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895B1 -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895B1
KR100782895B1 KR1020050038014A KR20050038014A KR100782895B1 KR 100782895 B1 KR100782895 B1 KR 100782895B1 KR 1020050038014 A KR1020050038014 A KR 1020050038014A KR 20050038014 A KR20050038014 A KR 20050038014A KR 100782895 B1 KR100782895 B1 KR 10078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sition
angiogenesis
cancer
pheo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526A (ko
Inventor
김민영
이희석
배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지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to KR102005003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895B1/ko
Priority to US11/913,769 priority patent/US10933030B2/en
Priority to EP06757650.4A priority patent/EP1877043B8/en
Priority to PCT/KR2006/001702 priority patent/WO2006121263A1/en
Publication of KR2006011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관신생 억제, 고형암의 성장 억제, 암의 전이 억제효과가 있고,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시 암 성장 억제 및 생존 연장 효과를 상승시켜, 혈관신생에 의한 안과질환, 건선 등의 각종 질환 및 암의 성장과 전이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40910677-pat00008

Description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giogenesis inhibitor}
도 1은 마우스 마트리젤 모델을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페오놀의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고형암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페오놀의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고형암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페오놀에 의한 생존 연장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기존의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에 의한 고형암 성장 억제에 대한 페오놀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기존의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에 의한 생존 연장 효과에 대한 페오놀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페오놀을 함유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이란 기존의 미세혈관으로부터 새로운 모세혈관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혈관신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는 배아의 발생(embryonic development)시, 조직재생 및 상처치료, 주기적인 여성의 생식기 계통의 변화인 황체가 발달될 때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엄격이 조절되어 진행된다[Folkman and Cotran, Relation of vascular proliferation to tumor growth, Int Rev Exp Pathol 16, 207-248 (1976)].
성인의 경우 혈관내피세포는 매우 느리게 자라며, 다른 종류의 세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잘 분열하지 않는다. 그러나 성인의 혈관신생은 호르몬 신호반응, 염증세포에서의 전혈관신생(pro-angiogenesis) 사이토카인의 방출, 세포 외부기질에 고립된 혈관 신생 매개체를 방출하는 가수분해성 효소의 활성 결과로서, 또는 혈관신생촉진 인자의 자극 등으로 필요에 따라 유발되어진다.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로테아제로 인한 혈관 기저막의 분해, 혈관 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및 혈관 내피세포 분화에 의한 관강의 형성으로 혈관이 재구성되어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혈관신생이 자율적으로 조절되지 못하고 병적으로 성장함으로써 야기되는 질환들이 있다. 병리학적 상태에서 나타나는 혈관신생에 관련된 질환으로는 혈관종, 혈관섬유종, 혈관기형 및 심혈관 질환인 동맥경화, 혈관유착, 부종성 경화증이 있고, 혈관신생에 의한 안과질환으로는 각막이식성 혈관신생, 혈관신생성 목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 질환, 반점의 변성, 익상편, 망막 변성,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등이 있다.
건선, 모세관 확장증, 여드름, 알츠하이머 및 비만도 혈관신생과 관련이 있 으며, 암의 성장과 전이는 반드시 혈관신생에 의존한다[D'Amato RJ and Adamis AP, Ophthalomol 102, 1261-1262 (1995); Arbiser JL, J Am Acad Derm 34(3), 486-497, 1996; O'Brien KD et al. Circulation 93(4):672-682 (1996); Hanahan D and Folkman J, Cell 86, 353-364 (1996)].
특히 암의 경우 혈관신생은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양은 신생혈관을 통하여 성장과 증식에 필요한 영양과 산소를 공급받으며, 또한 종양까지 침투한 신생혈관들이 전이하는 암세포가 혈액순환계로 들어가는 기회를 줌으로써 암세포가 전이(metastasis)되게 한다[Folkman and Tyler, Cancer Invasion and Metastasis, Biologic mechanisms and Therapy (S.B. Day ed.) Raven press, New York, 94-103 (1977); Polverini PJ, Critical Reviews in Oral Biology, 6(3), 230-247 (1995)].
암 환자가 사망하는 주원인은 전이이며,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화학요법이나 면역요법들이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바로 암의 전이 때문이다.
