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989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989B1
KR100782989B1 KR1020060114800A KR20060114800A KR100782989B1 KR 100782989 B1 KR100782989 B1 KR 100782989B1 KR 1020060114800 A KR1020060114800 A KR 1020060114800A KR 20060114800 A KR20060114800 A KR 20060114800A KR 100782989 B1 KR100782989 B1 KR 10078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ortion
ceiling
air
ceiling surface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를 갖는 외부판넬이 천장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천장면과 접하는 외부판넬의 테두리부의 모서리부는 테두리부의 최외곽보다 외부판넬의 중심쪽으로 후퇴되어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외부판넬의 외표면을 따라 천장면에 직접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 외부판넬, 오염, 챔퍼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상벽 21...천장면
20...하우징 30...열교환기
40...송풍장치 50...외부판넬
51...공기흡입구 52...공기토출구
53...외표면 54...외측테두리부
55,57...제 1,2 테두리부 56,58,59...제 1,2,3 모서리부
61...흡입그릴 62...블레이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실내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장치와,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응축기로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실내기의 증발기 및 팽창장치와,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배관으로 서로 연결되고 냉매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각 구성 부품들을 순환하면서 냉동 사이클을 이룬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벽걸이형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과, 실내 바닥에 세워지는 스탠드형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천장에 매립 설치됨으로써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다른 타입의 공기조화기에 비해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의 중앙으로 원활하게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예가 한국 등록특허 제10-430874호(1996. 10. 12.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구비된 하우징과,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하부를 덮는 외부판넬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실내의 상벽에 고정되어 상벽과 천장면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판넬은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천장면 일측에 놓인다. 공기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해주는 블레이드가 설치되어서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토출구에서 사선 방향으로 실내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외부판넬의 테두리를 따라 천장면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운전시 외부판넬 근처의 천장면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천장면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하여 천장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를 갖는 외부판넬이 천장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에 접하는 상기 외부판넬의 테두리부의 모서리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최외곽보다 상기 외부판넬의 중심쪽으로 후퇴되어 상기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외부판넬의 외표면을 따라 상기 천장면에 직접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판넬의 외표면은 상기 천장면과 수평을 이루고, 상기 외부판넬의 외측테두리부는 상기 외표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판넬의 외측테두리부는 상기 천장면에 인접하는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제 1 테두리부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보다 상기 천장면으로부터 더 멀리 놓이도록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연결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제 2 테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천장면에 인접하는 모서리부에는 챔퍼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테두리부는 상기 천장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챔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30) 및 송풍장치(40)가 설치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외부판넬(5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그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21)이 실내의 상벽(11)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3)에 결합됨으로써 상벽(11)과 천장면(12)의 사이에 설치된다. 하우징(20)의 내부 중앙에는 모터(41)와 송풍팬(42)을 포함하는 송풍장치(40)가 설치되고 송풍팬(42)의 둘레에는 열교환기(30)가 설치된다. 송풍팬(42)이 회전하면 실내의 공기가 송풍팬(42)이 설치된 하우징(20)의 중앙으로 흡입되어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열교환기(30)를 통과하게 된다.
외부판넬(50)은 천장면(1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외부판넬(50)의 중앙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51)와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복수의 공기토출구(52)가 구비된다. 공기흡입구(51)에는 흡입그릴(61)이 설치되고, 공기토출구(52)에는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62)가 설치된다.
또한, 외부판넬(50)은 공기흡입구(51) 및 공기토출구(52)가 형성된 외표면(53)과, 외표면(53)의 둘레에 연결되는 외측테두리부(54)를 구비한다. 외표면(53)은 천장면(12)과 수평을 이루고, 외측테두리부(54)는 천장면(12)과 수직을 이룬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측테두리부(54)는 천장면(12)에 인접하는 제 1 테두리부(55)와, 제 1 테두리부(55)보다 천장면(12)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도록 제 1 테두리부(55)와 연결되는 제 2 테두리부(57)를 포함한다. 제 2 테두리부(57)는 제 1 테두리부(55)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판넬(50)의 하부에서 쳐다보면 제 1 테두리부(55)는 제 2 테두리부(57)에 막혀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1 테두리부(55)의 천장면(12)과 인접하는 제 1 모서리부(56)와, 제 2 테두리부(57)의 상하로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모서리부(58)(59)에는 챔퍼부가 마련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테두리부(55)(57)의 천장면(12)과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모서리부(56)(58)에 챔퍼부가 마련됨으로써 외표면(53)을 타고 흐르는 공기는 외표면(53)을 벗어나면 제 2 테두리부(57)를 타고 천장면(12)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허공으로 퍼지게 된다. 그리고, 제 2 테두리부(57)의 제 3 모서리부(59)에 챔퍼부가 마련됨으로써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외부판넬(50)을 쳐다볼때 외부판넬(50)의 두께가 실제보다 얇아 보이게 된다.
