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164B1 - 다용도 그립퍼 - Google Patents

다용도 그립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164B1
KR100783164B1 KR1020060102911A KR20060102911A KR100783164B1 KR 100783164 B1 KR100783164 B1 KR 100783164B1 KR 1020060102911 A KR1020060102911 A KR 1020060102911A KR 20060102911 A KR20060102911 A KR 20060102911A KR 100783164 B1 KR100783164 B1 KR 10078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main body
multipurpose
handle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성
Original Assignee
허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은성 filed Critical 허은성
Priority to KR102006010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7/00Kinds or types of packag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67/02Clips or clamps for holding articles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9/00Articles joined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without the use of pack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팩의 코스트가 불필요하게 상승되어 소비자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하고, 포장팩과 비닐 또는 종이로 된 쇼핑백을 장시간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고, 걸이대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다용도 그립퍼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일측으로 개구부(130)가 형성되는 수납공간부(120)가 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1손잡이공(110)이 형성된 사각 통형상의 본체(100)와, 서로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부(120)에 수납되되 개구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외측으로 출몰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손잡이공(110)과 연통되는 제2손잡이공(210)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된 한 쌍의 그립퍼(200,250)와, 상기 그립퍼(200,250)의 하단 외측면 또는 본체(100) 수납공간부(120)의 개구부(130)측 내벽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그립퍼(200,250)를 수납공간부(120)에 수납시킴에 따라 그립퍼(200,250)의 하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지는 테이퍼부(2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를 제공한다.
그립퍼, 손잡이공, 테이퍼부, 물림

Description

다용도 그립퍼{gripp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20. 수납공간부
140. 슬롯 160. 오목홈
180. 가압돌기 200,250. 그립퍼
220. 손가락홈 240. 가이드공
290. 물림홈 295. 물림돌기
본 발명은 다용도 그립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팩이나 비닐봉투 등을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거나 걸이대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다용도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량 포장판매되는 쌀이나 분말세제 등은 비닐포장(이하 ‘포장팩’이라함)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소량 포장하더라도 중량이 많이 나가는 제품에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포장팩을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포장팩의 상단에 손잡이공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장팩 상단을 실링처리한 후 이 실링부에 손잡이공을 형성하여, 손잡이공이 쉽게 늘어나거나 끈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포장팩에 손잡이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장팩을 크게 제작하여야 함은 물론 손잡이공 위치에 일일이 실링처리하여야 하는 등 원자재가 많이 사용되고 제작공정도 늘어나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비용증대를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백은 장시간 들고 다니지 않고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면 폐기하는 일회용품으로서 손잡이공을 형성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증대를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불합리하고 비효율적이었다.
한편, 손잡이공을 통해 포장팩이나 비닐 또는 종이로 된 쇼핑백을 장시간 들고 다닐 경우 제품 중량에 의해 포장팩이아 쇼핑백이 하측으로 처지면서 그 하중이 손가락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고 파지한 손가락중 외측 손가락에 하중이 가중되어 장시간 들고 다니기는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팩의 코스트가 불필요하게 상승되어 소비자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하고, 포장팩과 비닐 또는 종이로 된 쇼핑백을 장시간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고, 걸이대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다용도 그립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공간부가 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1손잡이공이 형성된 사각 통형상의 본체와, 서로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되 개구부를 통해 본체의 외측으로 출몰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손잡이공과 연통되는 제2손잡이공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된 한 쌍의 그립퍼와, 상기 그립퍼의 하단 외측면 또는 본체 수납공간부의 개구부측 내벽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그립퍼를 수납공간부에 수납시킴에 따라 그립퍼의 하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지는 테 이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는 비닐이나 종이로 된 포장팩이나 쇼핑백 등을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 테두리형태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되어 그립퍼(200,2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며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제1손잡이공(110)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부(120)가 형성된 두께가 얇은 사각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그립퍼(200,250)가 