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508B1 - 차량용 교류 발전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508B1
KR100777508B1 KR1020057022267A KR20057022267A KR100777508B1 KR 100777508 B1 KR100777508 B1 KR 100777508B1 KR 1020057022267 A KR1020057022267 A KR 1020057022267A KR 20057022267 A KR20057022267 A KR 20057022267A KR 100777508 B1 KR100777508 B1 KR 100777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electrical conductor
iron core
st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052A (ko
Inventor
토시아키 카시하라
카즈노리 타나카
슈이치 타무라
유키요시 오니시
요시카즈 오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5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에서의 전기도체의 절연층 두께를 얇게 하고, 전기도체의 금속부를 크게 확보함과 함께,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에서의 전기도체의 밀도를 높이고, 전기도체의 발열을 적층 철심과 하우징에 효율적으로 전도시키고, 또한, 걸침부는 역으로 절연층 두께를 두껍게 하고, 불필요한 코일 사이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코일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함과 함께, 외부의 물에 젖음 등으로 철심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노출하고 있는 걸침부의 전기도체부를 보호하고, 내전해부식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교류발전기, 차량

Description

차량용 교류 발전기{AC GENERAT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교류 발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용차, 트럭 등에 탑재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 있어서는, 소형 고출력화 또는 절연성·내전해부식성의 향상이 더욱 더 요구되고 있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개량이 제안되어 있다. 발전 능력의 향상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개평11-164505 공보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기도체(電氣導體)의 걸침부(cross-over portion))에 있어서, 전기도체의 각각을 공간적으로 이간(離間)하고, 또한, 그 절연층 두께는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에서의 절연층 두께보다 얇게 함에 의해, 전기도체의 걸침부의 냉각성을 향상시키고, 발전기의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종래 일반적으로 고정자 전기도체는 피막 부착 도체로 구성되고, 이 절연층이 전기도체의 방열성을 현저하게 방해하고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절연층을 폐지하거나, 단지 얇게 하는 것은, 절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실용상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기도체의 각각을 공간적으로 이간하지 않더라도, 코일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하고, 소형 고출력화 또는 절연성·내(耐)전해부식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는, 계자 코일을 갖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대향 배치된 고정자 철심 및 이 고정자 철심에 권회(卷回)된 전기도체를 갖는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철심은 각각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개의 슬롯을 갖는 적층 철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도체는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와 이 수납부끼리를 고정자 철심의 축단측(軸端側)에서 연결하는 걸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전기도체의 단면(斷面) 형상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함과 함께 상기 걸침부에서의 상기 전기도체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하고,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에서의 전기도체의 적어도 긴 변 부분의 절연층 두께를 상기 걸침부의 절연층 두께보다 얇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는,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에서의 전기도체를 단면 개략의 직사각형으로 하고 또한 그 절연층 두께를 얇게 하여, 전기도체의 발열을 적층 철심과 하우징에 효율적으로 전도시킴과 함께, 걸침부는 역으로 절연층 두께를 두껍게 하였기 때문에, 불필요한 코일 사이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코일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하고, 걸침부의 축방향 높이를 낮게 함과 함께, 외부의 물에 젖음(被水) 등으로부터 걸침부의 전기도체부를 보호하고, 내전해부식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고정자 코일의 슬롯 수납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1상분의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1상분의 코일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고정자 코일의 슬롯 수납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고정자 코일의 슬롯 수납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프런트 브래킷을 전면에서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회전자의 외형 구조를 도시한 사시 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 단면도.