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209B1 -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209B1
KR100777209B1 KR1020060079458A KR20060079458A KR100777209B1 KR 100777209 B1 KR100777209 B1 KR 100777209B1 KR 1020060079458 A KR1020060079458 A KR 1020060079458A KR 20060079458 A KR20060079458 A KR 20060079458A KR 100777209 B1 KR100777209 B1 KR 10077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ault
frtu
control uni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제원
장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전력
Priority to KR1020060079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a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서 선로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선로의 개폐기 단위로 고장구간을 자동적으로 분리하는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수용가로 배선하고, 중선선(n)에 영상변류기(Z-CT)가 설치된 각 배전선로의 구간별 개폐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각 배전선로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선로개폐기; 상기 선로개폐기와 동일 전주에 설치되되, 상기 선로개폐기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제어부와, 상기 배전선로의 중성선(n)에 흐르는 영상고장전류의 파장을 검출하여 중성선의 영상변류기(Z-CT)의 2차전압에 나타나는 극성을 판별하여,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 -), 또는 (0, 1)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선로개폐제어장치(FRTU); 및 상기 각 선로개폐제어장치의 제어부가 판별한 고장전류의 방향으로부터 해당 고장선로의 고장전류의 시작점을 인지하여 선로개폐제어장치의 제어부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구간의 선로개폐기에 폐쇄를 명령하고, 차단된 구간과 연계된 연계선로의 선로개폐기에 연결을 명령함으로써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배전관리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끼리는 동일전주 상에서는 서로 시리얼 통신으로 이루어지고, 타 전주끼리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와 배 전관리시스템는 서로 장거리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고장구간, 분리, 고장전류, 영상전류

Description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A automatic separating method and system of Fault Locating and gathering data for distribution l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주에 선로개폐제어장치(FRTU)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의 선로사고지점을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관리시스템의 PC 인터페이스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성선(N)에 설치된 영상변류기(Z-CT)의 전압 극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의 사고지점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서 선로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선로의 개폐기 단위로 고장구간을 자동적으로 분리하는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변전소로부터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는 송전선로와는 달리 수많은 수용가에 각각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은 복잡한 간선 및 지선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전선로 상에 지락(전선이 끊어져 땅에 붙어 접지되는 경우) 또는 단락(서로 다른 상의 전선들이 붙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그 사고가 발생한 고장점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배전선로에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찾기 위하여 변전소 차단장치를 동작시켜 가면서 현장의 조작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주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사고 지점에 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고장점을 찾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복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전 시간이 길어져, 전력 소비자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배선 선로의 사고 발생시 그 고장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복구하여 정전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신뢰성과 수용가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우리 나라의 배전방식은 3상 4선식 다중접지방식으로 지락사고가 발생할 경우, 중성선에 흐르는 지락전류가 단락전류보다 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변전계통에서, 부하용량 4000[kVA] 이하의 분기점 또는 수용가 인입구에 선로 자동개폐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로 자동개폐기는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변전소의 차단기와 배전선로에 설치된 선로개폐 제어장치인 리클로저(RECLOSER)와 협조하여 고장 구간만을 신속, 정확하게 차단 혹은 개방하여 고장 구간의 확대를 방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한다.
상기와 같이, 배전선로에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고장 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분리하여 차단시키는 장치로는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저가 있다. 이하, 그 기능에 대하여 약술하기로 한다.
차단기(Circuit Breaker, CB)는 배전선로로부터 매우 큰 크기의 고장 전류가 감지될 때 선로를 개방(Open) 또는 폐로(Close)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정상 전류가 흐르는 평소에도 선로를 개폐할 수도 있다.
개폐기(Load Break Switch, LBS)는 차단기와는 달리,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정상 전류가 흐를 경우에만 선로 개폐가 가능하고,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로 개폐를 할 수 없는 장치를 의미한다. 개폐기에는 그 동작 제어를 위하여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라고 불리는 일종의 제어부를 설치할 수 있다. 즉, FRTU는 개폐기의 기계 장치부와 연결되어 개폐기의 선로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단, FRTU는 개폐기를 통한 선로 개폐를 스스로 판단하여 매커니즘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통신 기능을 통해 호스트(주제어장치)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메커니즘을 제어할 수 있다.
