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095B1 -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095B1
KR100785095B1 KR1020060131469A KR20060131469A KR100785095B1 KR 100785095 B1 KR100785095 B1 KR 100785095B1 KR 1020060131469 A KR1020060131469 A KR 1020060131469A KR 20060131469 A KR20060131469 A KR 20060131469A KR 100785095 B1 KR100785095 B1 KR 100785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key
displayed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석
Original Assignee
유니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챌(주) filed Critical 유니챌(주)
Priority to KR102006013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기에 문자 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키입력 버튼을 구비하고, 최소한의 키입력 버튼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대방 무전기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음성 출력하고, 입력 음성에 따른 송신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전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을 위해 해당 무전기의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후보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문자선택 키버튼을 갖춘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문자선택 키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 숫자, 특수 기호의 후보문자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상기 문자선택 키버튼에 의해 선택되는 후보문자에 대응하여 작성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문자선택 키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후보문자의 선택에 따른 문자 입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전기, 문자, 입력, 방향키, 후보문자

Description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Letter Input Apparatus for Radiotelegrap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적용된 무전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적용된 무전기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키입력 버튼의 버튼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의 위해 표시부 상에 구비되는 그래픽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그래픽 키보드의 키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능키 버튼, 12:PTT 스위치,
14:전원키 버튼, 16:취소키 버튼,
18:입력키 버튼, 20,22,24,26:방향키 버튼,
28:표시부.
본 발명은 무전기에 적용되는 문자 메시지 또는 메모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문자 및 숫자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기는 통신하는 두 지점 사이에 양방향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한지점에서 신호를 보내는 상태에서는 다른 지점에서 신호의 수신만이 가능하고, 수신 측이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전송 방향을 명시적으로 바꾸어야 하는 PTT(Push To Talk) 기능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PTT 방식의 무전기 중에서 최근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생활 무전기(Family Radio Service; FRS)의 경우에는 전파 사용료를 내지 않고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27MHz(차량용)나 448MHz 또는 462MHz 대의 극초단파(UHF)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전파 통달 거리는 3Km 이내에 해당된다.
업무용 무전기의 경우에는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의 주파수를 일정 금액을 내고 유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전파 통달 거리는 10Km∼20Km 이내에서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생활용 무전기 및 업무용 무전기의 경우에는, 각 무전기 간에 약속된 동일한 음성통화 채널을 통하여 음성채널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전파 통달 거리 내에 위치한 각 무전기 간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무전기의 음성 통화 기능과 같은 고유 기능에 더하여 보다 편리한 기능의 추가가 요구되고 있는 바, 해당 무전기를 통해서 상대방과 문자 메시지를 교환한다거나, 간단한 메모 메시지 또는 개인 일정의 작성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전기에서는 상대방과의 통신용 문자 메시지나 메모 메시지 또는 개인 일정 등과 같은 문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문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획기적인 장치 및 기능의 추가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전기에 문자 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키입력 버튼을 구비하고, 최소한의 키입력 버튼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방 무전기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음성 출력하고, 입력 음성에 따른 송신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전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을 위해 해당 무전기의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후보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문자선택 키버튼을 갖춘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문자선택 키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 숫자, 특수 기호의 후보문자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상기 문자선택 키버튼에 의해 선택되는 후보문자에 대응하여 작성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문자선택 키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후보문자의 선택에 따른 문자 입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적용된 무전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적용된 무전기는, 무전기의 전면에 무선 채널 설정 및 상대방의 호출을 위한 복수의 기능키 버튼(10)이 설치되고, 해당 무전기의 측면 소정부위에는 음성 채널 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칭되는 PTT 스위치(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전기의 전면에는 해당 무전기의 전원을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전원키 