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170B1 -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170B1
KR100785170B1 KR1020060094313A KR20060094313A KR100785170B1 KR 100785170 B1 KR100785170 B1 KR 100785170B1 KR 1020060094313 A KR1020060094313 A KR 1020060094313A KR 20060094313 A KR20060094313 A KR 20060094313A KR 100785170 B1 KR100785170 B1 KR 10078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arts
welding
spot welding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리-서폿 용접 방법을 제공하여, 설비의 효율 증가와 라인 설치면적의 최적화 및 생산량 증감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 셔틀; 상기 로딩 셔틀로 로딩된 부품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서폿부; 상기 리-서폿부로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도록 상호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용접 로봇; 그리고,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셔틀을 포함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 방법을 제공한다.
다방향, 리-서폿 용접 방법, 로딩 셔틀, 리-서폿부, 언로딩 셔틀, 용접 로봇

Description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Multi-Direction Re-Spot Welding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서폿 용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리-서폿 용접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서폿 용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서폿 용접 장치의 운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112,113 : 키용접부 120 : 로딩 셔틀
130 : 이송 로봇 141,142 : 제1,2 리-서폿부
151,152,153,154,155,156 : 제1,2,3,4,5,6 용접 로봇
160 : 언로딩 셔틀
본 발명은 리-서폿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의 효율 증가와 라인 설치면적의 최적화 및 생산량 증감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리-서폿 용접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리-서폿 용접 장치는, 복수개의 키용접부(1a, 1b, 1c)와, 상기 키용접부(1a, 1b, 1c)에서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적재되는 제1 아이들부(21)와, 상기 키용접부(1a, 1b, 1c)로부터 상기 제1 아이들부(21)로 부품을 이송하는 이송 로봇(3)과, 상기 제1 아이들부(21)에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는 제1 용접 로봇(41), 상기 제1 용접 로봇(41)에서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적재되는 제2 아이들부(22)와, 상기 제2 아이들부(22)에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정해진 공정을 수행하는 제2 용접 로봇(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리-서폿 용접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제1 용접 로봇(41) 또는 제2 용접 로봇(42)을 이용한 용접 및 핸들링 시 이전 공정에서의 부품 로딩 및 다음 공정으로의 부품 언로딩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이로 구성된 설비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로봇과 로봇 사이에는 항상 아이들부가 있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아이 들 공정에 의해, 설비 투자비용이 증가되며, 라인 설치 면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설비의 대응이 유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량이 증가되어 리-서폿 공정이 추가될 시 라인이 직렬로 배치되어 추가 설비가 끝날 때까지 라인이 정지되어야 하며, 반대로 생산량이 감소되어 리-서폿 공정이 삭제되어야 할 경우, 공정의 연계성이 결여되어 기 설치된 설비의 회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비의 효율 증가와 라인 설치면적의 최적화 및 생산량 증감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 셔틀; 상기 로딩 셔틀로 로딩된 부품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서폿부; 상기 리-서폿부로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도록 상호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용접 로봇; 그리고,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셔틀을 포함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용접 로봇은, 상기 리-서폿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 된 위치에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서폿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딩 셔틀과, 리-서폿부 및, 언로딩 셔틀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키용접부; 키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 셔틀; 상기 키용접부에서 상기 로딩 셔틀로 부품을 이송하는 이송 로봇; 상기 로딩 셔틀로 로딩된 부품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서폿부; 상기 리-서폿부로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도록 상호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용접 