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788B1 -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788B1
KR100783788B1 KR1020060137539A KR20060137539A KR100783788B1 KR 100783788 B1 KR100783788 B1 KR 100783788B1 KR 1020060137539 A KR1020060137539 A KR 1020060137539A KR 20060137539 A KR20060137539 A KR 20060137539A KR 100783788 B1 KR100783788 B1 KR 10078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or
unit cell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섭
이장익
김정호
심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6013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된 에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의 상측에 에어의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전방부 및 후방부의 일측에 에어의 유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내설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의 필터백(130)과; 상기 양측 유출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필터백(130)의 양단부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역세부(14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역세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제이송부(16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강제이송된 먼지를 배출하는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집진장치의 측면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형성하므로, 수직적층시 측면으로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져 설치공간의 제약을 점감 할 수 있고, 작은 공간에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필터백, 집진장치, 단위셀, 적층

Description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Extendable unit cell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확장형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확장형 집진장치의 필터백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에서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역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밴츄리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측면도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측면도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부 110: 유입부
120: 유출부 130: 필터백
140: 역세부 150: 측면도어
160: 강제이송부 170: 배출부
본 발명은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장치의 측면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형성하므로, 수직적층시 측면으로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져 설치공간의 제약을 점감 할 수 있고, 작은 공간에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필터백의 사이즈 및 배열을 균일하게 하게 하므로, 유지보수비용 및 운전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필터백 및 본체부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유출부를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므로, 오염에어의 성질에 따라서 유출이 가능하고 분진의 유속이 향상되어 원활하게 먼지나 분진을 배출시킬 수 있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공기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장치로서, 그 장치의 내부에 공기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집진필터가 다수개 내장되어 있어, 분진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후드(hood)를 개재해서 포집하여 덕트(duct)를 통해서 집진장치로 이동하여 필터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여,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먼지는 불출설비에 의해 폐기물로 처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집진장치는 진집설비의 확장시 필터의 면적에 따라서 처리효 율이 결정되므로, 집진설비가 대형화되고 운전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설치공간의 제약 때문에 필터백의 사이즈 및 배열이 다양하게 변동되어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집진된 분진의 배출이 수직하방으로 이루어져 집진장치가 수평적으로 구성되므로 설치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확장성이 저하되며, 제작비용 및 보수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집진장치는, 외측을 이루는 케이스(10)의 상부에는 여과 전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구비된 상부캡(14)을 구비하고,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는 유입구(12)로 유입된 공기가 케이스(10) 내에 장착된 필터(16)에서 여과되어 유출되도록 구획되어진 유출구(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0)의 하부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19)가 구비된 하부캡(20)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외주 일측에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필터(16) 내의 중공부로 각각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필터(16)의 외측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기 위한 에어 헤더(22)가 구비되어 있었다. 이 에어 헤더(22)에는 각각의 필터(16)의 중공부 내로 분기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분기관(22a)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분진공기의 유입이 1개 입구부만으로 유입되어 상층의 필터백에만 다량의 분진이 필터링되므로, 필터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고, 빈번한 유지보수로 인하여 운전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 었다.
또한, 필터백이 주로 부직포와 같은 섬유소재 또는 종이소재로 이루어지나 필터백의 지지구조가 미약하므로 구조성능이 저하되어 필터링 효율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집진장치의 측면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형성하므로, 수직적층시 측면으로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져 설치공간의 제약을 점감 할 수 있고, 작은 공간에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필터백의 사이즈 및 배열을 균일하게 하게 하므로, 유지보수비용 및 운전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필터백 및 본체부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유출부를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므로, 오염에어의 성질에 따라서 유출이 가능하고 분진의 유속이 향상되어 원활하게 먼지나 분진을 배출시킬 수 있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염된 에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의 상측에 에어의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전방부 및 후방부의 일측에 에어의 유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내설되되, 전방에 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의 필터백(130)과; 상기 양측 유출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필터백(130)의 양단부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역세부(14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역세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제이송부(16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강제이송된 먼지를 배출하는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100) 및 필터백(13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진 소정각도(α)는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백(130)은 원통형상의 백케이지(131) 외측 둘레에 필터(13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백(13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된 튜브시트(134)를 개재해서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만곡형 벤츄리관(133)이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역세부(140)는, 에어가 저장되는 에어헤더(141)와, 에어헤더(141)에서 분기된 복수의 블로우튜브(143)와, 블로우튜브(14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필터백(130)에 고압에어를 분사하는 노즐(1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제이송부(160)는 스크류 컨베이어(161) 및 구동모터(1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개폐가능한 복수의 측면도어(150)가 밀폐되도록 설치되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수직상방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장치는 2열로 적층형성되어 유입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장치는 일측 열의 전방부와 타측 열의 후방부가 동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에서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역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밴츄리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의 측면도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 진장치의 측면도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는 본체부(100), 필터백(130), 역세부(140), 강제이송부(1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오염된 에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장치이다.
