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679B1 -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 Google Patents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679B1
KR100784679B1 KR1020060110155A KR20060110155A KR100784679B1 KR 100784679 B1 KR100784679 B1 KR 100784679B1 KR 1020060110155 A KR1020060110155 A KR 1020060110155A KR 20060110155 A KR20060110155 A KR 20060110155A KR 100784679 B1 KR100784679 B1 KR 10078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buffer
stroller
shaf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102006011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679B1/ko
Priority to PCT/KR2007/005346 priority patent/WO2008056899A1/en
Priority to US12/513,528 priority patent/US20100066044A1/en
Priority to JP2009535204A priority patent/JP2010509113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2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008Plural distinct articulation axes
    • Y10T403/32041Univer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조종할 수 있어 여성사용자인 경우에도 용이한 조향이 가능하고, 노면이 불량한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유모차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으며, 완충장치의 작동시 조향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효율적인 완충기능과 사용자가 양손에 상이한 회전을 가한 경우에도 각 차륜이 균일한 회전으로 조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정되게 조향할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며 유모차의 조향과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조향차륜부와, 상기 핸들부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조향차륜부에 전달하는 한쌍의 조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조향차륜부와 연결되는 수직조향축과, 일측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조향축과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경사회전축과, 상기 경사회전축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수직조향축에 전달하여 상기 조향차륜부가 조향되도록 하는 조향연결구를 가지며, 상기 조향차륜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모차, 조향, 완충, 유아

Description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Baby Carriage having Stee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를 나타낸 도 1의 A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향부와 연결부의 결합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완충부와 조향차륜부의 중심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경우 완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완충부와 조향차륜부의 중심축이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 완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의 일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완충부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b는 본 발명의 완충부가 하측에서 가압된 경우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c는 본 발명의 완충구가 상측에서 가압된 경우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2 : 핸들부 3: 조향장치
4 : 지지프레임 5 : 조향차륜부 6 : 고정프레임 7 : 차양구 8 : 탑승부
9 : 보조차륜 10 : 조향축연결핀 11 : 결합구 12 : 체결구
13 : 연결프레임 14 : 차륜축 15 : 지면 21 : 좌측핸들 22 : 우측핸들
31 : 조향전달부 32 : 조향본체 32a : 상부몸체 32b : 전방몸체
32c : 후방몸체 32d : 끝단 32e : 개방공간 33 : 완충부 34 : 연결부
34a : 연결부몸체 34b : 일단 34c : 측면몸체 34d : 타단 34e : 후벽
34f : 공간 35 : 고정구 35a : 고정구몸체 35b : 상부판 35c : 하부판
35d : 개방공간 36 : 회전보정프레임 41 : 조향본체연결공 42 : 고정공
43 : 고정프레임공 51 : 좌측차륜 52 : 우측차륜 61 : 고정돌기
311 : 경사회전축 312 : 수직조향축 313 : 조향연결구 321 : 조향축삽입공
322 : 연결공 323 : 완충부수용구 324 : 완충부연결구 325 : 완충중심구
326 : 보정연결구 327 : 회전보조구 331 : 탄성부재 332 : 지지판
333 : 가압구 341 : 가압연결구 342 : 차륜연결구 343 : 중심축연결구
344 : 회전지지구 351 : 조향본체고정공 352 : 조향축공
325D : 중심축 이격거리 3121 : 조향공 3241 : 완충부연결공
3261 : 보정연결공 3441 : 걸림방지구 341a, 341b : 고정부재
343a, 343b : 연결부재
본 발명은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며 유모차의 조향과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조향차륜부와, 상기 핸들부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조향차륜부에 전달하는 한쌍의 조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조향차륜부와 연결되는 수직조향축과, 일측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조향축과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경사회전축과, 상기 경사회전축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수직조향축에 전달하여 상기 조향차륜부가 조향되도록 하는 조향연결구를 가지며, 상기 조향차륜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써, 아기 배낭이나 보행기 등과 함께 5세 미만의 영아 또는 유아 보육에 필수용품으로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유아를 데리고 옥외로 여행하거나 외출하는 경우에 성인의 몸에 둘러메어 유아를 이동시키는 아기 배낭과 주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탑승부에 바퀴를 장착하여 유아가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기와는 달리 동행자가 유아가 탑승한 유모차에 외력을 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동행자의 수고를 경감시키는 유용한 이동수단을 말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모차는 유아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와, 동행자가 파지 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와, 동행자가 유모차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차륜이 구비되어 있으며, 탑승부에 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동행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유모차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차륜이 회전하여 유모차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유모차는 조향장치가 부가되지 않아, 동행자가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길 원하는 경우에 양손에 균일한 힘으로 유모차에 가하던 외력을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측 손에 보다 큰 미는 힘을 가하거나 그와 동시에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측 손에 당기는 힘을 가하여 진행방향을 바꿀 수밖에 없어 유모차의 조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유모차의 조향을 위해서는 상당한 외력을 진행방향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가하여야 하는데, 유아의 동행자는 여성사용자인 경우가 일반적이고, 유모차 자체의 무게에 유아의 무게를 더한 중량을 여성사용자가 외력을 조절하여 진행방향을 바꾸는 것은 더욱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유모차가 노면이 고르지 못한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종래의 유모차는 조향장치의 구비없이 동행자가 가하는 힘의 조절로써만 조향이 가능하고, 이에 조향기능의 고려없이 완충장치만을 구비하여 조향과 동시에 완충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유모차의 바퀴가 동행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임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의해 유모차의 바퀴가 단턱이 형성된 지역에 충돌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여 완충의 효과가 반감되게 되어 외부 환경에 민감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모차에 조향기능을 부가하여 동행자가 유아를 데리고 옥외로 외출하거나 여행하는 경우에 동행자가 원하는 진행방향으로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행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조종할 수 있어 여성사용자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적합한 완충장치를 부가하여 노면이 불량한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에 용이한 조향이 가능하면서도 유모차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최소한의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하여 외부 환경에 민감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모차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와 차륜의 각 중심축에 차이를 두어 완충장치가 작동한 경우에도 유모차의 조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향을 위해 동행자가 가하는 양손의 회전력과 회전각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도 조향장치와 연결된 한쌍의 차륜이 각 차륜에 전달 되는 상이한 회전력과 회전각을 균일하게 보정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조향이 가능한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며 유모차의 조향과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조향차륜부와, 