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561B1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561B1
KR100783561B1 KR1020060062568A KR20060062568A KR100783561B1 KR 100783561 B1 KR100783561 B1 KR 100783561B1 KR 1020060062568 A KR1020060062568 A KR 1020060062568A KR 20060062568 A KR20060062568 A KR 20060062568A KR 100783561 B1 KR100783561 B1 KR 10078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screen
event
menu
digit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상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스 filed Critical (주)아이디스
Priority to KR102006006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 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을 공개한다. 외부의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는 영상 입력부, 제어부를 구비하여 영상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편집하여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여, 제어부는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복수개의 카메라 상태 및 카메라의 녹화 조건을 메뉴로 표시하는 제1 화면과, 제1 화면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해 현재 설정된 조건을 표시하는 제2 화면, 및 제2 화면에 표시된 설정 조건을 편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3 화면으로 구성되는 설정 화면을 영상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에 대한 설정을 모두 하나의 화면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녹화 및 부가 기능에 대해 동일한 설정 화면 구성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설정하기 용이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실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 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Digital video record, digital video record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set up screen}
도1 은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a 와 도2b 는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 는 도3 의 자동화 제어부의 자동화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는 도4 에 나타난 자동화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a 와 도7b 는 도6 에 나타난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8 은 도7a 와 도7b 에 도시된 이벤트, 일정 및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순서도이다.
도9 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 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에 대한 설정을 모두 하나의 화면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녹화 및 부가 기능에 대해 동일한 설정 화면 구성을 가지도록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 Digital Video Recorder)는 기존의 아날로그 영상 저장 장치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 Video Cassette Recorder)를 대체하여 보안 감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에 쓰이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가 녹화를 여러 번 반복하는 방식이라 화질이 떨어지고, 비디오 테이프를 교체하는 등 사용이 번거로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개발되었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기존의 비디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등의 디지털 저장매체를 사용하므로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쉽다. 또한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기 때문에 편집과 화상을 전송하기에도 편리하다.
감시용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 동화상 국제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알고리즘 을 이용하여 영상을 압축 복원하여 장시간 녹화 및 재생하여 볼 수 있는 고해상도의 녹화 시스템 방식이다.
움직임 감지(Motion Detection) 기능, 센서(Sensor)와 연결녹화, 자동 팬-틸트-줌(PTZ : Pan-Tilt-Zoom) 제어 기능 및 화상 확대 편집 기능 등 다양한 선택메뉴 기능이 있으며,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등에 반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시간별 날짜별은 물론, 카메라별 이벤트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고, 검색과 백업 및 카메라 제어 등도 가능하다.
도1 은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 에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명령 입력부(10), 영상이나 음성 등의 각종 외부 장치로부터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 처리부(30)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20), 명령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부(20)에서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서 출력부(40)로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30),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인가받은 출력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한 방식으로 출력하는 출력부(40)를 구비한다.
명령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인가받는 부분으로 키보드(keyboard)(11)나 마우스(mouse)(12)가 많이 이용된다. 또한 간단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키보드(11)를 대체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장착된 키패드(keypad)가 이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외부의 원격지에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명령을 인 가할 수 있도록 랜(LAN)(13)과 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외부의 장치와 직접 회선으로 연결되는 통신 포트(14)를 이용하여 근거리의 원격지에서 명령을 인가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20)는 중앙처리부(30)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부분으로 영상을 감지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영상데이터를 인가받는 영상 입력부(21)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영상 입력부(21)는 외부의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한다.
음성 입력부(22)는 주로 외부의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인가받으며, 최근에는 외부의 카메라에 마이크가 함께 내장되어서 영상 입력부(21)에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될 때 음성 입력부(22)에서 음성 데이터를 같이 전송받는다. 저장 장치부(32)에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같이 저장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할 때 음성 데이터도 같이 제공되므로 더 많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더욱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문자열 입력부(23)는 특별한 용도에서 사용되는 기능으로서 은행 현금 자동 인출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s)와 같은 무인 자동화 기기나 POS 시스템, 무인 주유 시스템 등과 같은 문자 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문자열 데이터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로 전송한다.
센서 입력부(24) 온 오프 감지하는 스위치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감지하기 원하는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 는 용도로 사용된다.
중앙처리부(30)는 제어부(31)와 저장 장치부(32), 및 이벤트 감지부(33)로 구성된다.
제어부(31)는 명령 입력부(10)로부터 명령을 인가받아 분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장치를 제어한다. 제어부(31)는 먼저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10)를 통하여 명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설정 화면을 출력부(40)의 영상 출력부(41)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10)로 입력부(20)의 제어 명령을 인하가면 영상 입력부(21)는 외부의 카메라를 회전하거나 줌인(Zoom-in), 줌아웃(Zoom-out)하고, 센서 입력부(24)는 센서를 온 오프하도록 입력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의 명령이 저장 명령이면 입력부(20)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를 저장 장치부(32)에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출력 명령이 인가되면 출력부(40)의 각종 출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와 출력 데이터를 전송한다.