또한, 해마다 전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실명하게 되는 많은 안과질환도 혈관신생이 원인이 되고 있다[Jeffrey MI and Takayuki A, J Clin Invest 103, 1231-1236 (1999)]. 그 대표적인 예로 노인에게 일어나는 퇴화반(macular degeneration),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조숙아의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과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 질환과 같은 질병은 혈관신생이 원인이 되는 질병들이다[Adamis AP, Aiello LP, and D'Amato RA, Angiogenesis 3, 9-14 (1999)]. 그 중 당뇨병성 망막증은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망막에 있는 모세혈관이 초자체를 침습하여 결국 눈이 멀게 되는 질병이다.
붉은 반점과 인설의 피부가 특징인 건선도 피부에 생기는 만성의 증식성 질환인데 치유되지 않으며 고통과 기형을 수반한다. 정상인 경우 각질세포가 한달에 한번 증식하는데 비해 건선 환자는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 증식한다. 이런 빠른 증식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혈액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혈관신생이 활발히 일어날 수밖에 없다[Folkman J, J Invest Dermatol 59, pp40-48, 1972].
혈관신생은 동맥경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으며 특히 관상동맥의 플라그에 혈관신생이 증가하여 플라그가 불안정하게 되며 출혈을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Chen F, Eriksson P, Kimura T, Herzfeld I, and Valen G Coron Artery Dis. 16(3), pp191-197, 2005].
비만의 경우, 지방세포 조직(adipose tissue)도 하부 맥관구조에 의해 조절이 될 수 있으며, 항-혈관신생 억제제를 처리할 경우 용량의존적으로 체중의 감소와 지방세포조직의 감소를 나타낸다[Rupnick M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16), pp10730-5, 2002].
또한,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에 걸린 뇌에서 혈류량감소와 염증으로 인하여 혈관신생 유도인자들이 발현되고 혈관신생이 활발히 일어나서 결국 베타아밀로이드의 침착을 일으키고 신경독성 펩타이드를 분비하게 된다고 제시하고 있어, 비정상적인 뇌의 내피세포를 타겟팅할 수 있는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약물들은 알츠하이머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Vagnucci AH et al., Lancet 361, pp605- 608, 2003].
혈관신생 억제제를 이러한 각종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 혈관신생을 억제시켜서 상기 질환들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66246호에는 칠엽수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18675호에는 글루코사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45265호에는 은행엽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43589호에는 티클로피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41182호에는 멜리사엽 추출물이 혈관신생억제에 효능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혈관신생 억제제는 보통 환자에게 장기적으로 투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독성이 적고 경구투여가 가능한 것이어야 가장 이상적인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혈관신생 억제제로서 독성이 미비한 약제 및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한편, 페오놀(paeonol, 1-(2-hydroxy-4-methylphenyl)ethanone)은 한약에서 많이 이용되는 모란 또는 목단(Paeonia suffruticosa)의 유효 약효 성분 중 하나로, 항균, 항염증, 진통, 면역 강화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현재 알려져 있다(Chou TC., Br J Pharmacol., 139(6):1146-52, 2003;Kim SH, et al., Int Immunopharmacol., 4(2):279-87, 2004). 근육과 피부 조직에 대해서 안정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와 구강에 대한 항자극제 및 항염증제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페오놀은 천연의 민트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취 제거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양치 시에 치통을 억제할 목적으로 치약에 함유되기도 하며, 근육통, 관절통, 신경통을 억제할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페오놀에 이러한 혈관신생억제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페오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페오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오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40910677-pat00009
본 발명은 페오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오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 예를 들면 암의 성장과 전이, 혈관종, 혈관섬유종, 당뇨병성 망막증, 조숙아의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질환, 퇴화반, 반점의 변성, 익상편, 망막변성,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동맥경화, 건선, 모세관 확장증, 여드름, 알츠하이머 및 비만 등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오놀은 모란 또는 목단(Paeonia suffruticosa)의 근피인 목단피(Paeonia moutan SIMS), 또는 참작약(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인 작약(Paeoniae Radix)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분리, 정제하거나, 또는 A. Bensari & N.T. Zaveri의 문헌(A. Bensari & N.T. Zaveri, Synthesis, No.2, 267-271, 2003)과 같은 합성에 의하여 수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합성되어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페오놀은, 예를 들면, 세절한 건조 목단피 또는 작약 무게의 약 3배 내지 20배의 물, C1 내지 C4의 탄소수를 갖는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실온 내지 100 ℃의 추출온도에서 약 6시간 내지 10일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조추출물을 얻는 단계; 증류수에 현탁한 조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 테이트, n-부탄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헥산:아세톤(60:1 ~ 1:1)의 용매조건으로 실시하여 소분획을 얻는 단계; 소분획을 재결정하여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마우스 마트리젤 어세이를 통한 혈관신생효과 측정시, 대조군에 비해 페오놀 투여군에서 매우 낮은 헤모글로빈 함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또한, 고형암 성장을 