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190B1 -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190B1
KR100780190B1 KR1020060067967A KR20060067967A KR100780190B1 KR 100780190 B1 KR100780190 B1 KR 100780190B1 KR 1020060067967 A KR1020060067967 A KR 1020060067967A KR 20060067967 A KR20060067967 A KR 20060067967A KR 100780190 B1 KR100780190 B1 KR 10078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view
camera
axis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19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determining the optical axis or position of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각의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각 측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면의 수직 방향인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 및 상기 카메라 거치대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화각을 측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측정수단을 통하여 별도의 계산 작업 없이 화각을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각, 화각 측정용 차트, 각도측정, 카메라 모듈, 카메라 거치대

Description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gle of View}
도 1은 종래의 화각 측정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의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형성된 화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각 측정장치 110... 프레임
120... 카메라 거치대 121... 제1축
122... 제2축 123... 제3축
130... 제1축 회전부재 140... 제2축 회전부재
150... 제3축 이송부재 160... 연결부재
180... 각도측정수단 190... 높이조절부재
210... 카메라 모듈 220... 화상표시수단
230... 화각 측정용 차트 240... 가로화각 측정 차트
250... 세로화각 측정 차트 260,260'...대각화각 측정 차트
241,251,261,261'... 기준선
본 발명은 화상을 촬영하는 광학계의 화각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각의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화각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각종 카메라, 이동통신단말기 등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과 같이 촬상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품은 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제품의 실제 화각을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화각의 측정은 통상적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화각 측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각 측정장치(10)는 화각을 측정하고자 하는 카메라 모듈(11)을 화각 측정용 차트(12)의 전방에 설치하고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1)에 연결된 모니터 등과 같은 화상표시수단(미도시)의 화면을 보면서 카메라 모듈(11)이 화각 측정용 차트(12)의 어떤 부분을 촬영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영역을 화각 측정용 차트(12)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11)이 촬영하는 화각 측정용 차트(12)의 촬영영역(도 1에는 촬영영역만 도시됨)이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11)과 화각 측정용 차트(12) 사이의 거리(Dis)를 측정하고, 촬영영역의 가로 길이(H), 세로 길이(V) 및 대각 길이(D)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수식을 통하여 가로 화각(θH), 세로 화각(θV), 대각 화각(θD)을 계산하게 된다.
Figure 112006051712590-pat00001
Figure 112006051712590-pat00002
Figure 112006051712590-pat00003
그러나, 이와 같이, 화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화각 측정용 차트의 촬영영역을 화각 측정용 차트에 직접 표시하여야 하며, 이러한 촬영영역의 가로 길이(H), 세로 길이(V) 및 대각 길이(D)를 직접 측정하여야 하는 이중의 불편함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카메라 모듈(11)의 화각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차례의 측정에 걸친 화각값을 평균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작업은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오차가 크고,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다른 방식의 화각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계산 작업없이 화각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 화각, 세로 화각 및/또는 대각 화각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각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는 화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면의 수직 방향인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 및 상기 카메라 거치대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 을 포함하는 화각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인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축 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 평면의 수평선 방향인 제3축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3축 이송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각 측정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에 장착된 높이조절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는 측정영역의 중앙부에 기준선을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지지대는 상기 기준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형성되는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준선은 수직방향 기준선, 수평방향 기준선, 대각방향 기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는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는 테두리선을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선은 세로화각 측정을 위한 세로방향 테두리선, 가로화각 측정으 로 위한 가로방향 테두리선, 대각화각 측정을 위한 대각방향 테두리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a)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을 카메라 거치대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의 중앙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정렬시키는 단계; c)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준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일측 끝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지면의 수직 방향인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각도를 리셋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준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타측 끝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각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각 측정방법은 e)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인 제2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도록 화각 측정용 차트에 형성된 테두리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표시영역 테두리와 일정간격이 되도록 카메라 모듈을 정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카메라 거치대를 상하 또는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상기 화상 측정용 차트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카메 라 모듈을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선은 수직방향 기준선, 수평방향 기준선, 대각방향 기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가로화각, 세로화각, 대각화각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위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의 정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형성된 화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장치(100)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카메라 거치대(120) 및 각도측정수단(180)을 포함하며, 높이조절부재(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화각을 측정하고자 하는 카메라 모듈(210)이 설치된 카메라 거치대(120)를 지지한다. 즉,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카메라 거치대(12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프레임(110)과 카메라 거치대(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장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재(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인 상하 방향(124)으로 카메라 모듈(2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삼각대가 이용될 수 있으나, 카메라 모듈(210)의 장착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공지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장착 위치도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2에서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높이조절부재(190)가 설치되어 프레임(120)의 승강 운동을 통해 카메라 모듈(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카메라 거치대(120)와 직접 연결되어 카메라 거치대(12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10)의 높이를 직접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인 제1축(2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카메라 거치대(120)가 장착되어, 카메라 거치대(120)가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이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좌우 영역을 촬영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거치대(12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된 제1축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 부재(13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카메라 거치대(120)의 상부에는 화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미도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210)이 장착된다.
