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179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179B1
KR100780179B1 KR1020060054710A KR20060054710A KR100780179B1 KR 100780179 B1 KR100780179 B1 KR 100780179B1 KR 1020060054710 A KR1020060054710 A KR 1020060054710A KR 20060054710 A KR20060054710 A KR 20060054710A KR 100780179 B1 KR100780179 B1 KR 10078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rrier film
film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봉
성재석
고형석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필름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필름형 안테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상기 제1 표면이 부착되어 일체화 가능한 캐리어 필름과,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1 안테나 패턴과,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2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필름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평형구조(balance type), 필름형 안테나(film type antenna)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FILM TYPE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의 측단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필름형 안테나 22: 캐리어 필름
23a: 제1 안테나 패턴 23b: 제2 안테나 패턴
34a: 제1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 34b: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
46a, 46b: 버퍼층 67: 보호층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안테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GPS, PDA, 셀룰러 폰, 무선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널리 보급됨에 따라 경박단소화의 요구가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를 줄이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필수부품 중 하나인 안테나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중 로드 안테나와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외장형 안테나는 단말기의 외부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소형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휴대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낙하시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표면실장형 칩 안테나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되는 내장형 안테나는 외장형 안테나와 달리 파손위험이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 역시 그 물리적 크기로 인해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에서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등록특허 6,396,444호에서는, 필름구조를 갖는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와 일체화시킨 필름형 안테나가 제안되었다. 도1a 내지 도1b는 상기한 특허문헌에서 제안된 필름형 안테나의 개략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1a는 필름형 안테나(10)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1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1b는 A-A'방향으로 절개해 본 단면도이다.
도1a와 함께 도1b를 참조하면, 필름형 안테나(10)는 캐리어필름(12)의 일면에 형성된 안테나패턴(13)을 포함한다. 상기 필름형 안테나(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일면에 인몰드라벨링(in-mould labeling: IML) 또는 인몰드데코레이션(in-mould decoration: IMD)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일체화 공정은, 먼저 캐리어 필름(12) 상에 안테나 패턴(13)을 형성한 후에, 상기 캐리어 필름(12)을 금형틀 내에 삽입하고, 상기 금형틀 내로 몰딩물질, 즉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물질을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구조에서는, 캐리어 필름 일면에 한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므로, 다중 대역과 같은 다양한 안테나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 노이즈(noise) 및 환경에 변화에 따라 영향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중대역 안테나 또는 평형구조의 안테나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필름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필름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필름형 안테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상기 제1 표면이 부착되어 일체화 가능한 캐리어 필름과,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1 안테나 패턴과,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2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필름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외부 회로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급전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을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패턴을 가지며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노이즈와 같은 외부환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평형 안테나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과 캐리어 필름의 부착강도를 높히기 위해서, 상기 캐리어필름과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 패턴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상에 서로 교대로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안테나 패턴들은 서로 다른 전기적 공진길이를 갖도록 다른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다중대역 안테나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일부 표면에 필름형 안테나가 형성된 케이스 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형 안테나는, 제1 및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상기 제1 표면이 부착되어 일체화된 캐리어 필름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캐리어 필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1 안테나 패턴과,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2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상에 형성되며,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형 안테나가 부착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은 외부면인 경우에,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필름형 안테나가 형성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은 내부면인 경우에는, 상기 보호층을 구성하는 절연물질은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20)는 캐리어필름(22)과 상 기 캐리어필름(22)의 양면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23a,23b)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필름(22)은 얇은 절연성 폴리머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필름의 