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364B1 -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364B1
KR100779364B1 KR1020070047864A KR20070047864A KR100779364B1 KR 100779364 B1 KR100779364 B1 KR 100779364B1 KR 1020070047864 A KR1020070047864 A KR 1020070047864A KR 20070047864 A KR20070047864 A KR 20070047864A KR 100779364 B1 KR100779364 B1 KR 10077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ld
air cylinder
rai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재
Original Assignee
광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명산업(주) filed Critical 광명산업(주)
Priority to KR102007004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8Moulds with means for venting, e.g. releasing foam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7Moulds with a membrane, e.g. for pressure control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환상의 대차이동레일 상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 금형대차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상기 에어백에 의하여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견고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연속 발포라인에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금형의 개폐동작을 위한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는 연속 발포라인 설비의 단순화를 구현함으로써 설비의 투자비용과 관리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발포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발포라인에서의 금형 개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Mold opening and shutting system of continous foaming line}
도 1은 종래의 연속 발포라인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상의 금형 개폐 시스템이 설치된 연속 발포라인을 나타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연속 발포라인에서 주동축 부분과 종동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상의 금형대차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상의 금형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상의 금형대차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상의 금형대차에 에어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트롤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트롤 장치의 작동 회로도.
도 10은 대차이동레일 상에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상의 에어콘트롤 장치를 통해 금형대차의 에어 백에 자동으로 공기주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상의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 및 도 13a는 본 발명상의 가이드레일을 통해서 금형의 개폐 및 기울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금형대차 11. 기대(機臺)
11a. 하형홀더 받침대 12. 롤러
13. 체인연결부 14. 돌출바
15. 온수가열장치 16. 측면판
16a. 삽입홈 20. 금형부
21. 상형홀더 21a. 후크
22. 하형홀더 22a. 걸림봉
23. 상부금형 24. 하부금형
24a. 힌지축 25. 상부 가이드롤러
26. 하부 가이드롤러 30. 에어백
31. 공기주입공 32. 공기배출공
40. 에어콘트롤 장치 41. 제1에어실린더
41a. 걸림핀 42. 제2에어실린더
42a. 공기주입구 43. 제3에어실린더
43a. 공기배출구 44. 리턴 에어실린더
45. 공기압조절 유니트 51. 제1감지센서
52. 제2감지센서 53. 제3감지센서
54. 제4감지센서 60. 가이드레일
61. 하부 레일 61a, 62a, 63a. 직선부
61b, 62b, 63b. 곡선부 62. 인사이드 레일
63. 아웃사이드 레일 64. 상부 레일
100. 연속 발포라인 110. 주동축
120. 종동축 130. 대차이동체인
140. 대차이동레일 150. 금형대차
160. 발포액 주입기 170. 컨베이어
본 발명은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상의 대차이동레일 상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 금형대차에 에어백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백에 의하여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견고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연속 발포라인에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연속발포라인의 금형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금형의 개폐동작을 위한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는 연속 발포라인 설비의 단순화를 구현함으로써 설비의 투자비용과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발포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되도록 한 연속 발포라인에서의 금형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발포라인(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동축(110)과 