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449B1 - 소독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소독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449B1
KR100784449B1 KR1020070036009A KR20070036009A KR100784449B1 KR 100784449 B1 KR100784449 B1 KR 100784449B1 KR 1020070036009 A KR1020070036009 A KR 1020070036009A KR 20070036009 A KR20070036009 A KR 20070036009A KR 100784449 B1 KR100784449 B1 KR 10078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infection
cooling
pip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독 후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소비량을 저감시키는 소독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독수 냉각장치는, 냉각수를 내장하는 수조, 고온 소독수의 배출관로와 상기 수조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경로로 고온의 소독수를 통과시키면서 제2 경로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수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수조, 펌프, 열교환기

Description

소독수 냉각장치 {DISFECTING WATER COOL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냉각장치를 적용한 소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소독장치에서 소독부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1의 소독장치에서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소독부에서 배출관로를 연결하는 이젝터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소독장치에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6은 도1의 소독장치에서 소독수 냉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7은 도6의 소독수 냉각장치에서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9는 도7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0은 일반적인 소독장치에 적용되는 소독부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소독수 냉각장치 44 : 배출관로
60 : 수조 70 : 열교환기
80 : 펌프 P1, P2 : 제1, 제2 경로
71 : 외측 파이프 72, 73 : 제1, 제2 마감부재
74 : 내측 파이프 75, 76 : 제1, 제2 캡
77, 78 : 제1, 제2 소켓 721, 731 : 관통구
752 : 냉각전 소독수 챔버 762 : 냉각후 소독수 챔버
771 : 냉각수 인입구 781 : 냉각수 배출구
751 : 소독수 인입구 441 : 제1 배출관로
761 : 소독수 배출구 81 : 흡입관로
82 : 제2 배출관로
본 발명은 소독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독 후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소비량을 저감시키는 소독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독장치는 소규모 병원에서 사용된다. 소독장치는 실내 및 수술실 내에 설치되며, 진료기구, 수술도구 및 침구류들을 소독하는 데 사용된다. 소독장치는 고온 고압의 챔버 내에 투입되는 소독 대상물을 멸균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독장치는 챔버, 챔버를 둘러싸서 내장하고 소독수 및 수증기로 채워지는 재킷, 소독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산하는 히터, 및 히터에서 가열된 고온 고압의 수증기를 챔버로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관로를 포함한다.
소독장치에서, 챔버에 소독 대상물을 채우고, 히터를 구동시켜 소독수를 가열하며, 가열된 고온의 수증기를 재킷에서 챔버로 공급하므로, 챔버 내의 소독 대상물은 고온 고압의 수증기에 의하여 멸균 처리된다.
소독 대상물을 소독한 후, 챔버와 재킷에 들어 있는 100도씨 이상의 소독수 및 수증기는 소독장치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배출된다. 고온 고압의 소독수는 합성수지재의 하수관로를 변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냉각시켜 하수관로로 보내어야 한다. 고온 고압의 소독수 냉각을 위하여, 소독수 배출구에 냉각수관로를 배치하고, 배출되는 소독수와 함께 저온의 냉각수(예를 들면, 수돗물)를 같이 흘러 보낸다.
고온의 소독수는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저온의 소독수는 하수관로로 배출된다.
소독장치는 소량의 고온 고압의 소독수 냉각을 위하여, 많은 양의 냉각수를 소비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유지 비용(예를 들면, 수돗물 사용 요금)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독 후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소비량을 저감시키는 소독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냉각장치는, 냉각수를 내장하는 수조, 고온 소독수의 배출관로와 상기 수조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경로로 고온 고압의 소 독수를 통과시키면서 제2 경로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수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외측 파이프, 상기 외측 파이프의 양단에 구비되고 복수의 관통구들을 형성하는 제1 마감부재와 제2 마감부재, 상기 제1 마감부재와 상기 제2 마감부재의 대응 관통구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내측 파이프들, 상기 제1 마감부재 측과 상기 제2 마감부재 측의 상기 외측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들을 통하여 상기 제1 경로의 소독수 인입구와 소독수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1 캡과 제2 캡, 및 상기 외측 파이프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들의 외주와 상기 외측 파이프의 내주를 통하여 상기 제2 경로의 냉각수 인입구와 냉각수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1 마감부재는 서로의 사이에 냉각전 소독수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캡과 상기 제2 마감부재는 서로의 사이에 냉각후 소독수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증기/소독수 배출구와 상기 소독수 인입구는 배출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소독수 배출구와 상기 수조는 제1 배출관로로 연결되며, 상기 수조와 상기 냉각수 인입구는 상기 펌프를 구비하는 흡입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 배출구와 상기 수조는 제2 배출관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냉각장치를 적용한 소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소독수 냉각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되는 소독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편의상 도1을 참조하여 소독장치를 설명하면서 소독수 냉각장치를 같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소독장치는 소독수 및 수증기를 사용하여 소독 대상물을 소독하는 소독부(100)와, 소독부(100)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는 소독수 냉각장치(200)를 포함한다.