억제하고, 암 전이를 억제하며 및 암 유발 개체에서 생존을 연장시켜, 암의 성장과 전이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시 암 성장 억제 및 암 유발 개체의 생존 연장 효과를 상승시켜, 암의 성장과 전이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페오놀 뿐 아니라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지닌 성분을 함께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유효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용매,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피복정, 정제, 캡슐제, 환제, 좌제, 시럽, 즙, 수용액,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1일 0.1 mg/kg ~ 500 mg/kg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며, 담체와 함께 건조한 후 캡슐화 하거나 기타 정제, 과립, 분말, 음료, 죽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것 외에도 모든 식품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방사선 치료와 병행하여 암 치료에 사용되어 항암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관신생 억제 효과가 있다고 밝힌 칠엽수 추출물, 글루코사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은행엽 추출물, 멜리사엽 추출물 등과 같이 사용하면 혈관신생억제 효능이 더욱 좋아지리라 기대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물실험을 통한 혈관신생억제 효과 확인 (마우스 마트리젤 모델)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의 혈관신생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목단피로부터 페오놀을 분리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혈관신생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1-1) 페오놀의 분리 및 동정
건조한 목단피 2 kg을 분말로 세절한 후, 70 ℃에서 메탄올 5 리터로 5 시간씩 3회 환류냉각추출하였다. 여과하여 얻은 추출액은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엑스 500 g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증류수 3 리터로 현탁하여 헥산(hexane) 3 리터로 3회 분획하고, 헥산가용부를 감압 농축하여 헥산분획물 67 g을 얻었다. 헥산 분획물 67 g을 hexane : acetone (60:1 ~ 1:1)의 용매 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 래피를 실시하여 소분획 7개를 얻었다 (Fr. 1~7).
상기 소분획들을 사용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를 실시하였다.
TLC 플레이트로 Silica gel 60 F254(Merck사)을 사용하고, 전개용매는 헥산:아세톤의 혼합용매(3:1)를 사용하여 TLC를 수행하였다. 전개 후 UV 254nm에서 Rf치가 0.44 인 스팟을 확인하였다.
Fr.2에서 Rf치 0.44의 물질이 많이 함유된 침전을 얻고, 이 침전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백색의 침상결정인 화합물 1 (2100 mg)을 얻었다.
Paeonol (1)
mp 48~50 ℃, IR (KBr) νmax cm-1: 3400, 2940, 1725, 1625, 1570, 1500; 1H-NMR (400 MHz, CDCl3) δ: 2.55 (3H, s, CH3), 3.83 (3H, s, OCH3 ), 6.40~6.50 (2H, m, H-3, H-5), 7.60 (1H, d, J = 10.0 Hz, H-6), 12.60 (1H, s, OH); 13C-NMR (100 MHz, CDCl3) δ: 114.1 (C-1), 165.2 (C-2), 100.8 (C-3), 166.1 (C-4), 107.6 (C-5), 132.6 (C-6), 202.5 (C=O), 55.4 (OCH3), 26.1 (CH3).
상기 분리 화합물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1H, 13C-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데이타와 문헌에 보고된 페오놀 데이타가 일치하였으므로(Kwon et al., Kor. J. Pharmacogn. 30: 340-344, 1999) 화합물 1을 페오놀(paeonol)로 동정하였다.
1-2) 혈관신생 억제 효과 확인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동물실험인 마우스 마트리젤 모델(mouse matrigel model)을 이용하여, 페오놀 경구투여시 혈관신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6주령 암컷 C57BL/6 쥐를 일본 SLC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 안정화시킨 후, 마트리젤 0.4 ㎖, 혈관신생유도인자인 염기성 FGF(fibroblast growth factor) 50 ng/㎖ 및 헤파린 40 units/㎖ 을 혼합하여 피하주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페오놀을 20%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마트리젤 주사일로부터 마리당 1회 0.5 mg씩 1일 2회 (1 mg/day)를 4일 동안 총 8회 경구투여하였고, 대조군에는 20% 에탄올을 페오놀 투여군과 같은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시작한 지 5일째 되는 날, 마트리젤을 회수하기 위하여 표피를 제거하고 마트리젤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여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혈관형성 억제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페오놀을 경구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페오놀 투여군에서 측정된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이 33% 밖에 되지 않아 혈관신생이 67% 정도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혈관신생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페오놀에 의한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을 투여하였을 때 고형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몸무게가 20~25 g 정도의 6주령 암컷 C57BL6 쥐를 일본 SLC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 안정화시킨 후, 0.2 ㎖ PBS에 현탁시킨 1 x 106 개의 B16BL6 멜라노마(melanoma) 세포를 C57BL6 쥐에게 피하 주사하여 일차 종양을 유발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페오놀을 20%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암세포를 주입한 후부터 마리당 1회 0.5 mg 씩 1일 2회 (1 mg/1 day)로 17일간 (총 34회)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20% 에탄올을 페오놀 투여군과 같은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암세포 주입 후 17일까지 1~2일 간격으로 밖에서 종양을 재어 종양의 부피를 다음과 같은 공식 넓이(width)2 x 길이(length) x 0.52 으로 산출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오놀을 하루 1 mg씩 17일간 경구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의 크기가 감소하여 종양의 성장을 48% 억제함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암 유발 동물에서의 페오놀에 의한 생존 연장 효과 확인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 투여에 의한 암 유발 동물에서의 생존 연장 효과를 알아 보았다.