이때, 카메라 모듈(210)은 화상표시수단(220)과 연결되어 렌즈(들)에 의해 형성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영상을 화상표시수단(220)에 전송하게 된다. 정확한 화각의 측정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210)에 구비된 렌즈들의 광축이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정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210)의 광축(211)이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중앙에 수직하도록 카메라 모듈(210)의 수평 및 수직 위치를 정렬할 필요가 있다.
즉 카메라 모듈(210)의 위치를 정확히 정렬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거치대(120)는 전술한 높이조절부재(190) 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 모듈(210)을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230) 평면의 수평선 방향인 제3축(123)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3축 이송부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거치대(120)는 제3축 이송부재(150)의 가이드 돌기(151) 및 연결부재(160)의 가이드 홈(161)을 통하여 제3축(123)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제3축 이송부재(150)의 장착 위치 및 이송방식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210)을 렌즈의 광축방향인 제2축(122)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로화각, 세로화각, 대각화각을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제2축 회전부재(14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거치대(120)는 연결부재(160)의 상측에 제2축 회전부재(140)를 장착하여 제2축(1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축 회전부재(140)를 회전시킨 후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 고정수단(141)이 장 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축 회전부재(140)의 장착 위치 및 장착 구조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축 회전부재(140)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축 회전부재(140)의 상측에는 카메라 모듈(21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210)은 보드 장착부재(172)를 통해 메인 보드(172)에 설치되는 서브 보드(17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보드(172)는 장착홀더(174) 및 나사부재(142)를 통하여 제2축 회전부재(14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각 측정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 상에서 카메라 거치대(120)가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18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측정수단(180)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방식 등 공지된 각도 측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화각 측정용 차트(2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용 차트(230)는 가로 화각, 세로 화각 및/또는 대각 화각을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가로화각 측정 차트(240), 세로화각 측정 차트(250), 대각화각 측정 차트(260,260') 중 적어도 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측정하고자 하는 화각에 맞추어 전술한 측정차트 모두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 중 일부의 측정차트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화각 측정 차트(240,250,260,260')는 측정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준선(241,251,261,261')과, 기준선의 양측에 형성되어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는 테두리선(242,243,252,253,262,263,262',263')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영역의 좌우에 형성된 테두리선을 연결하여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화각 측정 차트(240)는 측정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직방향 기준선(241)과, 상기 수직방향 기준선(241)의 양측에 형성되어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는 테두리선(242,2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로화각 측정 차트(250)는 측정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평방향 기준선(251)과, 상기 수평방향 기준선(251)의 양측에 형성되어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는 테두리선(252,253)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각화각 측정 차트(260,260')는 측정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대각방향 기준선(261,261')과, 상기 대각방향 기준선(261,261')의 양측에 형성되어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는 테두리선(262,263,262',2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준선(241,251,261,261')을 설정함으로써, 카메라 지지대(120)가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기준선(241,251,261,261')의 화상이 화상표시수단(230)에 형성되는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화각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장치(100)의 구 체적인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는 가로화각 측정 차트(240)를 이용한 가로 화각 측정방법에 대해 주로 설명하지만, 세로화각 또는 대각화각의 측정 또한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카메라 모듈(210)을 카메라 거치대(120)에 설치한다. 이때, 화각의 측정하고자 하는 카메라 모듈(210)이 장착된 서브 보드(171)를 보드 장착부재(173)를 이용하여 메인 보드(172)에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정확한 화각 측정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광축(211)이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중앙부에 수직하도록 정렬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가로 화각 측정 차트(240)의 테두리선(241,242)의 화상이 화상 표시 수단(220)의 표시 영역 테두리(221,222)와 일정 간격이 되도록 카메라 모듈(210)의 높이, 좌우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도 4(a) 및 도 5(a) 참조].
이를 위하여, 제3축 이송부재(150) 및 높이 조절부재(190)을 통하여 렌즈의 광축(211)과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정중앙이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화각 측정장치(100) 전체를 이동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3축 이송부재(150) 및/또는 높이조절부재(19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의 정렬이 이루어진 후에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거치대(120)를 지면의 수직 방향인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가로화각 측정 차트(240)의 수직방향 기준선(241)의 화상이 화상표시수단(220)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일측 끝선(222)과 일치하도록 한 후 각도측정 수단(180)의 각도를 측정 초기상태로 리셋한다.