상기 핸들부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조향차륜부에 전달하는 한쌍의 조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조향차륜부와 연결되는 수직조향축과, 일측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조향축과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경사회전축과, 상기 경사회전축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수직조향축에 전달하여 상기 조향차륜부가 조향되도록 하는 조향연결구를 가지며, 상기 조향차륜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일측 내부에 상기 완충부를 수용하는 완충부수용구와 타측은 상기 완충부의 중심축으로 연결되는 완충중심구를 가지는 조향본체와, 일측은 상기 완충부수용구에 완충부연결구를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완충중심구에 연결되어 상기 조향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부를 가압하여 외 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완충부연결구와 연결되는 가압연결구와 상기 완충중심구에 연결되는 중심축연결구와 상기 조향차륜부와 연결되는 차륜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차륜연결구는 상기 조향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수직조향축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중심축연결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여 가압하는 지지판과, 상기 연결부와 완충부연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와 함께 유동하며 상기 지지판을 가압하는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본체는 한쌍의 조향차륜부 각각에 전달되는 상이한 회전력을 보정하여 상기 한쌍의 조향차륜부가 동일한 회전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보정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정연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발을 디딜 수 있고, 상기 조향장치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여 상기 유모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지지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수직조향축이 관통되고 상기 조향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본체는 상기 수직조향축과 상기 조향본체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조향축연결핀이 결합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본체는 상기 핸들부에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향차륜부에 전달되도록 보조하는 회전보조구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보조구에 지지되는 회전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구는 완충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유동시 상기 회전보조구가 상기 회전지지구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연결구는 유니버셜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를 나타낸 도 1의 A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핸들부(2)와, 상기 핸 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조향장치(3)와, 상기 조향장치(3)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조향과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조향차륜부(5)와,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가 발을 디딜 수 있고 상기 조향장치(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보조하는 지지프레임(4)과, 유모차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고정프레임(6)을 포함하고,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차양기능을 구현하는 차양구(7)와, 유아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8)와, 상기 조향차륜부(5)와 유모차의 이동기능을 구현하나 조향기능은 구비하지 않는 보조차륜(9)을 포함하며, 상기 차양구(7), 탑승부(8)와 보조차륜(9)은 유모차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핸들부(2)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핸들부(2)는 좌우 한쌍으로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로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 각각에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를 조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핸들부(2)를 사용자가 양손이 아닌 한손으로 조향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경우, 유모차 자체의 무게와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무게를 합친 중량을 한손만으로 조향조작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유모차의 주사용자층이 여성사용자인 점에 비추어 이와 같은 어려움이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유모차의 진행방향이 아닌 다른 곳에 시선을 위치시킨 경우 한손에 의한 잘못된 조향력이 전달될 우려가 있어 유모차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한쌍의 핸들부(2)로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조향조작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며,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은 하기에 설명할 한쌍의 조향장치(3) 및 조향차륜부(5)와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양손을 이용한 조작에 따라 상기 핸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이 좌우측에 별도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향부와 연결부의 결합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완충부와 조향차륜부의 중심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경우 완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완충부와 조향차륜부의 중심축이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 완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상기 조향장치(3)를 도 1 내지 도 3 및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향장치(3)는 핸들부(2)의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을 하기에 설명할 한쌍의 조향차륜부(5)에 각각 전달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형성되고, 한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조향장치(3)의 구성과 연결관계는 상호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일측의 조향장치(3)만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으며, 상기 조향장치(3)는 조향전달부(31), 조향본체(32), 완충부(33), 연결부(34), 고정구(35)와, 회전보정프레임(36)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전달부(31)는 일측은 상기 핸들부(2)와 연결되고 타측은 하기에 설명할 조향본체(32)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핸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조향본체(32)에 전달하며, 경사회전축(311), 수직조향축(312)과 조향연결구(313)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회전축(311)은 전체적으로 환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핸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을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의 회전축과 일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결된다. 이는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탑승부(8)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규정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이동을 위한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부(2)가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조향을 위해서는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전방에 설치된 조향차륜부(5)를 조작해야 하므로, 상기 경사회전축(311)이 상기 조향차륜부(5)와 일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조향축(312)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장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경사회전축(311)과 하기에 설명할 조향연결구(313)를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하기에 설명할 조향차륜부(5)와 조향본체(32)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핸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을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에 전달하여 조향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향차륜부(5)의 조향회전중심축으로서 기능하고, 조향공(3121)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공(3121)은 수직조향축(3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관통공으로, 상기 수직조향축(312)은 조향축연결핀(10)이 삽입 결합되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본체(32)가 수직조향축(312)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향연결구(313)는 일측은 상기 경사회전축(311)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 기 수직조향축(312)과 연결되며, 상기 경사회전축(311)을 거쳐 전달된 상기 핸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을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에 