편의상, 도1의 소독장치는 소독부(100)와 소독수 냉각장치(200)의 개략적인 배치관계를 예시한다. 소독장치는 프레임(300)으로 형성되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소독부(100)을 최소화하고, 소독수 냉각장치(200)를 최대화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300)은 수직 기둥들(310)과 중간 지지대(320) 및 하부 지지대(330)를 포함한다. 수직 기둥들(310)은 프레임(300)의 수직 방향을 한정한다. 중간 지지대(320)는 수직 기둥들(310)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소독부(100)를 장착 지지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부 지지대(330)는 소독부(100)의 하측에서 수직 기둥들(310)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소독수 냉각장치(200)를 장착 지지하는 공 간을 제공한다.
소독장치는 직접 소독과정을 수행하는 소독부(100)와, 소독부(100)에 연결되어 소독 후 고온 고압의 소독수 및 수증기를 배출하는 이젝터(400)를 포함한다(도2 참조)
도2는 도1의 소독장치에서 소독부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소독부(100)는 챔버(10), 재킷(20) 및 히터(30)를 포함한다. 챔버(10)는 소독 대상물을 내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뚜껑(11)을 구비한다.
재킷(20)은 챔버(10)를 둘러싸도록 챔버(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챔버(10)와 함께 소독부(100)의 근간을 형성한다. 챔버(10)와 재킷(20)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소독시, 공간(S)은 소독수와 수증기로 채워진다.
재킷(20)은 소독수 공급관로(21)에 연결된다. 소독수 공급관로(21)는 통상적으로 수도관로(미도시)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공급한다.
또한, 재킷(20)은 수증기관로(22)를 통하여 챔버(10)에 연결된다. 수증기관로(22)는 재킷(20)에서 발생시키는 고온 고압의 수증기를 챔버(10) 내부로 공급한다. 고온 고압의 수증기는 챔버(10) 내부의 소독 대상물을 소독한다.
챔버(10)과 재킷(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재킷(20) 내부의 공간(S)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게 된다.
히터(30)는 재킷(20) 내의 공간(S)에 설치어, 재킷(20)에 공급되는 소독수를 가열하여 고온의 수증기로 변화시킨다.
도3은 도1의 소독장치에서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히터(30)는 다수의 가열봉들(31)을 포함한다. 가열봉들(31)는 전기적인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열봉들(31)은 챔버(10)와 재킷(20) 사이 공간(S)에 설치되며, 공간(S)의 곡률을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면, 볼트(32)는 플레이트(33)를 관통하여 장착부(34)에 체결되므로 히터(30)를 장착한다. 플레이트(33)에는 복수의 가열봉들(31)이 장착된다. 장착부(34)는 플레이트(33)에 마주하는 재킷(20)에 형성된다. 장착부(34)는 공간(S)의 곡률에 따른 개구(35)를 형성한다.
가열봉들(31)은 개구(35)를 통하여 삽입되어, 챔버(10)의 외측이고 재킷(20)의 내측 사이 공간(S)의 곡률을 따라 배치된다.
곡률을 따라 배치되는 가열봉들(31)은 챔버(10)와 재킷(20) 사이 공간(S)의 한쪽에 몰아 놓은 배치에 비하여 소독수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가열봉들(31)은 챔버(10) 및 재킷(20) 사이 공간(S)에서 챔버(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열봉들(31)은 챔버(10) 및 재킷(20) 길이의 전범위에서 소독수를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이젝터(400)는 챔버(10)와 재킷(20)에 연결된다. 챔버(10)에는 소독수 배출관로(12)가 연결되고, 재킷(20)에는 수증기 배출관로(23)가 연결된다.