양면에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23a,23b)이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23a,23b)은 미리 제조된 도체패턴을 상기 캐리어 필름(22)에 부착하거나, 인쇄공정 또는 저온 증착공정을 이용하여 직접 원하는 패턴을 갖도록 캐리어 필름(22)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23a,23b)은 급전단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접지단과 같이 외부 회로와 접속을 위한 연결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필름(22)은 상기 안테나 패턴들(23a, 23b)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리어 필름(22)의 구성물질은 인몰딩 라벨링(IML)공정에 적합한 물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23a,23b)이 양면에 형성된 캐리어 필름(22)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틀 내에 삽입시키고, 상기 금형틀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성할 합성수지를 주입하면서 적정 온도와 적정 압력에서 성형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 필름(22)을 구성하는 물질은 몰딩공정시의 압력과 온도에 의해서 큰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에 일체화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필름(22)의 양면을 모두 활용하여 각각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23a, 23b)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23a,23b)을 다른 전기적 공진길이를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제한된 면적에서 듀얼 밴드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23a,23b)을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설계하고 대칭구조로 배치함으로써 노이즈 또는 외부환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평형구조(balance type) 안테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평형구조를 갖는 필름형 안테나는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30)는 도2와 유사하게 캐리어 필름(32)과 그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33a,33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33a,33b)은 평형 안테나로서 제공되도록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배열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33a, 33b)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34a,34b)은 서로 다른 극성에 연결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평형구조 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급전단(34a,34b)은 외부회로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각각 캐리어 필름(32)의 외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평형구조의 필름형 안테나(30)는 제1 및 제2 안테나패턴(33a,33b)에서 전류 특성이 평형구조를 가지므로, 즉, 상기 안테나 패턴(33a,33b)의 출력에서 크기는 동일하지만 180도의 위상차를 갖게 되므로, 잡음 및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필름형 안테나에 비해 높은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형구조의 필름형 안테나(30)는 평형 입력 구조의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등 각종 수동 소자 및 증폭기와 같은 능동소자와 별도의 회로 없이 평형연결이 가능하므로, 외부회로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평형구조 안테나(30)에 한정되므로, 상기 급전단(34a, 34b)가 분리된 구조로서 예시되었으나, 다중대역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하나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상기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상기 캐리어 필름의 외부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의 상하면에 제공되는 2개의 안테나 패턴을 서로 다른 전기적 공진 길이를 갖도록 달리 설계함으로써 이중대역 또는 다중대역을 위한 필름형 안테나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앞선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상기 캐리어 필름(42) 양면에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43a,43b)이 형성된 필름형 안테나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캐리어 필름(42)과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43a,43b) 사이에 버퍼층(46a,46b)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버퍼층(46a,46b)은 서로 이종물질인 캐리어 필름(42)과 안테나 패턴(43a,43b)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채용된다. 상기 버퍼층(46a,46b)은 캐리어 필름(42)을 구성하는 폴리머수지와 안테나 패턴(43a,43b)을 구성하는 도체 물질의 접합강도를 개선하는데 적절한 공지의 물질로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HMDS(실리콘 웨이퍼에 사용되는 코팅재료로서 폴리머와 메탈간의 접착력 강화에 사용됨)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 패턴(43a,43b)과 상기 캐리어필름(42)을 일체화시키는 공정에서 적용되는 압력과 온도에서, 상기 버퍼층(46a,46b)은 안테나 패턴(43a,43b)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버퍼층(46a,46b)은 제1 및 제2 안테나패턴(43a,43b)에 모두 적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선택적으로 일측의 안테나 패턴측에만 채용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필름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형 안테나(50)는, 캐리어 필름(52)과 그 양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53a,53b)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테나 패턴(53b) 상에 교대로 적층된 2개의 캐리어 필름(54a,54b)과 2개의 안테나 패턴(55a,55b)을 추가적으로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필름형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 구조에 비해 매우 얇은 구조를 가지므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추가적인 캐리어 필름(54a,54b)과 안테나 패턴(55a,55b)을 채용한 다층구조로 구현되더라도, 요구되는 소형화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50)는 2개의 캐리어 필름(54a,54b)을 추가함으로써 2개의 안테나 패턴(55a,55b)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4개의 안테나 패턴(53a,53b,55a,55b)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안테나 패턴(53a,53b,55a,55b)을 달리 설계함으로써 4개 이상의 공진주파수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다중대역 안테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안테나 패턴(53a,53b,55a,55b)에서 인접한 2개의 안테나패턴을 대칭구조를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평형 안테나 구조를 포함한 안테나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인접한 제1 및 제2 안테나패턴(53a,53b)과 인접한 제3 및 제4 안테나패턴(55a,55b)을 각각 대칭구조로 구현하여 2쌍의 평형구조 안테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2쌍의 안테나를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설계하여 이중대역을 커버하는 평형구조 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평형구조 안테나는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3에 도시되어 설명된 바와 같이, 평형구조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패턴은 서로 다른 극성에 연결되도록 분리된 급전단 구조를 가져야 한다.
