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302B1 -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302B1
KR100785302B1 KR1020060020119A KR20060020119A KR100785302B1 KR 100785302 B1 KR100785302 B1 KR 100785302B1 KR 1020060020119 A KR1020060020119 A KR 1020060020119A KR 20060020119 A KR20060020119 A KR 20060020119A KR 100785302 B1 KR100785302 B1 KR 100785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quest message
vehicle management
status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420A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3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이 IP망 및 무선망을 이용하여 통신가능거리에 대한 제한 없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자동차 상태를 조회 및 제어하고, 무선망을 사용하는 자동차 관리 서버와 자동차 관리 장치 간의 통신이 무선 인증 과정 및 타이머를 통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통신과정에 따른 보안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REMOTE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상태 조회 및 제어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비상 상태 통지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차 관리 장치 200 : 자동차 관리 서버
300 : 단말
본 발명은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사용자들은 RF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자동차를 제어하고 있다.
즉, 자동차 사용자들은 자동차 내에 구비된 RF 장치와 연동되는 RF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차의 문 열림, 닫힘 등을 근거리에서 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RF 기술은 사람, 자동차, 화물, 가축 등에 개체를 식별하는 정보 즉, RF ID를 임의의 매체에 부가하여, 이와 연동하는 RF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식별 정보가 비접촉 해독되도록 함으로, 사람의 손에 의지하던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한편, 현재 RF 기술은 통신 가능 거리가 약 1Km 정도이다.
따라서, RF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제한된 거리 안에서만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RF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방법은, 단순히 식별 정보만을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통신의 보안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자동차 제어에 대한 거리 제한이 없도록 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안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 자동차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제 1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단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제 2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자동차 관리 서버;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자동차 상태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자동차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는, 자동차 온도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배터리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시동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및 도어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이다.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와이브로 망 또는 무선랜 망이다.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차 각 위치에서 자동차 내의 온도, 배터리 상태, 시동 상태, 도어 개폐 상태 및 충격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 비상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상태 정보가 포함된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비상 상태 메시지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와 무선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비상 상태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동차 온/오프(on/off) 제어 또는 도어 개폐 제어를 요청하는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른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와 무선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 및 자동차 관리 장치는, 송신한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안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 메시지를 재송신한다.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자동차 관리 서버와 와이브로망 또는 무선랜망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자동차 내의 온도, 배터리 상태, 시동 상태, 도어 개폐 상태 및 충격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자동차의 시동 온/오프 또는 도어 개폐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센싱부가 포함하는 각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시동 온/오프 또는 도어 개폐에 따른 결과 정보가 포함된 자동차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각각의 응답 메시지가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되도록 하며, 상기 송신한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ACK 메시지가 상기 기 설정된 시간안에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한 응답 메시지가 재송신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제 2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자동차 관리 서버;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자동차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자동차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의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 조회 요청에 따라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는, 자동차 온도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배터리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시동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및 도어 개폐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이다.
그리고,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수신된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수행한 상기 자동차 시동 온/오프 제어 또는 도 어 개폐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비정상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자동차 비정상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자동차 관리 장치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자동차 관리 장치에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의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수신된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기능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 관리 장치(100), 자동차 관리 서버(200) 및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자동차 내의 온도 상태, 배터리 상태, 시동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충격 상태 등의 자동차 상태를 조회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상태를 종류별로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자동차의 상태를 조회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통해 자동차의 비상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비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하지 않은 비정상적인 도어 열림, 시동 켜짐 또는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 등이 발생하는 경우 각 종 류의 센서로부터 해당 비정상 상태 정보를 한다.
한편,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자동차 관리 장치(100) 간의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망 또는 무선랜(Wireless LAN)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사용자 자동차의 상태 조회 및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자동차에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300)에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과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 즉, IP망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접속된 자동차 관리 장치(100)별 물리주소, 제품 코드 번호, IP 주소, 비밀번호 등을 자동차 관리 장치(100)와 공유하여, 자동차 관리 장치(100)와의 무선 인증 과정 및 메시지 송수신에 사용한다. 따라서,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와 보안 및 안정성이 향상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300)은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PC(Personal Computer) 등의 장치로서 IP망에 접속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300)은,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동차 관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한편,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단말(300) 또는 상호간에 메시지를 송신함에 있어서, 타이머를 구동하여 송신한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안에 수신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은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 관리 장치(100)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센싱부(130), 동작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타이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관리 장치(100)의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0), 센싱부(130) 및 저장부(150)를 제어하여, 자동차 상태를 조회 및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온도 감지 센서, 배터리 감지 센서, 시동 감지 센서, 도어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 종류의 자동차 상태 감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4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의 도어 개폐, 시동 온/오프 등의 기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의 물리주소, 제품 코드 번호, IP 주소, 비밀번호 및 무선 인증 과정에서 생성되는 챌린지값 및 해시값을 저장할 수 있 다.