리클로저(Recloser)는 선로의 재폐로를 수행하는 특수한 형태의 차단기이다. 배전선로로부터 고장 전류가 감지되고 일정 범위 이상 지속되면 리클로저는 선로를 개방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선로를 다시 폐로한다. 선로 폐로후에도 고장 전류가 계속 감지되면, 리클로저는 상기와 같은 선로의 재폐로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회수만큼 반복하고, 그 후에도 고장 전류가 지속되면 선로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더 이상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배전선로에서 선로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배전관리시스템(400) 또는 운영실 담당자의 판단에 의거하거나, 또는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분리 프로그램에 의거 해당 선로의 개폐기 2대를 OFF하고, 연계된 타 선로의 개폐기를 투입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현재,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분리 프로그램이 되어있으나 활성화가 안 되는 이유로써, 고장전류의 크기, 사고 장소, 사고원인 및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 많은 변수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배전배전관리시스템(400) 또는 배전운영실의 담당자의 고장구간 판단 시간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교육의 부족과 사고라는 것은 상시 일어나는 것이 아니므로 인간은 고장 구간의 판단 오류 즉, 휴먼 에러에 의한 고장구간 분리시간을 지연시키는 경우도 있다.
현재까지의 고장전류의 크기만을 검출하는 종래의 방법의 한계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첫째, 선로사고가 발생할 경우 고장 영상전류의 방향을 검출하여 기존의 인위적인 판단이 필요 없는 고장 구간의 자동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각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각 배전선로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선로개폐기; 상기 선로개폐기와 동일 전주에 설치되되, 상기 선로개폐기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제어부와, 상기 배전선로의 중성선(n)에 흐르는 영상고장전류의 파장을 검출하여 중성선의 영상변류기(Z-CT)의 2차전압에 나타나는 극성을 판별하여,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 -), 또는 (0, 1)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선로개폐제어장치(FRTU); 및 상기 각 선로개폐제어장치의 제어부가 판별한 고장전류의 방향으로부터 해당 고장선로의 고장전류의 시작점을 인지하여 선로 개폐제어장치의 제어부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구간의 선로개폐기에 폐쇄를 명령하고, 차단된 구간과 연계된 연계선로의 선로개폐기에 연결을 명령함으로써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배전관리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끼리는 동일전주 상에서는 서로 시리얼 통신으로 이루어지고, 타 전주끼리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와 배전관리시스템는 서로 장거리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는 기본적으로, 선로개폐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300) 및 배전관리시스템(400)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로개폐기(500)는 변대주(200)의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정상전류가 흐를 경우에만 선로 개폐가 가능하고,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로 개폐를 할 수 없는 장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300)는 각 변대주에 설치되는 것으로, 개폐제어부, 제어부,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제어부는 선로개폐기(5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선로개폐기의 기계 장치부(501)와 연결되어 선로개폐기의 선로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중성선(n)에 흐르는 고장전류의 파장을 검출하여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Z-CT)의 2차전압에 나타나는 극성을 판별하여,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 -), 또는 (0, 1)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제어부에서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배전관리시스템으로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통신모듈은 RF통신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의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배전관리시스템은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로부터 수신된 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토대로 전류소스와 가장 가까운 선로개폐기의 전압극성과 동일한 