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225B1 -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225B1
KR100777225B1 KR1020070000089A KR20070000089A KR100777225B1 KR 100777225 B1 KR100777225 B1 KR 100777225B1 KR 1020070000089 A KR1020070000089 A KR 1020070000089A KR 20070000089 A KR20070000089 A KR 20070000089A KR 100777225 B1 KR100777225 B1 KR 10077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correct answer
listening
modu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이영어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이영어사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이영어사
Priority to KR102007000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10)은, 수준별 및 주제별로 네이티브 스피커의 영어 대화 내지 설명 음성이 수록된 음원 데이터베이스(20);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20)의 음원을 재생하되, 재생 시간대를 조작하는 스크롤바의 기능을 차단한 상태로 재생 버튼 및 일시 정지 버튼을 구비한 미디어 플레이어(30); 동일 음원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도록 하되, 음원의 반복 재생 회수를 n회로 조절하는 반복회수 조절부(41)와, n회의 반복 재생 회수 각각을 이루는 음원의 재생속도를 달리 설정하는 재생속도 설정부(42)로 이루어진 음원 재생모듈(40); 상기 음원에 대한 질문 및 정답 컨텐츠와 정답을 입력할 수 있는 정답 입력 버튼을 구비한 정답 입력 창(51)을 포함하여, 유저의 정답 입력을 유도하는 정답 입력 모듈(50); 상기 정답 입력 모듈(50)을 통한 유저의 정답 입력에 대해 점수를 측정하는 평가 모듈(70);로 이루어져, 유저를 통하여 소정 회수의 음원을 강제적으로 청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SYSTEM OF IMPROVING ENGLISH LISTENING ABILITY THROUGH COMPULSORY REPETITIVE LISTE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플레이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답 입력창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 모듈에 의한 분류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절차를 나태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별관리모듈의 개략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발명의 시스템 60: 카운터 모듈
20: 음원 데이터베이스 70: 평가 모듈
30: 미디어 플레이어 80: 분류 모듈
40: 음원 재생 모듈 90: 숙제 검사 모듈
41: 반복회수 설정부 100: 특별관리 모듈
42: 재생속도 설정부 101: 재생 정지부
43: 음원 재 반복부 102: 초기 능력 테스트부
50: 정답 입력 모듈 103: 점수 비교 판단부
51: 정답 입력창
본 발명은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통한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음원을 들려주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포함된 스크롤바가 유저의 실행에 의하여 작동되지 않고 강제적으로 소정 회수를 반복 청취하도록 하여 집중력이나 학습 효과를 파악하기 힘든 웹 브라우저 학습 방법의 단점을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답을 입력한 시점에 따라 점수를 차등 부여하여 유저의 수준별로 효율적인 사후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학원이나 학교에서 선생님이나 강사, 원어민(네이티브 스피커)이 원어민이 녹음한 음원을 직접 학생에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던 오프라인 위주의 영어 학습을 웹 브라우저, 즉 온라인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으로 대신하거나 병행하고 있다.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은 주로 인터넷 화면을 통하여 문장을 읽고(reading), 공지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하여 영어문장을 들으며(listening) 읽고 들은 내용을 별도 창으로 구비된 화면 등에 키패드 입력 방식을 통하여 받아쓰거나(writing) 정답을 체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인터넷 통신에 의해 웹 브라우저에 접속만 하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을 할 수 있는 장점에 의하여 널리 애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 방법은 상기 서술한 간편성에 의하여 시험을 보거나 접속 상태를 파악하여 수업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가름할 수도 있으므로 영어 학습 뿐 아니라 기타 다양한 학습 방법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현재 공지된 온라인 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접속 상태에 의하거나 강사/선생의 강의가 녹음, 녹화된 동영상의 진행 시간만을 체크하여 학습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진지한 태도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가령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안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하는 등으로 집중력이 가지지 못하는 불량한 수업 참여 태도를 체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올바른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영악한 학생에 의하여 악용될 소지가 충분하다.