일본 SLC로부터 구입한 20~25 g 정도의 6주령 암컷 C57BL6 쥐를 1주일간 안정화시킨 후 0.2 ㎖ PBS에 현탁시킨 1 x 106 개의 B16BL6 멜라노마 세포를 C57BL6 쥐에 피하 주사하여 일차 종양을 유발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페오놀을 20%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암세포를 주입한 후부터 마리당 1회 0.5 mg 씩 1일 2회 (1 mg/1 day)로 22일간 (총 44회)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20% 에탄올을 페오놀 투여군과 같은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도 3의 결과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쥐가 사망하므로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22일 후 대조군은 7마리 중 한 마리만 살아있는데 비하여(14% 생존률), 페오놀을 투여한 군은 7마리 중 세 마리가 살아남아 (43% 생존률), 혈관신생억제 후보물질인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이 고형암을 유발한 쥐에서 생존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암 유발 동물에서의 페오놀에 의한 암 전이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 투여에 의한 암 유발 동물에서의 암 전이 억제 효과를 알아 보았다.
생후 6주령 암컷 C57BL/6 쥐를 일본 SLC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간 안정화시킨 후 그룹 당 6마리씩 분할하고 마리 당 5 x 104 개의 B16BL6 멜라노마 세포를 꼬리 에 정맥 주사하여 암을 유발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페오놀을 20%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암세포를 주입한 후부터 20% 에탄올에 녹인 페오놀을 마리당 0.25 mg씩 1일 2회 하루 0.5 mg씩 14일간 경구투여하고, 2주 후에 부검하여 현미경하에서 폐로 전이된 콜로니(colony)의 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는 20% 에탄올을 페오놀 투여군과 같은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 결과, 20 % 에탄올만 투여한 대조군은 폐에 전이된 콜로니 수가 213 ± 60 인데 비하여 페오놀 투여군은 132 ± 80으로 38% 정도 전이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이 암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페오놀과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 투여에 의한 상승 효과 확인
4-1) 암 성장 억제효과 확인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을 기존의 항암제인 5-FU(5-Fluorouracil)와 병용투여 하였을 때 항암제만 단독투여한 그룹에 비하여 상승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6주령 암컷 C57BL6 쥐를 일본 SLC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 안정화시킨 후, 0.2 ㎖ PBS에 현탁시킨 1 x 106 개의 B16BL6 멜라노마 세포를 C57BL6 쥐에 피하 주사하여 일차 종양을 유발하였다. 암세포를 주입한 날을 0일로 하여 3일과 6일에 5- FU 항암제를 마리당 70 mg/kg 용량으로 총 2회 복강 주사하였고, 암세포를 주입한 후부터 페오놀을 매일 1 mg씩 20% 에탄올에 녹여 1일 2회 마리당 하루 2 mg을 21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20% 에탄올을 시료 투여군과 같은 양을 경구 투여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암세포 주입 후 21일까지 1~2일 간격으로 밖에서 재어 종양의 부피를 다음과 같은 공식 넓이(width)2 x 길이(length) x 0.52 으로 산출하였다.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5-FU만 복강주사한 그룹은 대조군에 비하여 암성장을 50% 억제하였고, 5-FU와 함께 페오놀을 병용투여한 그룹은 암성장을 69%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항암제만 단독투여한 그룹보다 항암제에 혈관신생억제효과가 있는 페오놀을 병용투여하였을 때 암성장 억제효과가 훨씬 더 상승됨을 확인하였다.