마지막 선로개폐기를 차단하도록 명령하고, 차단된 부분과 연계된 연계선로의 선로개폐기에 연결을 명령함으로써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와 RF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 통신모듈(411)과, 상기 RF 통신모듈(411)을 통해 무선 데이터통신을 제어하여 제어PC(42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의 출력 및 선로개폐제 어장치(FRTU)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제어PC(420)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412)와, 제어PC(420)와의 시리얼(serial)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RS232C)(413)와, 전원부(414)를 포함하는 PC 인터페이스(410)와, PC인터페이스(410)와 시리얼 접속 연결되어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 연산 처리하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 및,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와 전기적 연결을 갖는 장치들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제어PC(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에는 상기 2차측 부하감시수단으로 변압기(100)의 2차측 각 상(A,B,C)전압은 배전 자동화용 단말기(300)에 공급되고, 변압기(100)의 각 상(A,B,C)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CT)와, 선로고장구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공통 중성선(neutral)상에 설치되는 영상변류기(Z-CT)와, 변압기(10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7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는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자신의 고유식별정보(ID) 및 통신해야할 다른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의 단말기식별정보(ID)가 설정되는 식별정보설정부와, 전력라인과 연결된 장치와의 전력라인통신을 수행하는 PLC 모뎀부와, 검출된 변압기(100)의 2차측 각 상(A,B,C)전압 및 상기 변류기(CT), 영상변류기(Z-CT)로부터 검출된 전류값 및 변압기(100)내의 온도센서(700)에서 검 출된 온도값을 입력받아 중앙제어부로 공급하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인접한 동일전주의 통신대상 단말기와는 RF무선통신을 수행하고, 배전관리시스템(400)과는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취득된 데이터의 저장, 처리 및 식별정보설정부에 설정된 식별정보에 따라서 RF통신을 통해 해당하는 선로개폐제어장치(FRTU) 또는 배전관리시스템(400)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데이터를 전송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배터리와,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비상시 배터리의 전원으로 절환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는 배전관리시스템(400)과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선로개폐제어장치(FRTU) 간의 통신은 근거리 RF통신을 이용하여 수행하며, 동일전주에 설치된 선로개폐제어장치(FRTU) 끼리는 시리얼 통신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전관리시스템(400)에서는 RF 통신모듈(411)을 이용하여 각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로사고 발생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지락, 낙뢰, 선간 혼촉, 단선사고 또는 선로부하불평형이 일어나면 공통 중성선(N)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고가 일어난 위치에서 볼 때 중성선(N)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즉 전원측으로 흐르는 전류 방향과 부하측으로의 전류 흐름 방향이 틀리게 나타나는 점을 이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등가회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성선(N)에 설치된 영상변류기(Z-CT)의 2차 전압을 측정하면 선로사고의 발생지점으로부터 전원 측의 영상변류기(Z-CT)의 출력전압이 +V 라면 부하측의 영상변류기(Z-CT)출력 전압은 -V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전관리시스템(400)에서 영상변류기(Z-CT)의 2차 전압의 극성을 판단하여, 극성이 바뀌어 나타나는 점을 찾아내면 이 부분이 선로사고의 발생위치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적용 예로 배전관리시스템(400)의 제어PC(420) 모니터상에 각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로부터 수집된 영상변류기(ZCT)의 2차전압 극성을 모두 표현하게 되면, 쉽게 선로사고지점을 찾아낼 수 있으며, (+) 전압 데이터와 (-) 전압 데이터를 서로 다른 색깔로 표현할 경우 더더욱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상기 영상변류기(Z-CT)의 2차 출력에 다이오드를 이용하게 되면, (+)전압의 표시는 +V 으로, (-) 전압의 표시는 0으로 표시되므로, 이와 같은 결과를 이용하는 방법도 일예가 될 수 있다.
