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352B1 -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 Google Patents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352B1
KR100781352B1 KR1020060105367A KR20060105367A KR100781352B1 KR 100781352 B1 KR100781352 B1 KR 100781352B1 KR 1020060105367 A KR1020060105367 A KR 1020060105367A KR 20060105367 A KR20060105367 A KR 20060105367A KR 100781352 B1 KR100781352 B1 KR 10078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ocket
erosion
lower rod
connec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철휘
김은정
Original Assignee
권철휘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철휘, 김은정 filed Critical 권철휘
Priority to KR102006010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 및 준설공사가 시행되는 해안의 장기적인 침식 및 퇴적의 변화양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해안의 지반에 수직으로 설치하게 되는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부에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지반고정용 스크류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의 상부로부터 연결용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하부봉과, 하단부에 상기 하부봉의 연결용 소켓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소켓결합부의 상부로부터 연결용 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상기 하부봉에 설치된 측정용 줄자에 이어지는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상부봉으로 구성되므로써, 하부봉에 구비된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지반에 최대한 깊게 매설할 수 있게 되어 침식 및 퇴적의 변화량이 심한 해안에서도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에 따라 하부봉의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회전시켜 하부봉을 더욱 더 깊이 매설하거나 하부봉의 상단에 상부봉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써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해안, 침식, 퇴적, 측정, 기구, 봉, 줄자, 스크류, 소켓

Description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erosion and accumulation in a seashor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정기구 2 : 하부봉
2a : 핸들삽입공 3 : 연결용 소켓
4 : 지반고정용 스크류 5 : 측정용 줄자
6 : 상부봉 6a : 핸들삽입공
7 : 연결용 소켓 8 : 소켓결합부
9 : 측정용 줄자
본 발명은 매립 및 준설공사가 시행되는 해안의 장기적인 침식 및 퇴적의 변화양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해안의 지반에 수직으로 설치하게 되는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부에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지반고정용 스크류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의 상부로부터 연결용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하부봉과, 하단부에 상기 하부봉의 연결용 소켓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소켓결합부의 상부로부터 연결용 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상기 하부봉에 설치된 측정용 줄자에 이어지는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상부봉으로 구성되므로써, 하부봉에 구비된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지반에 최대한 깊게 매설할 수 있게 되어 침식 및 퇴적의 변화량이 심한 해안에서도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에 따라 하부봉의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회전시켜 하부봉을 더욱 더 깊이 매설하거나 하부봉의 상단에 상부봉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써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립 및 준설공사 등이 이루어지는 해양공사시에는 침식 및 퇴적의 변화가 예상되는 해안에 침식 및 퇴적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구를 수직으로 설치해 두고 시간에 따른 침식 및 퇴적량의 변화를 관측하므로써 해양공사가 시행되는 해안의 장기적인 침식 및 퇴적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양공사가 시행되는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긴 철봉형태로 된 측정기구를 해안의 지반에 수직으로 설치해 놓고 시간에 따른 줄자의 눈금변화를 관측하므로써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는 하나의 긴 철봉형태로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해안의 지반에 견고하게 시공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이 증대될 경우에는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을 예측하여 기존에 설치해 놓은 측정기구를 철거한 후 기존보다 더 넓은 측정폭을 가지는 새로운 측정기구를 시공해야 하므로 실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는 침식 및 퇴적의 변화가 심한 해안의 지반에 설치될 경우에는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지거나 전도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값을 얻기 힘든 경우가 많아 실효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기울어지거나 전도된 측정기구를 재시공하거나 복구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단부에 연 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지반고정용 스크류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의 상부로부터 연결용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하부봉과, 하단부에 상기 하부봉의 연결용 소켓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소켓결합부의 상부로부터 연결용 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상기 하부봉에 설치된 측정용 줄자에 이어지는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상부봉으로 이루어진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를 제공하므로써, 하부봉에 구비된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지반에 최대한 깊게 매설할 수 있게 되어 침식 및 퇴적의 변화량이 심한 해안에서도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에 따라 하부봉의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회전시켜 