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차량용 교류 발전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개략 주발(椀) 형상의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제의 프런트 브래킷(21) 및 리어 브래킷(22)으로 구성된 하우징(23)과, 이 하우징(23) 내에 마련되고, 일단부에 풀리(24)가 고정된 샤프트(26)와, 이 샤프트(26)에 고정된 랜들형(Randell type)의 회전자(27)와, 이 회전자(27)의 축방향 양단부에 고정된 팬(25)과, 회전자(27)를 포위하도록 하우징(23)에 고정된 고정자(40)와, 상기 샤프트(26)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자(27)에 전류를 공급하는 슬립 링(28)과, 슬립 링(28)의 표면에 활주하는 한 쌍의 브러시(29)와, 이 브러시(29)를 수납하는 브러시 홀더(30)와, 고정자(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고정자(40)에서 생긴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기(31)와, 브러시 홀더(30)에 끼워 부착되고, 고정자(40)에서 생긴 교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32)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자(27)는,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속을 발생하는 계자 코일(33)과, 이 계자 코일(33)을 덮도록 마련되고, 그 자속에 의해 자극이 형성된 한 쌍의 폴 코어 (34, 3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폴 코어(34, 35)는 철제로서 각각 최외경면 형상을 개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는 폴 형상 자극(34a, 35a)이 외주연부에 둘레 방향으로 등각 피치로 돌출되어 있고, 이들의 폴 형상 자극(34a, 35a)을 맞물리게 하도록 대향시켜서 샤프트(26)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자(40)는, 자성(磁性) 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고정자 철심(41)과, 고정자 철심(41)에 권장(卷裝)된 고정자 코일(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자(40)는 폴 형상 자극(34a, 35a)의 외주면과 고정자 철심(4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균일한 에어 갭을 형성하도록 프런트 브래킷(21)과 리어 브래킷(22)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브래킷(21)에는 급기 구멍(36)과 배기 구멍(37)을 가지며, 리어 브래킷(22)에는 급기 구멍(38)과 배기 구멍(39)을 갖고 있다.
도 2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고정자 코일의 슬롯 수납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1상분의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1상분의 코일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에서, 고정자 철심(41A)은,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자성 강판을 적층 일체화하여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며, 슬롯(41c)이 모든 극(pole)과 모든 상(phase)마다 2의 비율로 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각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자(27)의 12개의 폴 형상 자극에 대해, 2개의 3상 교류 코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 코일(42A)을 얻을 수 있도록, 72개의 슬롯(41c)이 고정자 철심(41A)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고정자 코일(42A)은, 장착되는 슬롯(41c)을 1슬롯씩 비켜 놓아 고정자 철심(41A)에 장착된 6상분의 코일(43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 3상분의 분배 코일(43A)이 교류 결선, 예를 들면 Y결선되어 2개의 3상 교류 코일을 구성하고 있다. 