전달하여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조향을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상기 조향연결구(313)는 경사회전축(311)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수직조향축(312)과 일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결되므로, 주동축과 종동축의 중심선이 일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결된 경우 주동축에 발생된 회전력을 종동축에 전달할 수 있는 연결구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유니버셜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향본체(32)는 수직조향축(312)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향전달부(31)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부(2)에 발생된 회전력을 하기에 설명할 조향차륜부(5)에 전달하여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각판형의 상부몸체(32a)와 상기 상부몸체(32a)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방몸체(32b)와 상기 상부몸체(32a)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후방몸체(32c)가 결합된 구조이며, 하기에 설명할 완충부(33, 도 4b에 도시됨)를 수용하고 연결부(34)와 연결되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노면이 불량한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에 조향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일부 흡수하여 외부 환경에 민감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조향축삽입공(321), 연결공(322), 완충부수용구(323, 도 4b에 도시됨), 완충부연결구(324), 완충중심구(325), 보정연결구(326)와, 회전보조구(327)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축삽입공(321)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2a)의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조향축(312)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연결공(322)은 상부몸체(32a)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관통공으로서, 상기 연결공(322)은 조향축삽입공(321)에 삽입 결합된 상기 수직조향축(312)이 가지는 조향공(3121)과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공(3121)과 연결공(322)이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향축삽입공(321)에 수직조향축(312)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향축연결핀(10)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수직조향축(312)과 조향본체(32)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수용구(323)는,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조향본체(32)의 전방몸체(32b) 하부 내측에서 원통형의 장방체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정공간으로서, 상기 완충부수용구(323)에 하기에 설명할 상기 완충부(33)가 수용되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완충기능을 구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완충부연결구(324)는 전방몸체(32b)의 양측에서 양측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의 타원형상의 돌기로서,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연결부(34)와 완충부(33)가 조향본체(3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완충부연결공(3241)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연결공(3241)은 완충부연결구(324)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관통공으로서, 하기에 설명할 연결부(34)와 완충부(33)의 가압구(333)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노면이 불량한 지역을 이동하는 경 우 유모차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조향본체(32) 또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연결부(34)가 상하로 유동 또는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부(33)를 가압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연결공(3241)은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완충시 하기에 설명할 연결부(34)의 회전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가압구(333)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중심구(325)는 조향본체(32)의 전방몸체(32b)에서 전방(B반대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연장면에서 양측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돌기로서, 상기 완충중심구(325)가 양측방으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완충부연결구(324)가 돌출된 길이와 대략 일치하고, 상기 완충중심구(325)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연결부(34)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33)에 하방으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한 상기 완충부(33)의 작동시 상기 연결부(34)가 회전하는 중심축으로서 기능한다(도 6b에 도시됨). 또한, 상기 핸들부(2)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서도 상기 완충부(33)가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할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서 상기 완충부(33)가 상측에서 가압된 경우의 작동상태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보정연결구(326)는 조향본체(32)에 구비된 상부몸체(32a)의 끝단(32d, 도 2에 도시됨)에서 축경되어 전방(B반대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각판형이고, 상기 보정연결구(326)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구비되는 한쌍의 조향장치(3)를 하기에 설명할 회전보정프레임(36)으로 연결하여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에 상이한 회전력이 가해져 한쌍의 조향장치(3)에 각각 상이한 회전각이 전달된 경우 그 회전각을 보정하여 한쌍의 조향장치(3)가 동일한 회전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보정연결공(3261)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진행방향이 아닌 다른 곳으로 시선을 향하여 한손에 의한 잘못된 조향력이 좌측핸들(21) 또는 우측핸들(22)에 전달된 경우에도, 다른 손에 의한 좌측핸들(21) 또는 우측핸들(22)에 의해 회전각이 보정되어 유모차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정연결공(3261)은 보정연결구(326)의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하는 원통형상의 관통공으로서, 상기 보정연결공(3261)에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회전보정프레임(36)이 결합구(11)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회전보조구(327)는 조향본체(32)의 후방몸체(32c)에서 후방(B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연장면에서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장방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향본체(32)에 조향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경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연결부(34)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34)에 연결된 상기 조향차륜부(5)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조향기능이 가능하도록 보조한다.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완충부(33)는 조향본체(32)의 완충부수용구(323)에 수용되어 본 발명의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완충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진동이나 충 격이 가해지면 상기 조향본체(32) 또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연결부(34)가 상하로 유동 또는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부(33)를 가압하여 상기 완충부(33)가 탄성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부재(331), 지지판(332)과, 가압구(33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331)는 일측은 상기 완충부수용구(323)에 지지되고 타측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지지판(332)에 지지되어 본 발명의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노면이 불량한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2) 또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소멸하면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부재이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춘 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32)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 또는 상기 핸들부(2)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완충부수용구(323)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31)의 일측을 가압하거나 지지하며, 상기 조향차륜부(5)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탄성부재(331)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조향차륜부(5) 또는 핸들부(2)에 가해진 외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31)를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부재(33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완충부수용구(323)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형태이면 원반형 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완충부수용구(323)와 