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209B1 -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209B1
KR102541209B1 KR1020210011166A KR20210011166A KR102541209B1 KR 102541209 B1 KR102541209 B1 KR 102541209B1 KR 1020210011166 A KR1020210011166 A KR 1020210011166A KR 20210011166 A KR20210011166 A KR 20210011166A KR 102541209 B1 KR102541209 B1 KR 10254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door
terminal
control sig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315A (ko
Inventor
이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비
Priority to KR102021001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2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4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열림, 닫힘 또는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은,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요청하고,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하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차량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하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닫힘 또는 시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열림, 닫힘 또는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방식의 자동차 이용 서비스가 있다. 전통적인 자동차 이용 서비스로는 자동차 대여(렌트)가 있는데, 이는 렌트카 사업자로부터 자동차를 렌트하여서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이는 대여 수수료를 지불하고 약속한 대여기간 동안 이용한 후에 반납하면 종료되는 서비스 방식이다.
최근에는 다인승의 승합차를 운전기사와 함께 승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일종의 기사가 있는 다인승 자동차를 제공하는 다인승 콜택시에 가까운 개념의 서비스 방식이다.
한편, 비대면 방식의 방법으로 차주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으며 또한, 복잡한 절차 없이 바로 차량을 대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최소 이용시간을 30분부터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카쉐어링(car sharing) 서비스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쉐어링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휴대 전화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닫고, 시동을 거는 등의 차량 제어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열림, 닫힘 또는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은,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하며,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차량 단말; 및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의 상기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단말로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요청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에 따라서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보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특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상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비상 신호를 상기 차량 단말로 전송하며,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상기 비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하지 않고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한 경우,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하단의 퓨즈박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동 제어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시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단말의 상기 스마트키 모듈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서버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의 상기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서, 상기 차량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요청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에 따라서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보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특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 의해서,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비상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상 신호를 상기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상기 비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하지 않고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한 경우,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동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시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단말의 상기 스마트키 모듈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평상 시 이용하는 휴대 전화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닫고, 시동을 걸거나 끄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허가 받지 않은 사용자가 차량을 탈취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차량 내에 위치한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비상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 탈취 시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이 설치된 차량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은,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사용자 단말(120)과,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20)로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하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차량 단말(130)과, 차량 단말(130)로부터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 단말(130)로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서버(110)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닫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100)은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차량 단말(130)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차량 단말(130) 및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차량 단말(130)은 통신부(132) 및 보안 모듈(134)을 포함한다. 이때, 보안 모듈(134)은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135)과, 스마트키 모듈(135)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136)과, 전원 모듈(136)의 on/off를 제어하는 특수 모듈(13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32) 및 보안 모듈(134)은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보안 모듈(134) 내의 스마트키 모듈(135), 전원 모듈(136) 및 특수 모듈(137)도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키 모듈(135)은 기존 차량의 스마트키에 내장된 기판을 분리한 것으로, 스마트키에 있어 배터리부를 제거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의 열림, 닫힘, 시동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의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보안 모듈(134)의 스마트키 모듈(135) 상의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에 관한 전기적 신호가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게 된다.
전원 모듈(136)은 이러한 스마트키 모듈(135)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며, 전원 모듈(136)의 on/off를 제어하는 특수 모듈(13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모듈(136)은 차량의 전원(파워)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상시전원 공급)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수 모듈(137)은 마이콤 등으로 구현되어 전원 모듈(136)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이 설치된 차량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스마트키 모듈(135), 전원 모듈(136) 및 특수 모듈(137)로 구성된 보안 모듈(134)은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차량(VE)의 운전석 핸들(HD) 하단의 퓨즈박스 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3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고,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20)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보안 모듈(134)은, 통신부(132)에서 전달받은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스마트키 모듈(135)을 통해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120)은 서버(110)으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요청을 입력 받아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의 부여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110)로부터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쳐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10)는 인증 과정 수행 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의 부여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차량 단말(130)의 요청에 의한 인증 요청의 확인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형성된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차량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사용자 단말(12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차량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로서,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 상에서 구현되는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차량 도어 제어 신호 형성을 위한 도어 온(on) 버튼(121, 124), 도어 오프(off) 버튼(122, 125) 및 시동 락(lock) 버튼(123, 12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10)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기 이전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온 버튼(121), 도어 오프 버튼(122) 및 시동 락 버튼(123)은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여도 그에 따른 명령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이후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온 버튼(124), 도어 오프 버튼(125) 및 시동 락 버튼(126)은 활성화 상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단말(130)은, 식별자가 포함된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인증 요청을 위하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110)로부터 인증 통과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단말(130)은, 서버(110)로부터 인증 통과 여부를 수신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20)로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는 인증을 통과한 경우 "차량의 도어가 열렸습니다. 차량에 탑승하여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고, 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 사용자 정보 확인 후 다시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차량 단말(130)은, 서버(110)로부터 인증을 통과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의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단말(130)의 통신부(132)는,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하고, 인증 요청을 서버(110)로 송신하며, 서버(110)로부터 인증 통과 여부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20)로 인증 통과 여부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 단말(130)의 보안 모듈(134)은, 인증 통과 여부에 따라서 스마트키 모듈(135)를 통해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여 전술한 인증 과정을 거쳐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동 제어 신호를 형성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동 제어 신호를 차량 단말(130)로 송신하며, 차량 단말(130)은 시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보안 모듈(134)의 스마트키 모듈(135)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시동을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 단말(130)은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상시 감시할 수 있고, 이러한 감시 결과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예를 들어,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 단말과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수신되거나, 해킹 등을 통한 도어의 강제 열림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지 않은 물리적 키에 의한 도어의 강제 열림을 감지하는 경우 비상 신호를 형성하고, 비상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차량 단말(13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서버(110)는,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비상 신호를 전송하여 후속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연락처는, 해당 차량의 소유자, 해당 차량을 운영하는 운영사(예를 들면, 렌터카 회사), 해당 차량을 관리하는 보험 회사, 해당 차량이 위치한 곳에서 가장 가까운 경찰서,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100)을 운영 및 관리하는 플랫폼 운영사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차량 단말(130)은, 서버(110)로부터 통신부(132)를 통하여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수 모듈(137)에 의해서 스마트키 모듈(135)로의 전원 공급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136)을 off로 제어하여 스마트키 모듈(135)의 작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량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차량 단말(130) 및 데이터베이스 등 간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의 방식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과 차량 단말(130)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또는 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획득되거나, 처리되거나,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우드 인프라(Infra) 및 매니지드(Managed) 서비스 기반으로 고 가용성의 확장성이 높은 다양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형성된 차량 도어 제어 신호 및 시동 제어 신호, 차량 단말(130)에서 형성된 인증 요청, 및 서버(110)에 의해서 형성된 인증 통과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방향지시등 인식 시스템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서, 서버(110)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서, 서버(110)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차량 단말(130)에 의해서, 서버(110)로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110)에 의해서, 차량 단말(130)로부터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110)에 의해서, 차량 단말(130)로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와, 차량 단말(13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120)로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와, 차량 단말(13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의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0)에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이 요청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10)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서버(110)로부터 단계(S10)에서 요청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도어 제어 신호는, 차량 도어 열림 신호, 차량 도어 닫힘 신호, 시동 제어 신호 및 사용자 단말(12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0)에서,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이 전송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40)에서,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가 확인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차량 단말(130)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10)는,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S50)에서, 차량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단계(S40)에서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즉, 인증 통과 여부)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차량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60)에서, 사용자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가 안내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130)은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통과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20)로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는 인증을 통과한 경우 "차량의 도어가 열렸습니다. 차량에 탑승하여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고, 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 사용자 정보 확인 후 다시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단계(S70)에서,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의 시동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의 시동 켜짐 또는 시동 꺼짐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하지 않고 차량 도어의 열림 등을 감지한 경우 차량 단말(130)의 특수 모듈(137)을 통해 스마트키 모듈(135)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136)을 off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110: 서버
120: 사용자 단말 130: 차량 단말
132: 통신부 134: 보안 모듈
135: 스마트키 모듈 136: 전원 모듈
137: 특수 모듈 VE: 차량
HD: 핸들