개구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하측으로 출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면부재(101)와, 상기 상면부재(101)의 폭방향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일체로 구비되는 전후면부재(103,105) 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면부재(103,105)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스크류(107)를 다수 체결하여 사각 통형상으로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30)측 내벽면에는, 즉, 상기 전후면부재(103,105)중 후면부재(105)의 하측 내벽면에는 길이방향을따라 일정간격으로 가이드돌기(150)가 형성되어, 그립퍼(200,250)가 상기 가이드돌기(15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50)의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나사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152)과 대응되는 전면부재(103)에는 결합공(155)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155)을 통해 나사홈(152)에 스크류(107)를 체결하여 본체(100)를 사각 통형상으로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 하단에는, 즉,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의 하단에는 수납공간부(120)와 연통되고 하측으로 개구되도록 슬롯(14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140)을 통해 포장팩이나 쇼핑팩의 상단이 본체(100)측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제1손잡이공(110) 상측 둘레부 중앙에는 반원형상으로 오목홈(160)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160)을 통해 그립퍼(200,2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그립퍼(200,250)를 본체(100)의 하측으로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07)가 체결되는 위치의 본체(100) 전후면 하측에는 종횡으로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170)가 형성되어, 그립퍼(200,250)가 서로 가압 밀 착되는 위치의 본체(100) 하측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개구부(130)측 내벽면에는 길이방향을따라 일정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압돌기(180)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립퍼(200,250)를 수납공간부(120) 내측으로 수납시키면 상기 가압돌기(180)와 그립퍼(200,250)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70)에 의해 그립퍼(200,250) 하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 접촉되어 포장팩이나 쇼핑백의 상단을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립퍼(200,250)는 한 쌍으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맞닿아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수납공간부(120)에 수납되며 개구부(130)를 통해 출몰되어 위치 이동에 따라 포장팩이나 쇼핑백의 상단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어느정도 구부려도 소성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며 중앙부에는 각각 본체(100)의 제1손잡이공(110)과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길게 제2손잡이공(210)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손잡이공(210)을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고 잡아당기면 그립퍼(200,250)가 본체(100)의 수납공간부(120) 내측으로 수납된다.
이때, 상기 그립퍼(200,250)의 양측 중앙에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돌기(150)중 양측의 가이드돌기(150)과 관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가이드공(2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200,250)가 상기 가이드공(240)을 통해 가이드돌기(150)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하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제2손잡이공(210)의 상측 내벽면에는 둘레부를 따라 두께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215)가 마련되되 이 연장부(215)가 형성된 내벽면에는 횡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응하는 손가락홈(220)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215)와 손가락홈(220)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립퍼(200,25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상단 양측에는 한 쌍의 그립퍼(200,250)가 서로 맞닿아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돌기(235)와 결합공(230)이 서로 상응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즉, 일측의 그립퍼(200)에는 결합홈(230)가 형성되고 타측의 그립퍼(250)에는 결합돌기(2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그립퍼(200,250) 중 일측 그립퍼(250)의 타측 그립퍼(200)와 마주하는 면 중앙부 양측에는 타측 그립퍼(200)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스톱퍼(265)과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65)와 마주하는 그립퍼(200)에는 스톱퍼(265)가 삽입되는 삽입공(2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톱퍼(265)에 의해 포장팩이나 쇼핑백(2)의 진입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즉, 포장백이나 쇼핑백(2)의 위치를 맞추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립퍼(200,250)의 하단 외측면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부(270)가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그립퍼(200,250)를 본체(100)의 수납공간부(120)로 수납시키면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개구부(130)에 형성된 가압돌기(180)와 상기 테이퍼부(270)가 접촉되면서 그립퍼(200,250) 하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 접촉되어 포장팩이나 쇼핑백의 상단을 집을 수 있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의 수납공간부(120) 내벽면에 서로 마 주보는 방향을 돌출형성된 가압돌기(180) 사이의 간격보다 그립퍼(200,250)의 하단 두께가 하단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테이퍼부(2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립퍼(200,250)를 수납공간부(120) 내측으로 수납시키면 시킬수록 그립퍼(200,250)의 하단이 서로 강하게 가압 접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그립퍼(200,250)의 하단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서로 