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401B1 -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 - Google Patents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401B1
KR100780401B1 KR1020027017021A KR20027017021A KR100780401B1 KR 100780401 B1 KR100780401 B1 KR 100780401B1 KR 1020027017021 A KR1020027017021 A KR 1020027017021A KR 20027017021 A KR20027017021 A KR 20027017021A KR 100780401 B1 KR100780401 B1 KR 10078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olymer material
biodegradable polymer
nozzle
melt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898A (ko
Inventor
게이지 이가키
히데키 야마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가키 이료 세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가키 이료 세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가키 이료 세케이
Publication of KR2003001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4Melting filament-forming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6Feeding liquid to the spinning hea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용융 방사하는 용융 방사 장치로서,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8) 내에 상기 실린더(8)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회전구동기구(7)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원주면에 적어도 1조의 나선홈(17)이 형성된 나사(16)를 구비한 용융기구(4)에 의해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용융하고, 상기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실린더(8)와 동축으로 설치된 노즐(10)의 토출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하여 방사를 행한다.
스텐트, 융사, 방사, 폴리머, 생분해, 용융, 노즐, 나선홈, 생체, 맥관, 혈관, 협착

Description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 {MELTING AND SPINNING DEVICE AND MELTING AND SPINNING METHOD}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의료용 재료, 예를 들면 생체의 맥관에 삽입되는 스텐트(stent)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용융 방사(溶融 紡絲)하는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체의 맥관, 특히 동맥 등의 혈관에 협착부가 발생한 경우에, 이 협착부에 카테테르(catheter)의 선단부 근방에 장착한 벌룬을 삽입하고, 이 벌룬이 확장되는 것에 의해 협착부를 확장하여 혈류를 확보하는 수술인 경피적 혈관형성술(PTA)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런데, 경피적 혈관형성술을 실시하더라도, 협착을 발생시킨 부분에 높은 확률로 다시 협착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경피적 혈관형성술을 실시한 부분에, 원통형을 이루는 스텐트 삽입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스텐트는, 직경축소된 상태에서 혈관 내에 삽입되고, 그 후 확장되어 혈관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혈관을 그 내부로부터 지지하고, 혈관에 재협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종류의 스텐트로서, 스테인리스강이나 Ti-Ni 계합금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경피적 혈관형성술에 있어서, 혈관 내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주된 목적은, 급성관폐쇄의 예방과 재협착의 빈도의 감소에 있다. 급성관폐쇄와 재협착은, 일정기간과의 관계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치료만을 요구한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스텐트는, 일정기간 혈관을 내부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면 족하고, 그 후는 이물로서 생체 내에 잔류되지 않은 쪽이 바람직하다.
금속제의 스텐트는, 일단 생체의 혈관 내에 삽입되면 영구적으로 존속함으로써, 스텐트 부위에서 재협착이 발생했던 바와 같은 경우, 두 번째의 혈관형성술의 방해가 되는 것이 많다. 또, 스텐트가 삽입된 부위는, 관동맥바이패스의 시행도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구히 존속하는 금속제의 스텐트를 생체내에 삽입하는 것은, 재치료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해가 된다.
이러한 금속제의 스텐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혈관 등의 생체 내에 삽입한 후 일정기간을 경과함으로써 분해되고, 그 후 생체에 흡수되어 소실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스텐트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2842943호 공보, 일본 특개평 11-57018호 공보).