저장 장치부(32)는 제어부(31)에서 저장 명령과 입력 데이터가 인가되면 입력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는 모두 디지털 데이터이므로 저장 장치부(32)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등이 이용된다.
이벤트 감지부(33)는 입력부(20)의 각종 장치들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31)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벤트란 영상 입력부(31)에서 인가되는 영상 입력 데이터에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음성 입력부(32)로부터 소리가 감지되거나, 센서 입력부(34)에서 각 종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로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설치 시에 미리 지정된다.
또한 제어부(31)는 타이머(timer)를 내장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일정에 의해 동작 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영상만을 감지하거나, 일정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하는 등의 단순한 기능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일정에 따라 저장하거나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일정 및 이벤트 발생 여부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즉 지정된 기간에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저장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종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카메라 이상 상태 감지, 움직이는 물체 중 사람의 움직임 감지 등등 이벤트 발생 조건이 더욱 많아졌으며 원격지로 알람을 통보하거나 영상을 전자 메일로 전송하거나 무인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되어 원격지로 알람을 통보하거나 영상을 전자 메일로 전송하거나 에어컨의 전원을 켜고 끄는 등 기본적인 녹화 기능 이외의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동작 방식도 다양화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의 설정 요구는 다양해지고 있으며, 부가적인 기능들 또한 늘어나는 추세에서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은 일정에 대한 설정과 이벤트에 대한 설정 화면이 별도로 되어 있거나, 녹화의 설정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정 설정, 녹화 설정 등등으로 분리되어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그만큼 복잡한 설정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또한 녹화와 이벤트 설정 등에 대해서도 일관성 있는 화면 구성이 아니었다. 또한 영상 출력부(41)에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각종 기능을 아이콘(icon)화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를 지원하고 있으나 일정이나 이벤트, 동작 정보에 대한 설정화면에서는 도2a, 도2b 에서와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아닌 문자 명령 입력 방식을 이용하고 있거나 녹화나 이벤트 동작 등에 대해서 동작 설정 조건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화면 구성 방식이 아니었다. 도2a는 영상 입력부(21)의 카메라 동작 설정이며, 도2b 는 일정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연결 장치 등에 대한 설정은 초기 설치 시에 주로 이용되며 이후로는 자주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정이나 이벤트, 동작 정보 등에 대한 각종 설정은 주변 환경, 시간, 녹화 조건의 변경, 관리 환경 변화 등등에 의해서 종종 사용자가 변경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설정 방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설정 변경 시마다 설명서를 보고 설정하게 된다. 또한 일정을 설정하는 화면과 이벤트를 설정하는 화면 및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에 대하여 모두 별도의 설정 방식이 적용되며, 각각 개별로 출력되므로 일정과 이벤트 등에 대한 연동 동작을 정확히 이해하고 정확한 설정을 구성하기 어렵다. 이렇게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 정보를 개별로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동작, 예를 들면 잘못된 설정으로 인한 녹화 영상 소실, 동일한 조건에서 서로 다른 동작이 설정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작동에 의해 시스템 관리자들의 기기 점 검 등의 불필요한 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자 교육을 강화하려고 해도, 사용자가 사용 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설정하기 편리하도록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에 대한 설정을 모두 하나의 화면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녹화 및 부가 기능에 대해 동일한 설정 화면 구성을 가지도록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외부의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는 영상 입력부, 제어부를 구비하여 영상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편집하여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여, 제어부는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복수개의 카메라 상태 및 카메라의 녹화 조건을 메뉴로 표시하는 제1 화면과, 제1 화면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해 현재 설정된 조건을 표시하는 제2 화면, 및 제2 화면에 표시된 설정 조건을 편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3 화면 으로 구성되는 설정 화면을 영상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화면은 영상 입력부, 센서 입력부, 음성 입력부, 문자 입력부와 연결된 외부의 입력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자체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 시스템 설정 메뉴, 복수개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녹화 조건 메뉴를 구비하고, 일정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동작 설정 메뉴로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화면은 현재 설정된 조건이 복수개이면 각각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에 대한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작 조건 표시창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된 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일정 출력창, 설정된 이벤트를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벤트 출력창, 및 설정되어 있는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하게 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내용 출력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화면은 제2 화면에 상기 동작 조건 표시창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버튼, 상기 제2 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 중에서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에 표시되는 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 및 상기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은 각각 영상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카메라, 제어부를 구비하여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편집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제어부는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복수개의 카메라 상태 및 카메라의 녹화 조건을 메뉴로 표시하는 제1 화면과, 제1 화면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해 현재 설정된 조건을 표시하는 제2 화면, 및 제2 화면에 표시된 설정 조건을 편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3 화면으로 구성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은 제어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편집하여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중앙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영상 출력부의 화면을 제1 화면, 제2 화면 제3 화면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 단계, 제1 화면에 복수개의 카메라 상태나 복수개의 카메라에 대한 녹화 조건을 각각의 메뉴로 표시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계, 제2 화면에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각각에 대한 현재 설정된 설정 조건을 각각 표시하는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 및 제3 화면에 동작 조건 표시창에 설정되어있는 내용을 편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3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계는 복수개의 카메라에 대한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설정 메뉴와 복수개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녹화 조건 메뉴 및 일정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동작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는 추가 버튼, 수정 버튼, 삭제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1 에 도시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수정한 도면이다. 도3 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명령 입력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40)는 도1 의 명령 입력부(10), 입력부(20), 출력부(40)와 동일하다.