상응하는 물림돌기(295)와 물림홈(290)이 횡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열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림돌기(295)와 물림홈(290)에 의해 포장팩이나 쇼핑백 등을 보다 강하게 집을 수 있도록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이퍼부(270)를 그립퍼(200,250)의 하단 외측면에 형성하였으나, 상기 가압돌기(180)를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압돌기(180)를 별도록 형성하지 않고 본체(100)의 개구부(130)측 하단 내벽면, 즉, 전후면부재(103,105)의 하단 내벽면을 수납공간부(120)의 폭이 줄어들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전술한 방식 이외에도 상기 그립퍼(200,250)의 하단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수단은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용도 그립퍼는 그립퍼(200,250)의 하단이 본체(100)의 외측으로 출몰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그립퍼(200,250)의 하단 사이에 포장팩이나 쇼핑팩(2) 등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1,2손잡이공(110,210)을 통해 손가락을 넣고 그립퍼(200,250)를 잡아당기면 본체(100)의 외측으로 출몰된 그립퍼(200,250)의 하단이 수납공간부(120) 수납되면서 포장팩이나 쇼핑백(2) 등을 견 고하게 집을 수 있게 되며, 상기 오목홈(160)을 통해 그립퍼(200,250)를 하측으로 밀면 그립퍼(200,250)의 하단이 본체(100)의 하측으로 출몰되면서 그립퍼(200,250)의 하단이 서로 가압이 해제되어 포장팩이나 쇼핑백 등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포장팩 등에 별도의 손잡이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그립퍼만 소유하고 있으면, 포장팩이나 쇼핑백 등을 장시간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으며 제품 구매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이 전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앙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향 돌출된 ‘ㄴ’자 형상의 걸이대(3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대(300)에 비닐봉투(3)의 양측을 상기 걸이대(300)에 걸어 비닐봉투 등도 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된다.
<실시예 3, 4>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립퍼를 도어나 냉장고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400,450)이 구비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 일측에 흡착패드(400)를 구 비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450)을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립퍼를 도어나 냉장고 등에 부착하여 메모지(4)를 집어 놓을 수 있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팩이나 쇼핑백 등에 별도의 손잡이 공을 형성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그립퍼를 사용하여 포장팩이나 쇼핑백 등을 간편하게 집어서 들고 다닐 수 있으므로 포장팩이나 쇼팽백에 별도의 손잡이공을 형성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이 소비자에거 전가되는 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걸이대도 구비되어 있어 비닐봉투 등도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고, 흡착패드나 자석 등의 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그립퍼를 도어나 냉장고 등에 부착하여 메모지 집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Claims (12)

  1. 내부에 일측으로 개구부(130)가 형성되는 수납공간부(120)가 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1손잡이공(110)이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100)와, 서로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부(120)에 수납되되 개구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외측으로 출몰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손잡이공(110)과 연통되는 제2손잡이공(210)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된 한 쌍의 그립퍼(200,250)와, 상기 그립퍼(200,250)의 하단 외측면 또는 본체(100) 수납공간부(120)의 개구부(130)측 내벽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그립퍼(200,250)를 수납공간부(120)에 수납시킴에 따라 그립퍼(200,250)의 하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테이퍼부(2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270)는 그립퍼(200,250)의 외측면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200,250)의 하단 내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길게 서로 상응하는 물림돌기(295)와 물림홈(29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면 하단에는 수납공간부(120)와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측으로 개구되는 슬롯(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120)의 내벽면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5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그립퍼(200,25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50)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이드하는 가이드공(240)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30)측 하단 외벽면에는 종횡으로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170)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공(210)의 상측 둘레부에는 둘레부를 따라 두께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2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8. 제 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공(210)의 상측 내벽면에는 횡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응하는 손가락홈(220)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걸이대(3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본체(100)를 피고정물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흡착패드(400)나 자석(45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립퍼(200,250) 중 어느 하나의 그립퍼(250) 중앙부 양측에는 마주하는 다른 그립퍼(200) 방향으로 돌출되되 그립퍼(200)에 삽입되는 스톱퍼(26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그립퍼.