각 코일(43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피막이 피복된 구리선재로 이루어지는 1개의 도체선(44)을, 6슬롯마다의 슬롯(41c)에 둘레 방향 일측에 파상(波狀)으로 5턴 권회하고, 계속하고 6슬롯마다의 슬롯(41c)에 둘레 방향 타측에 파상으로 5턴 권회하여, 각 슬롯 내 도체 수를 전부 동일하게 한 풀피치 와인딩(full pitch wind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선(44)의 단면(斷面) 형상은, 슬롯(41c) 내에 수납되어 있는 슬롯 수납부(44a)에 있어서 단면 개략의 직사각형으로 성형되고, 그 긴 변 부분의 절연 피막(45)은 걸침부(코일 엔드)(44b)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고정자 철심(41A)의 축단측에서 상기 슬롯 수납부(44a)를 연결하고 있는 코일 엔드부(44b)는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분의 절연 피막은 상기 슬롯 수납부(44a)의 적어도 긴 변 부분의 절연 피막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슬롯(41c)에는, 절연지(絶緣紙)(46)를 사이에 두고 도체선(44)의 슬롯 수납부(44a)가, 단면 개략의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긴 변)을 둘레 방향을 향하고, 또한, 서로 밀접(密接)하여 지름 방향으로 1렬로 나열하여 10층으로 배열하여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슬롯 수납부(44a)의 단면 개략의 직사각형의 긴 변 길 이가 차양부(41d) 사이의 간극(41e)(슬롯 개구)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도체선(44)이 슬롯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1상분의 코일의 주요부 확대도를 도시하고, 6개의 분배 코일(43A)을 1렬로 배열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둘레 방향 일측에 6피치 떨어진 슬롯의 고정자 철심(41A)의 축단 일측에, 파형으로 성형된 3개의 슬롯 수납부(44a1)을 수납하고, 뒤이어, 고정자 철심(41A)의 축단 타측에, 파형으로 성형된 다른 3개의 슬롯 수납부(44a2)를 둘레 방향 타측에 6피치 간격으로 수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슬롯 수납부(44a)에 계속되는 슬롯 개구 통과부(44d)(도 5 참조)는, 단면 편평(扁平)하게 성형되고 그 장축 방향이 슬롯 수납부(44a)의 단면 개략의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그 단면 편평한 단축 방향 길이가 차양부(41d) 사이의 간극보다 작아지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체선(44)의 슬롯 수납부(44a)를 슬롯(41c) 내의 지름 방향으로 간극 없이 수납함에 의해, 수납부에서의 전기도체의 밀도를 높이고, 전기도체의 발열을 적층 철심과 하우징에 효율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체선 형상을 얻기 위해, 절연 피막부 단면 환형(丸型) 도전체를, 슬롯(41c)에 삽입되기에 앞서, 압연 롤러 등으로 단면 개략의 직사각형으로 성형한다. 예를 들면, 직경 1.6㎜의 단면 원형 형상의 절연 피막부 전선을 압연 롤러로 끼워서, 두께 1.3㎜ 까지 편평하게 되도록 1방향으로 압연 가공하면, 압연 가공되는 면의 절연 피막, 즉 편평 절연 피막은 얇게 늘어나지만, 압연 가공되지 않은 면의 절연 피막, 즉 원호면 절연 피막은 상기 단면 원형 형상 피복 전선에서의 절연 피막 두께 가 남고, 상기 편평 절연 피막이 상기 원호면 절연 피막보다 얇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에나멜계 절연 피막의 막두께가 약 50㎛의 단면 원형 형상 피복 전선의 경우는, 원호면 절연 피막이 약 50㎛, 편평부 절연 피막이 약 40㎛의 단면이 트랙(소판(小判); 일본금화의 일종) 형상 전선이 형성된다. 즉, 절연 피막은 지름 방향으로, 절연 피막층이 얇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발전(發電)함에 의해 생기는 전기자 코일의 발열량은 지름 방향으로 위치하는 적층 철심의 외주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되고, 슬롯 수용 점적률 향상과 열전도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발전기의 출력 및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침부(코일 엔드)(44b)를 보호하도록 외주부에 하우징(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침부(코일 엔드)(44b)의 부근에는 냉각풍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구멍(37, 39)이 있다. 따라서, 걸침부(44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층 두께를 두껍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코일 사이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코일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걸침부(44b)의 축방향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도체 길이의 단축이 가능하고, 발전기의 출력 및 효율의 향상과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차량 주행에 의해, 상기한 배기 구멍(37, 39)의 부위로부터 소금물, 오수 등이 침수하기 때문에, 걸침부(44b)는 절연층 두께를 두껍게 하고, 걸침부의 전기도체부를 보호하고, 3상의 각 상(相) 코일 사이의 전해부식 또는 코일과 하우징 사이의 전해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도 6과 같이 코일 유닛의 슬롯 수납부(44a)가, 슬롯(41c)에 삽입되기에 앞서, 지름 방향을 짧은 변으로 하고, 둘레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개략 단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게다가, 서로 밀접하여 지름 방향으로 2열로 배열한 것이다. 또한, 도면중 47은 상기 코일 유닛을 성형하기 위해 함침된 절연 수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서도, 슬롯 수납부(44a)의 전기도체부를 슬롯(41c) 내의 둘레 방향으로 간극 없이 수납할 수 있고, 따라서 이 경우도, 절연 피막층이 얇게 되어 있는 둘레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부위로, 상기 전기도체부를 지름 방향으로 조밀하게 배치하여 슬롯(41c) 내의 전기도체의 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도체의 발열을 적층 철심과 하우징에 효율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전기의 출력 및 효율의 향상이 더한층 도모된다.