종동축(120)이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주동축(110)과 종동축(120)은 하나의 대차이동체인(130)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주동축(110)과 종동축(120)의 주위에는 환상의 대차이동레일(140)이 설치되고, 상기 대차이동레일(140)에는 다수의 금형대차(150)가 그 위로 설치되며, 상기 금형대차(150)는 상기 대차이동체인(1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금형대차(150)는 상기 주동축(110)과 종동축(120)에 의해 회전되는 대차이동체인(130)에 의해 상기 대차이동레일(140) 상에서 일정한 속도로 선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금형대차의 구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금형대차는 기대(機臺)의 하단에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기대에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는 온수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이 온수라인을 통해 고온의 물이 순환되면서 상기 금형들을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시키게 되고, 또한 그 가열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대차이동레일(140)의 일측에는 발포액 주입기(16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대차이동레일(140)을 따라 선회하는 금형대차(150)의 금형에 발포액을 자동적으로 주입하고, 이렇게 발포액이 주입된 금형대차(150)는 상기 대차이동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금형 내 발포액의 화학반응이 종료되어 일정한 형상을 가진 하나의 제품이 완성되며, 작업자는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탈형하여 컨베이어(170)를 통해 제품 점검 및 마무리 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연속 발포라인에서 금형 내에 발포액을 주입하기 위한 금형의 자동 개폐 시스템은 금형대차에 탑재된 금형의 합형 및 이형 동작을 각각의 금형대차에 설치된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 등에 의하여 수행토록 구성되어 있어, 이에 따라 각각의 금형대차에는 상기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장치가 별도로 더 구비되어야하므로 설비가 매우 복잡해지며, 또한 다수의 금형대차에 상기와 같은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야하므로, 이로 인해 고가의 설비투자 비용과 관리유지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형대차에 탑재된 금형의 합형과 이형 동작이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와 같은 고가의 장치 없이도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금형의 합형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더욱 견고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며, 또한 이형된 금형이 자동적으로 소정각도만큼 바깥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작업자가 금형 내부의 검사, 청소 및 이형제 도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상부 가이드롤러 및 상부 금형이 설치된 상형홀더와 하부 가이드롤러 및 하부 금형이 설치된 하형홀더로 이루어지는 금형부 ; 상기 하형홀더의 상면에 설치된 에어백, 상기 금형부가 힌지형태로 탑재되고 돌출바와 체인연결부가 형성되며 대차이동체인에 연결된 기대로 구성되는 금형대차와; 상기 금형대차에 형성된 돌출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제1 내지 제4감지센서와; 걸림핀이 설치된 제1에어실린더, 공기주입구가 설치된 제2에어실린더, 공기배출구가 설치된 제3에어실린더와 리턴 에어실린더, 공기압조절 유니트로 구성된 에어콘트롤 장치와; 하부 레일과, 인사이드 레일 및 아웃사이드 레일로 이루어진 상부 레일로 구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상의 금형대차(1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대(機臺)(11)의 하면 양쪽에 롤러(12)가 설치되고, 상기 기대(11)의 후면에는 대차이동체인(130)과 연결되는 체인연결부(13)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연결부(13)의 상측에는 돌출바(14)가 형성된다.
상기 기대(11)의 상면 후방에는 금형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가열장치(15)가 설치되고, 상기 기대(11)의 양쪽면에는 상부에 삽입홈(16a)이 형성된 측면판(16)이 형성되며, 상기 기대(11)의 상면 중앙부에는 하형홀더 받침대(11a)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측면판(16)의 삽입홈(16a)에는 힌지형태로 금형부(20)가 탑재된다.
상기 금형부(20)는 상형홀더(21)와 하형홀더(22) 및 상기 상형홀더(21)에 삽입되는 상부금형(23)과 상기 하형홀더(22)에 삽입되는 하부금형(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형홀더(21)와 하형홀더(22)는 그 후면이 힌지형태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형홀더(21)의 전면에는 하향으로 형성된 후크(21a)가 힌지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후크(21a)의 외측면에는 지면과 평행한 상부 가이드롤러(25)가 형성된다.
상기 하형홀더(22)의 전면에는 상기 후크(21a)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봉(22a)이 형성되고, 상기 하형홀더(22)의 아랫쪽으로는 수직방향의 하부 가이드롤러(26)가 형성된다.
상기 하형홀더(22)에 삽입되는 하부금형(24)의 양 측면에는 힌지축(24a)이 형성되어, 이 힌지축(24a)이 상기 측면판(16)의 삽입홈(16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금형부(20) 전체가 상기 금형대차(10)에 힌지형태로 탑재되게 된다.