타이머(160)는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터다운(countdown)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자동차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무선 인터페이스가 수신된 메시지를 제어부(120)에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태 조회 메시지를 분석하여 자동차의 어떤 상태를 조회할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입력된 상태 조회 메시지를 분석하면, 센싱부(130)를 제어하여 각 센서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태 정보 중 입력된 상태 조회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생성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무선 인터페이스부(110)에 출력함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되도록 한다.
한편,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자동차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태 제어 메시지를 분석하여 자동차의 기능을 제어할지를 파악한다.
제어부(120)는, 제어할 자동차 기능이 파악되면, 동작 제어부(140)를 제어하 여 해당 제어기기를 통해 입력된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
동작 제어부(140)는 해당 기능이 제어되면, 제어 결과 정보를 제어부에 출력하며, 이를 입력받은 제어부(120)는 입력된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생성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무선 인터페이스부(110)에 출력함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되도록 한다.
한편, 센싱부(130)에 포함되거나 연동된 센서는, 비정상적인 자동차 상태가 감지되면 이를 센싱부(130)에 출력하여, 센싱부(130)가 이를 제어부(120)에 출력하도록 한다.
즉, 센싱부(130)는 비정상적인 자동차 도어 열림 또는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 등이 해당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센싱부(130)로부터 비정상적인 자동차 상태를 입력받으면,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가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각 송신 메시지가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됨이 파악되면, 타이머(160)를 구동하여 기 설정된 시간 안에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 안에 ACK 메시지가 수 신되지 않으면,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송신 메시지가 재송신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 및 자동차 관리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상태 조회 및 제어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먼저, 자동차 관치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S101), 공인 IP 주소를 획득한다(S102).
그리고,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획득한 IP 주소,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가 포함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한다(S103).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통해 해당 자동차 관리 장치(100)의 IP 주소를 파악하고, 파악된 IP 주소에 대응하여 기 저장하고 있는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가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04).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해당 IP 주소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물리주소와 제품 코드 번호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와 일치하면,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S105).
그리고,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 세션(Session)을 설정할 수 있다(S106).
한편, 단말(3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자동차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사용자 자동차에 포함된 자동차 관리 장치(100)와 세션 설정된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107).
여기서, 자동차 상태 조회 신호는 자동차 온도 조회, 배터리 상태 조회, 시동 상태 조회, 도어 상태 조회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상태 제어 신호는 자동차 시동 제어, 도어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단말(300)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300)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한 후,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S108).
단말(300)은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요청 신호에 따라 자동차 온도 상태 조회, 배터리 상태 조회, 시동 상태 조회, 도어 상태 조회 메시지 등의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또는 자동차 시동 제어, 도어 제어 메시지 등의 자동차 제어 요청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한다(S109).
그리고,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세션 설정된 자동차 관리 장치(100)에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110).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해당 자동차 상태를 조회 또는 제어할 수 있다(S111).
즉,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자동차 내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배터리 상태를 측정하거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감지하거나 도어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자동차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거나,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이 자동차 상태를 조회 또는 제어하면,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응답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하고(S112),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해당 단말(300)에 자동차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자동차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응답 메시지를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S113).
따라서, 단말(300)은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자동차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응답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자동차의 상태 조회 또는 제어 결과를 표시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 관리 서버(200) 및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단말(300) 또는 상호간에 메시지를 송신한 후 포함하는 타이머를 구동하여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내에 송신한 메 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 카운트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메시지 전달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반복해서 동일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이하 기술하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 및 자동차 관리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비상 상태 통지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먼저, 자동차 관치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S201), 공인 IP 주소를 획득한다(S202).
그리고,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획득한 IP 주소,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가 포함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한다(S203).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통해 해당 자동차 관리 장치(100)의 IP 주소를 파악하고, 파악된 IP 주소에 대응하여 기 저장하고 있는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가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04).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해당 IP 주소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물리주소와 제품 코드 번호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와 일치하면,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S205).
그리고,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 세션(Session)을 설정할 수 있다(S206).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이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통신 세션이 설정된 후, 각 센서로부터 비정상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자동차 관리 장치9100)는 사용자가 아닌 외부 침입자에 의한 비정상적인 도어 열림과 비정상적인 시동 켜짐,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 등의 자동차 비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207).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비상 상태가 감지되면, 이에 따른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한다(S208).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로부터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하고(S209), 자동차 관리 장치(100)에 ACK 메시지를 송신하다(S210).