상보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가압구(333)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장방 체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연결공(3241)을 통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연결부(34)와 연결되며,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 또는 핸들부(2)에 가해진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연결부(34) 또는 조향본체(32)가 유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34)와 연동되어 함께 유동하면서 상기 지지판(332)을 가압하거나 상기 지지판(332)에 의해 가압되어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탄성부재(331)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구(333)는 완충부(33)의 완충시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연결부(34)의 회전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완충부연결공(3241)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34)는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형성되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와 연결되어 조향차륜부(5)의 회전축(C', 도 4b에 도시됨)으로서 기능하고, 일측은 상기 완충부연결구(324)를 통해 상기 가압구(333)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완충중심구(325)와 연결되어 상기 완충중심구(325)의 중심축(D', 도 4b에 도시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구(333)가 유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가압연결구(341), 차륜연결구(342), 중심축연결구(343)와 회전지지구(344)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연결구(341)는 연결부(34)의 '
Figure 112006081865110-pat00001
'형상의 연결부몸체(34a) 일단(34b) 양측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형상의 측면몸체(34c)에서 상기 조향본체(3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완충부연결구(324)를 통해 상기 가압구(333)와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반형의 관통공으로서, 상기 가압 구(333)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41a, 341b)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구(333)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노면이 불량한 지역을 이동하면서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조향차륜부(5)의 유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34)가 회전하여 상기 가압구(333)가 연동하여 유동하면서 상기 완충부(33)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일부 흡수될 수 있고, 상기 핸들부(2)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조향본체(32)의 유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34)가 회전하여 상기 가압구(333)가 연동하여 유동하면서 상기 완충부(33)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일부 흡수되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효율적인 완충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차륜연결구(342)는 전체적으로 연결부(34)의 양측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상기 조향본체(32)의 개방공간(32e)에 삽입되며, 상기 차륜연결구(342)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와 차륜축(14, 도 3에 도시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향차륜부(5)와 동일한 중심축(C', 도 4b에 도시됨)을 형성하며 상기 조향차륜부(5)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중심축연결구(343)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의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본체(3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완충중심구(325)와 연결부재(343a, 343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양측 측면몸체(34c)에서 상기 가압연결구(341)로부터 전방(B반대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연결구(343)와 완충중심구(325)는 연결부재(343a, 343b)를 통해 동일한 중심축(D', 도 4b에 도시됨)을 형성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33)의 작동시 상기 연결부(34)가 중심축(D', 도 4b에 도시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심축연결구(343)는 완충중심구(325)와 마찬가지로 상기 조향본체(32)의 전방(B반대방향, 도 2에 도시됨)에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완충부(33)에 의한 완충기능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하방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한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부(2)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서도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서 완충기능의 작동상태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서 상기 차륜연결구(342) 및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은 상기 완충중심구(325) 및 중심축연결구(343)의 중심축(D)과 동일선상에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에 하방으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완충부(33)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조향차륜부(5)와 함께 유동하는 상기 연결부(34, 도 3에 도시됨)가 완충중심구(325)의 중심축(D)과 상기 완충부(33)의 가압구(333)의 위치를 연결하여 도시한 원(E)상의 곡률방향전환점(F)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이동경로(G)를 형성하면서 유동하여 상기 가압구(333)에 의해 탄성부재(331)가 압축되고, 상기 연결부(34, 도 3에 도시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34, 도 3에 도시됨)와 함께 유동하는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도 원호(H)상에서 곡률방향전환점(F)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이동경로(I)를 형성하면 서 유동하여 상기 완충부(33)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이 일부 흡수되어 완충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3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향장치(3)의 상방에 위치한 상기 핸들부(2)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서도 작동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는 지면(15, 도 6a에 도시됨)에 지지되어 유동하지 않고, 상기 조향본체(32)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중심구(325)가 점차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중심축연결구(343)도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되어 상기 완충부수용구(323)가 가압연결구(341, 도 3에 도시됨)보다 빠르게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탄성부재(331)가 가압구(333)를 가압하면서 상기 조향본체(32)에 전달된 핸들부(2)로부터의 가압력이 일부 흡수되어 완충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관계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33)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331)에 의해 일부 흡수되고, 잔여 가압력이 상기 조향장치(3)를 거쳐 상기 핸들부(2)에 전달되나, 상기 핸들부(2)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이어서 크게 유동하지 않으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 가압력이 상기 조향본체(32)를 하측으로 유동시키게 되어 상기 완충부(33)에 구비된 탄성부재(331)가 잔여 가압력의 일부를 재흡수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조향장치(3)에 가해진 가압력이 전부 소멸되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의 안정적인 이동과 용이한 조향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서 상기 차륜연결구(342) 및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은 상기 완충중심구(325) 및 중심축연결구(343)의 중심축(D')과 동일선상에 구현되지 않고 일정 거리(325D)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과 상기 완충중심구(325)의 중심축(D)이 동일선상에 구현된 경우 상기 완충부(33)의 작동시 상기 조향차륜부(5)가 상측방으로 유동하면서 완충되어 완충기능과 조향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도 4a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에 하방으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완충부(33)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조향차륜부(5)와 함께 유동하는 상기 연결부(34, 도 3에 도시됨)가 완충중심구(325)의 중심축(D)과 상기 완충부(33)의 가압구(333)의 위치를 연결하여 도시한 원(E)상의 곡률방향전환점(F)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이동경로(G)를 형성하며 유동하고, 상기 연결부(34, 도 3에 도시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34, 도 3에 도시됨)와 함께 유동하는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도 원호(H)상에서 곡률방향전환점(F)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이동경로(I)를 형성하면서 완충기능이 구현되기 때문에, 완충시 상기 조향차륜부(5)가 상측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이 수직조향축(312)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상기 