또한 고장전류가 발생하기 시작한 반주기(1/2HZ)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공통 접지이므로 타 선로에서도 중성선(N)의 전류가 검출되나 미약전류이고 부분적으로 극성(+/-)이 바뀌는 경우는 있어도 사고지점에서와 같이 전원측과 부하측을 뚜렷이 구분하여 선로 전반에서 극성이 바뀌거나 하는 일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선로사고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 전압극성만이 중요하므로, 영상변류기(Z-CT)는 철심코아의 포화가 되도록 설계하여 2차 전압이 무리하게 출력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도 5는 중성선(N)에 설치된 영상변류기(Z-CT)의 전압 극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표이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지락 또는 선간혼촉 사고는 변전소에 설치된 OCR(Over Current Relay)이 동작한 선로의 중성선 전류의 유입방향을 추적하면 사고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바, 가공 N에 낙뢰사고의 경우 인근 변전소(S/S; Sub Station)의 선로개폐제어장치(FRTU)가 1~ 수대 동작하므로 그 선로마다 중성선 전류의 유입방향을 추적하면 낙뢰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극성의 표시는 선로개폐제어장치(FRTU)까지의 고장전류가 유입된 순방향을 표시하는 것이고, (-) 극성의표시는 공통 접지선(N)을 따라 고장전류가 분산되는 방향인 것이다. 즉, '1' 번 위치의 영상변류기(Z-CT)(변전소로부터 가장 가까운 영상변류기)의 극성이 (+)로 시작된 경우 선로를 따라 (+) 극성을 추적하며 분기점에서 다음의 영상변류기(Z-CT)극성이 (+)와 (-) 2개가 있으면 (+)쪽으로 계 속 추적하여 (+)쪽으로 계속 추적하여 (+)극의 끝지점이 사고지점인 것이다.
도 5의 도표는 고장전류 파형이 (+) 1/2 주기의 경우이며, 반대로 고장지점이 (-) 1/2 주기의 경우는 1번 영상변류기(ZCT)의 극성이 (-)로 시작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고장 발생지점 부근은 선로전압의 강하와 대지 전위의 상승 등으로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의 측정전압은 규정전압(220Vㅁ13V)에서 이탈을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선로고장 발생지점 부근의 배전 자동화용 단말기(300) 들은 규정전압 이탈 경고 이벤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선로고장지점이 더욱 명확해 지는 것이다.
또는 현재 배전 자동화를 운영중인 선로인 경우 선로개폐기(500), 또는 변전소의 릴레이가 동작하였다면 선로개폐기(500), 또는 변전소와 가장 가까운 변대주(200)에 설치된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의 이벤트 내용을 분석하여 영상전류의 극성이 (-)일 경우 그 해당 선로의 모든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에 극성이(-)로 동작한 단말기만을 제어PC(420)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하면 부하측 최종말단이 고장지점인 것이다.
이에 따라 배전관리시스템(400)은 FRTU로부터 수신된 내용 중에서 전원 측과 가장 가까운 FRTU의 전압 극성과 동일한 마지막 FRTU에 개폐기를 차단하도록 명령한다. 즉, 그림에서와 같이 전원 측과 가장 가까운 FRTU(1)의 전압 극성이 (+)로 나타났으므로 (+)극성으로 나타난 마지막 FRTU(5)와 차 하위 FRTU(9)에 개폐기 차단 명령을 송신하고 FRTU(5)와 FRTU(9)의 동작내용을 확인한 후 그 다음 연계선로인 FRTU(10)에 개폐기 투입을 명령하게 함으로써 고장구간을 자동 분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선로사고가 발생할 경우 고장 영상전류의 방향을 검출하여 인위적인 판단이 필요 없는 즉, 고장 구간의 원격 분리를 위한 정확한 데이터(고장 영상전류의 방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현재의 배전자동화 시스템에서의 배전 선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프로그램을 활성화 할 수 있다.