또한, 온라인을 통하여 평가, 시험을 볼 경우 여러 학생이 모여서 시험에 응할 수 있으므로 학생 고유의 제 실력을 가늠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시험은 각 개개인의 실력을 테스트하기 위함인데 친구들끼리 모여 서로 정답을 공유하면서 시험에 응할 수 있는 상황이 마련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여 실력이 좋은 특정 학생에 의하여 실력이 떨어지는 여러 다른 학생의 성적이 상승될 수 있으므로 평가의 신뢰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스피커의 발음이나 문장을 받아쓰는 방식으로 학습이 진행되는 온라인을 이용한 영어 청취 및 받아쓰기 방법에서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하여 얼마든지 반복재생, 스크롤바(scroll bar)를 이용한 건너뛰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학생마다 청취 문장의 이해도를 구분하여 판단하기 어렵고 오프라인에서와 같은 소위 진지한 분위기에서 수업을 받는 것보다 아무래도 집중력이 떨어지고 형식적인 참여를 조장한다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었다.
국내외의 특허공보를 살펴보면, 온라인을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 다양한 모듈과 방식에 의하여 게시되어 있는 것을 쉽사리 확인할 수 있는 바, 주로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기능 내지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반면 온라인 학습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는 학생의 수업 참여 태도의 진지성을 고취하거나 바로 잡을 수 있는 내용을 기술한 시스템 내지 방법은 거의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 10-2005-0117210호 "인터넷을 통한 속청학습 관리 시스템"은 음원을 3단계로 반복하여 재생하되, 1단계에서는 1.4-2.0배속으로 재생을 하고 제 2 단계에서는 1.2-1.6 배속으로 재생을 하며, 마지막 제 3 단계에서는 정속으로 재상을 한 뒤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물론 음원의 재생속도를 달리하여 반복 청취를 한다는 방식의 특이성은 있으나 음원의 반복 회수 및 재생 속도의 설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충분히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다른 진보성이 있다고 하기 어렵고 더불 어 상기 지적한 유저의 악의적인 조작에 의하여 음원 재생의 건너뛰기를 하는 것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진정으로 유저가 학습에 진지하게 참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국내 특허등록 제 626322호 "고속 배속을 적용한 최대 학습 능력 배양 프로그램 제공 방법"은 '1배속에서 서서히 배속을 늘렸다가 n 배속에서 1배속으로 서서히 배속을 줄인 한국어 또는 외국어 학습 내용과, 자연음(파도 소리, 새소리 등) 또는 음악의 특정 주파수를 감쇠 처리한 1배속의 음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서버에의 저장 및 음성재생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로 인해 고속으로 재생되는 음원에 집중적으로 청각을 집중하여 청취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간 절약, 암기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역시 유저가 의도적으로 집중을 하지 않는 악의적 학습 참여 방식에 대한 보완책을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음원 재생속도가 빨라졌다가 다시 정속으로 회귀되는 것은 이 출원 이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식일 뿐 더러 자연음을 섞어 음원 재생을 할 경우 오히려 순수한 외국어 문장만을 들려주는 음원에 비하여 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악 영향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편리하고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현재 공개된 수준의 기술로 구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온라인 환경에서도 집중력과 강제성을 가지면서 외국어, 특히 영어의 청취 및 받아쓰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온 라인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시 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어 청취를 위한 음원을 재생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스크롤바가 유저의 조작으로 움직이지 않고 반드시 소정 회수를 반복하여 청취하도록 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유저가 청취를 하도록 하여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누리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원의 반복 재생 시에 소정 회수에서 정답을 입력하는 시간 순서에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함으로 인하여 유저의 점수를 산출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의적으로 음원을 듣지 않고 랜덤하게 정답을 입력하는 학생의 점수 결과를 예측하여 소정 기준 이하의 점수 산정이 된 학생을 별도로 관리, 학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10)은, 