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601B1 -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601B1
KR100784601B1 KR1020050114109A KR20050114109A KR100784601B1 KR 100784601 B1 KR100784601 B1 KR 100784601B1 KR 1020050114109 A KR1020050114109 A KR 1020050114109A KR 20050114109 A KR20050114109 A KR 20050114109A KR 100784601 B1 KR100784601 B1 KR 10078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tance
ecu module
obstacle
rea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751A (ko
Inventor
한창규
김춘승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6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 적소에 구비되는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링 타임 길이를 판단하여 온도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링 타임의 보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 거리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에 구비되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거리 감지센서과,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후방거리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아 연산처리하기 위한 마이컴을 갖는 ECU 모듈과, 상기 ECU 모듈을 통하여 제공되는 감지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ECU 모듈(30)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ECU 모듈의 수신 회로로 전송하기 위한 증폭 및 필터링 회로; 및 후방거리 감지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컴으로 전송하기 위한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리어 범퍼, 후방거리 감지센서, ECU 모듈, 마이컴, 링 타임

Description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Method and optimal apparatus rear distance sensing system for vehicle}
도 1은 차량의 리어 범퍼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차량의 후면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이 차량의 후면 리어 범퍼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와 비교기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증폭 및 필터링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ECU 모듈의 마이컴과 수신 회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감지거리 최적화 방법 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10 : 후방거리 감지센서,
30 : ECU 모듈, 31 : 마이컴,
33 : ECU 수신 회로,
35 :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 36 : 비교기 회로,
37 : 증폭 및 필터링 회로.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 적소에 구비되는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링 타임 길이를 판단하여 온도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링 타임의 보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 거리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에는 차량의 후진 또는 주차 시 장애물 또는 사람과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방에 장애물의 존 재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경보음 또는 표시등으로 운전자에게 인지시켜주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가 구비된다.
여기서, 종래의 후방거리 감지센서는 차량의 후방 장애물 감지 및 차량의 후진 또는 주차 시 차량의 후방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지며, 초음파 센서를 작동하여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접근 방향 및 접근 거리를 판단하여 장애물이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인지시킴으로써 후진 또는 주차 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접촉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도 1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이 차량의 후면 리어 범퍼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100)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본체부(110) 보다 직경이 큰 형상의 헤드부(120)로 구성되되, 차량(130)의 리어 범퍼(131)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설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차량(130)의 리어 범퍼(131)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설되어 리어 범퍼(131)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120)는 리어 범퍼(131)의 외부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차량(130)의 리어 범퍼(131)에 형성되는 구멍의 직경은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100)의 본체부(110)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100)는 차량의 후방을 통하여 감지되는 장애물의 접근 방향 및 접근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에 따른 데이터를 차량의 내부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인식시킨다.
이때, 상기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케이블(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종래의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는 초음파를 발사하여 장애물에 맞닿은 뒤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리어 범퍼와 장애물의 거리를 판단하는 초음파 센서를 사용한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는 링 타임(Ring Time)이 존재하며, 링 타임의 설정 여부에 따라 짧은 거리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1ms ~ 1.6ms 정도를 링 타임 구간으로 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를 거리로 환산하여 보면, S(거리) = 340 m/1sec × 1ms/2 = 17cm이고, 이론상으로는 17cm 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는 20cm 까지의 거리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는 가능하나, 17c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는 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장애물이 17c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할 경우, 신호음 발생부를 통한 경고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초음파 센서는 온도에 따른 링 타임의 변화가 심하여 60℃ 이상이거나, -15℃ 이하일 경우에 링 타임은 상온을 기준으로 1.7ms 정도 길어진다.