상기 하형홀더(22)의 상면에는 에어백(30)이 설치되어, 이 에어백(30)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에어백(30)이 팽창되면서 에어백(30) 위에 연접되어 있는 상기 하부금형(24)을 상부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형홀더(22)의 전면에는 체크밸브를 통해 상기 에어백(30)에 연결된 공기주입공(31)과 변환밸브를 통해 상기 에어백(30)에 연결된 공기배출공(32)이 형성된다.(도4, 도11, 도11a)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30)에 압축공기를 자동적으로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콘트롤 장치(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는 도8과 도9에서와 같이 걸림핀(41a)이 설치된 제1에어실린더(41), 공기주입구(42a)가 설치된 제2에어실린더(42), 공기배출구(43a)가 설치된 제3에어실린더(43)가 탑재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받침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에어실린더(44)와, 상기 각각의 에어실린더에 부착된 변환밸브(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압조절 유니트(45)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에어실린더(41)에는 걸림핀(41a)이 공기압에 의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제2에어실린더(42)에는 공기주입구(42a)가 공기압에 의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제3에어실린더(43)에는 공기배출구(43a)가 공기압에 의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에어실린더(41)(42)(43) 및 상기 공기주입구(42a)와 공기배출구(43a)에는 각각 변환밸브(도시안됨)가 설치되고, 상기 장치들은 받침판에 탑재된다. 상기 받침판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받침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에어실린더(44)가 설치된다.
상기 리턴 에어실린더(44)에도 변환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변환밸브는 공기압조절 유니트(45)에 연결되어 있어 항상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의 공기주입구(42a) 또는 공기배출구(43a)를 상기 금형대차(10)의 공기주입공(31) 또는 공기배출공(32)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결합시켜 상기 에어백(30)의 공기주입 및 공기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대차(10)의 금형 내에 발포액이 주입된 후 상부금형(23)이 닫혀지는 지점의 대차이동레일(140)에 제1감지센서(51)를 설치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51)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감지센서(52)를 설치하여 상기 금형대차(10)가 이동될 때 상기 금형대차(10)의 하형홀더(22)에 형성된 돌출바(14)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1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대차(10)의 돌출바(14)가 상기 제1감지센서(51)를 지나가게 되면, 이 제1감지센서(51)의 신호에 의해 즉시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의 제1에어실린더(41)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이 제1에어실린더(41)에 설치된 걸림핀(41a)이 토출되어 상기 금형대차 하형홀더(22)의 전면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는 상기 금형대차(10)와 동일한 속도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의 제2에어실린더(42)에 공기가 주입되어 이 제2에어실린더(42)에 설치된 공기주입구(22a)가 토출되면서 상기 금형대차(10)의 하형홀더(22)에 형성된 공기주입공(31)에 삽입되어, 도 11c 및 도 11d와 같이 상기 에어백(30)에 공기주입을 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금형대차(10)가 이동하면서 이 금형대차(10)의 돌출바(14)(도3, 도4에 도시)가 상기 제2감지센서(52)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제2감지센서(52)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에어실린더(41)와 제2에어실린더(42)에 역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토출되어 있던 걸림핀(41a)과 공기주입구(42a)를 원상태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리턴 에어실린더(44)에 공기가 주입되어 금형대차(10)와 함께 소정거리만큼 이동된 에어콘트롤 장치(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금형 내에 주입된 발포액이 숙성되어 완성된 제품을 탈형시키기 위하여 에어백(30)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위에 설명한 에어백(30)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나, 단, 이번에는 상기 제2에어실린더(42) 대신 제3에어실린더(43)가 작동되어 이 제3에어실린더(43)의 공기배출구(43a)가 상기 하형홀더(22)의 공기배출공(32)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30)을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금형대차(10)의 금형에 주입된 발포액이 완전히 숙성되는 지점의 대차이동레일(140)에 제3감지센서(53)를 설치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53)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4감지센서(54)를 설치하여 상기 금형대차(10)가 이동될 때 상기 금형대차(10)의 하형홀더(22)에 형성된 돌출바(14)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금형대차(10)의 돌출바(14)가 상기 제3감지센서(53)를 지나가게 되면, 이 제3감지센서(53)의 신호에 의해 즉시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의 제1에어실린더(41)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이 제1에어실린더(41)에 설치된 걸림핀(41a)이 토출되어 상기 금형대차 하형홀더(22)의 전면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는 상기 금형대차(10)와 