수준별 및 주제별로 네이티브 스피커의 영어 대화 내지 설명 음성이 수록된 음원 데이터베이스(20);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20)의 음원을 재생하되, 재생 시간대를 조작하는 스크롤바의 기능을 차단한 상태로 재생 버튼 및 일시 정지 버튼을 구비한 미디어 플레이어(30); 동일 음원을 반복적으로 재 생하도록 하되, 음원의 반복 재생 회수를 n회로 조절하는 반복회수 조절부(41)와, n회의 반복 재생 회수 각각을 이루는 음원의 재생속도를 달리 설정하는 재생속도 설정부(42)로 이루어진 음원 재생모듈(40); 상기 음원에 대한 질문 및 정답 컨텐츠와 정답을 입력할 수 있는 정답 입력 버튼을 구비한 정답 입력 창(51)을 포함하여, 유저의 정답 입력을 유도하는 정답 입력 모듈(50); 상기 정답 입력 모듈(50)을 통한 유저의 정답 입력에 대해 점수를 측정하는 평가 모듈(70);로 이루어져, 유저를 통하여 소정 회수의 음원을 강제적으로 청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상기 음원이 반복 재생되는 도중 상기 정답 입력창(51)을 통하여 정답이 입력된 시점 및 오답 입력 회수를 파악하는 카운터 모듈(6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음원 재생 모듈(50)은, n회 반복 음원의 재생이 종료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유저의 정답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n회 반복 음원을 다시금 재생하는 음원 재 반복부(43);를 추가로 구비하고, 악의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지 않는 유저를 구분하기 위한 특별 관리 모듈(100)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특별 관리 모듈(100)은, 상기 음원 재 반복부(43)에 의하여 n회 반복 음원이 소정 회수로 재 반복되었을 경우에도 특정 유저의 정답 입력이 없는 경우에 음원 반복을 정지하고 특정 유저에게 쪽지 형식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 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네이티브 스피커의 원어, 특히 영어가 녹음된 음원을 미디어 플레이어에 의하여 재생하여 그 음원을 들은 유저가 음원의 질문에 키패드 조작으로 정답을 입력하고 입력된 정답의 개수에 따라 점수를 측정하는 공지의 방식과 달리, 미디어 플레이어의 음원 재생에 대응하여 정답을 입력하되, 정답의 입력 시간과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n회라는 소정 회수로 반복되는 음원을 듣도록 하여 영어로 이루어진 음원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함(독서에서 정독에 대응하는 개념)과 더불어 음원의 소정 회수 반복 중 정답이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각 분야별, 수준별로 일정 시간 분량만큼 이루어져 네이티브 스피커의 질의문 내지 문장을 육성으로 녹음한 음원 데이터베이스(10)와,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10)의 특정 파트 내지 챕터에 해당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특정 음원의 반복 회수 및 재생속도를 설정하는 음원 재생 모듈(50), 정답 입력 창(51)을 통하여 음원을 들은 유저에 의해 정답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정답입력 모듈(50), 음원의 반복 중에서 유저가 정답을 입력한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 모듈(60), 상기 카운터 모듈(60)의 정답 입력 시기 내지 일반적인 유저의 정답 입력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는 평가 모듈(7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 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이 된다.
음원 데이터베이스(10)는 수준별, 즉 단어의 난이성, 문장 길이의 정도에 따라 등급 및 파트를 설정 적용하여 각 등급마다 네이티브 스피커에 의하여 녹음이 된 음원 정보를 말한다. 즉, 학년 등급에 따라 중학교 1학년 수준부터 대학교 4학년 수준까지 다양화할 수가 있고, 더불어 정치, 문화, 사회 등의 다양한 주제를 통해 설명 내지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진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원 데이터베이스(10)는 공지된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플레이어(30)의 일례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플레이어(30)는 일반적인 다양한 형식의 동영상 및 wav 파일 내지 MP3와 같은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공지된 미디어 플레이어와 유사하나, 특이한 점은 재생시간을 바 형태로 표시하는 스크롤바를 유저가 조작할 수 없다는 점이다. 물론, play 버튼과 일시정지 버튼은 구비가 되어 있다.
즉, 음원 청취를 하고 있는 유저(학생, 웹 브라우저 회원)는 스크롤바 조작에 의하여 건너뛰기를 할 수 없고 반드시 강제적으로 후술할 음원 재생 모듈(40)에서 재생하는 음원을 반복적으로 들을 수밖에 없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재생 모듈(40)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30)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10)중 특정 음원을 선택하여 특정 방식에 따라 재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반복 회수 설정부(41)와 재생속도 설정부(42), 음원 재 반복부(43)로 이루어져 있다.