특히, 본 발명자는 생분해성 폴리머제의 실을 원통형으로 짠 편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일본 특허 2842943호 공보), 생분해성 폴리머제의 실을 지그재그형으로 굽히면서 부직불편(不織不編) 상태에서 원통형으로 감은 스텐트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폴리머제의 실을 이용함으로써, 구조체로서 혈관을 열린 상 태로 있게 하는 데 충분한 역학적 특성을 일정기간 구비하면서, 일정기간 경과 후에 소실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생분해성 폴리머제의 실을 이용한 스텐트는, 용이하게 굽힘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굴곡된 혈관 내를 용이하게 이송할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고분자 재료인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는, 분자량에 따라 분해·흡수 특성이 다르고, 역학적인 특성이 다르다.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PLLA)과 같은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는, 용융되어 열분해되는 것에 의해, 분자량이 저하된다. 분자량의 저하는, 열분해의 정도의 따라서 변화된다. 따라서, 동일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용융방사할 때, 용융하는 폴리머재료에의 가열시간을 불균일하게 하면, 방사되는 실의 평균 분자량이 불균일하게 된다. 평균 분자량이 불균일한 실은 분해·흡수특성이나 역학적인 특성이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평균 분자량이 불균일한 실을 이용하여 스텐트를 형성하고, 혈관 등의 맥관에 삽입할 때, 스텐트 전체를 균등하게 분해하여 흡수시킬 수 없다. 또, 이 종류의 실을 이용한 스텐트는 실 자체에 강도 불균일을 가지므로, 혈관 등 맥관의 내벽을 균일한 힘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역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강도의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분해·흡수 특성을 가지는, 즉 균일한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실을 방사할 수 있고, 생분해성 스텐트에 적합한 구성 소재로서의 실을 방사할 수 있는 방 사장치 및 방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의료용 재료, 예를 들면 생체의 맥관에 삽입되는 스텐트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용융 방사하는 용융 방사 장치이고, 상기 방사장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가 공급되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내에,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원주면에 최소한 1조의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를 설치하고, 실린더 내에 공급되어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실린더의 선단과 동축으로 장착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시켜 방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용융 방사 장치는, 나사에 의해 용융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수직방향으로 송출하면서 노즐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하여 방사를 행하기 때문에, 실린더 및 노즐 내에서 용융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의 체류나 불균일한 와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균일한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실이 방사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용융하는 용융기구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외주측에, 실린더의 축방향에 병렬로, 각각 독립적으로 온도제어가 가능하게 이루어진 복수의 가열기구가 설치되고, 실린더에 투입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의 용융 상태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토출하는 노즐은, 가열기구에 의해 일정한 온도에 제어된다. 노즐이 온도 제어됨에 의해,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내에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회전구동기구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원주면에 1조의 나선홈이 설치된 나사를 구비한 용융기구에 의해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용융하고, 상기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실린더와 동축으로 설치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토출하여 방사가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stent)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용융 방사(溶融 紡絲)하는 용융 방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재료가 공급되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회전구동기구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원주면에 최소한 1조의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
상기 실린더의 선단측에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
상기 실린더에 생분해성 폴리머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 투입된 생분해성 폴리머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에 병렬로, 가열온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복수의 가열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의 외주측에는, 상기 노즐의 온도를 제어하는 가열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에 투입되고,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온도제어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되고, 상기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용융된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상기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시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용융 방사하는 용융 방사 방법에 있어서,
용융 방사되는 생분해성 폴리머를 온도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공급부에 투입하고,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의 융점(Tm) 이하의 온도로 가열 온도를 제어하고,
그 다음,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열 온도 제어된 생분해성 폴리머를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에 투입하고,
상기 실린더에 투입된 생분해성 폴리머를, 상기 외주측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에 병렬로 배치되고, 가열 온도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게 된 복수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 온도 제어되면서,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며, 원주면에 1조의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를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용융되고,
상기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외주측에 가열수단이 설치되고, 온도 제어가 행해지는 노즐에 의해, 온도 제어가 도모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하여 방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용융 방사 장치를 이용한 방사 방법에 의해, 균일한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필라멘트가 방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용융기구의 실린더 및 나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린더의 선단측에 장착되는 유통저항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용융기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토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폴리머재료를 용융기구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용융기구를 구성하는 실린더 내에 배치되는 나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용융기구와 토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제어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용융기구를 구성하는 1조의 치차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 및 이 용융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용융 방사하는 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방사기를 수직으로 설치한 세로형의 형태를 가지는 용융 방사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용융 방사 장치는, 설치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2)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판(2)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3)에 지지부재(3a)를 통하여 지지되는 용융방사기(1)를 구비한다. 용융방사기(1)는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3)에 평행하게 지지된 용융기구(4)와, 용융기구(4)에 의해서 용융된 폴리머재료를 토출하는 토출부(5)와, 폴리머재료를 용융기구(4)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6)와, 용융기구(4)를 구성하는 나사(16)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
용융방사기(1)를 구성하는 용융기구(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실린더(8)를 구비한다. 실린더(8) 내에는, 상기 실린더(8)와 동축으로 나사(16)가 설치되어 있다. 나사(16)는 실린더(8) 내에 투입된 폴리머재료를 가압하고, 융해를 촉진하면서 실린더(8)의 선단부측으로 압출한다.