로봇; 그리고,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셔틀을 포함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 셔틀과, 상기 로딩 셔틀로 로딩된 부품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서폿부와, 상기 리-서폿부로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도록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용접 로봇과,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셔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 셔틀로 부품을 로딩하는 로딩 단계; 상기 리-서폿부로 부품을 적재하는 적재 단계; 상기 리-서폿부로 적재된 부품을 상기 복수개의 용접 로봇으로 각각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단계; 그리고, 상기 언로딩 셔틀로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단계를 포함하는 다방향 리 -서폿 용접 장치의 운전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의 운전 방법은, 상기 리-서폿부 중 부품이 비어있는 리-서폿부를 탐색하는 스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탐색된 리-서폿부에 우선적으로 상기 로딩 셔틀을 통한 부품의 적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의 운전 방법은, 상기 리-서폿부 중 용접이 완료된 리-서폿부에서 상기 언로딩 셔틀을 호출하는 호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호출한 리-서폿부에 우선적으로 상기 언로딩 셔틀을 통한 부품의 언로딩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서폿 용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서폿 용접 장치의 운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는, 복수개의 키용접부(111, 112, 113), 키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 셔틀(120), 상기 키용접부(111, 112, 113)에서 상기 로딩 셔틀(120)로 부품을 이송하는 이송 로봇(130), 상기 로딩 셔틀(120)로 로딩된 부품이 적재되는 제1,2 리-서폿부(141, 142), 상기 제1,2 리-서폿부(141, 142)로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도록 상호 병렬로 배치된 제1,2,3,4,5,6 용접 로봇(151, 152, 153, 154, 155, 156),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셔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2 용접 로봇(151, 152)과, 제3,4 용접 로봇(153, 154) 및, 제5,6 용접 로봇(155, 156)은, 상기 제1,2 리-서폿부(141, 14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에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리-서폿부(141, 142)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딩 셔틀(120)과, 제1,2 리-서폿부(141, 142) 및, 언로딩 셔틀(160)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의 운전 방법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복수개의 키용접부(111, 112, 113)에서 키용접이 완료된 부품은 상기 이송 로봇(130)에 의하여 상기 로딩 셔틀(120)로 로딩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 셔틀(120)로 부품이 로딩됨과 아울러, 상기 제1,2 리-서폿부(141, 142) 중 부품이 비어있는 리-서폿부를 탐색한다.
상기 탐색 결과, 비어있는 리-서폿부로 상기 로딩 셔틀(120)에 의해 부품이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이 적재된 리-서폿부에 대응되는 용접 로봇에 의해 리-서폿 용접이 수행된다.
즉, 상기 제1,2 리-서폿부(141, 142) 중 제1 리-서폿부(141)에 부품이 적재되면, 상기 제1 리-서폿부(141)에 인접된 제1,2,3,4 용접 로봇(151, 152, 153, 154) 중 어느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1 리-서폿부(141)에 부품이 또 적재되면, 나머지 용접 로봇 중 어느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2 리-서폿부(142)에 부품이 적재되면, 상기 제2 리-서폿부(142)에 인접된 제3,4,5,6 용접 로봇 중 어느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2 리-서폿부(142)에 부품이 또 적재되면, 나머지 용접 로봇 중 어느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는 용접 로봇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신속하게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리-서폿부 중 용접이 완료된 리-서폿부가 있으면, 상기 언로딩 셔틀(160)을 호출한다.
상기 호출 결과, 호출한 리-서폿부로 상기 언로딩 셔틀(160)이 이동하여 부품을 언로딩하게 된다.
그러면, 호출된 리-서폿부에 대응되는 용접 로봇 중 부품의 용접이 완료된 용접 로봇이 상기 언로딩 셔틀(160)로 부품을 언로딩한다.
즉, 상기 제1,2 리-서폿부(141, 142) 중 제1 리-서폿부(141)에서 상기 언로딩 셔틀(160)을 호출하면, 상기 언로딩 셔틀(160)은 상기 제1 리-서폿부(141)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리-서폿부(141)에 인접된 제1,2 용접 로봇(151, 152) 중 부품의 용접이 완료된 어느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언로딩한다.
이후, 상기 제1 리-서폿부(141)에서 상기 언로딩 셔틀(160)을 또 호출하면, 부품의 용접이 완료된 나머지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언로딩한다.
한편, 상기 제2 리-서폿부(142)에서 상기 언로딩 셔틀(160)을 호출하면, 상기 제2 리-서폿부(142)에 인접된 제3,4,5,6 용접 로봇(153, 154, 155, 156) 중 부품의 용접이 완료된 어느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언로딩한다.