반복 회수 설정부(41)는 하나의 질의를 이루는 음원의 반복 회수를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하나의 설문에 대한 음원을 수차례(n회) 반복하여 음원을 재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반복 회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많은 연구와 실제적인 교육 학습 효과에 의하면 음원의 반복 회수는 5회로 이루어지는 것이 음원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음원을 받아 쓸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물론, 반복 회수는 상기 반복 회수 설정부(41)에 의하여 변경이 가능하나, 반복 회수 설정부(41)의 기본 음원 반복 회수 설정은 상술한 5회로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복 회수 설정부(41)에서 같은 음원 내용을 특히 5차례 반복하여 유저에게 들려주는 것은 많은 반복 학습 효과를 통하여 그만큼 유저의 청취 이해력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며, 물론 5회 이하 내지 5회 이상으로 반복 회수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할 수가 있고 이는 청취에 참여하는 학생의 그룹 수준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더불어, 각 반복 회수에 따라 음원이 재생할 경우에서 각 반복 회수 사이에서는 시간적인 인터벌 및 벨소리, 반복 회수에 대한 음성(예를 들어, 4회째 반복입 니다.)을 통하여 반복 음성 간의 구분 내지 몇 회 반복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재생속도 설정부(42)는 상기 반복 회수 설정부(41)에 의하여 반복 회수가 n회로 설정된 음원에 대해 반복 각각의 음원마다 속도를 달리 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만일 반복 회수 설정부(41)에서 5회 반복 재생을 기본 설정으로 할 경우 재생속도 설정부(42)는 1회 반복 차수(정속. 즉, 1.0배속)보다 2회 반복 차수에서 음원의 재생속도가 빠르게 하고 동일한 논리로 3회 반복 차수보다 4회 반복 차수에서 재생속도를 빠르게 하되, 마지막 반복 차수의 5회에서는 1회와 동일한 속도, 즉 정속으로 재생속도를 설정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생속도 설정부(42)는 n회의 음원이 반복될 경우 1회 차에서는 정속으로 음원을 재생하고 n-1회까지 차수가 증가할수록 음원 재생 속도가 빨라지다가 n회 차에서는 다시 정속으로 재생속도가 회귀되는 방식을 가질 수가 있다.
상기 방식은, 속청의 효과를 제공하여 청취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특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의 음원재생속도 설정방식은 반드시 상기 방식과 같이 진행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6회 반복 시에 3회 차까지는 속도가 빨라졌다가 4회 차부터 재생속도가 하락하기 시작하여 마지막 6회 차에서 정속을 유지하는 방식 내지, 1회 반복 차에서는 정속으로 재생되어 n-1회 차까지 속도가 빨라지다가 마지막 n회 차에서 대략 정속의 0.7 내지 0.9배속으로 정속보다 늦게 재생하는 것과 같이 속도 선정 및 변경이 가능함 은 물론이다. 즉, 마지막 반복 차수에서는 정속과 같거나 느리도록 하여 청취자가 마지막으로 자신이 청취한 n-1 회 차까지의 내용을 정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재생 모듈(40)은 후술할 정답 입력 모듈(50)의 정답 입력창(51)을 통하여 정답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고자, 정답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이 되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다시 n회의 음원 반복을 자동으로 이루도록 하는 음원 재 반복부(43)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음원 재 반복부(43)는 집중을 하지 않고 딴 짓을 하는 유저가 다음 음원 재생을 의도적으로 유도하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정답을 고민하다가 입력 시간을 놓친 유저를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하여 집중을 하지 못하거나 정답을 파악하지 못한 학생에게 다시 n회 반복 음원을 재생하여 반드시 당해 음원 내용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답 입력 모듈(50)에서 제공하는 설문 및 정답 입력 버튼의 형태를 포함한 정답 입력창(51)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답 입력 모듈(50)은 각 음원에 알맞게 별도로 제시된 책자, 프린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하단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 음원 내용에 대한 특정 질문이 표기된 질문(question) 컨텐츠(51a)와 1번부터 5번까지의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정답과 오답으로 이루어진 정답(answer) 컨텐츠(52b) 및 식별번호 주변에 유저의 클릭으로 정답을 입력할 수 있 는 정답 입력 버튼(53c)으로 이루어진 정답 입력창(51)을 활성화하여 키패드를 통하여 유저의 정답 입력을 유도하고 입력된 문항의 입력 번호에 대한 정답 여부 인식 및 후속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예를 들어 음원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이 3번이라 할 때, 유저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 공간에서 정답 입력을 위하여 활성화된 4 내지 5개의 정답 입력 버튼 중 3번을 키패드를 통하여 클릭을 하면 정답임을 인식하고 이외의 번호를 입력할 경우에는 오답임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답 입력 모듈(50)에서 정답 입력창(51)을 활성화하는 것은 두 가지 구성으로 구분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정답 입력창(51)의 제 1구성은 상기 음원 재생 모듈(50)에서 설정한 n회의 음원 반복 도중에는 아예 정답 입력창(51)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가 n회의 음원 반복이 종료된 시점에서 정답 입력 창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해 정확하고 충실한 리스닝 실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효과를 가장 충실히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정답의 입력이 언제 시점에서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보다 n회 반복되는 음성을 충분히 듣도록 하는 강제 청취 목적에 충실히 하고자 함이다.