Claims (13)

  1.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으로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하며,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차량 단말; 및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의 상기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단말로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요청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에 따라서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보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특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상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비상 신호를 상기 차량 단말로 전송하며,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상기 비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하지 않고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한 경우,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하단의 퓨즈박스 내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동 제어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시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단말의 상기 스마트키 모듈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8.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서버로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도어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차량 도어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의 상기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서, 상기 차량 단말로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요청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증 통과 여부에 따라서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보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특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서,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비상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상 신호를 상기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상기 비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차량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하지 않고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한 경우, 상기 특수 모듈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키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off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동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서 상기 시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단말의 상기 스마트키 모듈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어락 제어방법.
KR1020210011166A 2021-01-27 2021-01-27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254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66A KR102541209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66A KR102541209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315A KR20220108315A (ko) 2022-08-03
KR102541209B1 true KR102541209B1 (ko) 2023-06-12

Family

ID=8284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166A KR102541209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9891A (zh) * 2023-10-27 2024-02-02 上海势航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Tbox的车辆远程控制方法及系统、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302B1 (ko) 2006-03-02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2172325A (ja) 2011-02-18 2012-09-10 Kddi Corp 車両の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スマートキーによる車両の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117A (ko) * 2014-08-05 2016-02-19 유영배 유저 식별을 통한 스마트 카 시스템
KR101945236B1 (ko) * 2018-01-10 2019-02-07 (주)세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302B1 (ko) 2006-03-02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차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2172325A (ja) 2011-02-18 2012-09-10 Kddi Corp 車両の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スマートキーによる車両の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315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0481B2 (en) Remote control of vehicle functionalities by means of a mobile terminal
CN107547506B (zh) 锁定和解锁系统及方法、便携式终端和存储介质
US9241235B2 (en) Passive entry cell phone and method and system therefor
TWI238130B (en) Mobile instruction terminal, system for controlling machine to be controlle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instructio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 to be controlle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mobile instruction
KR10254009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키 관리 방법
US201601504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 Automobile
US20140005859A1 (en) Remote management and control of vehicular functions via multiple networks
US20110264304A1 (en) Multiuser vehicle utilization system and electronic key thereof
US1157898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program
US9779568B2 (en) Locking control device, locking control system, and locking control method
US10629012B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vehicles
US11390247B2 (en) Motor vehicle entry and/or starting system
KR101769261B1 (ko) 로컬 장치들과의 통신 링크들의 자동 설정
US20180049029A1 (en) Intelligent remote touch for touch screen devices
US20190355198A1 (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suance apparatu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suance method, and delivery system
KR102541209B1 (ko) 차량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방법
EP3536564B1 (en) In-vehicle system and getting-on-and-off authentication system
KR101612530B1 (ko)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103708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system
CN115242854B (zh) 一种汽车远程控制方法及系统
US11588799B2 (en) Moving object control system,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and moving object control method
US1133041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transmit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transmit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9253628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between two electronic entities
KR101558762B1 (ko) 사용자 맞춤형 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48834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