이것을 경우를 거리로 환산하여 보면, S(거리) = 340 m/1sec × 1.7ms/2 = 28.9cm로, 이론상으로는 29cm 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잇다. 즉, 종래의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는 29cm 까지의 거리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는 가능하나, 29c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으며, 이때에도 신호음 발생부를 통한 경고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렇게 초음파 센서를 통하여 차량의 후면에 구비되는 리어 범퍼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는 할 수 없는 등 온도 범위에 따라 거리의 감지폭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온도 변화가 심한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차량의 후방에 장애물이 없는데도 장애물이 있다고 인식되고, 이로 인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등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센서가 오작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 적소에 구비되는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링 타임 길이를 판단하여 온도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링 타임의 보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 거리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거리 감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에 구비되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거리 감지센서과,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후방거리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아 연산처리하기 위한 마이컴을 갖는 ECU 모듈과, 상기 ECU 모듈을 통하여 제공되는 감지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ECU 모듈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ECU 모듈의 수신 회로로 전송하기 위한 증폭 및 필터링 회로; 및 후방거리 감지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컴으로 전송하기 위한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락선 및 평활 회로의 종단에 비교기 회로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에 구비되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거리 감지센서과,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후방거리에 대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공받고, ECU 모듈의 수신 회로에 연결되는 증폭 및 필터링 회로와 마이컴에 연결되는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를 갖는 ECU 모듈과, 상기 ECU 모듈을 통하여 제공되는 감지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차량의 후방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에 따른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마이컴의 초기화 단계; ECU 모듈의 자기 진단 단 계; 후방거리 감지센서가 초음파를 발사한 후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후방거리 감지센서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가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의 출력단을 통하여 ECU 모듈의 마이컴으로 입력됨과 동시에, 증폭 및 필터링 회로의 출력단을 통하여 ECU 모듈의 수신 회로로 입력되는 단계; 마이컴에 입력되는 신호와 ECU 모듈의 수신 회로로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컴이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은 ECU 모듈의 수신 회로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링 타임이 증가될 경우 온도가 변화되었음을 판단하고, 변화된 온도에 따라 경고음 발생 및 링타임 시간을 지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를 통하여 2개의 신호가 입력되되, 2개의 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포락선 검파 및 평활회로의 출력단을 통하여 구형파의 진동폭으로 ECU 모듈의 마이컴으로 입력되고, 다른 한 신호가 증폭 및 필터링 회로의 출력단을 통하여 입력되어 증폭, 검파, 평활된 후 비교기 회로를 거쳐 ECU 모듈의 수신 회로로 입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 후방거리 감지시스템 및 그에 따른 감지방법에 있어서, 그 기본적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와 비교기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증폭 및 필터링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ECU 모듈의 마이컴과 수신 회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의 감지거리 최적화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은 차량의 후면에 구비되는 리어 범퍼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거리 감지센서(10)와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후방거리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아 연산하기 위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 모듈(30) 및 상기 ECU 모듈(30)을 통하여 제공되는 감지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도번 미도시)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10)는 일반적인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되 차량의 후면에 구비되는 리어 범퍼의 길이방향 양 측 적소에 다수개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1)는 ECU 모듈(30)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기 위한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가 구비되며, 상기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는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에 연결되어 증폭 및 필터링된 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다.
상기 ECU 모듈(30)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기 위한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는 차량의 후방에 감지되는 장애물에 발사된 후 되돌아오는 미약한 초음파 신호를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지는 후방거리 감지센서(10)를 통하여 송신한 후 이 신호를 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고주파 신호에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후방거리 감지센서(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 검출 및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완전한 직류를 얻기 위한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35)가 구비되며, 상기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35)는 마이컴(31)에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상기 마이컴(31)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포락선 및 평활 회로(35)의 종단에 비교기 회로(36)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35)는 아날로그 파형을 반파 정류하고, 구형파로 평활하여 전송된 신호를 상기 비교기 회로(36)에서 규정한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의 신호만을 내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1)에 따른 최적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서 측정된 감지거리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ECU 모듈(30)의 마이컴(31)을 초기화한다(S1).
그리고, ECU 모듈(30)에서 후방거리 감지센서(10)의 정확한 작동 여부 및 링 타임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 지를 체크하는 등 자기 진단을 한다(S2).