둘 째, 정답 입력창(51)의 제 2 구성은 정답 입력창(51)이 n회의 음원 반복 도중에서도 이미 활성화되어 유저가 음원 재생 중에 정답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오답이 아닌 정답이 입력되어도 기 설정되어 있는 n회 음성 반복은 그대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유저의 정답 입력은 2회 이상으로 복수 번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여, 첫 번에 입력한 정답이 틀리다고 생각이 들 경우 유저(청취자)는 다른 식별번호의 정답 입력 버튼(51c)을 클릭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는, 마지막으로 입력된 식별번호를 정답 입력으로 간주하여 평가를 한다.
이는, 일단 후술할 카운터 모듈(60)에서 정답 입력 시점에 따라 유저의 실력을 차등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으로 즉, 상기 제 1 구성에 의할 경우 굳이 n회 반복을 모두 듣지 않아도 정답을 파악한 실력이 좋은 학생과 n회를 모두 듣고 나서야 정답을 파악한 중간 정도의 학생과의 실력 차이를 판가름할 수 없기 때문에, 대안적으로 n 회 반복 음성은 실력 차이에 상관없이 모두 강제적으로 청취하도록 하는 대신 반복 회수에 따른 시간차에 따라 정답 입력 시점을 측정, 파악할 수 있고 더불어 오답을 입력한 회수를 파악하도록 하여 유저의 보다 세밀한 실력 차이를 파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모듈(60)은 유저의 정답 입력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음원의 반복 회수 및 정답 입력 시점을 측정 및 카운팅(counting)하여 후술할 평가모듈(70)에 상기 카운팅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원 재 반복부(43)에 의한 재차 반복까지 포함하여 몇 차례의 음원이 반복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정답 입력 모듈(50)의 정답 입력 창(51)의 제 2구성이 실행될 경우 음원이 재생되는 반복 회수 중에서 정답 내지 오답이 입력된 시점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카운터 모듈(60)은 총 5회 반복 음원이 정답이 입력되지 않아 두 차례 반복되었을 경우 총 10회까지 반복되는 것을 파악할 뿐 아니라, 총 5회 반복이 이루어지는 음원에서 유저가 3회 차에서 정답을 입력하였을 때 3회 차의 구체적 입력 시점을 파악 및 저장하는 기능, 유저에 의하여 수차례의 정답 행위가 이루어질 경우에서는 오답의 입력 회수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가 모듈(70)은 유저의 정답 입력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여 전체적인 점수를 산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정답 입력창(51)의 제 2구성에 따라 각 유저별로 정답을 입력한 시점이 다른 경우에서 정답자 중 빠른 입력 시점부터 늦은 입력 시점까지 점수를 내림 차수로 차등 분류하고, 더불어 오답을 입력한 회수에 대해 감점을 부여하는 방식 등으로 점수를 차등 산정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 모듈의 분류 리스트의일 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류 모듈(80)은 각 음원에 대한 정답자의 퍼센테이지 및 특정 유저의 점수별 동향 등의 각종 분류 기준에 따른 그래프를 분류(sorting)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 및 유저의 학부모에게 학생의 수준을 통계적으로 파악하도록 하거나 전체 유저의 학습 집중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분류 모듈(80)에 의한 분류 리스트는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음원별, 유저별로 구분하여 소팅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카운터 모듈(60)에 의한 정답 입력 시간 파악, 후술할 특별관리 모듈(100)에 의해 측정된 특정 유저의 초기 실력과 현재 실력을 비교하여 현재 실력이 초기 때보다 낮다고 평가될 때 집중력을 발휘하지 않고 청취에 응한 것으로 간주하여 숙제를 부과하는 항목 등이 표시될 수가 있다. 