중앙처리부(130)는 제어부(131), 저장 장치부(132), 이벤트 감지부(133), 일정 검사부(134) 및 자동화 제어부(135)로 구성된다.
제어부(131)는 명령 입력부(110)로부터 명령을 인가받아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40)를 제어하고, 저장 장치부(132)에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명령 입력부(110)에서 인가되는 명령이 입력부(120)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명령이면 영상 입력부(121)를 통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센서 입력부(124)를 통하여 센서 동작 조건을 변경한다.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저장 명령이 인가되면 입력부(120)에서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저장 장치부(132)에 저장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저장 장치부(132)에 저장되는 입력 데이터는 영상 입력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입력 데이터와 음성 입력부(122)에서 인가되는 음성 입력 데이터, 문자열 입력부(123)에서 인가되는 문자 데이터, 또는 센서 입력부(124)에서 인가되는 센서 상태 정보이며, 추가로 이벤트 감지부(133)에서 이벤트 감지 결과가 저장 장치부(132)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하기 위하여 설정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31)는 출력부(140)의 영상 출력부(141)로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 사용자는 영상 출력부(141)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로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설정 화면을 기반으로 하여 각종 설정을 추가, 삭제, 수정하게 되며, 제어부(131)는 변경되는 설정 내용을 자동화 제어부(135)로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인가하거나 자동화 제어부(135)에서 동작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31)는 해당 명령에 응답하여 저장 장치부(132)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141)로 출력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원격 접속부(142)로 출력하여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알람 출력부(143)에서 경보가 울리게 하거나, 휴대폰 등의 외부 통신 기기로 출력하기 위하여 외부 기기 통신부(144)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한다.
저장 장치부(132)는 제어부(131)에서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어부(131)의 호출에 응답하여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31)로 출력한다. 도1 에서와 마찬가지로도3 의 저장 장치부(132)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도록 하드 디스크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등의 디지털 저장매체가 이용된다.
이벤트 감지부(133)는 입력부(120)에서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 입력부(131)에서 인가되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움직임 발생 여부를 판단하거나, 음성 입력부(132)에서 인가되는 음성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음 발생 여부를 판단하거나, 문자열 입력부(133)에서 특정 문자열 확인 여부를 판단하거나, 온도 센서나 스위치 센서 등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한 각종 이벤트가 발생하면 입력 데이터와 함께 이벤트 발생 신호를 자동화 제어부(135)로 출력한다.
일정 검사부(134)는 타이머를 내장하여 지정된 시간 단위로 일정 검사 신호를 자동화 제어부로 출력한다. 즉 자동화 제어부(135)에서 소정 시간마다 일정에 따른 동작 조건이 설정되어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화 제어부(135)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및 이벤트 설정 및 동작 설정을 입력받아 연동 일정과 연동 이벤트 및 수행해야 하는 동작 명령을 저장한다. 자동화 제어부(135)는 이벤트 감지부(133)에서 인가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와 일정 검사부(134)에서 인가되는 일정 검사 신호를 저장된 연동 일정과 연동 이벤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저장된 동작 명령을 제어부(131)로 전송한다. 동작 명령을 인가받은 제어부(131)는 영상 입력부(121)를 통하여 외부의 카메라 위치를 변경하거나 알람 출력부(143)로 알람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같이 입력부(120)와 출력부(140)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해야 할 명령들을 자동화 제어부(135)에 설정함으로써 해당 조건이 성립될 경우 자동으로 제어 명령을 수행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감시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3 에서 일정 검사부(134)와 자동화 제어부(135)의 기능은 도1 의 제어부(30)에서 수행 할 수 있으나 도3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에 따라 일정 검사부(134)와 자동화 제어부(135)를 별도로 표시하였다. 마찬가지로 이벤트 감지부(133) 또한 제어부(131)에 포함될 수 있다.
도4 는 도3 의 자동화 제어부에 저장되는 설정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에서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는 크게 연동 정보와 동작 정보로 구분된다.
연동 정보는 다시 연동 이벤트와 연동 일정으로 구분되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조건이 저장된다.