버튼(14)과, 문자 입력 기능의 취소 기능 및 문자 입력시 입력되는 문자의 부분적인 취소를 위한 취소키 버튼(16), 문자 입력 기능의 기능 실행 및 입력된 문자의 저장이나 전송을 설정하는 입력키 버튼(18), 문자 입력 상태에서의 상/하/좌/우 화면 위치 이동을 위한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20,22,24,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전기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의 조작에 따라 문자 입력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적용된 무전기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적용된 무전기에는, 키입력부(30)와, 표시부(28), 메모리(34), 제어부(36), 듀플렉서(38), 수신 주파수 처리부(40), 스피커(42), 마이크로폰(44), 송신 주파수 처리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30)는 상대방 무전기와의 음성 통화를 위한 무전기 호출과 무선 채널 설정을 위한 기능키 버튼(10)과, 전원키 버튼(14), 문자 입력을 위한 취소키 버튼(16), 입력키 버튼(18),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20,22,24,2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28)는 통상의 무전기 기능에 의한 음성 통화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30)의 조작을 통한 문자 및 숫자의 입력 상태를 표시하고, 상대방 무전기로부터 수신받은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34)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스캔 프로그램과, 입력 문자 및 숫자의 후보문자를 표시부(28) 상에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캐릭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문자 입력이 완료된 문자 정보를 그 적용 용도에 따라 문자메시지, 메모 메시지, 개인 일정 메시지 형태로 저장하여 보관한다.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키입력부(30)의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34)의 키스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표시부(28) 상에 문자 입력 상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문자 입력이 완료된 문자 정보를 그 적용 용도에 따라 상대방 무전기에게 전송할 문자 메시지나, 해당 무전기 내에 보관할 메모 메시지, 또는 개인 일정 메시지로 상기 메모리(34)에 저장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 를 상대방 무전기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38)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상기 수신 주파수 처리부(40) 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송신 주파수 처리부(46)로부터의 송신주파수 신호를 안테나 측으로 무선 전송 가능하게 출력한다.
상기 수신 주파수 처리부(40)는 상기 듀플렉서(38)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RF 증폭하고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한 다음에, 그 중간주파수 신호를 검파 및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오디오 신호에 실린 CTCSS 톤주파수의 검출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42)를 통해 음성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송신 주파수 처리부(46)는 상기 마이크로폰(44)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 또는 문자 메시지를 CTCSS 톤주파수와 합성하고 그 합성된 신호를 무선 송신 가능한 주파수로 변조하여 상기 듀플렉서(38)에 출력한다.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키입력 버튼의 버튼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의 위해 표시부 상에 구비되는 그래픽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30)의 입력키 버튼(18)의 키입력 조작에 의해 문자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표시부(28)에는 문자 정보의 입력 상태가 표시되는 문자 입력 표시창(50)과, 그 문자 입력 표시창(50)에 표시할 후보문자의 리스트를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형태로 표시하는 후보문자 표시창(52)이 형성된다.
상기 후보문자 표시창(52)에는 한글 문자의 자음키 및 모음키와, 숫자키, 한 글/영문 전환키, 특수 기호키, 영문 알파벳키, 쉬프트(Shift)키가 제공되는데, 상기 자음키 및 모음 키 중에서 쌍자음키 및 쌍모음키와, 특수 기호키는 쉬프트키의 설정에 의해 전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영문 알파벳키의 전환은 한글/영문 전환키의 설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편, 영문 전환 상태에서 기본으로 소문자 알파벳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대신에, 쉬프트키의 설정에 의해 대문자 알파벳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후보문자 표시창(52)에 갖추어진 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선택은 상기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20,22,24,26)의 의 키입력에 의한 상/하/좌/우 이동 조작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키 버튼(18)이 키입력되면 해당 선택된 자음, 모음,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특수 기호가 상기 문자 입력 표시창(50)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문자 입력 모드의 설정을 위해서는 상기 키입력 버튼(18)을 키입력 조작해야 하는데, 해당 키입력 버튼(18)의 키입력 유지상태가 예컨대 2초와 같은 소정 시간이상 유지되어야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후보문자 표시창(52)에 표시되는 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키를 선택하여 상기 문자 입력 표시창(50)에 소정의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부 입력 문자를 삭제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취소키 버튼(16)을 키입력 조작하게 되면, 그 키입력 조작 횟수에 따라 문자가 입력 역순으로 자음, 모음, 숫자, 특수 기호, 알파벳 단위로 삭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모드 해제하여 일반적인 음성 통화 모드로 전 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취소키 버튼(16)의 키입력 유지 상태가 예컨대 2초와 같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해당 문자 입력 모드가 해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후보문자 표시창(52)의 다양한 키를 선택하여 문자 입력 표시창(50)에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20,22,24,26)의 키입력에 의해 상기 후보문자 표시창(52) 내에서 소정 문자, 숫자, 특수 기호키가 선택되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키영역이 블링크(Blink)(56)로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문자 입력 표시창(50)에는 현재 입력되는 문자의 표시창에 커서(54)가 나타나도록 하고, 