이러한 분류 리스트는 학부형용, 강사용, 학생용, 시스템 관리자용 등으로 더욱 세분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숙제 검사 모듈(90)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는 바, 구체적으로 숙제 검사 모듈(90)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특정 유저의 마이 페이지로 특정 음원이 링크된 컨텐츠를 포함한 쪽지를 전송하여 특정 파트의 음원을 듣도록 하는 숙제를 제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특정 유저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에 접속을 하였을 때 알림 기능을 통해 숙제 도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숙제를 받은 유저는 해당 음원이 수록된 페이지에 접속하여 음원을 청취하고 정답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숙제를 수행함 다음, 숙제 결과(즉, 제출 기일 내에 숙제를 수행했는지 접속 시간 파악 여부 내지 평가 모듈에 의한 점수 결과)를 시스템 관리자의 마이 페이지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숙제 검사모듈(90)은 유저의 학습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심 있게 관리할 수 있는 기본적 특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특정 유저가 특정 파트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거나 오답이 입력된 경우 다시금 청취를 유도하여 보다 확실하게 특정 파트의 음원 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상기 설명한 구성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집중을 하지 않는 유저의 학습 태도를 파악 및 개선할 수 있기는 하나, 의도적이거나 악의 적인 유저의 학습 태도를 보다 확실히 계도하기 위하여 특별 관리 모듈(100)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별관리모듈(100)에 의한 개략적인 절차를 나타내는 흐림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별관리 모듈(100)은 음원 재생 정지부(101) 및 초기 능력 테스트부(102), 점수 비교 판단부(103)를 포함하고 있다.
음원 재생 정지부(101)는 유저가 음원 재생이 반복되는 동안 전혀 집중을 하지 않고 다른 행동을 하고 있어 상기 음원 재 반복부(43)에 의하여 재차 n회 반복을 1세트로 하는 음원이 소정 회수(m 회) 반복됨으로 총 n*m 회 차수의 음원이 재생된 경우에도 정답을 입력하고 있지 않을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러한 경우 음원 재생을 중단한 다음, 일정 기간동안 해당 음원 재생에 대한 접속을 차단하고 특정 유저에게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쪽지 형식의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유저의 학부모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문서를 통보하거나 시험 성적을 깎는 패널티를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부과할 수도 있다.
물론,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식사를 중간에 하게 되는 등으로 피치 못할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청취를 중단함으로 정답을 입력하지 못한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스템 관리자는 공지 사항 내지 게시판을 통하여 상기의 경우에는 미디어 플레이어(30)에서 마련된 일시 정지 버튼을 유저가 클릭 하도록 주의사항을 알려주는 것으로 대처할 수 있다.