도3 을 참조로 하여 도4의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를 설명하면 연동 정보는 특정 동작이 수행되기 위한 조건이 저장되는 부분으로 연동 이벤트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설정이 저장되고, 연동 일정에는 시간대별 일정에 대한 설정이 저장된다.
입력부(12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감지부(133)에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자동화 제어부(135)로 출력하고 자동화 제어부(135)는 이벤트 발생 신호가 저장된 이벤트와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표1 은 연동 이벤트 정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bit 7 6 5 4 3 2 1 0
1Byte 연동이벤트 없음 종료 사용자 로그인 녹화 중지 저장 공간 부족
2Byte 센서1 센서2 센서3 센서4 센서5 센서6 센서7 센서8
3Byte 센서9 센서10 센서11 센서12 센서13 센서14 센서15 센서16
4Byte 카메라1 카메라2 카메라3 카메라4 카메라5 카메라6 카메라7 카메라8
5Byte 카메라9 카메라10 카메라11 카메라12 카메라13 카메라14 카메라15 카메라16
표1 에 나타난 연동 이벤트 정보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설정이 저장된다. 표1에서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설정은 모두 5Byte로 표시 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 ~ 카메라16은 각각의 카메라에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의 이벤트를 나타낸다. 즉 설정되는 비트를 1로 표시하고 설정 되지 않는 비트를 0으로 표시하도록 한 것으로 가정하면 녹화 중지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16 진수로 표현하면 0x02, 0x00, 0x00, 0x00, 0x00 으로 설정 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센서3이 감지하는 경우와 카메라1, 카메라8, 카메라11 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는 0x00, 0x20, 0x00, 0x81, 0x20 으로 설정된다. 이외에도 입력 신호 이상 발생이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이상 발생 등도 이벤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연동 일정 정보는 일정 검사부에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2시간) 마다 인가되는 일정 검사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시간에 대해 저장된 일정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표2 는 연동 일정 정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월 (7bit) 화 (6bit) 수 (5bit) 목 (4bit) 금 (3bit) 토 (2bit) 일 (1bit) 공휴일 (0bit)
0~3시 (1Byte)
3~6시 (2Byte)
6~9시 (3Byte)
9~12시 (4Byte)
12~15시 (5Byte)
15~18시 (6Byte)
18~21시 (7Byte)
21~24시 (8Byte)
표2 에서는 연동 일정 정보의 일예로 요일과 시간별로 일정을 저장하도록 하였다.
표2 에서 각각의 요일과 시간별 일정을 8Byte로 설정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시간별 일정에서는 3시간 간격으로 일정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역 연동 일정 정보의 각 바이트가 0x00, 0x00, 0xf0, 0xf0, 0xf0, 0xf0, 0x00, 0x00, 0x00 으로 저장되어 있으면 매주 월, 화, 수, 목요일 6 ~ 18 시에 대한 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된다.
연동 일정은 일종의 마스크(Mask)로 구현하여 연동 이벤트와 연동 일정 두 가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만 저장된 동작을 수행 하도록 설정할 수 도 있으나, 연동 이벤트 정보 중 연동 이벤트 없음을 사용할 경우 연동 일정에 대해서만 동작 시킬 수도 있고, 모든 일정을 선택한 경우 특정 이벤트에서만 동작 시킬 수도 있는 등 기존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정보는 모두 설정 가능하면서도 기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설정하지 못했던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작 정보는 해당 설정의 동작 조건이 일치할 때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수행해야할 동작이 저장된다. 저장되는 동작 정보로는 녹화, 알람 출력, 원격 알람 출력, 원격 감시 센터로의 통보, 전자 메일 전송, 외부기기 온-오프, 팬-틸트 줌 카메라 위치 이동, 감시 화면 전환 등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수행 가능한 주요 기능 및 부가 기능이 모두 포함된다.
예로서 녹화의 경우에는 초당 녹화 화면 수, 녹화 해상도, 녹화 유지 시간, 녹화 화질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전자 메일 전송의 경우에는 전자 메일 서버, 받는 사람 주소, 전자 메일 내용, 해당 상황 이미지 파일 첨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자동화 제어부(135)에 각 동작 별로 연동 일정과 연동 이벤트 및 동작 정보가 복수개가 설정 될 수 있어 보다 세밀한 동작 조건의 설정이 가능하며, 해당 동작별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설정에 대하여 중복 여부를 판별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도5 는 도4 에 나타난 자동화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이벤트 감지부(133)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가 자동화 제어부(135)로 인가된다(S11). 자동화 제어부(135)는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 중 첫 번째 정보를 호출한다(S12). 호출된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 중 연동 이벤트 정보가 이벤트 감지부(133)로부터 인가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3). 연동 이벤트와 이벤트 발생 신호가 일치하면 현재 시간과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 중 연동 일정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14). 현재 시간과 연동 일정 정보가 일치하면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 중 동작 정보부에 저장된 해당 제어 명령을 제어부(131)로 출력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15). 이벤트 감지신호가 연동 이벤트가 일치하지 않거나, 현재 시간이 연동 일정과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제어 명령을 제어부(131)로 출력한 후 현재의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가 마지막 설정인지 확인한다(S16). 마지막 설정이 아니라면 다음 자동화 제어 설정 정보를 호출하여 다시 이벤트 발생 신호와 비교한다(S17). 마지막 설정인 경우에는 종료한다.