여기에서, 외측테두리부(54)의 높이(H) 즉, 천장면(12)에서 외표면(53)까지의 거리는 약 25mm인 것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외부판넬(50)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하면서 토출된 공기가 천장면(12)에 직접 도달하지 않을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한 실험적 수치로,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측테두리부(54)의 높이(H)는 이러한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풍팬(42)이 작동하면 실내의 공기가 외부판넬(50)에 설치된 흡입그릴(61)을 통과하여 송풍팬(42) 쪽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42)의 둘레로 퍼저나가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거나 가열된다. 그리고,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는 흡입그릴(61) 둘레의 복수의 공기토출구(52)로 이동한 후 블레이드(62)에 의해 천장면(12)의 사선 방향으로 가이드된 다.
이때, 천장면(12)의 사선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은 공기의 일부는 외부판넬(50)의 외표면(53)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렇게 외표면(53)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외측테두리부(54)의 천장면(12)과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모서리부(56)(58)에 챔퍼부가 마련되어 있고 천장면(12)에 가까운 제 1 테두리부(55) 보다 외표면(53)과 가까운 제 2 테두리부(57)가 외부로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면(12)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허공으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판넬(50) 근처의 천장면(12)이 오염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제 2 테두리부(57) 하부의 제 3 모서리부(59)에 챔퍼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관측자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외측판넬(50)을 쳐다볼 때 외측테두리부(54)의 두께가 실제보다 얇아 보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토출구가 구비된 외부판넬의 외측테두리부의 천장면과 인접하는 모서리부에 챔퍼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어 외부판넬의 외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천장면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허공으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토출 공기가 외부판넬 주위의 천장면에 직접 도달하여 천장면이 오염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판넬의 외측테두리부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부가 마련되어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외부판넬을 쳐다볼 때 외부판넬의 두께가 얇아 보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화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5)

  1.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를 갖는 외부판넬이 천장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과 접하는 상기 외부판넬의 테두리부의 모서리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최외곽보다 상기 외부판넬의 중심쪽으로 후퇴되어 상기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외부판넬의 외표면을 따라 상기 천장면에 직접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판넬의 외표면은 상기 천장면과 수평을 이루고, 상기 외부판넬의 외측테두리부는 상기 외표면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판넬의 외측테두리부는 상기 천장면에 인접하는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제 1 테두리부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보다 상기 천장면으로부터 더 멀리 놓이도록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연결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제 2 테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천장면에 인접하는 모서리부에는 챔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테두리부는 상기 천장면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챔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60114800A 2006-11-20 2006-11-20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8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800A KR100782989B1 (ko) 2006-11-20 2006-11-20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800A KR100782989B1 (ko) 2006-11-20 2006-11-20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989B1 true KR100782989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800A KR100782989B1 (ko) 2006-11-20 2006-11-20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9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847U (ja) * 1993-08-03 1995-03-0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汚染防止型吹出口
JP2001193960A (ja) 1999-11-05 2001-07-17 Daikin Ind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2001304673A (ja) 2000-04-20 2001-10-3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3227648A (ja) 2002-02-04 2003-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カセット型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847U (ja) * 1993-08-03 1995-03-0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汚染防止型吹出口
JP2001193960A (ja) 1999-11-05 2001-07-17 Daikin Ind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2001304673A (ja) 2000-04-20 2001-10-3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3227648A (ja) 2002-02-04 2003-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カセット型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2074Y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WO2017109847A1 (ja) 空気調和装置
JP609992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WO2016103441A1 (ja) 室外機
JP5097576B2 (ja) 屋内埋込型熱源機及び空気調和機
US7171823B2 (en) Air conditioner
KR20030036302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WO2002077535A1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50000366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5123018B2 (ja) 空調装置
US7191616B2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KR20050012223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78298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606733B1 (ko)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0065376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KR1006528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
JP6758280B2 (ja) 電算機室用空調室内機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7258053B2 (ja) 底面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334459Y1 (ko) 천장카세트형 에어컨용 펜더 플레이트 구조
KR100982857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EP3059507B1 (en) Outdoor unit
WO2020170363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20220011285A (ko) 에어컨용 서큘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