도4는 도2의 소독부에서 배출관로를 연결하는 이젝터의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이젝터(400)는 대관로(41), 소관로(42) 및 수증기/소독수 배출구(43)를 구비한다.
대관로(41)는 소독수 배출관로(12)를 통하여 챔버(10)에 연결되어 소독수를 이젝터(400)로 유도한다. 소관로(42)는 수증기 배출관로(23)를 통하여 재킷(20)에 연결되어 수증기를 이젝터(400)로 유도한다. 또한 수증기/소독수 배출구(43)는 챔버(10) 반대쪽에서 소관로(42) 및 대관로(41)에 연결되어 소독수 및 수증기를 이젝터(400)에서 배출관로(44)로 배출한다.
도5는 도1의 소독장치에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히터(30), 수증기 공급관로(22), 소독수 배출관로(12) 및 수증기 배출관로(23)를 각각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500)는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처리부(50), 제어부(50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챔버 온도센서(51)와 재킷 압력센서(52), 제어부(50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챔버-재킷 솔레노이드 밸브(53), 재킷-이젝터 솔레노이드 밸브(54), 및 챔버 이젝터 솔레노이드 밸브(55)를 포함한다.
챔버 온도센서(51)는 소독장치를 가동하는 동안, 챔버(10) 내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챔버 온도센서(51)는 챔버(1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나,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챔버(10)에 연결되는 소독수 배출관로(12)에 설치되고 신호처리부(50)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재킷 압력센서(52)는 소독장치를 가동하는 동안, 재킷(20) 내 소독수 및 수증기의 압력을 감지한다. 재킷 압력센서(52)는 재킷(20)에 직접 설치되고, 신호처리부(50)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챔버-재킷 솔레노이드 밸브(53)는 수증기 공급관로(22)에 설치되고 신호처리부(5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챔버-재킷 솔레노이드 밸브(53)는 소독 시작시 온 제어되고, 소독 중 챔버(20) 내의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제어된다. 따라서 챔버(10)는 소독 가능한 일정 범위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한다.
재킷-이젝터 솔레노이드 밸브(54)는 수증기 배출관로(23)에 설치되고 신호처리부(5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재킷-이젝터 밸브(54)는 재킷(20) 내의 수증기 배출시 온 제어되고, 소독 중에는 오프 제어된다.
챔버-이젝터 솔레노이드 밸브(55)는 소독수 배출관로(12)에 설치되고 신호처리부(5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챔버-이젝터 솔레노이드 밸브(55)는 챔버(10) 내의 소독수 배출시 온 제어되고, 소독 중에는 오프 제어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소독수 배출관로(12)에는 스팀트랩(13)이 설치되어, 챔버(10) 내부의 수증기를 고온 고압으로 유지시킨다. 스팀트랩(13)은 바이패스관로(14)를 통하여 배출관로(44)에 연결된다. 소독수 배출관로(12)는 체크 밸브(15)를 구비하여 배출관로(44)에 연결된다. 체크 밸브(15)는 배출관로(44)에서 소독수 배출관로(12)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스팀트랩(13)은 소독장치를 가동하는 동안, 소량의 소독수를 배출시킨다. 스팀 트랩(13)을 통하여 배출되는 소량의 소독수는 바이패스관로(14)를 통하여 배출관로(44)로 배출된다. 따라서 챔버(10)는 히터(30)의 작동에 의하여 내부를 고온 고압으로 유지한다.
도2에서 챔버-재킷, 재킷-이젝터, 챔버-이젝터 솔레노이드 밸브들(53, 54, 55)은 소독 중인 상태로 각각 오프 제어되어 있다. 소독 후, 신호처리부(50)는 재킷-이젝터, 챔버-이젝터 솔레노이드 밸브들(54, 55)을 온으로 제어한다.
이때, 고온의 소독수를 소독수 배출관로(12)로 배출하고, 고온 고압의 수증기를 수증기 배출관로(23)로 배출한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이젝터(400)에서 소관로(42)에는 고온 고압의 수증기가 분사되면서 수증기/소독수 배출구(43) 및 배출관로(44)로 배출된다.
수증기의 배출에 따른 흡인력에 의하여, 대관로(41)에는 고온의 소독수가 끌리어 수증기와 함께 수증기/소독수 배출구(43) 및 배출관로(44)로 배출된다.
이때, 소관로(42)로 고온 고압의 수증기가 계속 분사되도록 히터(30)는 재킷(20)의 공간(S)을 계속 가열하여 고온 고압을 유지한다. 챔버(10) 내부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진행된다.