도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에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200)은 도3 의 영상 출력부(141)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며 제1 화면(210), 제2 화면(220) 및 제3 화면(230)으로 구성된다.
제1 화면(210)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각종 장치에 대한 설정을 하는 시스템 설정 메뉴(211),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도록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설정하는 녹화 조건 메뉴(212), 이벤트 발생 시 각각의 이벤트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동작 설정 메뉴(213) 등의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각각의 메뉴가 배치된다.
이 때 공간의 활용을 위하여 제1 화면(210)의 각각의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는 평소에는 화면에 나타나지 않으나 작업 도중 필요한 메뉴를 선택하면 메뉴 창이 확장되면서 그 항목에 따르는 하위 메뉴가 나타나는 형식의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방식으로 구성되어 화면 구성을 단순하게 하지만,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황에 따라 1화면을 2,3 화면과 분리하여 탑 다운(Top-Down)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제2 화면(220)은 제1 화면(210)에서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상세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제2 화면(220)은 일정, 이벤트 및 동작 내용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을 구비한다.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은 설정 조건의 개수만큼 표시되도록 하며 각각의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은 일정 출력창(221a, 222a)과 이벤트 출력창(221b, 222b) 및 동작 내용 출력부(221c, 222c)로 구성된다. 일정 출력창(221a, 222a)은 도4 의 연동 일정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며 이벤트 출력창(221b, 222b)은 연동 이벤트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동작 내용 출력창(221c, 222c)은 동작 정보부에 저장된 해당 동작을 디스플레이 한다.
제3 화면(230)은 동작 조건을 추가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 등의 편집 작업을 하기 위한 부분으로 추가 버튼(231), 수정 버튼(232), 삭제 버튼(233)을 구비한다. 사용자에 의해 추가 버튼(231)이 선택되면 제2 화면(220)에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이 추가된다. 그리고 제2 화면(220)의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 중의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한 후 수정 버튼(232)을 선택되면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의 내용을 수정 할 수 있도록 설정 화면으로 변환이 되며, 삭제 버튼(233)이 선택되면 선택이 되면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가 삭제된다.
도7a 와 도7b 는 도6 에 나타난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7a 는 도6 의 제1 화면(210)의 녹화 조건 메뉴(211)를 선택하여 나타나는 풀다운 메뉴에서 입력부(120)의 영상 입력부(121)를 통하여 복수개의 카메라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다. 도7a 에서는 카메라2 에 대한 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화면(210)에서 녹화 조건 메뉴(211)가 선택이 되면 풀다운 메뉴가 펼쳐지게 되고, 사용자는 풀다운 메뉴에서 카메라2 를 선택하였다. 이에 따라 제2 화면(220)에는 자동화 제어부(135)로부터 카메라2 에 대하여 설정된 연동 일정과 연동 이벤트 및 동작 정보를 인가받아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 223)이 각각 출력된다.
도7a 에서 첫 번째 동작 조건 표시창(221)은 일정 출력창(221a)에 연동 일정이 디스플레이 되어있으며 이벤트 출력창(222a)에는 아무런 표시가 없다. 그리고 동작 내용 출력창(223a)에는 카메라2 의 녹화 동작에 대한 세부사항이 표시되어 있다. 즉 동작 조건 표시창(221)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카메라2 의 동작 조건 및 동작 내용은 월요일에서 금요일에 대해 9시에서 18시까지, 그리고 토요일은 9시에서 12시까지 이벤트에 무관하게 초당 4프레임 단위의 320 X 240 해상도로 녹화를 하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두 번째 동작 조건 표시창(222)에서는 월요일에서 금요일에 대해 12시에서 18시 사이에 센서 1, 2, 4, 5, 6, 7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초당 10프레임 단위의 720 X 480 크기로 저장하라는 내용이며, 세 번째 동작 조건 표시창(223)은 첫 번째 동작 조건 표시창(221)의 일정 출력창(221a)에 지정된 시간 이외의 시간, 즉 월요일에서 금요일에 대해 0시에서 9시까지와 18시에서 24시까지, 토요일에 대해 0시에서 9시까지와 12시에서 24시까지, 그리고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대해 0시에서 24시까지의 일정에 대해서 카메라 2, 4, 16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초당 1프레임 단위의 320 X 240 크기로 저장하라는 내용이다. 또한 상단에 제2 화면(220)의 상단 탭(Tab)은 자동화 제어 설정 조건을 필터링 해서 항상 동작, 센서 감지시 동작, 움직임 감지시 동작 등등 해당 이벤트가 동작 조건으로 설정된 조건만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다.