4-2) 생존 연장효과 확인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한 조성물이 암발생 개체의 생존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관찰하였다.
일본 SLC로부터 구입한 20~25 g 정도의 6주령 암컷 C57BL6 쥐를 1주일간 안정화시킨 후, 0.2 ㎖ PBS에 현탁시킨 1 x 106 개의 B16BL6 멜라노마 세포를 C57BL6 쥐에 피하 주사하여 일차 종양을 유발하였다.
암세포를 주입한 날을 0일로 하여 3일과 6일에 항암제 5-FU를 마리당 70 mg/kg 용량으로 총 2회 복강주사하였고, 다른 그룹은 항암제 5-FU를 마리당 70 mg/kg 용량으로 총 2회 복강주사와 함께 페오놀을 매일 1 mg씩 20% 에탄올에 녹여 1일 2회 마리당 하루 2 mg을 21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과 항암제만 투여한 군에는 페오놀 투여군과 같은 양의 20% 에탄올을 경구투여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쥐가 사망하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22일 후 대조군과 항암제 투여군은 7마리 중 한 마리만 생존한 데 비하여(14% 생존율), 항암제와 페오놀을 병용투여한 군은 7마리 중 4마리가 생존하여(57% 생존율), 혈관신생억제효과가 있는 페오놀과 항암제의 병용투여로 인하여 생존이 연장됨을 알 수 있었다(도 5).
따라서, 본 발명의 페오놀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항암제와 병용투여함으로써 생존 연장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관신생 억제, 고형암의 성장 억제, 암의 전이 억제효과가 있고,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시 암 성장 억제 및 생존 연장 효과를 상승시키며, 혈관신생에 의한 안과질환, 건선 등의 각종 질환 및 암의 성장과 전이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성장과 전이를 예방 또는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886113-pat00010
  2. 삭제
  3.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망막증, 조숙아의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질환, 퇴화반, 반점의 변성, 익상편, 망막변성 또는 후수정체 섬유증식증을 예방 또는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886113-pat00011
  4. 삭제
  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종, 혈관섬유종, 동맥경화 또는 모세관 확장증을 예방 또는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886113-pat00012
  6.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선을 예방 또는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886113-pat00013
  7.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을 예방 또는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886113-pat00014
  8.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를 예방 또는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886113-pat00015
  9.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오놀(paeo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886113-pat00016
KR1020050038014A 2005-05-06 2005-05-06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KR10078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14A KR100782895B1 (ko) 2005-05-06 2005-05-06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US11/913,769 US10933030B2 (en) 2005-05-06 2006-05-04 Use of paeonol for inhibiting angiogenesis or for enhancing radiosensitization
EP06757650.4A EP1877043B8 (en) 2005-05-06 2006-05-04 Use of paeonol for inhibiting angiogenesis or for enhancing radiosensitization
PCT/KR2006/001702 WO2006121263A1 (en) 2005-05-06 2006-05-04 Use of paeonol for inhibiting angiogenesis or for enhancing radiosensit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14A KR100782895B1 (ko) 2005-05-06 2005-05-06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526A KR20060115526A (ko) 2006-11-09
KR100782895B1 true KR100782895B1 (ko) 2007-12-06

Family

ID=3765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14A KR100782895B1 (ko) 2005-05-06 2005-05-06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895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526A (ko)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20988A1 (en) Brain cell- or nerve cell-protecting agents comprising medicinal ginseng
US10933030B2 (en) Use of paeonol for inhibiting angiogenesis or for enhancing radiosensitization
KR100500298B1 (ko) 멜리사엽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13161821A1 (ja) Cgrp応答性促進剤
KR100782895B1 (ko) 혈관신생억제용 조성물
KR101775385B1 (ko)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KR20160011329A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효과 증진 및 비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US20090220627A1 (en) Nove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inhibitors
KR102054194B1 (ko) 칠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11278748B2 (en) Endothel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JP7217085B2 (ja) ロイシン誘導体、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用途
WO201513813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on of triglyceride synthesis via synergistic combination of botanical formulations
US20140336135A1 (en) Novel use of rhododendrin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9972B1 (ko) 한약재 추출물(yj05)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5949B1 (ko) Ym976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용 조성물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20751B1 (ko) 방사선 치료 민감용 조성물
KR102269820B1 (ko)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3277626A1 (ko)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92267A (ko)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30099248A (ko) 노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28554A (ko) 멜리사엽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 약학적 조성물
JP6520440B2 (ja) 新規化合物
KR20240056425A (ko)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근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