본체부(100)에는 일측면의 상측에 에어의 유입부(110)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방부 및 후방부의 일측에 에어의 유출부(120)가 각각 대략직사각 형상으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에어가 본체부(100)의 측면 상측에 형성된 유입부(110)를 개재해서 유입되어, 필터링된 후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각각의 유출부(120)을 개재해서 전방 및 후방으로 유출된다.
또한, 본체부(1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필터링에서 걸러진 먼지가 자중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서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모여지게 된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소정각도의 경사각(α)은, 경사가 40°보다 작으면 걸러진 먼지나 역세된 먼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고, 50°보다 크면 본체부(100)의 적층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체하중이 전방측으로만 집중되어 구조성능이 저하되므로, 40∼5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의 유입부(110) 및 유출부(120)는 측면에 형성되므로, 수직으로 적층시 측면의 유입부(110) 및 유출부(120)를 개재해서 순차적으로 수직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개폐가능한 복수의 측면도어(150)가 밀폐되도록 설치되어, 필터백(130)의 교체시 또는 보수시에 측면도어(150)를 개방하여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필터백(130)은 원통형상이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0) 내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복수개가 내설되되, 본체부(100)와 마찬가지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백(130)의 소정각도의 경사각(α)은, 경사가 40°보다 작으면 필터백(130)의 역세시 양단부의 에어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50°보다 크면 필터백(13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터백(130)의 하중이 전방측으로만 집중되어 구조성능이 저하되므로, 40∼5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백(130)은 원통형상 또는 봉형상의 백케이지(131)가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백케이지(131)의 외측 둘레에 섬유재의 필터(132)가 재봉되어 설치된다. 필터백(130)의 표면은, 정전기 방지를 위한 제전처리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발수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백(130)은 본체부(100)의 전방 및 후방 내측에 설치된 튜브시트(134)를 개재해서 고정되어 내설되며, 필터백(130)의 양단부에는 만곡형 벤츄리관(133)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벤츄리관(133)은 입구부(133a)가 출구부(133b) 보다 넓게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역세시 고압에어가 입구부(133a)에 분사되는 경우에 더욱 가속된다.
도 8 및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역세부(140)는 본체부(100)의 양측 유출부(120)의 일측에 돌출설치되어, 필터백(130)의 양단부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필터백(130)에 걸러진 먼지를 역세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역세부(140)는, 외부의 에어공급부(도시안함)에서 공급된 에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에어의 압력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에어헤더(141)와, 에어헤더(141)에서 분기되어 고압에어가 분배되는 복수의 블로우튜브(143)와, 블로우튜브(14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필터백(130)에 고압에어를 분사하는 노즐(144)로 이루어진다.
또한, 블로우튜브(143)의 일단부는 에어헤드(141)에 제어밸브(142)를 개재해서 연통되고, 타단부는 본체부(100)의 전방 및 후방에 입설된 튜브브래킷(145)을 개재해서 고정되어 있다.
강제이송부(160)는 본체부(100)의 내측 전방에 즉, 강제이송부(16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역세부(140)에 의해 필터백(130)으로부터 역세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며, 본체부(10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62)와 이 구동모터(162)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 컨베이어(161)로 이루어진다.
또한, 강제이송부(160)의 구동모터(162) 및 스크류 컨베이너(161)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에 의해 일정량의 먼지가 본체(100)의 전방 하측에 형성된 호퍼(102)에 축척된 경우 작동하거나, 항상 통전되어 작동가능함은 물론이다.
배출부(170)는 본체부(100)의 전방 일측 하부에, 즉 강제이송부(160)의 스크류 컨베이너(161)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강제이송부(160)에 의해 강제이송된 먼지 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배출부(170)는 스크류 컨베이너(161)의 후단부에 설치된 드레인홀(173)과 이 드레인홀(173)의 하류에 슬라이드 게이트(172)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게이트(172)의 하류에 로터리 밸브(171)가 설치되어 먼지의 외부로의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집진시스템은 상기 실시예의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200)를 수직상방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며, 에어 유입관(210)과 에어유출관(220)이 집진장치(200)의 유입부(201)과 유출부(202)에 각각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집진시스템의 둘레에는 적층된 복수의 집진장치(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30)이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230)의 둘레에는 작업자의 이 동을 위한 계단 및 난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집진시스템은, 복수의 집진장치(200)가 수직상방의 2열로 적층형성되어 유입부(201)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유입부(201)에는 양측의 유입부(201) 사이에 설치된 에어 유입관(210)이 각각 연통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집진시스템은, 복수의 집진장치(200)의 일측면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형성된 유출부(202)에는 지지프레임(230)의 외측에 설치된 에어 유출관(220)이 각각 연통된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의 집진시스템은 집진장치(200)가 수직상방으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일층 집진장치의 유출부(201)를 하층 집진장치의 유입부(202)와 연통시켜 각각의 집진장치에서 하방 순차적으로 집진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집진시스템의 집진장치(200)는 일측 열의 집진장치와 타측 열의 집진장치가 점대칭으로 설치되므로, 일측 열의 전방부와 타측 열의 후방부가 동일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1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집진시스템은 에어유입관(210)이 각각의 유입부(201)에 제어밸브(212)를 개재해서 연통되므로, 각각의 층별로 오염된 에어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에어배출관(220)도 마찬가지로 제어밸브를 개재해서 각각의 유출부(202)에 연통되므로, 각각의 층별로 집진된 에어의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집진시스템은 각각의 집진장치(200)의 역세부(204)가 고압에어 공급관과 각각 연통되므로 각각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강제이송부(106)도 