수직조향축(312)으로부터 조향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조향차륜부(5)가 수직조향축(312)을 조향회전축으로 하여 조향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조향기능이 저해될 수 있고, 상기 가압구(333)가 탄성부재(331)를 지지하는 지지판(332)의 중심에서 점차적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탄성부재(331)를 가압하므로 상기 탄성부재(331)가 가압력을 흡수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압축되지 못하여 완충기능이 저해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중심구(325)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중심구(325)의 중심축(D')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이 동일선상이 아닌 일정 거리(325D)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b를 참고하면,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정 거리(325D)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완충중심구(325)와 하기에 설명할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D', C')에 의해 상기 조향차륜부(5)에 하방으로부터 가압력이 전달되어 상기 완충부(33)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조향차륜부(5)와 함께 유동하는 상기 연결부(34)가 완충중심구(325)의 중심축(D')과 상기 완충부(33)의 가압구(333)의 위치를 연결하여 도시한 원(E')상의 곡률방향전환점(F')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경로(G')를 형성하며 유동하여 상기 완충부(33)에 의해 완충되고, 상기 연결부(34)의 유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34)와 함께 유동하는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도 원호(H')상에서 곡률방향전환점(F')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경로(I')를 형성하면서 완충기능이 구현되기 때문에, 완충시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은 수직조향축(312)으로부터 짧은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기 수직조향축(312)에 매우 근접하게 형성되는 이동경로(I')를 따라 유동하며 완충되어, 상기 수직조향축(312)으로부터 조향회전력이 전달된 경우에도 상기 조향차륜부(5)의 유동 정도에 관계없이 상기 조향차륜부(5)가 수직조향축(312)에 매우 근접한 조향회전축을 형성하면서 조향회전할 수 있어 조향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상기 가압구(333)가 탄성부재(331)의 압축 정도에 관계없이 상기 탄성부재(331)를 지지하는 지지판(332)의 중심으로부터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331)를 가압할 수 있어 상기 탄성부재(331)가 가압력을 흡수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압축되므로 효율적인 완충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향기능이 구비된 유모차(1)의 조향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완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도 상기 조향장치(3)의 상방에 위치한 상기 핸들부(2)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완충부(33)가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중심구(325)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D', C')이 일정 거리(325D)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향장치(3)에 상방으로부터 가압력이 전달된 경우에도 상기 조향본체(32)가 점차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중심구(325)와 연결부(34)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중심축연결구(343)도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되어 상기 완충부수용구(323)가 가압연결구(341, 도 3에 도시됨)보다 빠르게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탄성부재(331)를 통해 상기 가압구(333)를 가압하면서 상기 조향본체(32)에 전달된 핸들부(2)로부터의 가압력이 일부 흡수되어 완충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관계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33)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331)에 의해 일부 흡수되고, 잔여 가압력이 상기 조향장치(3)를 거쳐 상기 핸들부(2)에 전달되나, 상기 핸들부(2)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으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 가압력이 상기 조향본체(32)를 하측으로 유동시키게 되어 상기 완충부(33)에 구비된 탄성부재(331)가 잔여 가압력의 일부를 재흡수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조향장치(3)에 가해 진 가압력이 전부 소멸되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의 안정적인 이동과 용이한 조향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도 완충시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은 수직조향축(312)으로부터 짧은 거리로 이격되면서 상기 수직조향축(312)에 매우 근접하게 형성되는 이동경로(I')를 따라 유동하며 완충되고, 상기 조향본체(32) 또한 전후방으로의 유동이 최소화된 상하 직선에 매우 근접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완충되어 조향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효율적인 완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지지구(344)는 전체적으로 '
Figure 112006081865110-pat00002
'형상의 연결부몸체(34a)와 그 양측 타단(34d)을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후벽(34e)이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몸체(34a)와 후벽(34e) 및 차륜연결구(342)에 의해 규정되는 일정 공간(34f)에 상기 회전보조구(327)가 삽입되어 상기 조향본체(32)의 회전시 상기 회전보조구(327)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되며, 그에 따라 상기 연결부(34)의 차륜연결구(342)와 연결되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향차륜부(5)가 용이하게 조향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방지구(344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방지구(3441)는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점감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몸체(34a)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몸체(34a)와 후벽(34e) 및 차륜연결구(342)에 의해 규정되는 일정 공간(34f)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보조구(327)가 완충부(33)의 작동에 의한 상기 연결부(34) 또는 조향본체(32)의 유동시 상기 연결부몸체(34a)에 걸림에 의해 완충기능 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구(35)는 전체적으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직방체형상의 고정구몸체(35a)와 상기 고정구몸체(35a)의 상하측에서 측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판(35b)과 하부판(35c)이 결합된 구조이며, 상기 조향본체(32)의 상부몸체(32a)가 상부판(35b)과 하부판(35c)에 의해 규정되는 개방공간(35d)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몸체(35a)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지지프레임(4)에 고정되어 상기 조향본체(32)가 조향을 위한 회전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조향본체고정공(351)과 조향축공(352)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본체고정공(351)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관통공으로서, 상기 고정구몸체(35a)의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고, 조향본체(32)의 회전시 흔들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35)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지지프레임(4)에 체결구(12)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 원통형상의 관통공 외에 다양한 형태와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구(35)가 지지프레임(4)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향축공(352)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의 관통공으로서, 상기 고정구(35)의 상부판(35b)과 하부판(35c)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5)의 개방공간(35d)에 상기 조향본체(32)의 상부몸체(32a)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조향축(312)이 조향축공(352)과 조향축삽입공(321)을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조향축공(352)은 수직조향축(312)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조향축(312) 의 크기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간(35d)은 조향본체(3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몸체(32a)의 크기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의 일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보정프레임(36)은 조향본체(32)의 보정연결구(326)에 연결되어 한쌍의 조향장치(3)에 가해지는 각각의 회전력과 회전각을 보정하여 하기에 설명할 한쌍의 조향차륜부(5)가 동일한 회전각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안정적으로 조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손에 의한 잘못된 조향력을 좌측핸들(21) 또는 우측핸들(22)에 전달한 경우에도, 다른 손에 의한 좌측핸들(21) 또는 우측핸들(22)에 의해 회전각이 보정되어 유모차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프레임(4)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가 발을 디딜 수 있으며, 상기 조향장치(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가지는 외관의 