초기 능력 테스트부(102)는 유저의 시스템 가입 이전의 초기 실력을 웹 브루우저를 통하여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의 가입 조건으로 초기 테스트를 의무화하는 방식으로 가입 직후 내지 가입 직전에 특정 파트의 음원에 대한 실력을 평가하여 다른 유저와의 상대적인 등수를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점수 비교 판단부(103)는 상기 초기 능력 테스부(103)에서 도출된 점수(도 6에서는 A)에 의하여 특정 유저의 등수가 파악이 될 경우 특정 유저가 특정 음원에 대하여 오답이 잦거나 상기 평가 모듈(70)에 의한 전체적인 평가 점수(도 6에서는 B)가 상기 초기 능력 테스트부(102)에서 상대 비교되었던 동급 수준의 다른 유저보다 점수가 일정 기준 수치 차이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온 경우 자동으로 해당 음원을 링크한 메시지를 담은 쪽지를 해당 유저의 마이 페이지로 전송하여 숙제를 부여하는 패널티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수 비교 판단부(103)는 특히 자신의 수준에 비하여 점수가 낮게 측정이 된 경우 소위 말하는 정답 찍기 등을 하거나 청취 시 집중력이 흐트러진 것으로 인지하여 이러한 상황이 파악된 유저에게 자동적으로 숙제와 같은 패널티를 부과하도록 함으로 유저의 집중력을 갖도록 하거나 점수가 낮은 부분을 다시금 재청취하도록 유도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및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이 수행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영어 실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유저는 강제적이고 집중적인 분위기 속에서 영어 음원의 청취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청취 학습의 극대화를 누릴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에 따르면,
1) 영어 문장이 녹음된 동일 음원을 수차례 반복 청취하도록 하되, 유저의 건너뛰기 등의 재생 조작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여 강제적으로 청취를 하게 함으로, 특히 반복적이고 집중력 있는 학습 습관을 가져야 실력이 향상되는 영어 청취 및 받아쓰기 능력을 극대화할 수가 있고,
2) 반복 청취 도중 정답을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 시간에 따라 점수를 차등 부여함으로 유저의 디테일한 실력 차이를 파악할 수 있으며,
3) 음원을 재생한 다음 다른 행동을 하거나 의도적으로 정답을 무분별하게 선택한 유저의 성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패널티를 부과함으로 유저 자신의 청취 자세 고취와 유저 학부모의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4) 반복 회수 조절 및 반복 재생 시에 각각의 음원 재생속도를 달리 하여 집중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으로서,
    수준별 및 주제별로 네이티브 스피커의 영어 대화 내지 설명 음성이 수록된 음원 데이터베이스;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의 음원을 재생하되, 재생 시간대를 조작하는 스크롤바의 기능을 차단한 상태로 재생 버튼 및 일시 정지 버튼을 구비한 미디어 플레이어;
    동일 음원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도록 하되, 음원의 반복 재생 회수를 n회로 조절하는 반복회수 조절부와, n회의 반복 재생 회수 각각을 이루는 음원의 재생속도를 달리 설정하는 재생속도 설정부로 이루어진 음원 재생모듈;
    상기 음원에 대한 질문 및 정답 컨텐츠와 정답을 입력할 수 있는 정답 입력 버튼을 구비한 정답 입력 창을 포함하여, 유저의 정답 입력을 유도하는 정답 입력 모듈;
    상기 정답 입력 모듈을 통한 유저의 정답 입력에 대해 점수를 측정하는 평가 모듈;로 이루어져, 유저를 통하여 소정 회수의 음원을 강제적으로 청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입력창은, 상기 음원 재생 모듈에 의하여 반복 재생되는 음원이 상기 반복 회수 조절부에서 설정된 n회 반복 회수를 마쳐야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입력창은,
    상기 음원 재생 모듈에 의하여 음원이 반복 재생되는 동안 활성화되어 음원 재생 중 정답 입력이 복수 클릭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되, 최종적인 정답 입력을 유저의 정답 선택으로 파악하여 상기 평가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모듈과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음원이 반복 재생되는 도중 상기 정답 입력창을 통하여 정답이 입력된 시점 및 오답 입력 회수를 파악하는 카운터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모듈은,
    상기 카운터 모듈에서 측정된 정답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정답을 입력한 시간 및 오답 입력 회수에 따라 점수를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속도 설정부는,
    n회의 반복 재생 음원 중 최초 1회의 음원속도를 정속으로 하고, 이후로 n-1회까지의 음원재생속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한 다음, 마지막 n회의 음원속도를 정속의 0.8내지 0.9배속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특정 유저에게 특정 음원 페이지가 링크된 컨텐츠가 포함된 쪽지 형식으로 숙제를 전송하고, 숙제를 받은 특정 유저가 특정 음원에 대한 정답을 입력한 결과 정보를 다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결과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숙제 검사 모듈;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n회 반복 음원의 재생이 종료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유저의 정답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n회 반복 음원을 다시금 재생하는 음원 재 반복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악의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지 않는 유저를 구분하기 위한 특별 관리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특별 관리 모듈은, 상기 음원 재 반복부에 의하여 n회 반복 음원이 소정 회수로 재 반복되었을 경우에도 특정 유저의 정답 입력이 없는 경우에 음원 반복을 정지하고 특정 유저에게 쪽지 형식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KR1020070000089A 2007-01-02 2007-01-02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KR10077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89A KR100777225B1 (ko) 2007-01-02 2007-01-02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89A KR100777225B1 (ko) 2007-01-02 2007-01-02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225B1 true KR100777225B1 (ko) 2007-11-28

Family

ID=3908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089A KR100777225B1 (ko) 2007-01-02 2007-01-02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2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177B1 (ko) 2010-02-26 2010-06-09 서소정 반복 시청을 통한 학습자의 한자 능력 향상 시스템