이후, 도 4(c)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기준선(241)의 화상이 화상표시수단(220)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타측 끝선(221)과 일치하도록 카메라 거치대(120)를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도측정수단(180)을 리셋한 후 카메라 거치대(120)가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는 결과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210)의 화각(θ)과 동일하게 되며,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을 직접 회전시키고 그 회전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에 비해 화각 측정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며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더욱이, 별도의 계산작업에 의하지 않고서도 각도측정수단(180)에 의한 각도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화각을 손쉽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로화각 측정과 유사하게 세로화각 및/또는 대각화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카메라 모듈(210)에 의해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화상이 세로화각 측정차트(250) 또는 대각화각 측정차트(260,260')를 나타내도록 카메라 모듈(210)을 렌즈의 광축(211) 방향인 제2축(12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제2축(122)을 중심으로 카메라 거치대(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축 회전부재(14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후의 측정과정은 가로화각 측정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축 회전부재(14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가로 화 각 뿐만 아니라 세로화각 및 대각화각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화각 측정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화각 측정방법은 a) 카메라 모듈(210)을 카메라 거치대(120)에 설치하는 단계, b) 카메라 모듈(210)을 정렬하는 단계, c) 회전각도를 리셋하는 단계 및 d) 카메라 거치대(120)를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e) 카메라 거치대(121)를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인 제2축(12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a) 카메라 모듈(210)을 카메라 거치대(120)에 설치하는 단계;
먼저, 화상표시수단(230)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210)을 카메라 거치대(12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2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화상을 화상표시수단(230)에 전송한다.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각의 측정하고자 하는 카메라 모듈(210)이 장착된 서브 보드(171)를 보드 장착부재(173)를 이용하여 메인 보 드(172)에 설치할 수 있다.
b) 카메라 모듈(210)을 정렬하는 단계;
다음으로 정확한 화각 측정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210)의 광축(211)이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중앙부에 수직하도록 정렬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b) 내지 d) 단계를 가로 화각 측정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가로 화각 측정 차트(240)의 테두리선(241,242)의 화상이 화상 표시 수단(220)의 표시 영역 테두리(221,222)와 일정 간격이 되도록 카메라 모듈(210)의 상하 위치, 좌우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도 4(a) 및 도 5(a) 참조].
이를 위하여, 제3축 이송부재(150) 및 높이 조절부재(190)을 통하여 렌즈의 광축(211)과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정중앙이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c) 회전각도를 리셋하는 단계;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의 정렬이 이루어진 후에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거치대(120)를 지면의 수직 방향인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가로화각 측정 차트(240)의 수직방향 기준선(241)의 화상이 화상표시수단(220)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일측 끝선(222)과 일치하도록 한 후 각도측정수단(180)의 각도를 측정 초기상태로 리셋한다.
d) 카메라 거치대(120)를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각도를 측 정하는 단계;
이후, 도 4(c)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기준선(241)의 화상이 화상표시수단(220)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타측 끝선(221)과 일치하도록 카메라 거치대(120)를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도측정수단(180)을 리셋한 후 카메라 거치대(120)가 제1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는 결과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210)의 화각(θ)과 동일하게 되며,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을 직접 회전시키고 그 회전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에 비해 화각 측정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며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e) 카메라 거치대(121)를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인 제2축(12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b) 내지 d) 단계의 가로화각 측정과 유사하게 세로화각 및/또는 대각화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카메라 모듈(210)에 의해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230)의 화상이 세로화각 측정차트(250) 또는 대각화각 측정차트(260,260')를 나타내도록 카메라 모듈(210)을 렌즈의 광축(211) 방향인 제2축(12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제2축(122)을 중심으로 카메라 거치대(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축 회전부재(140)를 이용할 수 있다.
이후의 측정과정은 가로화각 측정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계산 작업에 의하지 않고도 각도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각도를 통하여 가로 화각, 세로 화각 및/또는 대각 화각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어 화각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2)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면의 수직 방향인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 및
    상기 카메라 거치대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
    을 포함하는 화각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인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축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 평면의 수평선 방향인 제3축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3축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에 장착된 높이조절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는 측정영역의 중앙부에 기준선을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지지대는 상기 기준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형성되는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수직방향 기준선, 수평방향 기준선, 대각방향 기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는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는 테두리선을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선은 세로화각 측정을 위한 세로방향 테두리선, 가로화각 측정으로 위한 가로방향 테두리선, 대각화각 측정을 위한 대각방향 테두리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장치.