하부봉을 더욱 더 깊이 매설하거나 하부봉의 상단에 상부봉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써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에는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되는 원추형상의 지반고정용 스크류가 고정설치되며 지반고정용 스크류의 하부에는 봉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결용 소켓의 하측에는 회전용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의 상부로부터 연결용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는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하부봉과, 상기 하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봉의 연결용 소켓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용 소켓의 하측에는 회전용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소켓결합부의 상부로부터 연결용 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봉에 설치된 측정용 줄자에 이어지는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안의 지반에 매설되는 하부봉(2)과, 지반에 매설된 하부봉(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봉(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봉(2)은 상단부에 상부봉(6)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소켓(3)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지반고정용 스크류(4)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4)의 하부에는 봉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결용 소켓(3)의 하측에는 회전용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삽입공(2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4)의 상부로부터 연결용소켓(3)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는 측정용 줄자(5)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봉(2)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지반고정용 스크류(4)는 상하부의 직경이 균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역원추형상 또는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되는 작아지게 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해안의 지반내부에 매설되는 하부봉(2)이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봉(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봉(6)은 하단부에 상기 하부봉(2)의 연결용 소켓(3)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8)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또 다른 상부봉을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용 소켓(7)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용 소켓(7)의 하측에는 회전용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삽입공(6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소켓결합부(8)의 상부로부터 연결용 소켓(7)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봉(2)에 설치된 측정용 줄자(5)에 이어지는 측정용 줄자(9)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봉(2)과 상부봉(6)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측정용 줄자(5)(9)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속부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케이블타이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의 설치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를 해안의 지반(20)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해안의 지반(20)에 하부봉(2)의 지반고정용 스크류(4)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구덩이를 파낸 후 그 구덩이의 바닥에 지반고정용 스크류(4)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하부봉(2)의 하단부 뾰족한 끝부분을 박아 수직으로 세운 다음, 하부봉(2)의 상부에 관통형성된 핸들삽입공(2a)에 하부봉(2)을 회전시키기 위한 긴 환봉형상으로 된 회전용 핸들(10)을 삽입설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봉(2)의 핸들삽입공(2a)에 삽입설치된 회전용 핸들(10)을 잡고 하부봉(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봉(2)의 하부에 구비된 지반고정용 스크류(4)가 지반(20)내부로 파고들게 되면서 하부봉(2)이 점차적으로 지반(20)내부에 박혀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하부봉(2)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용 소켓(3)이 지반(20)의 지면상부로 약간 노출될 정도의 높이까지 하부봉(2)을 지반(20)내부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반(20)의 내부에 하부봉(2)을 설치한 후에는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덩이로부터 파낸 흙이나 모래로 다시 구덩이를 메운 다음, 메운 구덩이부분을 단단하게 다지게 되므로써 하부봉(2)이 지반(20)내부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매설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반(20)의 내부에 매설된 하부봉(2)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용 소켓(3)에 상부봉(6)의 하단에 형성된 소켓결합부(8)를 나사결합하여 하부봉(2)의 상단에 상부봉(6)을 연결하게 되므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는 하부봉(2)과 상부봉(6)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측정용 줄자(5)(9)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되므로써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을 정량적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 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는 해안의 지반(20)내부에 매설되는 하부봉(2)이 하부에 고정설치된 지반고정용 스크류(4)에 의해 지반(20)내부에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므로써 침식 및 퇴적의 변화량이 심한 해안에서도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는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에 따라 하부봉(2)의 핸들삽입공(2a)에 회전용 핸들(10)을 삽입한 후 하부봉(2)의 지반고정용 스크류(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하부봉(2)을 더욱 더 