KR100981426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듣기 능력 향상 장치
KR100981427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학습을 통한 외국어의 완성 문장 학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769A (ko) * 1995-04-14 1996-11-21 사또오 후미오 재생 타이밍 정보를 구비한 데이타 기록 매체
KR20010046852A (ko) * 1999-11-16 2001-06-15 서주철 속도변환을 이용한 대화형 언어 교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41644A (ja) 2002-02-15 2003-08-29 Teiichi Kasahara 外国語会話学習法及び外国語会話学習装置
KR20060024898A (ko) * 2004-09-15 2006-03-20 장재용 순환 횟수에 따라 재생 패턴을 변경하는 반복학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769A (ko) * 1995-04-14 1996-11-21 사또오 후미오 재생 타이밍 정보를 구비한 데이타 기록 매체
KR20010046852A (ko) * 1999-11-16 2001-06-15 서주철 속도변환을 이용한 대화형 언어 교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41644A (ja) 2002-02-15 2003-08-29 Teiichi Kasahara 外国語会話学習法及び外国語会話学習装置
KR20060024898A (ko) * 2004-09-15 2006-03-20 장재용 순환 횟수에 따라 재생 패턴을 변경하는 반복학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177B1 (ko) 2010-02-26 2010-06-09 서소정 반복 시청을 통한 학습자의 한자 능력 향상 시스템
KR100981426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듣기 능력 향상 장치
KR100981427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학습을 통한 외국어의 완성 문장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aziz Attitudes of students and teachers towards the use of interactive whiteboards in EFL classrooms
Jackob et al. The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elements in persuasive communication: Findings from two multi-method experiments
Lowenthal Social presence: What is it? How do we measure it?
Brubaker Faculty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student laptop use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on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Nevid Teaching the millennials
CN108447329A (zh) 学习效果测试方法、教育资源管理装置、系统及客户端
Ozcelik et al. Listening comprehension problems of FL learners in a peer interactive, self-regulated listening task
KR100777225B1 (ko)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시스템
Kholida Enhancing listening skill based on authentic materials in higher education
Hardi Speaking activities applied by the teacher in teaching speaking of the Eleventh grade SMA N 2 Bangkinang
Jones A second chance to graduate on tim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participating in an online credit recovery program
Best et al. Young people’s engagement with podcasts in 2021
Gelinas et al. Investigating Instructor Talk among Graduate Teaching Assistants in Undergraduate Biology Laboratory Classrooms
Hasanah The Effect of Video YouTube Towards Students Speaking Skill of the Tenth Grade at SMAN 2 Bangkinang Kota
Hall et al. An upstream evaluation of the prototype coaching e-books that will form part of Oxford Reading Buddy: Findings from a mixed-method clustered Randomized Control Trial
Lissimo Using Authentic Materials To Improve Grade 10 Ef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t The Intermediate Polytechnic Institute In Balombo
Škodová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Skill of Listening Comprehension
Sceniak Bridging the gap: Understanding the skills and writing knowledge of entering college composition students
Alharbi The challenges and the possibilities to the use of technology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language as a case study
Sinclair The effect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nline communication on student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a music fundamentals course for undergraduate non-music majors
Boon Learner support and discovery in a virtual non-judgmental environment
Nabilla THE EFFECT OF EDPUZZLE APPLICATION ON STUDENTS’SPEAKING FLUENCY AT SEVENTH GRADE STUDENTS OF SMPS IT MUTIARA
Rainto Resilience and the switch to distance learning: how the secondary school girls experienced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INURROHMAH USING PODCAST THROUGH 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STAD) TO TEACH LISTENING OF RECOUNT TEXT THESIS
Sailer et al. Learning activities i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of meta-analyses and second-order meta-analysis in higher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218

Effective date: 200810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22

Effective date: 200901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1120

Effective date: 200905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211

Effective date: 20090904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016

Effective date: 2009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