도7b 는 동작 선택창(210)의 동작 설정 메뉴(213)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는 실시예로서 여기서는 팬-틸트 줌 카메라에 대한 동작 설정을 나타낸다. 팬-틸트 줌 카메라는 원격지에서 카메라의 방향이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도6b 에서는 카메라1 이 팬-틸트 줌 카메라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동작 설정 메뉴(213)에서 팬-틸트 줌 카메라가 선택이 되면 제2 화면(220)에는 팬-틸트 줌 카메라에 대한 각각의 동작 조건 표시창(211, 222, 223)이 출력된다. 첫 번째 동작 조건 표시창(221)은 월요일에서금요일까지 12시에서 18시 사이에 센서 1, 2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1 의 방향을 미리 지정된 12번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내용이다. 두 번째 동작 조건 표시창(222)에서는 월요일에서 금요일에 대해 0시에서 9시까지와 18시에서 24시까지, 토요일에 대해 0시에서 9시까지와 12시에서 24시까지, 그리고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대해 0시에서 24시까지의 일정에 대해서 카메라 16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지정된 2번 방향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이동하라는 내용이며, 세 번째 동작 조건 표시창(223)은 두 번째 동작 조건 표시부와 마찬가지로 월요일에서 금요일에 대해 0시에서 9시까지와 18시에서 24시까지, 토요일에 대해 0시에서 9시까지와 12시에서 24시까지, 그리고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대해 0시에서 24시까지의 일정에 대해서 카메라 2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지정된 3번 방향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이동하라는 내용이다.
도7a 와 도7b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은 녹화 설정이나 부가 기능에 대한 설정을 모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방법을 익히기 편리하도록 하고, 하나의 화면상에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 내용에 대해 모두 디스플레이 하므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시에 사용자에 의한 오류를 줄여 준다.
도8 은 도7a 와 도7b 에 도시된 이벤트, 일정 및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 신호를 인가하면 설정 화면을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S21). 설정화면의 제1 화면(210)에서 설정할 메뉴를 선택한다(S22). 선택된 메뉴에 대한 현재 설정을 제2 화면(220)에서 디스플레이한다(S23). 제2 화면(220)에 디스플레이 된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 223)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내용을 선택한다(S24). 제3 화면(230)의 삭제 버튼(233)이 선택이 되면(S25),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221, 222, 223)의 내용을 삭제하고(S26) 다시 정보 출력부에 현재의 설정을 디스플레이 한다(S23).
삭제 버튼(233)이 선택되지 않으면 설정이 종료되는 지를 판단한다(S27). 설정 종료 명령이 인가되면 현재의 설정을 저장하고(S28), 종료한다. 설정 종료 명령이 인가되지 않고 추가 버튼(231)나 수정 버튼(232)이 선택이 되면(S29), 일정 정보를 설정 할 수 있도록 일정 설정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30). 사용자에 의해 일정 설정이 완료 되면(S31), 연동 이벤트 설정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32). 연동이벤트 설정이 완료되면(S33), 동작 내용 설정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34). 동작 내용 설정이 완료되면(S35), 제2 화면(220)에 현재의 설정을 디스플레이 한다(S23).
도9 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9 에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은 도3 과 동일하다. 입력 장치(150)로서는 영상 입력 장치(151), 음성 입력 장치(152), 문자열 입력 장치(153), 각종 센서(154)등이 이용된다. 영상 입력 장치(151)로는 각종 카메라가 이용되며 영상 입력부(121)와 연결되어 영상 신호를 전송하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기능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이 가능하며 팬-틸트 줌 카메라도 사용된다. 음성 입력 장치(152)는 대부분 마이크가 이용되고 음성 입력부(122)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 전송하며, 음성 입력 장치(152)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일반적으로는 카메라(151)에 내장되어 함께 사용된다. ATM 기기나 POS 시스템과 같은 문자열 입력 장치(153)는 문자열 입력부(123)와 연결되고, 센서 입력부(124)는 각종 센서와 연결된다.