한편, 소독장치는 소독수 냉각장치(2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독수 냉각장치(200)를 구비한 소독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소독수 냉각장치(200)는 소독부(100)의 하방에 설치되어, 배출관로(44)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켜 하수관로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소독수 냉각장치(200)는 이젝터(400)의 수증기/소독수 배출구(43) 및 배출관로(44)에 연결된다.
도6은 도1의 소독장치에서 소독수 냉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소독수 냉각장치(200)는 수조(60), 열교환기(70) 및 펌프(80)를 포함한다.
수조(60)는 냉각수를 담고 있다. 냉각수의 양은 소독부(100)에서 배출되는 소량의 고온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켜 안전한 온도로 낮출 수 있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소독부(100)에서 배출되는 고온 소독수량은 2-5리터이고, 수조(60)의 저온 냉각수량은 1000-2000리터이다.
수조(60)의 용량은 소독부(100)의 챔버(10) 및 재킷(20)의 용적과 소독장치의 연속 사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70)는 수증기/소독수 배출구(43) 및 배출관로(44)와 수조(60) 사이에 설치된다. 배출관로(44)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소독수는 열교환기(70)를 통하여 제1 경로(P1)를 형성하면서 배출된다.
펌프(80)는 열교환기(70)와 수조(60)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펌프(8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열교환기(70)를 통하여 수조(60)로 순환하는 제2 경로(P2)를 형성한다.
제1 경로(P1)와 제2 경로(P2)는 서로 독립된 경로를 형성하면서,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감압하여 저온으로 냉각시킨다. 또한 제1 경로(P1)는 고온 고압의 수증기 압력을 낮춘다. 동시에 제1 경로(P1)와 제2 경로(P2)를 통하여 소독수와 냉각수는 수조(60)에서 서로 혼합된다. 냉각수는 고온으로, 소독수는 저온으로 된다.
이때, 냉각수의 양이 소독수의 양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고온의 소독수는 충분히 안전한 온도로 냉각되며, 수조(60)의 용량을 초과하는 냉각수와 소독수의 혼합수는 넘쳐서 하수관로로 배출된다.
또한 수조(60)에서 넘치는 혼합수는 소독부(100)에서 배출되는 미량의 소독 수의 양만큼만 배출되므로, 소독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양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소독장치가 소독수 냉각장치(200)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펌프(80)를 포함한다. 펌프(80)는 신호처리부(5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소독 완료 후, 소독수 배출시 구동되어 고온의 소독수를 냉각시킨다.
도7은 도6의 소독수 냉각장치에서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9는 도7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열교환기(70)는 외측 파이프(71), 제1 마감부재(72), 제2 마감부재(73), 내측 파이프들(74), 제1 캡(75), 제2 캡(76), 제1 소켓(77) 및 제2 소켓(78)을 포함한다.
외측 파이프(71)는 열교환기(70)의 전체적인 형상 및 열교환 용량을 결정한다. 고온 소독수의 배출양에 따라 외측 파이프(71)는 적절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마감부재(72)는 외측 파이프(7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마감부재(73)는 외측 파이프(7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다. 제1 마감부재(72)와 제2 마감부재(73)는 각각 복수의 관통구(721, 731)를 구비한다.
내측 파이프들(74)은 제1 마감부재(72)의 관통구들(721)과 제2 마감부재(73)의 대응 관통구들(731)에 걸쳐서 각각 설치된다. 내측 파이프들(74)의 내측은 제1 경로(P1)를 형성하고, 내측 파이프들(74)의 외측은 제2 경로(P2)를 형성한다.
제1 캡(75)은 제1 마감부재(72) 측의 외측 파이프(71)에 나사 결합되고, 제2 캡(76)은 제2 마감부재(73) 측의 외측 파이프(71)에 나사 결합된다. 제1 캡(75)은 제1 경로(P1)의 소독수 인입구(751)를 형성하고, 제2 캡(76)은 제1 경로(P1)의 소독수 배출구(761)를 형성한다.
제1 캡(75)과 제1 마감부재(72) 사이에 냉각전 소독수 챔버(752)가 형성된다. 냉각전 소독수 챔버(752)는 냉각전 고온 고압의 소독수를 내측 파이프들(74)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효과적인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캡(76)과 제2 마감부재(73) 사이에 냉각후 소독수 챔버(762)가 형성된다. 냉각후 소독수 챔버(762)는 냉각후 저온의 소독수를 혼합하여 또한 효과적인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소켓(77)은 외측 파이프(7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제2 소켓(78)은 외측 파이프(7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다.