도6a 및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구조 및 필름형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63a,63b)이 양면에 형성된 캐리어 필름(62)을 포함한 필름형 안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61)의 외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63a,63b)은 캐리어 필름(62)의 외부의 동일한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연장된 급전단(64a,64b)과 접지단(65a,65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형 안테나는 상기 제2 안테나 패턴(63b) 상에 형성된 보호층(67)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61) 상에는 캐리어 필름(6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63a)이 위치하며, 캐리어 필름(62)의 상면에는 제2 안테나 패턴(63b)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안테나 패턴(63) 상에는 보호층(65)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보호층(65)은 외부 환경에 노출된 제2 안테나 패턴(63b)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보호층(67)은 제2 안테나 패턴(63b)의 방사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기적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질로는 공지된 페시베이션용 절연성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상기 보호층(67)에는 그래픽 및/또는 문자를 추가적으로 인쇄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거나, 회사의 로고와 같은 필요한 문자를 추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7과 같이, 상기 필름형 안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71)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필름형 안테나는, 도6a와 유사하게,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73a,73b)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중첩되도록 캐리어 필름(72)의 양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73a,73b)은 캐리어 필름(72)의 외부의 동일한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연장된 급전단(74a,74b)과 접지단(75a,75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71)의 내부면에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필름형 안테나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71)의 내부면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RF 부품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가 안테나의 방사특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층(77)은 도6a에서 설명된 보호층(67)과 달리 이러한 전자파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보호층(75) 구성물질로는 폴리머계열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안테나는 캐리어 필름의 양면에 각각 2개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다중대역 구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대향하는 2개의 안테나 패턴을 대칭구조로 설계함으로써 노이즈 및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평형 안테나로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4)

  1.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필름형 안테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상기 제1 표면이 부착되어 일체화 가능한 캐리어 필름;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1 안테나 패턴;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2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캐리어필름의 제1 표면과 상기 제1 안테나 패턴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은, 평형 안테나구조를 형성하도록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패턴을 가지며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필름의 제2 표면과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상에 서로 교대로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들은 서로 다른 전기적 공진 길이를 갖도록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상에 형성되며,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안테나.
  11. 적어도 일부 표면에 필름형 안테나가 형성된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안테나는,
    제1 및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에 상기 제1 표면이 부착되어 일체화된 캐리어 필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캐리어 필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1 안테나 패턴;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급전단을 갖는 제2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표면과 상기 제1 안테나 패턴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의 급전단은 상기 캐리어 필름 외부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은, 평형 안테나구조를 형성하도록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패턴을 가지며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표면과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상에 서로 교대로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11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전기적 공진길이를 갖도록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상에 형성되며,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안테나가 부착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은 외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안테나가 형성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은 내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을 구성하는 절연물질은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54710A 2006-06-19 2006-06-19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78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710A KR100780179B1 (ko) 2006-06-19 2006-06-19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710A KR100780179B1 (ko) 2006-06-19 2006-06-19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179B1 true KR100780179B1 (ko) 2007-11-27

Family

ID=3908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710A KR100780179B1 (ko) 2006-06-19 2006-06-19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42B1 (ko) 2007-01-02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WO2016153685A1 (en) * 2015-03-25 2016-09-2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6419A (ja) * 1994-07-29 1996-02-16 Oki Densen Kk 可撓性を有する平面アンテナ
US6396444B1 (en) * 1998-12-23 2002-05-2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ntenna and method of prod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6419A (ja) * 1994-07-29 1996-02-16 Oki Densen Kk 可撓性を有する平面アンテナ
US6396444B1 (en) * 1998-12-23 2002-05-2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ntenna and method of produ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42B1 (ko) 2007-01-02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WO2016153685A1 (en) * 2015-03-25 2016-09-2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929775B2 (en) 2015-03-25 2018-03-2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8307B2 (en) Antenna matching circui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tenna matching circuit, and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antenna matching circuit
JP6530827B2 (ja) 放射体として機能する導電性本体を有するワイヤレス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
JP4881247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56846A1 (e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KR101501921B1 (ko) 금속 케이스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구조
US8947303B2 (en)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housing members with gaps and dielectric coatings
US7746280B2 (en) Mobile terminal using an internal antenna with a conductive layer
US6937192B2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miniature lightweight antennas
US7924226B2 (en) Tunable antenna
KR100997984B1 (ko)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10199317B2 (en) Electronic package
US8933844B2 (en) Antenna pattern frame, electronic device case provided with antenna pattern fr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device case
KR20050098883A (ko) 평면형 다중-대역 안테나와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신 장치
US7450076B1 (en) Integrated multi-band antenna
US200800088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a same
US20060022888A1 (en) Dual band and broadband flat dipole antenna
KR100872286B1 (ko) 도전패턴이 형성된 케이스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6817A (ko) 안테나가 부착된 케이스 구조물 제조방법
US20100085268A1 (en) Antenna
KR1007801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2035689B1 (ko)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0731600B1 (ko) 상호 보완적인 방사체 구조의 내장형 칩안테나
US20030222821A1 (en) Antenna
KR100826392B1 (ko) 이동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27045A1 (en) Portable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