그 다음, 후방거리 감지센서(10)가 초음파를 발사한 후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한다(S3).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10)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가 ECU 모듈(30)로 입력된 후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를 통하여 증폭 및 필터링되어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됨과 동시에 포락선 검파 및 평활회로(35)를 통하여 파형의 검출 및 교류를 직류로 변환된 신호가 마이컴(31)으로 입력된다(S4).
이때,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10)를 통하여 2개의 신호가 입력되되, 2개의 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포락선 검파 및 평활회로(35)의 출력단을 통하여 구형파의 진동폭으로 ECU 모듈(30)의 마이컴으로 입력되고, 다른 한 신호가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의 출력단을 통하여 입력되어 증폭, 검파, 평활된 후 비교기 회로(36)를 거쳐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된다(S4-1).
상기한 바와 같이, ECU 모듈(30)의 마이컴(31)에 입력되는 신호와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컴(31)이 연산처리한다(S5).
여기서, 상기 마이컴(31)은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링 타임이 증가될 경우 온도가 변화되었음을 판단하고, 변화된 온도에 따라 경고음 발생 및 링타임 시간을 지연한다(S6).
즉, 상온에서 후방거리 감지센서(10)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 중 포락선 검파 및 평활회로(35)의 출력단을 통하여 ECU 모듈(30)의 마이컴(31)에 입력되는 신호가 50us이고,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신호가 0.8ms인 것을 기 준 또는 상온으로 설정한 후 겨울철에 온도에 따라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링 타임이 1.3ms ~ 1.4ms로 늘어날 경우 마이컴(31)이 이 신호를 비교하여 온도가 변화되었음을 판단하고, 판단된 링 타임을 1.6ms 이후에서 판단하도록 설정함으로써 1.6ms 이후로 설정하여 S(거리) = 340 m/s × 1.6ms/2 = 27.2cm로 인지하며, 이로 인해 링 타임을 보정함으로써 상온에서 1m/s로 설정했을 경우, 17cm이후에서도 장애물이 없으면 온도 변화로 링타임이 길어져 오류를 27.2℃ 이후에서 판단하여 오류 및 오작동을 방지하고, 상온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겨울철에 온도에 따른 링 타임을 1.6ms 이후에 신호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마이컴(31)에 의하여 링 타임이 길이를 추정하고, 추정된 링 타임에 따라 온도 변화를 인지한 후 온도 변화에 다른 링 타임의 시간 설정을 지연시킴으로써 상온에서와 동일한 링 타임으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장애물이 15cm 이하에 있으면 S = 340m/s × 0.8ms/2 = 13.6cm으로 링 타임 구간에 묻혀서 감지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15cm 이하의 가까운 거리는 다반사로 탐지가 가능하여 20cm ~ 30cm 거리에 저전압 레벨로 출력되어 감지를 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 환산법에 따르면 S = 340m/s × 1.6ms/2 = 27.2cm임으로 이론산으로는 27cm 이하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되돌아오는 초음파 신호는 다시 장애물을 감지하고 되돌아오는데 그 신호가 30~40cm 에서 체크됨으로써 저전압 레벨의 출력에 따라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차량 후면의 리어 범퍼 적소에 구비되는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링 타임 길이를 판단하여 온도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링 타임의 보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 거리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후방거리 감지센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4)

  1. 차량(130) 후면의 리어 범퍼(131)에 구비되어 차량(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거리 감지센서(10)과,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1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후방거리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아 연산처리하기 위한 ECU 모듈(30)과, 상기 ECU 모듈(30)을 통하여 제공되는 감지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100)에 있어서,
    ECU 모듈(30)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전송하기 위한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 및
    후방거리 감지센서(1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컴(31)으로 전송하기 위한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35);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락선 및 평활 회로(35)의 종단에 비교기 회로(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
  3. 차량(130) 후면의 리어 범퍼(131)에 구비되어 차량(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거리 감지센서(10)와,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1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후방거리에 대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공받고,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에 연결되는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와 마이컴(31)에 연결되는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35)를 갖는 ECU 모듈(30)과, 상기 ECU 모듈(30)을 통하여 제공되는 감지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차량의 후방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에 따른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마이컴(31)의 초기화 단계(S1);