  8. a)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화각 측정용 차트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을 카메라 거치대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의 중앙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정렬시키는 단계;
    c) 상기 화각 측정용 차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준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일측 끝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지면의 수직 방향인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각도를 리셋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준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표시영역 테두리의 타측 끝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각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e)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인 제2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측정영역의 외곽을 구획하도록 화각 측정용 차트에 형성된 테두리선의 화상이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표시영역 테두리와 일정간격이 되도록 카메라 모듈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카메라 거치대를 상하 또는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상기 화상 측정용 차트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카메라 모듈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수직방향 기준선, 수평방향 기준선, 대각방향 기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가로화각, 세로화각, 대각화각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위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각 측정방법.
KR1020060067967A 2006-07-20 2006-07-20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8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967A KR100780190B1 (ko) 2006-07-20 2006-07-20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967A KR100780190B1 (ko) 2006-07-20 2006-07-20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190B1 true KR100780190B1 (ko) 2007-11-27

Family

ID=3908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9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0190B1 (ko) 2006-07-20 2006-07-20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1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53A1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화각 테스트 장치
KR101846016B1 (ko) 2017-09-15 2018-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영상 탐색기의 시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846015B1 (ko) 2017-09-15 2018-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영상 탐색기의 시계 산출 장치 및 방법
CN111031311A (zh) * 2020-01-14 2020-04-17 深圳安智杰科技有限公司 成像质量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465605A (zh) * 2023-04-26 2023-07-21 上海龙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测试光感fov的全自动化设备及其测试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993A (ja) * 2001-03-22 2002-10-04 Ricoh Co Ltd 光学機器の調整および検査システム
KR20050086321A (ko) * 2004-02-25 2005-08-30 시냅스이미징(주) 카메라 또는 검사 대상의 이동 중 영상 획득에 의한영상검사방법 및 영상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993A (ja) * 2001-03-22 2002-10-04 Ricoh Co Ltd 光学機器の調整および検査システム
KR20050086321A (ko) * 2004-02-25 2005-08-30 시냅스이미징(주) 카메라 또는 검사 대상의 이동 중 영상 획득에 의한영상검사방법 및 영상검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53A1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화각 테스트 장치
US10349047B2 (en) 2015-09-08 2019-07-09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testing angle of view of camera
US10715797B2 (en) 2015-09-08 2020-07-14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testing angle of view of camera
KR101846016B1 (ko) 2017-09-15 2018-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영상 탐색기의 시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846015B1 (ko) 2017-09-15 2018-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영상 탐색기의 시계 산출 장치 및 방법
CN111031311A (zh) * 2020-01-14 2020-04-17 深圳安智杰科技有限公司 成像质量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031311B (zh) * 2020-01-14 2021-07-16 深圳安智杰科技有限公司 成像质量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465605A (zh) * 2023-04-26 2023-07-21 上海龙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测试光感fov的全自动化设备及其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716B1 (ko)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수치지도 보정시스템
EP186174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lignement of a projector with respect to a projection screen
KR100780190B1 (ko) 화각 측정장치 및 화각 측정방법
US94388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ethods of manufacturing stereoscopic image sensors
CN109462752B (zh) 一种摄像模组光心位置测量方法及装置
US9826151B2 (en) Image capture system and image capture method
CN105511122A (zh) 一种基于在线机器视觉检测的自动定位对焦检测装置
US115624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field of view
BRPI0621231A2 (pt) cámera digital, dispositivo eletrÈnico, e, método para capturar uma imagem usando uma cámera digital de dispositivo elétrico
KR100677357B1 (ko) 카메라 내장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수평각 보정 장치 및방법
KR101661533B1 (ko) 입체 표시 장치 검출 시스템 및 그 검출 방법
US62542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visualization
CN109104606A (zh) 快速测量摄像机倾角与视场角的系统及方法
KR101830296B1 (ko) 기준점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시스템
KR101035538B1 (ko) 실시간 차선위치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KR101353612B1 (ko) 지피에스와 아이엔에스를 이용한 초정밀 항공촬영 장치
CN111879260B (zh) 平行度测量设备及方法
JP2001066158A (ja) 計測結果又は解析結果投影装置及び方法
CN110779469B (zh) 一种地平式光电跟踪系统的轴系垂直度检测装置及方法
KR100921995B1 (ko) 라인스캔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의 규격 측정시스템
JP2014098586A (ja) 2系統光学系を有する距離方向自動測定装置
JP4833304B2 (ja) 撮像装置
CN111260737B (zh) 一种一体化摄像机光学中心调整的方法及装置
CN209912014U (zh) 立体图像采集系统
CN111369921B (zh) 一种显示设备的测量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