실시의 형태 3
또한,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도 7과 같이 코일 유닛의 슬롯 수납부(44a)가, 슬롯(41c)에 삽입되기에 앞서, 지름 방향을 긴 변으로 하고, 둘레 방향을 짧은 변으로 하는 개략 단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밀접하여 지름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서도 슬롯 수납부(44a)의 전기도체부를 슬롯(41c) 내의 둘레 방향으로 간극 없이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름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부위에서 절연 피막층이 얇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름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부위와 적층 철심의 치부(齒部)의 양단부의 전열면이 더욱 크게 확보되기 때문에, 발전함에 의해 생기는 전기자 코일의 발열량은 둘레 방향에 위치하는 적층 철심의 치부의 양단을 경유하여, 적층 철심의 외주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되기 때문에, 더욱 발전기의 출력 및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절연 피막의 얇은 부위와 치부의 양단부의 사이에 절연 부재를 개재시킴에 의해, 전기도체부와 철심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슬롯(41c) 내에 위치하는 슬롯 수납부의 상기 전기도체에 절연성 수지를 함침시킴에 의해, 전기자 코일의 발열량은 지름 방향에 위치하는 적층 철심의 외주측으로도 효율적으로 방열됨과 함께, 전기도체부와 철심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4는, 상기 실시의 형태 1 내지 3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방열 효과를 촉진시키기 위해, 브래킷의 외주부에 복수의 배기 구멍 리브와 복수의 배기 구멍을 마련하고, 또한 회전자에 마련된 팬에 복수의 팬 블레이드를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프런트 브래킷을 전면에서 본 예이고, 도 9는 회전자의 외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서, 61은 프런트 브래킷(21)의 외주부에 붙여진 복수개의 배기 구멍 리브이며, 상기 배기 구멍 리브(61) 사이는 배기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브래킷(21)의 축심측에는, 복수개의 흡기 구멍 리브(62)와 그 사이에 급기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냉각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면, 프런트 브래킷(21)측의 흡기 구멍(3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흡입된 냉각 공기는 흡기 구멍 리브(62) 사이를 통풍하여 팬(25)으로 원심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고정자 코일(42)의 프런트측 단부를 냉각하고, 배기 구멍 리브(61) 사이의 배기 구멍(37)으로부터 외기로 배기된다. 팬(25)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팬 블레이드(55)를 구비한 원심 팬(25)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가 팬 블레이드(55)에 유입하고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지름 방향으로 배출되고 있고, 고정자(40)로부터 프런트 브래킷(21) 및 리어 브래킷(22)에 전해진 열을 방열하는 냉각 핀으로서의 역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코일의 발열이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되고, 발전기의 출력 및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프런트 브래킷(21)측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리어 브래킷(22)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통풍이 행하여진다. 즉, 리어 브래킷(22)측의 팬 블레이드(55)의 작용에 의해, 흡기 구멍(3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흡입된 냉각 공기는 흡기 구멍 리브(62) 사이를 통풍하고 팬(25)으로 원심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고정자 코일(42)의 리어 측단부를 냉각하고, 배기 구멍 리브(61) 사이의 배기 구멍(39)으로부터 외기로 배기된다.
실시의 형태 5
실시의 형태 5는, 상기 전기도체의 슬롯 수납부(44a)를 슬롯(41c) 내에 배치하기 위한 유효한 한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즉, 단면 개략의 직사각형으로 성형된 서로 밀접하여 배열된 상기 코일 유닛을 슬롯(41c) 내에 간극 없이 수납하기 위해, 특허 제3400776호(특허 문헌 2 참조)로 이미 알려져 있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이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사다리꼴 형상의 슬롯이 소정의 피치(전기각(電氣角)으로 30°)로 형성된 냉간 압연 강판(SPCC재)을 소정 매수 적층하고, 그 외주부를 레이저 용접하여 직육면체의 철심을 제작한다. 뒤이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36)의 슬롯(41c) 내에 인슐레이터(65)가 장착되고, 2개의 소선군(素線群)(42A, 42B)의 각 직선부를 각 슬롯(41c) 내에 겹쳐서 밀어넣는다. 이로써,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소선군(42A, 42B)이 철심(41A)에 장착된다. 이때, 소선(44)의 직선부(44a)는, 인슐레이터(65)에 의해 철심(41A)과 절연되어 슬롯(41c) 내에 지름 방향으로 4개 나열하여 수납되어 있다. 계속해서, 철심(41A)을 둥글게 하고, 그 단면(端面)끼리를 맞대어 용접하고,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철심(41)을 얻는다. 철심(41A)을 둥글게 함에 의해, 슬롯(41c)의 형상은 개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되고, 그 개구부(41e)는 직선부(44a)의 슬롯 폭방향 치수보다 작아진다. 그리고, 일반적인 △ 또는 Y의 결연 방법에 의거하여, 각 소선의 단부끼리를 결선하여 고정자 코일군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띠 모양(帶狀) 철심의 슬롯부가 미리, 소선의 삽입성이 좋아지도록 벌려 있기 때문에, 삽입시의 소선의 손상은 없고, 또한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상기 전기도체와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 철심의 사이의 절연부재를 얇게 할 수 있어, 매우 높은 점적률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철심을 둥글게 할 때에, 상기한 소선의 삽입성이 좋아지도록 벌어진 철심과 전기도체의 간극을 없애고, 철심과 전기도체에 개재한 절연부재에 밀접할 수 있고, 발전함에 의해 생기는 전기자 코일의 발열량은 둘레 방향에 위치하는 적층 철심의 치부의 양단을 경유하여, 적층 철심의 외주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된다. 또한, 다른 이점으로서, 전기도체의 편평 단면을 형성한 부위에서 얇은 절연 피막으로 손상을 주는 일 없이, 높은 절연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계자 코일을 갖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대향 배치된 고정자 철심 및 이 고정자 철심에 권회된 전기도체를 갖는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철심은 각각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개의 슬롯을 갖는 적층 철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도체는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와 이 수납부끼리를 고정자 철심의 축단측에서 연결하는 걸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전기도체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함과 함께,