미려함을 보조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장치(3)와 핸들부(2)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조향본체연결공(41), 고정공(42)과 고정프레임공(43)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본체연결공(41)은 조향전달부(31)의 조향연결구(313)의 일측이 삽 입되어 상기 수직조향축(312)이 지지프레임(4)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이며, 상기 조향본체연결공(41)은 조향연결구(313)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회전시 흔들림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조향연결구(313)와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공(42)은 체결구(12)가 관통되어 고정구(35)의 조향본체고정공(35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공으로, 이러한 체결을 통해 상기 고정구(35)가 지지프레임(4)에 견고히 고정되어 상기 고정구(35)와 결합된 조향본체(32)가 회전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공(43)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의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하기에 설명할 고정프레임(6)의 고정돌기(61)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을 견고히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조향차륜부(5)는 한쌍의 핸들부(2)와 한쌍의 조향장치(3)를 통해 연결되는 한쌍의 차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에 각각 연결되는 좌측차륜(51)과 우측차륜(5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이동과 조향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조향차륜부(5)는 상기에서 설명한 핸들부(2)와 마찬가지로 상기 조향차륜부(5)의 조향을 한쌍의 차륜이 아닌 일측의 차륜만으로 가능하도록 구현한 경우, 유모차 자체의 무게와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무게를 합친 중량을 한손만으로 조향조작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유모차의 주사용자층이 여성사용자인 점에 비추어 이와 같은 어려움이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유모차의 진행방향이 아닌 다른 곳에 시 선을 위치시킨 경우 한손에 의한 잘못된 조향력이 전달될 우려가 있어 유모차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한쌍의 조향차륜부(5)로 사용자가 조향조작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며,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에 발생된 회전력이 좌측차륜(51)과 우측차륜(52)에 별도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향차륜부(5)는 조향본체(32)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연결부(34)의 차륜연결구(342)와 차륜축(14, 도 3에 도시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34)를 거쳐 상기 조향본체(32)와 연결되고, 상기 조향차륜부(5)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 도 4b에 도시됨)과 완충중심구(325)의 중심축(D', 도 4b에 도시됨)이 일정 거리(325D)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은 상기 조향장치(3)의 조향기능을 저해함이 없이 안정적인 완충기능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조향차륜부(5)는 좌측차륜(51)과 우측차륜(52) 모두 상기 연결부(34)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차륜연결구(342)와 차륜축(14, 도 3에 도시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차륜연결구(342)의 중심축(C', 도 4b에 도시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이동기능을 구현하도록 각각 한쌍의 차륜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프레임(6)은 전체적으로 중공의 환봉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경사회전축(311)을 수용하여 상기 경사회전축(311)을 외측에서 볼 수 없도록 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더하며, 상기 고정프레임(6)의 일측에서 상기 경사회전축(311)이 상기 핸들부(2)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사기 경사회전축(311)이 조향연결구(313)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돌기(6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61)는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4)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6)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과 고정프레임(6)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고정프레임(6)의 일부로서, 상기 지지프레임(4)의 고정프레임공(43)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과 고정프레임(6)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61)는 지지프레임(4)과 고정프레임(6)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상기와 같은 결합 외에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하여 체결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6)과 지지프레임(6)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는, 도 1을 참고하면, 연결프레임(1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프레임(13)은 한쌍의 고정프레임(6)을 상호간에 결합시켜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이러한 연결프레임(13)에 의해 상기 핸들부(2)의 조작에 따른 경사회전축(311)의 회전시 상기 고정프레임(6)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연결프레임(13)을 파지하여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를 조향없이 전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결합관계와 작동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작동관계는,
도 5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조향조작 없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이 좌우로 회전하지 않은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한쌍의 조향본체(32)와 연결부(34) 및 좌측차륜(51)과 우측차륜(52)도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2)에 시계반대방향(L방향)으로 회전을 가하여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를 조향조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양손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력과 회전각에 의해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이 각각 시계반대방향(L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경사회전축(311)이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에 가해지는 회전과 동일한 방향 및 회전각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경사회전축(311)에 전달된 회전력이 조향연결구(313)를 거쳐 수직조향축(312)에 전달되어 상기 수직조향축(312)이 핸들부(2)와 동일한 방향과 회전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조향연결구(313)는 바람직하게는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되어 수직조향축(312)에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된 주동축으로서 기능하는 경사회전축(311)에 발생된 회전력을 종동축인 수직조향축(312)에 안정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조향축(312)과 조향축연결핀(10)을 통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 된 상기 조향본체(32)가 핸들부(2)와 동일한 방향과 회전각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향본체(32)와 연결부(34)를 통해 연결된 조향차륜부(5) 역시 동일한 방향과 회전각으로 회전되어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가 조향되는 것이다. 이 경우 한쌍의 조향본체(32)가 보정연결구(326)를 통해 회전보정프레임(36)과 연결되어 상기 좌측핸들(21)과 우측핸들(22)에 상이한 회전력과 회전각이 발생된 경우에도 좌측차륜(51)과 우측차륜(52)에 전달된 회전력과 회전각이 보정되어 동일한 회전력과 회전각으로 조향되어 안정적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및 도 5c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2)에 시계방향(M방향)으로 회전을 가한 경우에도 상기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2)에 시계반대방향(L방향, 도 5b에 도시됨)으로 회전을 가한 경우와 같은 연결관계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의 조향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향본체(32)의 회전시 회전보조구(327)가 회전지지구(344)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34)와 연결된 상기 조향차륜부(5)의 보다 용이한 조향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서 완충기능의 작동상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완충부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b는 본 발명의 완충부가 하측에서 가압된 경우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c는 본 발명의 완충구가 상측에서 가압된 경우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6a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 서 상기 완충부(33)의 작동전 상태는,
상기 조향차륜부(5)가 연결부(34)의 차륜연결구(342)와 차륜축(14)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4)의 가압연결구(341)는 가압구(333)와 완충부연결구(324)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연결구(343)는 완충중심구(325)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구(344)의 내측에 상기 회전보조구(327)가 위치된 상태이다.