출력 장치(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61), 원격 접속 장치(162), 외부 경보 장치(163) 및 기타 외부 장치(164)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141)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61)와 원격 접속부(142)로 랜이나 전화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접속되는 휴대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원격 접속 장치(162)와 알람 출력부(143)를 통하여 신호를 인가받아 외부에 경보를 표시하는 알람 램프(Alarm)나 혼(Horn) 스피커 등의 외부 경보 장치(163)등이 대표적인 출력 장치(160)이며, 외부 기기 통신부(144)를 통하여 연결되는 프린터나 DVD 레코더 및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부 기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과 같은 자동화 시스템 등도 기타 외부 장치(164)로서 출력 장치에 속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화 및 부가 기능을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녹화 및 각종 부가 기능의 설정에 대하여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설정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설정 방법을 익히기 위하여 낭비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 내용을 동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설정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작 일정 및 동작 조건의 이벤트, 실제 동작 조건의 3가지로 설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서 복잡한 조건에 대해서도 설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정확히 대응할 수 있으며, 새로운 동작 기능이 추가되더라도 일정 설정 및 동작 조건 설정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어 개발 비용 및 사용자의 교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5)

  1. 외부의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는 영상 입력부;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편집하여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는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상태 및 상기 카메라의 녹화 조건을 메뉴로 표시하는 제1 화면과, 상기 제1 화면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해 현재 설정된 조건을 표시하는 제2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설정 조건을 편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3 화면으로 구성되는 설정 화면을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문자 정보를 입력 받는 문자 입력부; 및
    센서 정보를 입력 받는 센서 입력부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경보를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
    외부 장치로 영상이나 문자, 전자메일을 출력하기 위한 외부기기 통신부; 및
    무인 자동화 시스템과 같이 원격지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접속부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통신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지의 시스템으로 영상, 음성, 문자, 센서, 이벤트 정보 및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영상 입력부, 상기 센서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 상기 문자 입력부와 연결된 외부의 입력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자체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 시스템 설정 메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녹화 조건 메뉴를 구비하고,
    일정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동작 설정 메뉴로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조건 메뉴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각각에 대해 녹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위 메뉴로서 소정 개수의 카메라 선택 메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설정 메뉴는
    상기 알람 출력부에 대한 설정을 하는 알람 출력 메뉴;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팬-틸트 줌 카메라의 방향이나 초점을 설정하는 팬-틸트 줌 카메라 설정 메뉴;
    미리 지정된 전자 메일 주소로 전자 메일을 발송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전자 메일 설정 메뉴;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호출을 하거나 문자 호출을 하도록 설정하는 호출 설정 메뉴;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저장 장치에 데이터 저장 조건을 설정하는 저장 메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설정 메뉴는
    상기 디지털 저장 장비에 데이터를 백업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메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설정 메뉴는
    상기 원격 시스템에 음성, 영상, 문자, 센서, 이벤트 정보,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통보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메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현재 설정된 조건이 복수개이면 각각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에 대한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현재 설정된 조건이 복수개이면 각각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에 대한 설정 내용을 이벤트별로 필터링하여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 표시창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된 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일정 출력창;
    설정된 이벤트를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벤트 출력창; 및
    설정되어 있는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하게 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내용 출력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출력창은
    각각의 요일에 대해 시간별로 일정을 출력하거나, 특정일에 대해 시간별로 일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출력창은
    상기 센서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센서 감지 이벤트 출력창;
    상기 카메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감지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감지 이벤트 출력창;
    상기 음성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감지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성 감지 이벤트 출력창; 및
    상기 문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를 분석하여 감지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문자 감지 이벤트 출력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내용 출력창은
    프레임 수나 해상도와 같이 상기 카메라에 대한 녹화 방식을 표시하거나, 팬-틸트 줌 카메라의 지정된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내용 출력창은
    외부 모니터, PTZ 카메라, 외장 전원 제어 장비 및 통신 포트를 이용해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7. 제10 또는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동작 조건 표시창의 개수가 많아서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 스크롤 바를 추가로 더 구비하여 스크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8. 제10 또는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면은
    상기 제2 화면에 상기 동작 조건 표시창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버튼;
    상기 제2 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 중에서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에 표시되는 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 및
    상기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디지털 데이터 저장 장비와 연동되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20. 각각 영상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카메라;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편집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는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상태 및 상기 카메라의 녹화 조건을 메뉴로 표시하는 제1 화면과, 상기 제1 화면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해 현재 설정된 조건을 표시하는 제2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설정 조건을 편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3 화면으로 구성되는 설정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은
    음성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
    문자를 감지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각종 센서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은
    경보를 발생하는 알람;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정보를 영상이나 문자, 전자 메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기기 통신 장치; 및
    원격지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에 대한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설정 메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녹화 조건 메뉴를 구비하고,
    일정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동작 설정 메뉴로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설정 메뉴는
    상기 알람에 대한 설정을 하는 알람 출력 메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팬-틸트 줌 카메라의 방향이나 초점을 설정하는 팬-틸트 줌 카메라 설정 메뉴;
    미리 지정된 전자 메일 주소로 전자 메일을 발송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전자 메일 설정 메뉴;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호출을 하거나 문자 호출을 하도록 설정하는 호출 설정 메뉴;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저장 장치에 데이터 저장 조건을 설정하는 저장 메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현재 설정된 조건이 복수개이면 각각 일정과 이벤트 및 동작에 대한 설정 내용을 이벤트 별로 필터링하여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 표시창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된 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일정 출력창;
    설정된 이벤트를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벤트 출력창; 및
    설정되어 있는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하게 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내용 출력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출력창은
    각각의 요일에 대해 시간별로 일정을 출력하거나, 특정일에 대해 시간별로 일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출력창은
    상기 센서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센서 감지 이벤트 출력창;
    상기 카메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감지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감지 이벤트 출력창;
    상기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감지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성 감지 이벤트 출력창; 및
    상기 문자 인식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를 분석하여 감지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문자 감지 이벤트 출력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 디오 레코더 시스템.
