상을 보고 각 전선결합체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배선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더라도 각 전선결합체를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을 이룰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위에서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 이상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이 절곡되는 회수는 각 부재의 특성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4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 제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섬유사(200) 행(行)이 세 개의 피복전선(100) 상면을 덮은 후 그에 이웃하는 하나의 피복전선(100) 저면을 덮는 것을 하나의 주기로 하여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섬유사(200)에 의해 상면이 덮이는 피복전선(100)의 개수와 저면이 덮이는 피복전선(100)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결합체는,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된 다수의 전선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접히거나 인장되더라도 단선되지 아니하며, 배선이 복잡하더라도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병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피복전선(100);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과 교차되게 직조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을 결합시키는 섬유사(200); 및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의 좌우측 양단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강선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200)는,
    하나의 행(行)이 서로 다른 피복전선(100)의 상면과 저면을 일정한 주기로 교번으로 감싸도록 결합되고, 이웃하는 두 행(行)은 상기 피복전선(100)을 교번으로 감싸는 주기가 엇갈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200)는,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 즉, 상기 피복전선(100)을 교번으로 감싸는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이 상기 피복전선(100)의 배열방향과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과 상기 피복전선(100)의 배열방향이 교차되는 각도는 45도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은 상기 피복전선(100)의 방향으로 사선패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200)의 행(行) 주기가 엇갈리는 방향은 1회 이상 절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200)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전선(100)은,
    외주면이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200)는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 및 보강선재(300)와 교차되게 직조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피복전선(100)과 보강선재(30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재(300)는 나일론 사(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재(300)는 상기 피복전선(100)과 상이한 색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합체.
KR1020060055982A 2006-06-21 2006-06-21 직조형 전선결합체 KR10078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82A KR100785469B1 (ko) 2006-06-21 2006-06-21 직조형 전선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82A KR100785469B1 (ko) 2006-06-21 2006-06-21 직조형 전선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469B1 true KR100785469B1 (ko) 2007-12-13

Family

ID=3914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982A KR100785469B1 (ko) 2006-06-21 2006-06-21 직조형 전선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4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1910A (ja) * 1989-05-16 1990-12-14 Oki Electric Ind Co Ltd 水中配列型センサ用多芯ケーブル
US5306869A (en) 1991-09-27 1994-04-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ibbon cable construction
KR20000005215A (ko) * 1996-04-03 2000-01-25 마이클 지이. 안드레 평 전기 케이블 및 그 조립 방법
JP2003234135A (ja) 2002-02-06 2003-08-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シート状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1910A (ja) * 1989-05-16 1990-12-14 Oki Electric Ind Co Ltd 水中配列型センサ用多芯ケーブル
US5306869A (en) 1991-09-27 1994-04-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ibbon cable construction
KR20000005215A (ko) * 1996-04-03 2000-01-25 마이클 지이. 안드레 평 전기 케이블 및 그 조립 방법
JP2003234135A (ja) 2002-02-06 2003-08-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シート状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7041A (en) Flat type feeder cable
JP5369249B1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付き電線
JP6639773B2 (ja)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ユニット
KR102061127B1 (ko) 섬유사의 꼬임 특성을 이용한 전기전도성 신축 상호연결선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257580A1 (en) Cable harness
CN1290122C (zh) 柔性电线
KR100785469B1 (ko) 직조형 전선결합체
KR20140031282A (ko)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JP2001297632A (ja) フラットワイヤーハーネス
WO2018221182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5266388B2 (ja) デジタルバンド用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1501891B2 (en) Wiring member
WO2012120639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5115316A (ja) 炭素繊維面状発熱体の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6204404B2 (ja) メッキ繊維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H02137810A (ja) テープ型光ファイバコード
KR20160059341A (ko) 면상 발열체
JP6782090B2 (ja) 光ファイバコード、光ファイバコード敷設方法
CN203562213U (zh) 混合编织线和起动机
CN206991798U (zh) 一种柔性拖链电缆
TWM373365U (en) Textile structure
CN108735361A (zh) 一种柔性拖链电缆
JP7456253B2 (ja) ワイヤハーネス
WO2012120640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456252B2 (ja) 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