도 3 및 도 6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서 상기 완충부(33)가 하측에서 가압된 경우의 작동상태는,
상기 조향차륜부(5)가 지면(15)으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상측(J)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조향차륜부(5)와 결합된 상기 연결부(34)가 중심축연결구(343)의 중심축(D')을 기준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34)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압연결구(341)와 연결된 상기 가압구(333)가 함께 유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31)에 의해 상기 조향차륜부(5)에 전달된 지면(15)으로부터의 가압력이 일부 흡수되어 완충되고,
상기 회전보조구(327)는 회전지지구(344)가 유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방지구(3441)에 의해 상기 걸림방지구(3441)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추후 상기 조향차륜부(5)에 전달된 가압력이 소멸한 경우에도 상기 연결부몸체(34a, 도 2에 도시됨)에 걸림되지 않아 안정된 완충기능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부(34)는, 도 4b를 참고하면, 중심축연결구(343)의 중심축(D')이 상기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과 일정 거리(325D)로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향차륜부(5)가 상하 직선으로 유동하는 것에 근접한 이동경로(I')를 형성하며 유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완충부(33)의 작동시에 상기 조향본체(32)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조향과 이동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1)에서 상기 완충부(33)가 상측에서 가압된 경우의 작동상태는,
상기 핸들부(2)로부터 측하방(K)으로 가압력이 전달된 경우에는 상기 조향차륜부(5)가 지면(15)에 지지되어 이동되지 않고, 상기 조향본체(32)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중심구(325)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중심축연결구(343)도 조향차륜부(5)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기 완충중심구(32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완충부수용구(323)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중심축연결구(343)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연결구(341, 도 3에 도시됨)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완충부수용구(323)가 가압연결구(341, 도 3에 도시됨)보다 빠르게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탄성부재(331)가 가압구(333)를 가압하면서 상기 조향본체(32)에 전달된 핸들부(2)로부터의 가압력이 일부 흡수되어 완충되며,
상기 연결부(34)와 조향본체(32)의 유동에 따라 함께 유동하는 상기 회전보 조구(327)와 회전지지구(344)는 상기 걸림방지구(3441)에 의해 상기 걸림방지구(3441) 외측으로 상기 회전보조구(327)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추후 상기 핸들부(2)에 전달된 가압력이 소멸한 경우에도 상기 연결부몸체(34a, 도 2에 도시됨)에 걸림되지 않아 안정된 완충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았지만,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어떠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과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아를 유모차에 탑승시키고 옥외로 외출하거나 여행하는 경우에 원하는 진행방향으로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고, 적은 힘을 들이고도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조종할 수 있어 여성사용자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모차가 노면이 불량한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유모차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일부 흡수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최소한의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환경에 민감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들부 또는 지면으로부터 유모차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 수하여 완충할 수 있고, 이러한 완충장치의 작동시에 조향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조향이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완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손에 상이한 회전을 가한 경우에도 각 차륜에 전달된 상이한 회전을 균일하게 보정하여 조향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정되게 조향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며 유모차의 조향과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조향차륜부와, 상기 핸들부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조향차륜부에 전달하는 한쌍의 조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조향차륜부와 연결되는 수직조향축과, 일측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조향축과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경사회전축과, 상기 경사회전축에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수직조향축에 전달하여 상기 조향차륜부가 조향되도록 하는 조향연결구를 가지며, 상기 조향차륜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일측 내부에 상기 완충부를 수용하는 완충부수용구와 타측은 상기 완충부의 중심축으로 연결되는 완충중심구를 가지는 조향본체와, 일측은 상기 완충부수용구에 완충부연결구를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완충중심구에 연결되어 상기 조향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부를 가압하여 외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완충부연결구와 연결되는 가압연결구와 상기 완충중심구에 연결되는 중심축연결구와 상기 조향차륜부와 연결되는 차륜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차륜연결구는 상기 조향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수직조향축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중심축연결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여 가압하는 지지판과, 상기 연결부와 완충부연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와 함께 유동하며 상기 지지판을 가압하는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본체는
    한쌍의 조향차륜부 각각에 전달되는 상이한 회전력을 보정하여 상기 한쌍의 조향차륜부가 동일한 회전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보정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정연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발을 디딜 수 있고, 상기 조향장치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여 상기 유모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지지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수직조향축이 관통되고 상기 조향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본체는
    상기 수직조향축과 상기 조향본체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조향축연결핀이 결합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본체는
    상기 핸들부에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향차륜부에 전달되도록 보조하는 회전보조구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보조구에 지지되는 회전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구는 완충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유동시 상기 회전보조구가 상기 회전지지구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연결구는 유니버셜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20060110155A 2006-11-08 2006-11-08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078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55A KR100784679B1 (ko) 2006-11-08 2006-11-08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PCT/KR2007/005346 WO2008056899A1 (en) 2006-11-08 2007-10-29 Baby carriage having steering device