  29.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내용 출력창은
    프레임 수나 해상도와 같이 상기 카메라에 대한 녹화 방식을 표시하거나, 팬-틸트 줌 카메라의 지정된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30.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면은
    상기 제2 화면에 상기 동작 조건 표시창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버튼;
    상기 제2 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 중에서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에 표시되는 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 및
    상기 선택된 동작 조건 표시창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31. 외부의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는 영상 입력부,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편집하여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영상 출력부의 화면을 제1 화면, 제2 화면 제3 화면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 단계;
    상기 제1 화면에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상태나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에 대한 녹화 조건을 각각의 메뉴로 표시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제2 화면에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각각에 대한 현재 설정된 설정 조건을 각각 표시하는 복수개의 동작 조건 표시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제3 화면에 상기 동작 조건 표시창에 설정되어있는 내용을 편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3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에 대한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설정 메뉴와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일정 및 이벤트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녹화 조건 메뉴 및 일정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동작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메뉴 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각각에 대해 복수개의 하위 메뉴를 풀 다운 메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하위 메뉴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34.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화면 구성 방법 중,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제 2,3 화면 단계를 구분하여 탑 다운 방식으로 나뉘어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35.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는
    추가 버튼, 수정 버튼, 삭제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KR1020060062568A 2006-07-04 2006-07-04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KR10078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568A KR100783561B1 (ko) 2006-07-04 2006-07-04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568A KR100783561B1 (ko) 2006-07-04 2006-07-04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561B1 true KR100783561B1 (ko) 2007-12-07

Family

ID=3914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568A KR100783561B1 (ko) 2006-07-04 2006-07-04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694B1 (ko) 2016-11-07 2018-02-09 주식회사 아이디스 이벤트 스트림 지연에 강인한 멀티스트림 녹화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영상 기록 장치
US11095810B2 (en) 2019-01-07 2021-08-17 Hanwha Techwin Co., Ltd. Setting system for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622A (ja) 1998-05-22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装置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020003984A (ko) * 2000-06-28 2002-01-16 문성룡 통신기반 원격 모니터링 폐쇄회로
KR20040102241A (ko) * 2003-05-27 2004-12-04 (주)피카소정보통신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중앙 관리 시스템
KR20050025756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622A (ja) 1998-05-22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装置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020003984A (ko) * 2000-06-28 2002-01-16 문성룡 통신기반 원격 모니터링 폐쇄회로
KR20040102241A (ko) * 2003-05-27 2004-12-04 (주)피카소정보통신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중앙 관리 시스템
KR20050025756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다중 화면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694B1 (ko) 2016-11-07 2018-02-09 주식회사 아이디스 이벤트 스트림 지연에 강인한 멀티스트림 녹화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영상 기록 장치
US10327028B2 (en) 2016-11-07 2019-06-18 Idis Co., Ltd. Network video recorder for multi-stream recording enhanced event stream delay problem
US11095810B2 (en) 2019-01-07 2021-08-17 Hanwha Techwin Co., Ltd. Setting system for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8500B (zh) 管理视频数据的方法和装置
US20060171453A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050204311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displaying OSD menu and method thereof
JP2003216229A (ja) 遠隔制御管理システム
KR2007006061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감시영상 출력방법
EP2175640A1 (en) Recorder
JP4343670B2 (ja) 映像保存システムおよび映像保存方法
CN100521757C (zh) 信息处理装置和方法
JP5779380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351760B2 (en) Controller, recording device and menu display method
KR100783561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이장치의 설정 화면 구성 방법
JP4723291B2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2152721A (ja) 録画再生装置の映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20060165354A1 (en)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JP5410160B2 (ja) テレビカメラ用制御装置
US20070003228A1 (en) Video imag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US8687939B2 (en) Recording/reproducing syste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20040054266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385302Y1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 시스템
KR101741964B1 (ko)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16623451U (zh) 整合型警报设备
KR20060085367A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001069493A (ja) 総合監視システム
JP2002204402A (ja) 表示装置、録画再生システム、録画予約方法及び可読記録媒体
KR100940798B1 (ko) 판독 디바이스와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레코딩된 오디오 비디오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