제1 소켓(77)은 제2 경로(P2)의 냉각수 인입구(771)를 형성하고, 제2 소켓(78)은 제2 경로(P2)의 냉각수 배출구(781)를 형성한다. 제1 소켓(77)과 제2 소켓(78)은 외측 파이프(71) 상에서 가능한 멀리 배치된다.
따라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2 경로(P2)가 길어지고, 또한 소독수의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소독수 냉각장치(200)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보면, 배출관로(44)는 수증기/소독수 배출구(43)와 소독수 인입구(751)를 연결한다. 제1 배출관로(441)는 소독수 배출구(761)와 수조(60)를 연결한다.
흡입관로(81)는 수조(60)와 냉각수 인입구(771)를 연결한다. 흡입관로(81)에는 펌프(80)가 구비된다. 제2 배출관로(82)는 냉각수 배출구(781)와 수조(60)를 연결한다.
고온 고압의 소독수는 열교환기(70)를 경유하면서 감압 냉각되어 수조(60)로 유입된다. 또한 냉각수는 열관환기(70)를 경유하면서 가열되어 수조(60)로 유입된다. 따라서 소독수와 냉각수는 서로 혼합되어 수조(60) 내에서 혼합수를 형성하며, 혼합수의 온도는 최초 냉각수의 온도보다 상승한다.
그러나 고온 소독수의 양에 비하여 저온 냉각수의 양이 절대적으로 많고, 소독장치를 구동하는 시간은 수시간에 지나지 않으므로 고온의 소독수는 충분히 낮은 온도의 혼합수로 될 수 있다.
저온의 혼합수는 수조(60)의 만수위를 넘어서 하수관로로 배출된다. 이때 고온 소독수의 소량에 상응하는 양만큼 혼합수는 배출된다.
도10은 일반적인 소독장치에 적용되는 소독부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소독수 냉각장치(200)는 도1 및 도2와 같은 소독부(100)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도10와 같이 구성되는 소독부(6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10의 소독부(600)는 전체적으로 도1 및 도2의 소독부(1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양자에서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독부(600)는 별도의 히터(130)를 구비한다. 소독수 공급라인(21)은 히터(130)에 연결되고, 히터(130)는 재킷(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소독수는 히터(130)에서 가열되어, 재킷(20) 내의 공간(S)으로 공급된다. 공간(S)에는 고온 고 압의 소독수 및 수증기가 채워진다.
소독부(600)는 챔버(10)에 내장된 대상 소독물을 소독한 후, 고온 고압의 수증기와 고온의 소독수를 배출관로(44)로 배출한다. 배출관로(44)로 배출되는 고온의 소독수는 소독수 냉각장치(200)에서 냉각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1 내지 도9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를 생략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냉각장치는 수조, 펌프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열교환기는 배출관로로 배출되는 고온 소독수를 통과시키며, 동시에 펌프는 수조의 냉각수를 열교환기를 통하여 다시 수조로 순환시킨다.
소독 후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소독수는 열교환기에서 감압되고 저온으로 냉각되어 냉각수와 함께 수조로 다시 공급된다. 고온 소독수의 효과적인 냉각은 냉각수의 소비량을 최소화한다. 즉 냉각수의 사용에 따른 비용이 저감된다.