실린더(8)의 외주측에는 실린더(8)의 축방향에 병렬로 복수의 가열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열부(9)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실린더(8)의 축방향의 온도를 다단계로 제어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실린더(8)의 선단측에는 용융기구(4)에 의해서 용융된 폴리머재료를 토 출하는 토출부(5)를 실린더(8)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1)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부재(21)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16)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복수의 관통공(22a)이 형성된 유통저항판(22)이 장착되어 있다. 나사(16)의 회전에 의해서 실린더(8)의 선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폴리머재료는, 유통저항판(22)을 통과할 때에 유통저항이 부여되어 가압되고, 실린더(8)의 선단으로부터 토출부(5)측으로 압출된다.
유통저항판(22)에 설치되는 관통공(22a)는, 나사(16)의 회전에 의해서 실린더(8)의 선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폴리머재료의 공급량이나 공급속도, 또한 폴리머재료의 점성저항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그 구멍직경이나 설치되는 수가 변경된다.
또, 유통저항판(22)은 나사(16)의 회전에 의해서 실린더(8)의 선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폴리머재료에 유통저항을 부여하고, 폴리머재료를 가압하는 것이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실린더(8)의 선단측에 연결부재(21)를 통하여 장착된 토출부(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8)의 선단측에 장착된 연결부재(21)에 연결되는 스풀 부시(11)와, 스풀 부시(11)의 선단측에 장착된 노즐(10)을 구비한다. 노즐(10)은, 장착부재(12)를 통하여 스풀 부시(11)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또, 노즐(10)과 장착부재(12)는 일체로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토출부(5)를 구성하는 스풀 부시(11)는, 실린더(8)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폴리머재료를 노즐(10)에 일정량씩 안정된 상태로 공급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유통로(11a)가 실린더(8)와 동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유통로(11a)와 실린더(8)는 축심(P1)을 일치시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유통로(11a)는, 수직으로 배치된 실린더(8)측에서 노즐(10)측을 향해 완만하게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실린더(8)로부터 공급되는 용융한 폴리머재료에 체류나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일정량씩 안정된 상태로 노즐(10)에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노즐(1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부시(11)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폴리머재료를 토출시키는 토출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0a)는, 방사하는 실의 직경을 제어하는 것으로, 방사하는 실의 굵기에 따라서 적절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토출구(10a)도 유통로(11a)와 동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토출구(10a) 및 유통로(11a)는, 수직으로 이루어져 실린더(8)와 동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노즐(10)은 토출구(10a)의 직경(R1)을 달리한 것을 복수 준비하고, 적절히 교환함으로써 굵기를 달리 한 실을 방사할 수 있다.
토출부(5)의 외주측에는 토출부(5)의 온도를 제어하는 가열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13)는 토출부(5)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노즐(10)로부터 토출되는 폴리머재료의 온도를 제어한다.
용융되는 폴리머재료를 용융기구(4)에 공급하는 공급부(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머재료를 실린더(8)에 투입하기 위한 호퍼(14)와 실린더(8)에의 장 착부(6a)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6a)의 외주측에는 공급부(6)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제어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제어부(15)는 호퍼(14)에 투입된 폴리머재료를 일정온도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가열냉각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용융기구(4)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융기구(4)는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주면에 1조의 나선홈(17)이 형성된 나사(16)가 실린더(8)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나사(16)는 기단부측을 연결한 회전구동기구(7)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나사(16)가 회전구동되면, 나선홈(17)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8) 내에 투입되어 가열부(9)의 가열에 의해서 용융된 폴리머재료가 실린더(8)의 선단측으로 송출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용융방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나사에 형성되는 나선홈은, 나사의 직경과 대략 동등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에 이용하는 나사(16)는 나선홈(17)을 나사(16)의 직경(Sr)의 1/2의 피치(Tp)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선홈(17)을 형성함으로써, 투입된 폴리머재료의 실린더(8)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나사(16)의 길이가 짧더라도 가열부(9)에 의해서 충분히 가열하여 확실하게 용융할 수 있다. 이러한 나사(16)를 이용함으로써, 나사(16)를 짧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실린더(8)를 포함하는 용융기구(4)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는, 용융기구(4)와 토출부(5)사이에, 토출부(5)로 공급되는 용융상태로 있는 폴리머재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제어기구(18)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제어기구(18)로서, 예를 들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공급제어기구(18)는, 용융기구(4)로부터 압출되는 유통로(18a) 중을 유통하는 용융상태로 있는 폴리머재료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검출수단(19)과, 용융된 폴리머재료를 토출부(5)로 송출하기 위한 1조의 치차(20)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제어기구(18)는 압력검출수단(19)에 의해서 유통로(18a) 중을 유통하는 폴리머재료의 압력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출력에 의해 1조의 치차(20)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유통로(18a) 중을 유통하는 폴리머재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한다. 유통로(18a) 중을 유통하는 폴리머재료의 압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함에 의해, 정량의 폴리머재료를 토출부(5)에 공급할 수 있다.