동일한 속도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콘트롤 장치(40)의 제3에어실린더(43)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제3에어실린더(43)에 설치된 공기배출구(43a)가 토출되면서 상기 금형대차(10)의 하형홀더(22)에 형성된 공기배출공(32)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백(30)의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후, 금형대차(10)가 이동하면서 이 금형대차(10)의 돌출바(14)가 상기 제4감지센서(54)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제4감지센서(54)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에어실린더(41)와 제3에어실린더(43)에 역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토출되어 있던 걸림핀(41a)과 공기배출구(43a)를 원상태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리턴 에어실린더(44)에 공기가 주입되어 금형대차(10)와 함께 소정거리만큼 이동된 에어콘트롤 장치(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금형 내에서 숙성되어 완성된 제품을 탈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형대차(10)에 탑재된 금형부(20)의 상부금형(23)이 자동으로 열리고, 이후 금형 내면의 청소 및 이형제 도포 등의 단계를 거친 후 열려져 있는 상부금형(23)이 다시 닫혀지도록 구성된 본 발명상의 가이드레일(6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상의 가이드레일(6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레일(61)과, 인사이드 레일(62) 및 아웃사이드 레일(63)로 구성된 상부 레일(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레일(64)의 인사이드 레일(62)과 아웃사이드 레일(63)은 각각 직선부(62a)(63a)와, 상기 직선부(62a)(63a)의 양단에서 바깥쪽으로 둔각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부가 하향의 포물선을 그리도록 형성된 곡선부(62b)(63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사이드 레일(62)의 곡선부(62b)는 상기 아웃사이드 레일(63)의 곡선부(63b)보다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레일(63)의 곡선부(63b)의 끝단부는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금형의 예열단계에서 금형의 예열이 진행되는 동안은 금형의 개폐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이때는 상기 아웃사이드 레일(63)의 곡선부(63b)를 상방으로 접어놓음으로써 상기 금형대차(10)의 상형홀더(21)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롤러(25)가 상기 아웃사이드 레일(63)의 곡선부(63b)에 간섭을 받지 않은 채 대차이동레일(140) 상에서 선회를 계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하부 레일(61)은 상기 상부 레일(64)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게 직선부(61a)와, 상기 직선부(61a)의 양단에서 바깥쪽으로 둔각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부가 하향의 포물선을 그리도록 형성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곡선부(61b)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상의 가이드레일(60)에 의해서, 도 13 내지 도 1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차이동레일(140) 상에서 선회하는 금형대차(10)가 상기 가이드레일(60)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금형대차(10)의 상형홀더(21)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롤러(25)가 상기 아웃사이드레일(63)을 타게 되고, 이때 상기 상부 가이드롤러(25)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후크(21a)가 일정 각도 바깥쪽으로 젖혀지게 되면서 상기 상형홀더(21)가 상방으로 개방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금형대차(10)의 하형홀더(22)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롤러(26)가 상기 하부 레일(61)을 타게 되면서 상기 하부금형(24)의 힌지축(24a)을 중심으로 상기 금형부(20)가 바깥쪽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상기 금형대차(10)에 탑재된 상기 금형부(20)는 상부금형(23)이 개방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소장각도 기울여진 채 가이드레일(140)의 직선부(62a)(63a)(61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작업자는 금형의 내면을 검사, 청소 및 이형제 도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포액 주입기(160)를 통한 금형 내 발포액 주입 등의 작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60)의 직선부(62a)(63a)(61a)를 따라 이동되는 금형대차(10)가 가이드레일(60)의 곡선부(62b)(63b)(61b)에 이르게 되면 상형홀더(21)의 상부 가이드롤러(25)가 다시 상기 가이드레일(60)의 곡선부(62b)(63b)(61b)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결국 상부금형(23)이 원상태로 닫혀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위와 같이 상기 금형대차(10)에서 하부금형(24)의 힌지축(24a)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있던 금형부(20)도 상기 하형홀더(22)의 하부 가이드롤러(26)가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61)의 곡선부(61b)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평의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금형대차에 설치된 에어백을 통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견고한 밀착이 가능해져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연속 발포라인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금형의 개폐동작을 