    ECU 모듈(30)의 자기 진단 단계(S2);
    후방거리 감지센서(10)가 초음파를 발사한 후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S3);
    후방거리 감지센서(10)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가 포락선 검파 및 평활 회로(35)의 출력단을 통하여 ECU 모듈(30)의 마이컴으로 입력됨과 동시에,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의 출력단을 통하여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단계(S4);
    마이컴(31)에 입력되는 신호와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컴(31)이 연산하는 단계(S5); 및
    상기 마이컴(31)은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링 타임이 증가될 경우 온도가 변화되었음을 판단하고, 변화된 온도에 따라 경고음 발생 및 링타임 시간을 지연하는 단계(S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에 따른 최적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거리 감지센서(10)를 통하여 2개의 신호가 입력되되, 2개의 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포락선 검파 및 평활회로(35)의 출력단을 통하여 구형파의 진동폭으로 ECU 모듈(30)의 마이컴으로 입력되고, 다른 한 신호가 증폭 및 필터링 회로(37)의 출력단을 통하여 입력되어 증폭, 검파, 평활된 후 비교기 회로(36)를 거쳐 ECU 모듈(30)의 수신 회로(33)로 입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 최적화 장치에 따른 최적화 방법.
KR1020050114109A 2005-11-28 2005-11-28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 KR100784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09A KR100784601B1 (ko) 2005-11-28 2005-11-28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09A KR100784601B1 (ko) 2005-11-28 2005-11-28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751A KR20070055751A (ko) 2007-05-31
KR100784601B1 true KR100784601B1 (ko) 2007-12-11

Family

ID=3827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109A KR100784601B1 (ko) 2005-11-28 2005-11-28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6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142B1 (ko) 1997-06-27 1999-09-15 전주범 자동차용 후방장애물 초음파 감지장치
KR20010048168A (ko) * 1999-11-25 2001-06-15 이계안 자동차 후방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8133A (ko) * 2000-12-16 2002-06-22 이계안 차량의 후진 경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142B1 (ko) 1997-06-27 1999-09-15 전주범 자동차용 후방장애물 초음파 감지장치
KR20010048168A (ko) * 1999-11-25 2001-06-15 이계안 자동차 후방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8133A (ko) * 2000-12-16 2002-06-22 이계안 차량의 후진 경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751A (ko)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2653B2 (en) Vehicle-use object detection apparatus
EP1640745B1 (en) Obstacl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particularly for systems for assisting the parking of vehicles
US20100188932A1 (en) Low Power Sensor System
KR930002467B1 (ko) 차량용 물체 감지장치
US20090207006A1 (en) Method for Functionally Testing an Ultrasonic Sensor
KR102020630B1 (ko) 차량용 근접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7830244B2 (en) Back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7907475B2 (en) Obstacle detecting system for vehicle
FR2887341A1 (fr) Detecteur de recul sans boite de commande
KR100784601B1 (ko) 차량용 후방거리 감지시스템에 따른 장애물과의 감지거리최적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최적화 방법
JP2013124986A (ja) 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EP1591976B1 (en) Intrusion detection device for spaces
KR101318854B1 (ko) 초음파 센서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699307B1 (ko) 자기식별 초음파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기신호 판별 방법
KR101683652B1 (ko) 대형 차량 침입 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17891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t least partial flooding of a motor vehicle
JP2003057340A (ja) 障害物検知装置
KR20130031655A (ko) 차량의 침입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13124980A (ja) 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KR100602935B1 (ko) 진단/보상 기능을 가진 차량의 장애물 감지 장치 및 방법
EP2207151A1 (en) Upgraded anti break-in system, particularly for applications inside environments, on vehicles or the like
JP3054798B2 (ja) 超音波センサ
KR20150058894A (ko) 잡음 감지 기능을 갖는 장애물 감지 장치와 잡음 감지 방법
JP2002006036A (ja) 超音波の反射波検出方法および超音波センサ装置
KR20050030802A (ko) 주차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