Claims (4)

  1. 소독 대상물을 내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둘러싸서 형성되고 소독수 공급관로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에 수증기 공급관로로 연결되는 재킷, 및 상기 재킷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소독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독수와 상기 수증기를 고온 고압으로 배출하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수증기/소독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수증기를 포함한 고온 고압의 상기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독수보다 저온의 냉각수를 내장하는 수조;
    상기 이젝터에 배출관로로 연결되고, 제1 배출관로로 상기 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소독수의 제1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조에 흡입관로로 연결되고, 제2 배출관로로 상기 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의 제2 경로를 형성하여, 고온 고압의 상기 소독수를 감압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흡입관로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소독수 냉각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외측 파이프,
    상기 외측 파이프의 양단에 구비되고 복수의 관통구들을 형성하는 제1 마감부재와 제2 마감부재,
    상기 제1 마감부재와 상기 제2 마감부재의 대응 관통구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내측 파이프들,
    상기 제1 마감부재 측과 상기 제2 마감부재 측의 상기 외측 파이프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들을 통하여 상기 제1 경로의 소독수 인입구와 소독수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1 캡과 제2 캡, 및
    상기 외측 파이프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들의 외주와 상 기 외측 파이프의 내주를 통하여 상기 제2 경로의 냉각수 인입구와 냉각수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을 포함하는 소독수 냉각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1 마감부재는 서로의 사이에 냉각전 소독수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캡과 상기 제2 마감부재는 서로의 사이에 냉각후 소독수 챔버를 형성하는 소독수 냉각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챔버에 소독수 배출관로로 연결되는 대관로,
    상기 재킷에 수증기 배출관로로 연결되는 소관로, 및
    상기 챔버 반대쪽에 연결되고 상기 소관로 및 상기 대관로에 연결되는 상기 수증기/소독수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소독수 배출구는 상기 배출관로로 상기 소독수 인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소독수 배출구는 상기 제1 관로로 상기 수조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와 상기 냉각수 인입구는 상기 펌프를 구비하는 상기 흡입관로로 연결되며,
    상기 냉각수 배출구와 상기 수조는 제2 배출관로로 연결되는 소독수 냉각장치.
KR1020070036009A 2007-04-12 2007-04-12 소독수 냉각장치 KR10078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009A KR100784449B1 (ko) 2007-04-12 2007-04-12 소독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009A KR100784449B1 (ko) 2007-04-12 2007-04-12 소독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449B1 true KR100784449B1 (ko) 2007-12-12

Family

ID=3914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009A KR100784449B1 (ko) 2007-04-12 2007-04-12 소독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3514A (zh) * 2019-12-18 2020-04-17 安徽昊源化工集团有限公司 乙苯脱氢生产苯乙烯产物热量回收节能降耗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275A (ko) 1996-04-04 1999-03-25 데니스 이. 제이. 존슨 물을 비화학적으로 플라즈마 이온 소독하는 장치및 방법
KR20010084483A (ko) 2000-02-25 2001-09-06 송기용 사료차용 소독액 얼림방지장치
KR20020081775A (ko) 2001-04-19 2002-10-30 김진혁 냉각장치
KR200398404Y1 (ko) * 2005-07-06 2005-10-12 주식회사 에이알 공랭식 응축기의 살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275A (ko) 1996-04-04 1999-03-25 데니스 이. 제이. 존슨 물을 비화학적으로 플라즈마 이온 소독하는 장치및 방법
KR20010084483A (ko) 2000-02-25 2001-09-06 송기용 사료차용 소독액 얼림방지장치
KR20020081775A (ko) 2001-04-19 2002-10-30 김진혁 냉각장치
KR200398404Y1 (ko) * 2005-07-06 2005-10-12 주식회사 에이알 공랭식 응축기의 살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at Transfer(1989) SI Metric Ed., McGraw-Hill. Inc., pp532-53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3514A (zh) * 2019-12-18 2020-04-17 安徽昊源化工集团有限公司 乙苯脱氢生产苯乙烯产物热量回收节能降耗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1279B1 (en) Heat disinfection of a water supply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US6656423B1 (en) Sterile water generator
CN103874513B (zh) 用于对医疗装置进行消毒的设备
US8062002B2 (en) Vacuum unit for steam sterilizer
KR20170024837A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살균방법
KR100784449B1 (ko) 소독수 냉각장치
KR100780879B1 (ko) 소독장치
US7586104B2 (en) Non-heating typ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US20200061230A1 (en)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148084B2 (en)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2258061B1 (ko) 고압증기멸균기
KR101038273B1 (ko) 일체형 멸균 건조장치
FI20011952A (fi) Menetelmä ja laite biojätteen steriloimiseksi
KR101753530B1 (ko) 직수형 고온살균 급수시스템
EA022088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стерилизации воды для орошения поршней в поршневом насосе или гомогенизаторе
KR100856057B1 (ko) 소독기
KR101585470B1 (ko) 냉온정수기
KR101655999B1 (ko) 소독장치
JP7225515B2 (ja) 処理システム
KR101849075B1 (ko) 수처리장치 및 그 살균방법
JP3748839B2 (ja) 汚水滅菌装置
KR101640031B1 (ko) 냉온수기의 살균기구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