위해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와 같은 고가의 설비가 필요치 않을 뿐 아니라, 개방된 금형부 전체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바깥쪽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짐으로써 작업자가 금형 내부의 검사, 청소 및 이형제 도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연속발포라인 설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설비의 투자비용과 관리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제1 내지 제3에어실린더(41)(42)(43), 리턴에어실린더(44)와 공기압조절유니트(45)를 구비하는 에어콘트롤장치(40)의 제1에어실린더(41)에는 걸림핀(41a)이 공기압에 의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제2에어실린더(42)에는 공기주입구(42a)가 공기압에 의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제3에어실린더(43)에는 공기배출구(43a)가 공기압에 의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에어실린더(41)(42)(43) 및 상기 공기주입구(42a)와 공기배출구(43a)에는 각각 변환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장치들은 받침판에 탑재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받침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에어실린더(44)가 설치되며, 상기 리턴 에어실린더(44)에도 변환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변환밸브는 공기압조절 유니트(45)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에어콘트롤 장치(40)를 포함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70047864A 2007-05-16 2007-05-16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KR10077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864A KR100779364B1 (ko) 2007-05-16 2007-05-16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864A KR100779364B1 (ko) 2007-05-16 2007-05-16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891A Division KR100755157B1 (ko) 2006-07-05 2006-07-05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083A Division KR100830293B1 (ko) 2007-10-02 2007-10-02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KR1020070099092A Division KR100830292B1 (ko) 2007-10-02 2007-10-02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364B1 true KR100779364B1 (ko) 2007-11-28

Family

ID=3908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864A KR100779364B1 (ko) 2007-05-16 2007-05-16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35B1 (ko) * 2012-06-27 2014-05-13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성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28Y2 (ja) * 1990-01-12 1995-02-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エアバッグ式クランプ機構を利用した発泡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28Y2 (ja) * 1990-01-12 1995-02-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エアバッグ式クランプ機構を利用した発泡成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35B1 (ko) * 2012-06-27 2014-05-13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293B1 (ko)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CN106142325B (zh) 一种卫生陶瓷注浆成型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CN102834200A (zh) 铸型造型装置以及铸型造型方法
CN207772215U (zh) 清洗轮胎模具的设备
KR100755157B1 (ko)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MX2013014998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produccion de piezas conformadas.
KR100779364B1 (ko)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KR101774873B1 (ko) 유리성형기의 금형 진공화장치
CN104552685A (zh) 鞋模脱模剂自动喷涂装置
KR100830292B1 (ko) 연속 발포라인의 금형 개폐 시스템
TWI581877B (zh) Mold mounting device installation support device and mold making device
US5974836A (en) Device used for the bending of plate glass into convex shapes
CN114311257A (zh) 养护系统和养护系统的控制方法
CN103723931B (zh) 夹胶玻璃生产线
CN116277711B (zh) 一种自动化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US2347117A (en) Apparatus for producing rubber articles
KR101015584B1 (ko) 그린타이어 뒤집는 장치
CN207259129U (zh) 用于水性涂料灌装工序的料桶防溅料装置
KR20120087701A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CN206403179U (zh) 一种多工作头切换系统
US20190289858A1 (en) Baking Oven With Modular Heating Element
US5516274A (e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with movable blow mold assembly
US20060005604A1 (en) Servo mechanism test stand
KR200292667Y1 (ko)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KR101257399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