KR1020060102911A 2006-10-23 2006-10-23 다용도 그립퍼 KR10078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11A KR100783164B1 (ko) 2006-10-23 2006-10-23 다용도 그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11A KR100783164B1 (ko) 2006-10-23 2006-10-23 다용도 그립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64B1 true KR100783164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911A KR100783164B1 (ko) 2006-10-23 2006-10-23 다용도 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16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2A (en) 1977-03-24 1979-01-06 Studebaker Robert L Handle
JPS58107341U (ja) 1982-01-11 1983-07-21 長谷川 温 ミニビア樽用把手
KR900007541Y1 (ko) * 1987-08-14 1990-08-20 정해서 자루 봉합구
JPH05305954A (ja) * 1992-02-10 1993-11-19 Soken:Kk 買物袋収納及び吊り下げ握り手
KR940021775U (ko) * 1993-03-26 1994-10-19 변홍섭 쇼핑백용 손잡이
KR950026448U (ko) * 1994-03-16 1995-10-16 정구필 쇼핑백용 손잡이
KR960008645Y1 (ko) * 1993-09-21 1996-10-07 정중교 비닐포대 파지구
JPH0924944A (ja) * 1995-04-07 1997-01-28 Aiki Sangyo Kk 持ち手
KR19980058441U (ko) 1997-02-22 1998-10-26 이송웅 용기 손잡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2A (en) 1977-03-24 1979-01-06 Studebaker Robert L Handle
JPS58107341U (ja) 1982-01-11 1983-07-21 長谷川 温 ミニビア樽用把手
KR900007541Y1 (ko) * 1987-08-14 1990-08-20 정해서 자루 봉합구
JPH05305954A (ja) * 1992-02-10 1993-11-19 Soken:Kk 買物袋収納及び吊り下げ握り手
KR940021775U (ko) * 1993-03-26 1994-10-19 변홍섭 쇼핑백용 손잡이
KR960008645Y1 (ko) * 1993-09-21 1996-10-07 정중교 비닐포대 파지구
KR950026448U (ko) * 1994-03-16 1995-10-16 정구필 쇼핑백용 손잡이
JPH0924944A (ja) * 1995-04-07 1997-01-28 Aiki Sangyo Kk 持ち手
KR19980058441U (ko) 1997-02-22 1998-10-26 이송웅 용기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567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US8091709B2 (en) Child-resistant package
US20210177698A1 (en) Pill container
WO2009018290A3 (en) Ergonomic system for handling a container
KR101098523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060208515A1 (en) Bag holder
JP4331226B2 (ja) 収納容器
US20030221984A1 (en) Detachable tool box assembly
KR100783164B1 (ko) 다용도 그립퍼
KR200440723Y1 (ko) 선물세트용 포장박스
KR101066005B1 (ko) 화장품 용기
JP3138927U (ja) ペットボトル
JP3871409B2 (ja) 密閉容器
KR200331121Y1 (ko) 포장백용 손잡이
JP3128687U (ja) 合成樹脂製クリップ
CN210942932U (zh) 一种便于携带的吸塑盒
KR101596426B1 (ko)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CN109398917A (zh) 一种塑料袋
CN204355467U (zh) 一种开合方便且容易的分类收纳箱
JP6409270B2 (ja) 化粧料用容器および化粧料製品
GB2383259A (en) A hand guard for carry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CN210311499U (zh) 一种使用方便的周转箱
US20230036350A1 (en) Shot carrier with securing hook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209535859U (zh) 一种分段式再生塑料编织袋
JP2018042777A (ja) 取手付き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