깊이 매설하게 되거나,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봉(2)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봉(6)에 또 다른 상부봉(11)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써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는 상단부에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지반고정용 스크류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의 상부로부터 연결용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하부봉과, 하단부에 상기 하부봉의 연결용 소켓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연결용 소켓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소켓결합부의 상부로부터 연결용 소켓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 상기 하부봉에 설치된 측정용 줄자에 이어지는 측정용 줄자가 고정설치된 상부봉으로 구성되므로써, 하부봉에 구비된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지반에 최대한 깊게 매설할 수 있게 되어 침식 및 퇴적의 변화량이 심한 해안에서도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변화폭에 따라 하부봉의 지반고정용 스크류를 회전시켜 하부봉을 더욱 더 깊이 매설하거나 하부봉의 상단에 상부봉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써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단부에는 연결용 소켓(3)이 고정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되는 원추형상의 지반고정용 스크류(4)가 고정설치되며 지반고정용 스크류(4)의 하부에는 봉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결용 소켓(3)의 하측에는 회전용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삽입공(2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지반고정용 스크류(4)의 상부로부터 연결용소켓(3)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는 측정용 줄자(5)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하부봉(2)과,
    상기 하부봉(2)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봉(2)의 연결용 소켓(3)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8)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연결용 소켓(7)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용 소켓(7)의 하측에는 회전용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삽입공(6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소켓결합부(8)의 상부로부터 연결용 소켓(7)의 상단에 이르는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봉(2)에 설치된 측정용 줄자(5)에 이어지는 측정용 줄자(9)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부봉(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KR1020060105367A 2006-10-28 2006-10-28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KR10078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67A KR100781352B1 (ko) 2006-10-28 2006-10-28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367A KR100781352B1 (ko) 2006-10-28 2006-10-28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352B1 true KR100781352B1 (ko) 2007-11-30

Family

ID=3908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367A KR100781352B1 (ko) 2006-10-28 2006-10-28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1485A (zh) * 2022-06-06 2022-07-26 贵州师范大学 一种组装两用式石漠化地表土壤侵蚀监测针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42Y1 (ko) * 1994-02-02 1997-03-20 방광식 지중선용 접지공구
KR20000018589A (ko) * 1998-09-03 2000-04-06 류양형 수위 및 강우 측정장치
JP2002206230A (ja) * 2001-01-10 2002-07-26 Sekisui House Ltd 地盤試験機及び地盤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42Y1 (ko) * 1994-02-02 1997-03-20 방광식 지중선용 접지공구
KR20000018589A (ko) * 1998-09-03 2000-04-06 류양형 수위 및 강우 측정장치
JP2002206230A (ja) * 2001-01-10 2002-07-26 Sekisui House Ltd 地盤試験機及び地盤試験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1485A (zh) * 2022-06-06 2022-07-26 贵州师范大学 一种组装两用式石漠化地表土壤侵蚀监测针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9996B (zh) 土体内部位移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02162234B (zh) 一种岩土体表面位移实时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1692035A (zh) 一种土壤毛细水上升高度测量装置
CN103308666B (zh) 坡地水量平衡试验装置
CN202182830U (zh) 砂质土壤旋转嵌入器
CN108914999A (zh) 用于倾斜桩基的纠偏修复结构
KR100781352B1 (ko) 해안의 침식 및 퇴적량 측정기구
Zhan et al. Instrumentation of an unsaturated expansive soil slope
KR101710499B1 (ko) 연약지반의 침하량 자동계측장치
CN108007764A (zh) 下埋式混凝土构件强度非开挖检测装置及其方法
JP5270650B2 (ja) 透水試験装置
CN201665880U (zh) 一种土体内部位移测量装置
Mendes et al. A system for field measurement of suction using high capacity tensiometers
US6920780B2 (en) Tensiometer, drive probe for use with environmental testing equipment, and methods of inserting environmental testing equipment into a sample
CN213634788U (zh) 一种暴雨型稀性泥石流的检测预报预警装置
CN209854715U (zh) 一种用于岩土工程深层钻孔埋设管的旋转式地锚装置
KR20100067160A (ko) 현장용 투수시험기
CN211504747U (zh) 一种公路压实度试验检测装置
CN113945487A (zh) 一种便于测量浆液不同深度位置密度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198772U (zh) 一种环境检测用淤泥取样装置
JPS63181819A (ja) 地中埋設物における沈下量測定棒の取付方法
CN207764033U (zh) 下埋式混凝土构件强度非开挖检测装置
CN208091429U (zh) 一种建筑工程用沉降检测装置
CN203229940U (zh) 一种人工管钻
Jabro et al. Passive capillary sampler for measuring soil water drainage and flux in the vadose zone: Design, performance, and enh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