상기 커서(54)가 위치하는 표시영역에서 후보문자 표시창(52)에서 선택된 문자, 숫자, 특수 기호가 입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취소키 버튼(16)의 조작에 의한 입력 문자의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입력 장치에 의해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상대방 무전기로 전송하기 위한 방식은, 현재 적용중이거나 개발중에 있는 어떠한 문자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도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전기에서 문자 메시지나, 메모 메시지 또는 개인 일정 메시지의 작성을 위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표시부 상에 문자, 숫자, 특수 기호의 후보문자를 키보드 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문자가 입력되는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키 버튼과 방향키 버튼 및 최소키 버튼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원하는 후보문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문자가 문자 입력 표시영역에 입력되도록 하여 문자 정보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최소한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대방 무전기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음성 출력하고, 입력 음성에 따른 송신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전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의 모드 설정 및 선택된 후보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버튼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후보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각 후보문자 간을 이동하기 위한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 문자 입력 모드의 모드해제 및 상기 표시부 상에 입력된 문자를 부분적으로 삭제하기 위한 취소키 버튼을 갖춘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 숫자, 특수 기호의 후보문자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상기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 및 입력키 버튼에 의해 선택되는 후보문자에 대응하여 작성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문자 정보의 입력 상태가 표시되는 문자 입력 표시창과, 그 문자 입력 표시창에 표시할 후보문자의 문자, 숫자, 특수 기호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후보문자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문자선택 키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후보문자의 선택에 따른 문자 입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후보문자 표시창에는 상기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의 키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 숫자, 특수 기호의 표시영역이 블링크(Blink)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문자 입력 표시창에는 현재 입력되는 문자의 표시 영역에 커서가 나타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KR1020060131469A 2006-12-21 2006-12-21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KR100785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469A KR100785095B1 (ko) 2006-12-21 2006-12-21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469A KR100785095B1 (ko) 2006-12-21 2006-12-21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095B1 true KR100785095B1 (ko) 2007-12-12

Family

ID=3914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469A KR100785095B1 (ko) 2006-12-21 2006-12-21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0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27A (ko) * 2002-11-19 2004-05-27 홍성찬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0378650Y1 (ko) 2004-12-08 2005-03-16 주식회사 펄스 한글 입력 가능한 무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27A (ko) * 2002-11-19 2004-05-27 홍성찬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0378650Y1 (ko) 2004-12-08 2005-03-16 주식회사 펄스 한글 입력 가능한 무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5414A (ko) 휴대폰에서 다기능키 이용방법
US873017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edictive candidate selection based on character input
KR20120058312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20019471A1 (en) Entering information into a communications device
US872380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785095B1 (ko) 무전기의 문자 입력 장치
JP4988663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6235836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JP2010079782A (ja) 携帯電子機器
KR100439000B1 (ko)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
KR20110082310A (ko) 문자 입력 방법
JP2003015805A (ja)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KR200501138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문자 배열구조 및 입력방법
KR199900075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US873655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63005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261590B2 (ja) 携帯電子機器
TW200925947A (en) Conjoined input keys adjacent a navigation tool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08204260A (ja) 電子機器
KR1003657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방법
KR100868358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US20120154287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70108997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113225A (ko)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KR10066046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