또, 공급제어기구(18)의 유통로(18a)가 설치되는 부분의 외주측에는, 가열부(23)가 설치되는 유통로(18a) 중을 유통하는 폴리머재료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로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를 이용한 용융 방사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용융 방사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용되는 용융 방사되는 폴리머재료에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가 이용된다.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글락틴(폴리글리콜산-폴리락트산 공중합체), 폴리디옥산, 폴리글리코네이트(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글리코이드 공중합체), 폴리락트산과ε-카플라락톤과의 공중합체 등이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머재료를 방사하는 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부(6)의 호퍼(14)에 펠릿형의 폴리머재료(Pp)를 투입한다. 호퍼(14)에 투입된 폴리머재료는, 용융기구(4)의 실린더(8)에 공급된다.
그런데, 호퍼(14)에 투입된 폴리머재료가 실린더(8) 내에서 회전하는 나사(16)에 형성된 나선홈(17) 내에 신속하게 공급되기 위해서는, 고형상태일 필요가 있다. 즉, 실린더(8)에 공급되는 폴리머재료는 융점(Tm) 또는 연화점 이하로 제어될 필요가 있다. 또, 실린더(8)에 공급된 폴리머재료는, 용융기구(4)에서의 용융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실린더(8)에 공급된 후 즉시 용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급부(6)에 설치한 온도제어부(15)는, 호퍼(14)보다 투입된 폴리머재료를 고형상태를 유지하면서 즉시 용융가능해지는 온도로 제어한다.
호퍼(14)를 통하여 실린더(8)에 공급된 폴리머재료는, 회전구동기구(7)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나사(16)의 나선홈(17) 내에 도입되고, 실린더(8)의 외주부에 설치된 가열부(9)에 의해서 가열되면서 실린더(8)의 선단측으로 압출되어 간다. 이 압출 중의 폴리머재료는 복수의 가열부(9)에 의해서 폴리머재료가 변질되지 않은 온도인 열분해온도 이하로 제어된다. 폴리머재료는 열분해온도 이하의 온도로 제어됨으로써, 변질되지 않고 용융상태를 유지하여 실린더(8)의 선단으로부터 확실하게 압출된다.
용융상태를 유지하여 실린더(8)의 선단부에 압출된 폴리머재료는, 유통저항판(22)으로 유통저항이 부여됨으로써, 각각의 관통공(22a)에 균일하게 가압되어 토 출부(5)에 공급된다.
또, 유통저항판(22)에 형성되는 관통공(22a)은, 폴리머재료를 체류 및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자량 분포를 균일한 상태로 유지하여 토출부(5)에 송출할 수 있다.
또, 용융기구(4)와 토출부(5)의 사이에 공급제어기구(18)를 설치한 용융 방사 장치에서는, 용융기구(4)의 실린더(8)로부터 압출된 용융된 폴리머재료는, 공급제어기구(18)에 의해서 압력이 일정하게 제어되는 것에 의해 토출부(5)에 송출되는 유량이 제어되고, 확실하게 일정유량으로 토출부(5)에 송출된다.