각각의 집 진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배출부(107)도 마찬가지로 각각 먼지 배출관(240)에 연통설치되어 각각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에어의 양이나 오염도에 의거해서, 집진시스템의 전체 집진장치(200)를 가동시키거나 일부의 집진장치(200)만을 가동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에어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처리비용을 저감시길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진장치의 측면에 유입부 및 유출부를 형성하므로, 수직적층시 측면으로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져 설치공간의 제약을 점감 할 수 있고, 작은 공간에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필터백의 사이즈 및 배열을 균일하게 하게 하므로, 유지보수비용 및 운전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필터백 및 본체부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유출부를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므로, 오염에어의 성질에 따라서 유출이 가능하고 분진의 유속이 향상되어 원활하게 먼지나 분진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오염된 에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의 상측에 에어의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전방부 및 후방부의 일측에 에어의 유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내설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의 필터백(130)과;
    상기 양측 유출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필터백(130)의 양단부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역세부(14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역세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제이송부(16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강제이송된 먼지를 배출하는 배출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 및 필터백(13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진 소정각도(α)는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130)은 원통형상의 백케이지(131) 외측 둘레에 필터(13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13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된 튜브시트(134)를 개재해서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만곡형 벤츄리관(133)이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부(140)는, 에어가 저장되는 에어헤더(141)와, 에어헤더(141)에서 분기된 복수의 블로우튜브(143)와, 블로우튜브(14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필터백(130)에 고압에어를 분사하는 노즐(1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이송부(160)는 스크류 컨베이어(161) 및 구동모터(1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개폐가능한 복수의 측면도어(150)가 밀폐되도록 설치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8. 상기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를 수직상방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2열로 적층형성되어 유입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일측 열의 전방부와 타측 열의 후방부가 동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스템.
KR1020060137539A 2006-12-29 2006-12-29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 KR10078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39A KR100783788B1 (ko) 2006-12-29 2006-12-29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39A KR100783788B1 (ko) 2006-12-29 2006-12-29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788B1 true KR100783788B1 (ko) 2007-12-10

Family

ID=3914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39A KR100783788B1 (ko) 2006-12-29 2006-12-29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7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699B1 (ko) * 2010-05-20 2012-09-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 시스템의 분진 집적 방지용 스크린장치
KR20170025695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스카이아프 기류 제어 기능을 가진 분진 제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22A (ko) * 1998-09-15 2000-04-15 정일관 흡입다기 및 다층형 집진기
JP2000107533A (ja) 1998-09-30 2000-04-18 Kurimoto Ltd バグフィルタ装置
KR200342510Y1 (ko) 2003-11-07 2004-02-21 대하환경보전 주식회사 분사관 연결용 어댑터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22A (ko) * 1998-09-15 2000-04-15 정일관 흡입다기 및 다층형 집진기
JP2000107533A (ja) 1998-09-30 2000-04-18 Kurimoto Ltd バグフィルタ装置
KR200342510Y1 (ko) 2003-11-07 2004-02-21 대하환경보전 주식회사 분사관 연결용 어댑터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699B1 (ko) * 2010-05-20 2012-09-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 시스템의 분진 집적 방지용 스크린장치
KR20170025695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스카이아프 기류 제어 기능을 가진 분진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8481A1 (en) Dust collector having vertical filters and a filter carriage
JP4722070B2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KR100783788B1 (ko) 확장형 단위셀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시스템
US20150238890A1 (en) Fabric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the same
KR101475866B1 (ko) 백필터 집진장치
CN215703201U (zh) 一种废旧塑料浮水分选流水漂洗设备
CN109235916A (zh) 一种水风循环的墙面清洗装置及其工作方法
CN210889017U (zh) 煤矿巷道煤尘收集除尘装置
KR20090016184A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여과집진기
KR20150099308A (ko) 여과집진기
CN110978336A (zh) 一种废旧塑料壳粉碎装置
KR100885907B1 (ko) 에어 크린룸용 에어 크리닝 유니트
CN106111537B (zh) 一种环保筛石系统
CN205965311U (zh) 一种用于粮食仓储输送设备的卧式除尘器
CN211965322U (zh) 一种高效的纺织设备除尘装置
CN113731046A (zh) 一种脉冲布袋内循环反吹降尘器
CN207733553U (zh) 一种滚筒式洗蚝设备
CN105797461A (zh) 防堵塞的垃圾过滤筛
KR20100018640A (ko) 고압수를 분사하는 관정 세척장치
CN218464781U (zh) 一种选矿机械用输送皮带除尘装置
CN217139808U (zh) 绿色环保集尘装置
CN109364585B (zh) 一种高效清洗过滤器的除尘装置及方法
CN217773348U (zh) 一种反冲洗滤池
CN220142895U (zh) 一种布袋除尘器分室结构
CN215311175U (zh) 一种离线式负压收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