US12/513,528 US20100066044A1 (en) 2006-11-08 2007-10-29 Baby carriage having steering device
JP2009535204A JP2010509113A (ja) 2006-11-08 2007-10-29 操向装置が備えられた乳母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55A KR100784679B1 (ko) 2006-11-08 2006-11-08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679B1 true KR100784679B1 (ko) 2007-12-13

Family

ID=3914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155A KR100784679B1 (ko) 2006-11-08 2006-11-08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66044A1 (ko)
JP (1) JP2010509113A (ko)
KR (1) KR100784679B1 (ko)
WO (1) WO2008056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430B1 (ko) * 2008-11-11 2011-01-21 김윤식 조향식 여행가방
US9656682B2 (en) * 2014-10-10 2017-05-23 Eli Ahlemeier Motorized stroller system and apparatus
CN105816163B (zh) * 2016-05-09 2019-03-15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检测心率的方法、装置及可穿戴设备
GB2594718B (en) * 2020-05-04 2023-12-27 Area 52 Ltd Pram fr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084A (ja) 2000-06-30 2002-02-06 Bebecar Utilidades Para Crinca Lda ベビーカー用組立サスペンションの相互連結回転装置
KR200382554Y1 (ko) 2004-11-19 2005-04-22 정병조 유모차
KR200408379Y1 (ko) 2005-11-25 2006-02-08 김경환 조향기구가 구비된 무빙카트
KR100609741B1 (ko) 2005-02-25 2006-08-10 이승주 다목적 주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9460A (en) * 1948-06-17 1954-02-16 Wallner Rudolph Child's stroller
US4759098A (en) * 1986-11-17 1988-07-26 Hong-Fu Zun Direction setting device for rollers of a baby walker
US5020815A (en) * 1989-10-17 1991-06-04 Scott Orthotic Labs, Inc. Self-propelled, steerable wheelchair
USD332591S (en) * 1990-07-05 1993-01-19 Reely Blaine T Infant stroller
US5193831A (en) * 1991-10-18 1993-03-16 Capitoli Christopher A Bicycle powered go-cart
US5280937A (en) * 1992-03-03 1994-01-25 Dennis Needham Steered wheeled framework
US5704623A (en) * 1995-08-01 1998-01-06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Mobile camera crane base
DE69619876T2 (de) * 1996-12-19 2002-06-27 Form Design Corp Aufhängung für kinderwagen
EP1028882B1 (en) * 1997-10-15 2006-03-01 IGC (Australia) Pty. Ltd. Steerable load-carrying assembly
US6161860A (en) * 1999-02-11 2000-12-19 Corneau; Michel Collapsible and convertible walker for disabled persons
US6302421B1 (en) * 2000-05-15 2001-10-16 Aaron Lee Vehicle with swivel control of casters for enabling rider or external steering
JP4689018B2 (ja) * 2000-09-21 2011-05-25 コンビ株式会社 ツインタイプベビーカー
US6449801B1 (en) * 2000-12-04 2002-09-17 Greg R. Durrin Add-on front wheel castors for jogging stroller
FR2826924B1 (fr) * 2001-07-06 2003-10-10 Rodolphe Brichet Systeme de commande, systeme directionnel pour vehicule leger et tricycle equipe d'un tel systeme
US6733018B2 (en) * 2002-01-24 2004-05-11 Eli Razon Adjustable leg support and seated to stand up walker
US6916032B2 (en) * 2002-08-05 2005-07-12 J.T. Labs, Ltd. Manually-propelled vehicle and related systems
US7073822B1 (en) * 2003-03-06 2006-07-11 Renfroe David A Flexible cable lever arm steer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040222607A1 (en) * 2003-05-05 2004-11-11 Myers Peter J. Strollers and methods of operating strollers
US7261308B2 (en) * 2004-05-11 2007-08-28 Contraption Corporation Cycle accessory system for child strollers
US7234722B1 (en) * 2004-07-02 2007-06-26 Stroller Technologies, Llc Standing baby stroller
US7377527B2 (en) * 2004-12-30 2008-05-27 Stacey Lee Cunningham Pet jogger
US7249779B2 (en) * 2005-05-20 2007-07-31 Soma Cycle, Inc. Convertible stroller/tricycle
TWM281865U (en) * 2005-07-12 2005-12-01 Link Treasure Ltd Direction control device for swivel wheels of baby stroller
US7484739B2 (en) * 2005-12-01 2009-02-03 Nash Ii Philip C Three wheeled stroller with single steerable rear whe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084A (ja) 2000-06-30 2002-02-06 Bebecar Utilidades Para Crinca Lda ベビーカー用組立サスペンションの相互連結回転装置
KR200382554Y1 (ko) 2004-11-19 2005-04-22 정병조 유모차
KR100609741B1 (ko) 2005-02-25 2006-08-10 이승주 다목적 주행장치
KR200408379Y1 (ko) 2005-11-25 2006-02-08 김경환 조향기구가 구비된 무빙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6044A1 (en) 2010-03-18
JP2010509113A (ja) 2010-03-25
WO2008056899A1 (en)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679B1 (ko) 조향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US9950729B2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20160192787A1 (en) Access optimized child support device
US8465037B2 (en) Dual steerable vehicle
US20070069505A1 (en) Adjustable seat for a baby stroller with one-handed inclination control
KR102045427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JP2018532472A (ja) 連結要素またはヒンジ連結要素を有するキックスケーター
US20150272341A1 (en) Child supporting device
US11241636B2 (en) Toy vehicle having adjustable suspension
TW201800072A (zh) 電動輪椅之車架
EP1693277B1 (en) A stroller as well as a connecting piece
EP1461129B1 (en) Articulated rider for a toy vehicle
US11192569B2 (en) Seating/lying support
TWI731621B (zh) 助行器
US20140008883A1 (en) Combination stroller and exercise system
TWI740062B (zh) 嬰兒車
US20210394809A1 (en) Foldable stroller
WO2008007250A2 (en) Device for pulling bicycle or tricycle
US3310319A (en) Caster-equipped coasting board
US7156789B2 (en) Mobility assist
KR101709291B1 (ko) 유아용 운송수단
US11808401B2 (en) Adjustable display device assembly
KR102561324B1 (ko) 절첩식 휠 보행보조기
CN212423264U (zh) 一种儿童推车的吸能减震装置
JP3103657U (ja) キック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