또, 공급제어기구(18)에 공급된 폴리머재료는, 공급제어기구(18)의 외주부에 설치된 가열부(23)에 의해서 가열됨으로써, 확실하게 용융상태가 유지되어 토출부(5)에 송출된다. 이 경우에도, 가열부(23)는 폴리머재료를 변질시키지 않도록 열분해온도 이하로 가열 제어한다.
용융기구(4) 또는 공급제어기구(18)로부터 토출부(5)로 송출된 용융상태로 있는 폴리머재료는, 가열부(23)에 의해 스풀 부시(11) 내에서 열분해온도 이하로 가열된다. 또, 토출부(5)는 스풀 부시(11)로부터 노즐(10)사이에서의 유로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하는 폴리머재료에 체류나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유통시킨다. 이와 같이, 용융상태를 유지한 폴리머재료는, 수직 유로를 통하여 노즐(10)에 공급되기 때문에, 분자량 분포의 균일 상태를 유지하여 노즐(10)로부터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분자량 분포를 균일하게 한 폴리머재료제의 실을 방사할 수 있다.
또, 노즐(10)에는 단일의 토출구(10a)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노필라멘트를 방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은, 생분해성 폴리머재료의 체류나 불균일한 와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평균 분자량이 균일한 실을 방사할 수 있다. 즉, 역학적인 특성이 균일하고, 분해·흡수 특성이 균일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의 실을 방사할 수 있고, 여기서 방사되는 실은, 생체의 맥관에 삽입되어 이용되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매우 유용하다.

Claims (10)

  1. 생체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stent)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용융 방사(溶融 紡絲)하는 용융 방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재료가 공급되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회전구동기구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원주면에 최소한 1조의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
    상기 실린더의 선단측에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
    상기 실린더에 생분해성 폴리머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 투입된 생분해성 폴리머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에 병렬로, 가열온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복수의 가열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의 외주측에는, 상기 노즐의 온도를 제어하는 가열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에 투입되고,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온도제어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되고, 상기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용융된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상기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시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방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단일의 토출구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필라멘트를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방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홈은 상기 나사 직경의 1/2보다 작은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방사 장치.
  6. 삭제
  7. 생체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용융 방사하는 용융 방사 방법에 있어서,
    용융 방사되는 생분해성 폴리머를 온도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공급부에 투입하고,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의 융점(Tm) 이하의 온도로 가열 온도를 제어하고,
    그 다음,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열 온도 제어된 생분해성 폴리머를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에 투입하고,
    상기 실린더에 투입된 생분해성 폴리머를, 상기 외주측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에 병렬로 배치되고, 가열 온도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게 된 복수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 온도 제어되면서,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며, 원주면에 1조의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를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용융되고,
    상기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를, 상기 실린더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외주측에 가열수단이 설치되고, 온도 제어가 행해지는 노즐에 의해, 온도 제어가 도모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하여 방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방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는 상기 노즐에 설치한 단일의 토출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되고, 필라멘트로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방사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재료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글락틴(폴리글리콜산-폴리락트산 공중합체), 폴리디옥산, 폴리글리코네이트(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클리코이드 공중합체), 폴리락트산과 ε-카플라락톤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용융 방사 방법.
