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443B1 -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443B1
KR100777443B1 KR1020060010149A KR20060010149A KR100777443B1 KR 100777443 B1 KR100777443 B1 KR 100777443B1 KR 1020060010149 A KR1020060010149 A KR 1020060010149A KR 20060010149 A KR20060010149 A KR 20060010149A KR 100777443 B1 KR100777443 B1 KR 10077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supply
type
supply unit
portabl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460A (ko
Inventor
정수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4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휴대용 복합장치는 외부기기와 무선으로 영상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복합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전원공급부의 내부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정보를 생성하고, 배터리 전압정보를 기초로 전원공급부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판별부에서 판별된 전원공급부의 종류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에 접속된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접속된 경우에 별도의 제어 인터페이스 없이 무선 외장카메라가 촬영중인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가능함에 따라 비용절감 및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디지털 캠코더, 외장카메라, RF 수신 카메라, RF 수신 겸용배터리

Description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apable of discriminate battery type and method}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공급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휴대용 복합장치 210 : 촬영부
220 : 신호처리부 230 : 전원공급부
240 : 저장부 250 : 판별부
260 : 제어부 270 : 조작부
280 : 표시부
본 발명은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에 접속된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접속된 경우에 별도의 제어 인터페이스 없이 무선 외장카메라가 촬영중인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란 캠코더(camcorder),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der), 데이터 저장장치, 및 웹 카메라(web camera)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복합장치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캠코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복합장치는 사용자가 이동중 또는 정지중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휴대용 복합장치의 작동에 필요로 하는 전원공급원인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터리에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작동에 이용되는 노멀(normal) 배터리와 무선 외장카메라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휴대용 복합장치로 영상/음성 데이터의 무선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존재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복합장치에 배터리가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된다(S110).
이어, 휴대용 복합장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여, 메뉴를 선택받거나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본정보를 표시한다(S120).
그리고, 외장카메라 촬영메뉴가 선택되면(S130), 휴대용 복합장치는 무선 외장카메라가 촬영중인 화면의 영상을 표시한다(S140).
그런데, 휴대용 복합장치에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접속된 경우, 휴대용 복합장치가 무선 외장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노멀 배터리가 아닌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접속됐음을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즉, 휴대용 복합장치가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접속됐음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복합장치의 메뉴에서 무선 외장카메라 촬영메뉴를 선택받아야 하거나, 휴대용 복합장치 외부에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노멀배터리와 RF 수신부 겸용배터리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외부 스위치 구비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이 낭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에 접속된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접속된 경우에 별도의 제어 인터페이스 없이 무선 외장카메라가 촬영중인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는, 외부기기와 무선으로 영상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내부저 항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원공급부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전원공급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부는 노멀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판별부는 전원공급부의 종류가 노멀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압에 따라 전원공급부의 종류를 분류한 배터리 정보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판별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배터리 전압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전압정보가 배터리 정보테이블에 포함되는 영역에 따라 전원공급부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터리 종류판별방법은, 외부기기로와 무선으로 영상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 공급원인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정보를 생성하고, 배터리의 전압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단계에서 판별된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는 노멀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판별단계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접속된 배터리가 노멀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영상 포맷 변환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공급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부(210), 신호처리부(220), 전원공급부(230), 저장부(240), 판별부(250), 제어부(260), 조작부(270), 및 표시부(280)를 포함한다.
촬영부(210)는 렌즈(미도시)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외부 피사체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220)는 촬영부(210) 및 외부기기(22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해 이득 조정, 잡음제거, 감마보정, 휘도신호 분리 및 영상신호 압축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전원공급부(230)는 배터리에 의해 휴대용 복합장치(200)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휴대용 복합장치(200)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는 노멀(normal) 배터리와 RF 수신부 겸용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때, 노멀 배터리는 촬영부(210)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소정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휴대용 복합장치(200)에 공급한다. 그리고, RF 수신부 겸용배터리는 무선 외장카메라 등의 외부기기(30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휴대용 복합장치(200)로 수신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저장부(240)에는 휴대용 복합장치(200)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신호처리부(22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부(240)에는 전압에 따라 배터리 종류를 분류한 배터리 정보테이블이 저장된다.
상세하게는, 0v~1.5v는 노멀 배터리로 기설정되고, 1.6v~3v는 RF 수신부 겸용배터리로 기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배터리 정보테이블은 기설정된 전압에 따라 노멀배터리 영역과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영역으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노멀배터리와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각각은 용량에 따라 표준용량 배터리, 대용량 배터리, 초대용량 배터리로 구분되고, 노멀 배터리영역과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영역도 각각 용량에 따라 소정값으로 구분되어 배터리 정보테이블에 기설정된다.
판별부(250)는 전원공급부(230)로부터 휴대용 복합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공급부(230)의 배터리 전압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판별부(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배터리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생성된 배터리 전압정보가 포함되는 영역을 판단함으로써, 전원공급부(230)의 종류를 판별한다. 즉, 판별부(250)는 휴대용 복합장치(200)에 접속된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한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판별부(250)는 전원공급부(230)의 내부저항(Ri)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아날로그 전압값을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된 디지털 전압값이 배터리 전압정보이다. 그리고, 판별부(250)는 배터리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기설정된 전압에 따른 배터리 영역에 배터리 전압정보가 포함되는 영역을 판단함으로써, 전원공급부(230)의 종류가 노멀 배터리인지, 또는 RF 수신부 겸용배터리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부(260)는 판별부(250)에서 판별된 전원공급부(230)의 종류에 따라서 휴대용 복합장치(200)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외부기기(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판별부(250)의 판별결과, 전원공급부(230)의 종류가 노멀 배터리인 경우, 제어부(260)는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판별부(250)의 판별결과, 전원공급부(230)의 종류가 RF 수신부 겸용배터리인 경우, 제어부(260)는 외부기기(300)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무선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조작부(270)는 키버튼, 터치판넬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받는다.