    상기 걸침부에서의 상기 전기도체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하고,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에서의 전기도체의 적어도 긴 변 부분의 절연층 두께를 상기 걸침부의 절연층 두께보다 얇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전기도체는, 둘레 방향을 긴 변으로 하고, 지름 방향을 짧은 변으로 하는 실질적인 직사각형 단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전기도체는, 지름 방향을 긴 변으로 하 고, 둘레 방향을 짧은 변으로 한 실질적인 직사각형 단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전기도체는, 지름 방향으로 일렬로 밀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전기도체는, 지름 방향으로 복수열로 밀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의 전기도체에 절연성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부 외주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보호됨과 함께, 상기 적층 철심은 금속제 하우징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에 형성된 흡기 또는 배기용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
KR1020057022267A 2005-11-22 2004-05-28 차량용 교류 발전기 KR100777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2267A KR100777508B1 (ko) 2005-11-22 2004-05-28 차량용 교류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2267A KR100777508B1 (ko) 2005-11-22 2004-05-28 차량용 교류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052A KR20060036052A (ko) 2006-04-27
KR100777508B1 true KR100777508B1 (ko) 2007-11-16

Family

ID=3714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267A KR100777508B1 (ko) 2005-11-22 2004-05-28 차량용 교류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5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752A (ja) * 1991-01-31 1992-09-01 Hitachi Ltd モータの電機子
JPH11164500A (ja) * 1997-05-26 1999-06-18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0228853A (ja) * 1998-12-03 2000-08-15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2125338A (ja) * 2000-10-16 200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発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9584A (ja) * 2002-03-01 2003-09-12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752A (ja) * 1991-01-31 1992-09-01 Hitachi Ltd モータの電機子
JPH11164500A (ja) * 1997-05-26 1999-06-18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0228853A (ja) * 1998-12-03 2000-08-15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2125338A (ja) * 2000-10-16 200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発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9584A (ja) * 2002-03-01 2003-09-12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4-2447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1-16450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288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5958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2533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052A (ko)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1747B1 (en) Alternator for vehicle
US6713928B2 (en) Automotive alternator
US6486586B2 (en) Alternator
US6268678B1 (en) Alternator
US6552463B2 (en) Dynamo-electric machine having winding phase groups of series-connected windings connected in parallel
EP0967709B1 (en) Vehicle ac generator's s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44110B2 (en) Stator in rotating electric machine
WO1998054823A1 (fr) Alternateur pour vehicule
US6366000B1 (en) Alternator
US7525233B2 (en) Vehicle alternator
JP4646038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3744184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US6373166B1 (en) Alternator
JP2010514406A (ja) 多相回転電気機械のステータ、このステータを有する多相回転電気機械、およびこ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KR100777508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
US7827672B2 (en) Method of manufacture stator for an automotive alternator
EP1109294B1 (en) Alter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