따라서, 단말(300)은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 자동차의 비상 상태 정보를 표시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 사용자가 자동차의 비상 상태를 통지받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먼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S301), 공인 IP 주소를 획득한다(S302).
그리고,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획득한 IP 주소, 물리주소 및 제품 코드 번호가 포함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한다(S303).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송신한 접속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가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파악한다(S304).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접속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한다(S305).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자동차의 상태를 조회 또는 제어한다(S306).
즉,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자동차 내의 온도를 조회하거나, 배터리 상태를 조회하거나, 시동 온/오프 상태를 조회하거나, 도어 개폐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자동차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거나,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이 자동차 상태를 조회 또는 제어하면,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차 관리 서 버(200)에 송신함으로, 자동차의 상태 조회 또는 제어 결과가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되도록 한다(S307).
한편,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태 조회 또는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한 결과, 해당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외부 침입자에 의한 비정상적인 도어 열림, 비정상적인 시동 켜짐,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 등과 같은 자동차 비상 상태 즉, 비정상 상태 정보가 감지되는지를 파악한다(S308).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파악 결과, 비정상 상태 정보가 감지되면, 감지된 비정상 상태 정보가 포함된 비상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함으로, 자동차의 비상 상태가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되도록 한다(S309).
다음으로,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와 관리 서버간의 무선 인증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 관리 장치(100)가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먼저 무선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임의의 수 배열인 제 1 챌린지(Challenge)값을 생성한다(S401).
그리고,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생성한 제 1 챌린지값이 포함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한다(S402).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로부터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챌린지값과 기 저장된 비밀번호(Password)를 이용하여 제 1 해시(Hash)값을 생성한다(S403). 여기서, 비밀번호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자동차 관리 장치(100) 양측이 미리 공유하는 동일한 값이며, 제 1 해시값은 단방향함수인 해시함수에서 획득된 값이다.
그리고,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임의의 수 배열인 제 2 챌린지값을 생성하고(S404), 생성한 제 2 챌린지값과 제 1 해시값이 포함된 인증 응답 메시지를 자동차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S405).
한편,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인증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신이 생성한 제 1 챌린지값과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제 1 해시값을 생성하고(S406), 생성한 제 1 해시값과 수신된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해시값을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S407).
즉,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생성한 제 1 해시값과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 1 해시값이 동일하면 무선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생성한 제 1 해시값과 수신한 제 1 해시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통신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인증이 성공한 경우,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의 서비스를 위해 자동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챌린지값, 비밀번호 및 제 1 첼린지값을 이용하여 제 2 해시값을 생성한다(S408).
그리고,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생성한 제 2 해시값이 포함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자동차 관리 서버(200)에 송신한다(S409).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자동차 관리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 2 챌린지값, 비밀번호 및 제 1 챌린지값을 이용하여 제 2 해시값을 생성하고(S410), 생성한 제 2 해시값과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해시값을 비교한다(S411).
자동차 관리 서버(200)는 생성한 제 2 해시값과 수신한 제 2 해시값이 일치하면,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차 관리 장치(100)에 송신하고(S412),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실패 메시지를 송신하여 모든 통신을 종료한다.