이후, 상기 제2 리-서폿부(142)에서 상기 언로딩 셔틀(160)을 또 호출하면, 나머지 용접 로봇 중 부품의 용접이 완료된 나머지 어느 하나의 용접 로봇이 부품을 언로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리-서폿 용접 장치는 용접 로봇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신속하게 용접이 완료된 부품을 언로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품의 로딩과 리-서폿 용접 및 언로딩 작업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설비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용접 로봇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어, 동일한 생산량에 대한 설비의 투자 비용이 절감되며, 라인의 설치 면적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설비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 셔틀과, 상기 로딩 셔틀로 로딩된 부품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서폿부와, 상기 리-서폿부로 적재된 부품을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도록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용접 로봇과,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셔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딩 셔틀로 부품을 로딩하는 로딩 단계;
    상기 리-서폿부로 부품을 적재하는 적재 단계;
    상기 리-서폿부로 적재된 부품을 상기 복수개의 용접 로봇으로 각각 로딩하여 리-서폿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단계; 그리고,
    상기 언로딩 셔틀로 상기 리-서폿 용접이 완료된 부품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단계를 포함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단계 전에 수행되며, 상기 리-서폿부 중 부품이 비어있는 리-서폿부를 탐색하는 스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리-서폿부에 우선적으로 상기 로딩 셔틀을 통한 부품의 적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단계 전에 수행되며, 상기 리-서폿부 중 용접이 완료된 리-서폿부에서 상기 언로딩 셔틀을 호출하는 호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한 리-서폿부에 우선적으로 상기 언로딩 셔틀을 통한 부품의 언로딩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KR1020060094313A 2006-09-27 2006-09-27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KR10078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313A KR100785170B1 (ko) 2006-09-27 2006-09-27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313A KR100785170B1 (ko) 2006-09-27 2006-09-27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170B1 true KR100785170B1 (ko) 2007-12-11

Family

ID=3914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313A KR100785170B1 (ko) 2006-09-27 2006-09-27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1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385A (ko) * 1997-12-18 1999-07-26 카를로 맨지아리노 자동차의 차체 또는 그 부품을 점용접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385A (ko) * 1997-12-18 1999-07-26 카를로 맨지아리노 자동차의 차체 또는 그 부품을 점용접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84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pieces of materials based on real-time device status
US20130115040A1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and method
Vizvari et al. Local search based meta-heuristic algorithms for optimizing the cyclic flexible manufacturing cell problem
KR100785170B1 (ko) 다방향 리-서폿 용접방법
CN110203638A (zh) 上料生产线及隧道式真空干燥系统
CN212145194U (zh) 一种用于服务器风扇自动安装的机器人安装工作站
CN105035679B (zh) 流水线工位存储结构及其控制方法
CN207757075U (zh) 一种手机中板螺母并行焊接系统
KR100863095B1 (ko) 엔진의 피스톤 조립 공법 시스템
CN209496063U (zh) 一种电能表底壳、罩壳、载波模块一体化上料系统
CN105438819A (zh) 一种出舱货物自动组板方法及组板系统
CN114548708A (zh) 空晶圆盒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1615027B (zh) 生产线设备的控制装置、方法及一种工控机
CN104064489B (zh) 自动机械调度方法、装置及ela机台制备控制系统
JP4293974B2 (ja) 無人搬送システムの最適搬送制御方法
CN220466768U (zh) 一种电池高产能烘烤装置
Oladugba et al. Solving the Twin Yard Crane Scheduling Problem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JP4674745B2 (ja) 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付き製造工程レイアウト
KR100836815B1 (ko) 무인 반송 시스템의 최적 반송 제어 방법
CN116873433A (zh) 一种千斤顶自动装配、包装、物流的无人车间及控制方法
CN216038491U (zh) 一种叉车吊套
CN107445120A (zh) 吨包袋转载装置
Lei et al. A modular reconfigurable flexible assembly pulsation line
KR100377964B1 (ko) 산업용 로봇 인터록 패널을 대치할 수 있는 원 보드 장치
CN107249261A (zh) 基于覆盖膜假贴机的柔性线路板贴合工艺及其覆盖膜假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