표시부(280)는 휴대용 복합장치(200)의 전반적 동작상태 및 외부기기(3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촬영부(210) 및 외부기기(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복합장치(200)에 전원이 공급(on)되면(S410), 판별부(250)는 배터리 전압정보를 생성한다(S420).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판별부(250)는 전원공급부(230)의 내부저항(Ri)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아날로그 전압값을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한다. 즉, 판별부(250)는 배터리의 내부저항(Ri)의 전압값을 측정하고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된 디지털 전압값이 배터리 전압정보이다.
이때, 휴대용 복합장치(200)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0)는 노멀(normal)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멀 배터리는 촬영부(210)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소정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 을 휴대용 복합장치(200)에 공급한다. 그리고, RF 수신부 겸용배터리는 무선 외장카메라 등의 외부기기(30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휴대용 복합장치(200)로 수신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어, 판별부(250)는 배터리 전압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한다(S430). 즉, 판별부(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배터리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배터리 전압정보가 포함되는 영역을 판단함으로써, 판별부(250)는 전원공급부(230)의 종류가 노멀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임을 판별한다.
상세하게는, 0v~1.5v는 노멀 배터리, 1.6v~3v는 RF 수신부 겸용배터리로 기설정된 배터리 정보테이블과 배터리 전압정보가 1.7v인 경우를 예로 들면, 판별부(250)는 배터리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배터리 전압정보가 1.7v로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영역에 포함됨을 판단하고, 판단결과 판별부(250)는 전원공급부(230)의 종류가 RF 수신부 겸용배터리임을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부(240)의 판별결과, 전원공급부(230)의 종류가 RF 수신부 겸용배터리인 경우(S440 : Y), 제어부(260)는 외부기기(300)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무선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450).
이어, 판별부(240)의 판별결과, 전원공급부(230)의 종류가 노멀 배터리인 경우(S440 : N), 제어부(260)는 촬영부(210)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무선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46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240)에 저장된 배터리 정보테이블은 배터리 종류 각각을 용량 에 따라 표준용량 배터리, 대용량 배터리, 및 초대용량 배터리로 기설정 가능하므로, 판별부(250)는 배터리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배터리 전압정보를 기초로 휴대용 복합장치에 접속된 배터리의 용량에 따른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원으로 배터리만을 설명하였지만, 전원공급원은 배터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공급원으로 어댑터(Adaptor) 등의 전압장치가 이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에 접속된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RF 수신부 겸용배터리가 접속된 경우에 별도의 제어 인터페이스 없이 무선 외장카메라가 촬영중인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가능함에 따라 비용절감 및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외부기기와 무선으로 영상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내부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원공급부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전원공급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및 상기 외부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노멀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종류가 상기 노멀 배터리 및 상기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종류를 분류한 배터리 정보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배터리 전 압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전압정보가 상기 배터리 정보테이블에 포함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4. 외부기기로와 무선으로 영상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 공급원인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단계에서 판별된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및 상기 외부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배터리 종류판별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노멀 배터리 및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노멀 배터리 및 상기 RF 수신부 겸용배터리 중 어느 하나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배터리 종류판별방법.
KR1020060010149A 2006-02-02 2006-02-02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 KR10077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149A KR100777443B1 (ko) 2006-02-02 2006-02-02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149A KR100777443B1 (ko) 2006-02-02 2006-02-02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460A KR20070079460A (ko) 2007-08-07
KR100777443B1 true KR100777443B1 (ko) 2007-11-21

Family

ID=3860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149A KR100777443B1 (ko) 2006-02-02 2006-02-02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4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264B2 (en) 2016-11-04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649896B2 (en) 2016-11-04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754A (ko) * 2001-05-16 2002-1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배터리의 충전용량 판별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754A (ko) * 2001-05-16 2002-1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배터리의 충전용량 판별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264B2 (en) 2016-11-04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649896B2 (en) 2016-11-04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460A (ko)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541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apparatus
CN108600663B (zh) 一种电子设备之间的通信方法以及电视接收机
US893815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RU23631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US20060023069A1 (en) Connection device
JP5642994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3018441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1030477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19017020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JP2012049825A (ja) 通信装置
US20060023071A1 (en) Digital camera cradle and digital camera system
US78223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back, and program
KR100777443B1 (ko) 배터리 종류판별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방법
US7394495B2 (en) Display changeover control in image sensing apparatus
CN101631221B (zh) 视频记录设备和视频记录方法
US9819866B2 (en) Image capturing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JP547334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11102408B2 (en) Out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19198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external cameras and method of switching modes thereof
US202202231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48841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230188864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8085406A (ja) 記録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US10070029B2 (en) Light emission control device including accumulator uni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as well as image pickup apparatus
JP2004077949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