따라서, 자동차 관리 서버(200)와 자동차 관리 장치(100)는 이와 같은 무선 인증 과정이 성공하면,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자동차 관리 장치(100)가 무선 통신 요청 측인 경우를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자동차 관리 서버(200)가 무선 통신 요청 측이 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이 IP망 및 무선망을 이용하여 통신가능거리에 대한 제한 없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자동차 상태를 조회 및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무선망을 사 용하는 자동차 관리 서버와 자동차 관리 장치 간의 통신이 무선 인증 과정 및 타이머를 통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통신과정에 따른 보안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9)

  1.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제 1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단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제 2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자동차 관리 서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자동차 상태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자동차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는,
    자동차 온도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배터리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시동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및 도어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와이브로 망 또는 무선랜 망인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차 각 위치에서 자동차 내의 온도, 배터리 상태, 시동 상태, 도어 개폐 상태 및 충격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 비상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상태 정보가 포함된 자동차 비상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비상 상태 메시지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와 무선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비상 상태 메시지를 송신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동차 온/오프(on/off) 제어 또는 도어 개폐 제어를 요청하는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제공되도록 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른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와 무선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 및 자동차 관리 장치는,
    송신한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안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 메시지를 재송신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자동차 관리 서버와 와이브로망 또는 무선랜망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자동차 내의 온도, 배터리 상태, 시동 상태, 도어 개폐 상태 및 충격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자동차의 시동 온/오프 또는 도어 개폐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센싱부가 포함하는 각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시동 온/오프 또는 도어 개폐에 따른 결과 정보가 포함된 자동차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각각의 응답 메시지가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되도록 하며, 상기 송신한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ACK 메시지가 상기 기 설정된 시간안에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한 응답 메시지가 재송신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13.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 또는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단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 또는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차동차 관리 서버;
    a)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자동차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b)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자동차 상태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자동차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14. 단말, 자동차 관리 서버 및 자동차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의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 조회 요청에 따라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는,
    자동차 온도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배터리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시동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및 도어 개폐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수신된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수행한 상기 자동차 시동 온/오프 제어 또는 도어 개폐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비정상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와
    자동차 비정상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자동차 관리 장치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자동차 관리 장치에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19. 단말, 자동차 관리 서버 및 자동차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의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 제어 또는 자동차 상태 조회 요청에 따라 자동차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 또는 자동차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자동차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 또는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 관리 장치는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차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자동차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자동차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b)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로부터 상태 조회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자동차 상태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KR1020060020119A 2006-03-02 2006-03-02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5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119A KR100785302B1 (ko) 2006-03-02 2006-03-02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119A KR100785302B1 (ko) 2006-03-02 2006-03-02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420A KR20070090420A (ko) 2007-09-06
KR100785302B1 true KR100785302B1 (ko) 2007-12-12

Family

ID=3868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119A KR100785302B1 (ko) 2006-03-02 2006-03-02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295A1 (ko) * 2009-06-19 2010-12-23 이화준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224340B1 (ko) * 2011-02-16 2013-01-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원격 무선 장치 및 배터리 관리 장치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 확인 방법
KR20220108315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카비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7907B (zh) * 2019-08-05 2022-04-15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的管理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837A (ko) * 2002-12-18 2004-06-26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7294A (ko) * 2003-06-13 2004-12-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무선망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장치
KR20050043353A (ko) * 2003-11-06 2005-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과 이동단말이 연동된 인텔리전트 시스템 및 그서비스 제공방법
KR20050104451A (ko) * 2004-04-28 2005-11-03 김형수 컴퓨터, 유선전화 및 휴대폰을 통한 자동차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837A (ko) * 2002-12-18 2004-06-26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7294A (ko) * 2003-06-13 2004-12-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무선망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장치
KR20050043353A (ko) * 2003-11-06 2005-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과 이동단말이 연동된 인텔리전트 시스템 및 그서비스 제공방법
KR20050104451A (ko) * 2004-04-28 2005-11-03 김형수 컴퓨터, 유선전화 및 휴대폰을 통한 자동차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295A1 (ko) * 2009-06-19 2010-12-23 이화준 자동차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224340B1 (ko) * 2011-02-16 2013-01-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원격 무선 장치 및 배터리 관리 장치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 확인 방법
KR20220108315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카비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2541209B1 (ko) 2021-01-27 2023-06-12 주식회사 카비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420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651B2 (en) Tracking and theft-recovery system for mobile assets
AU2020244502B2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barrier operator
US10181231B2 (en) Controlling access to a location
CN107113173B (zh) 用于基于用户设备的标识符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US8706083B2 (en) Bluetooth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6375091B (zh) 经由访问控制设备建立到用户设备的通信链路
KR20080051472A (ko) 고객 맞춤식 위치추적 서비스
CN106154997B (zh) 车载控制设备、终端设备、车辆控制程序更新方法及系统
JP6516009B2 (ja) 機器認証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機器認証方法
KR100785302B1 (ko)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EP2747470B1 (en) Authentication and data security for 6LoWPAN wireless networks
TW201503655A (zh) 存取點裝置的使用者終端驗證方法
CN109716808A (zh) 网络访问控制
KR20130111807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원격 피엘시 관리 시스템
KR20080019826A (ko) 인스턴트 메시지 프로토콜 기반의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방법
US10200202B2 (en) Method and technical equipment for short range data transmission
JP2008306534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JP2015162235A (ja) 認証システム
CN111034158B (zh) 用于停用控制信道的方法以及用于使用户与目标设备组通信的通信系统
WO201819022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親機、親機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26271B1 (ko)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JP6696727B2 (ja) 携帯端末キーシステム
JP2019049805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6628120B2 (ja) 通信監視装置及び通信監視システム
JP2015149608A (ja) 履歴データ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