KR1020027017021A 2001-04-18 2002-04-15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 KR100780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9964 2001-04-18
JP2001119964 2001-04-18
PCT/JP2002/003738 WO2002086203A1 (fr) 2001-04-18 2002-04-15 Dispositif et procede de fonte et de centrifu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898A KR20030011898A (ko) 2003-02-11
KR100780401B1 true KR100780401B1 (ko) 2007-11-28

Family

ID=1897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021A KR100780401B1 (ko) 2001-04-18 2002-04-15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30173702A1 (ko)
EP (1) EP1310585B1 (ko)
JP (1) JP3898131B2 (ko)
KR (1) KR100780401B1 (ko)
CN (1) CN1461361A (ko)
AT (1) ATE375411T1 (ko)
AU (1) AU2002249597B2 (ko)
CA (1) CA2412825C (ko)
DE (1) DE60222848T2 (ko)
DK (1) DK1310585T3 (ko)
ES (1) ES2295334T3 (ko)
PT (1) PT1310585E (ko)
WO (1) WO2002086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4494B2 (en) 2002-10-11 2010-09-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s
EP1958657A1 (en) * 2003-07-18 2008-08-20 Boston Scientific Limited Medical devices
DE102010012845A1 (de) * 2010-03-25 2011-09-29 Carl Freudenberg Kg Durch Rotationsspinnverfahren hergestellte Mehrkomponentenfasern
KR102242444B1 (ko) * 2019-06-11 2021-04-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보형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68655B1 (ko) * 2019-11-06 2020-10-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CN111647958B (zh) * 2020-05-29 2022-04-15 中鸿纳米纤维技术丹阳有限公司 一种聚乙醇酸喷丝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249A (en) 1974-07-03 1977-03-15 Akzona Incorporated Reinforced matting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its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4218A (en) * 1967-09-26 Retreatment of synthetic fibres
FR1028274A (fr) * 1950-11-23 1953-05-20 Dow Chemical Co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fibres bouclées ou frisées
JPS4414711Y1 (ko) * 1964-04-14 1969-06-23
US3737506A (en) * 1970-04-03 1973-06-05 Viscose Suisse Soc D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extrusion of highly-viscous melts
US4347207A (en) * 1981-01-27 1982-08-31 Kling-Tecs, Inc. Method of extruding polypropylene yarn
US4950735A (en) * 1988-07-26 1990-08-21 Sharpoint L.P. Biodegradable polyamides
US5166278A (en) * 1990-04-17 1992-11-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odifying polyamide dyeability using co-fed polyamide flake
DE69131423T2 (de) * 1991-03-08 2000-01-20 Keiji Igaki Stent für gefässe, halterungsstruktur für diesen stent und vorrichtung zur montage desselben
US6719935B2 (en) * 2001-01-05 2004-04-13 Howmedica Osteonics Corp. Process for forming bioabsorbable impla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249A (en) 1974-07-03 1977-03-15 Akzona Incorporated Reinforced matting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its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2848D1 (de) 2007-11-22
JP3898131B2 (ja) 2007-03-28
US20030173702A1 (en) 2003-09-18
AU2002249597B2 (en) 2007-02-15
DK1310585T3 (da) 2008-01-02
ATE375411T1 (de) 2007-10-15
EP1310585B1 (en) 2007-10-10
CN1461361A (zh) 2003-12-10
EP1310585A4 (en) 2006-07-12
CA2412825C (en) 2010-09-14
JPWO2002086203A1 (ja) 2004-08-12
CA2412825A1 (en) 2002-12-13
EP1310585A1 (en) 2003-05-14
ES2295334T3 (es) 2008-04-16
PT1310585E (pt) 2007-10-25
KR20030011898A (ko) 2003-02-11
DE60222848T2 (de) 2008-07-17
WO2002086203A1 (fr)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8039B1 (en) Stent for vessel, structure of holding said stent, and device for mounting said stent
USRE38653E1 (en) Luminal stent, holding structure therefor and device for attaching luminal stent
USRE38711E1 (en) Luminal stent, holding structure therefor and device for attaching luminal stent
US6228111B1 (en) Biodegradable implant manufactured of polymer-based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45742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low crystallinity poly(L-lactide) tube
EP0615769B1 (en) Vessel stent and vessel stent insertion device
EP1639962B1 (en) Biodegradable stent
EP1491221A1 (en) Biodegradable stent
KR100780401B1 (ko) 용융 방사 장치 및 용융 방사 방법
CN105121132A (zh) 用于在支架形成中使用的管及其制备方法
US20110169197A1 (en) Fabricating Polymer Stents with Injection Molding
EP1543860B1 (en) Thread for vascular stent and vascular stent using the thread
KR101033794B1 (ko) 고강도 생체 흡수성 봉합사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봉합사
US10456506B2 (en) Production of resorbable polymer tubes made of threads
KR0177492B1 (ko) 맥관 스텐트, 맥관 스텐트 유지 구조체 및 맥관 스텐트 삽입 고착장치
KR102587534B1 (ko)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포함된 생분해성 튜브
JP2002233577A (ja) ステ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ント
Migliaresi et al. Processing and in vitro degradation of poly (l‐lactic acid) fibres
KR20220109528A (ko) 뇌동맥류 치료용 혈류 변환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