Claims (2)

  1. 전류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수용가로 배선하고, 중선선(n)에 영상변류기(Z-CT)가 설치된 각 배전선로의 구간별 개폐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각 배전선로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선로개폐기;
    상기 선로개폐기와 동일 전주에 설치되되, 상기 선로개폐기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제어부와,
    상기 배전선로의 중성선(n)에 흐르는 영상고장전류의 파장을 검출하여 중성선의 영상변류기(Z-CT)의 2차전압에 나타나는 극성을 판별하여,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 -), 또는 (0, 1)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별된 영상고장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배전관리시스템으로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선로개폐제어장치(FRTU); 및
    상기 각 선로개폐제어장치의 제어부가 판별한 고장전류의 방향으로부터 해당 고장선로의 고장전류의 시작점을 인지하여 선로개폐제어장치의 제어부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구간의 선로개폐기에 폐쇄를 명령하고, 차단된 구간과 연계된 연계선로의 선로개폐기에 연결을 명령함으로써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배전관리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끼리는 동일전주 상에서는 서로 시리얼 통신으로 이루어지고,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와 배전관리시스템은 서로 장거리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관리시스템은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로부터 장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제어신호의 출력 및 선로개폐제어장치(FRTU)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 연산 처리하며, 선로개폐제어장치(FRTU)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제어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KR1020060079458A 2006-08-22 2006-08-22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KR10077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58A KR100777209B1 (ko) 2006-08-22 2006-08-22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58A KR100777209B1 (ko) 2006-08-22 2006-08-22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209B1 true KR100777209B1 (ko) 2007-11-16

Family

ID=3908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458A KR100777209B1 (ko) 2006-08-22 2006-08-22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2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34B1 (ko) 2008-01-24 2010-03-1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접지 배전계통의 지락 고장검출 알고리즘 및 시스템
KR100956712B1 (ko) 2009-07-29 2010-05-06 (주)정인시스템 송전·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장치
CN111736108A (zh) * 2020-06-19 2020-10-02 国网河南省电力公司鹤壁供电公司 快速测量电流互感器极性的装置
CN113410822A (zh) * 2020-12-31 2021-09-17 上海宏力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配电线路故障保护保护系统及方法
CN115314406A (zh) * 2022-07-26 2022-11-0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淮安供电分公司 一种基于图像分析的输电线路的智能缺陷检测方法
KR20220165578A (ko) * 2021-06-08 2022-12-15 한국전력공사 상시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방법 및 차단기용 지능형 제어 장치
CN116626540A (zh) * 2023-07-25 2023-08-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断线故障区间判定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371A (ja) * 1991-07-19 1993-02-02 Toyo Ink Mfg Co Ltd 感熱転写記録方法及びマーキングフイルム
JPH0537217A (ja) * 1991-07-31 1993-02-12 Icom Inc 回転機構付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371A (ja) * 1991-07-19 1993-02-02 Toyo Ink Mfg Co Ltd 感熱転写記録方法及びマーキングフイルム
JPH0537217A (ja) * 1991-07-31 1993-02-12 Icom Inc 回転機構付アンテナ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524371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537217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34B1 (ko) 2008-01-24 2010-03-1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접지 배전계통의 지락 고장검출 알고리즘 및 시스템
KR100956712B1 (ko) 2009-07-29 2010-05-06 (주)정인시스템 송전·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장치
CN111736108A (zh) * 2020-06-19 2020-10-02 国网河南省电力公司鹤壁供电公司 快速测量电流互感器极性的装置
CN113410822A (zh) * 2020-12-31 2021-09-17 上海宏力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配电线路故障保护保护系统及方法
CN113410822B (zh) * 2020-12-31 2023-08-22 上海宏力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配电线路故障保护保护系统及方法
KR20220165578A (ko) * 2021-06-08 2022-12-15 한국전력공사 상시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방법 및 차단기용 지능형 제어 장치
KR102562667B1 (ko) * 2021-06-08 2023-08-03 한국전력공사 상시 다중 연계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방법 및 차단기용 지능형 제어 장치
CN115314406A (zh) * 2022-07-26 2022-11-0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淮安供电分公司 一种基于图像分析的输电线路的智能缺陷检测方法
CN115314406B (zh) * 2022-07-26 2023-10-03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淮安供电分公司 一种基于图像分析的输电线路的智能缺陷检测方法
CN116626540A (zh) * 2023-07-25 2023-08-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断线故障区间判定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6626540B (zh) * 2023-07-25 2023-10-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断线故障区间判定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209B1 (ko) 고장 장소 확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배선전로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KR100775025B1 (ko)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41739B2 (en) Process bus associated protective control system, merging unit, and calculation device
KR100956712B1 (ko) 송전·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장치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5351B1 (ko) 전기 설비 유지보수 방법 및 디바이스
CN105655879B (zh) 智能变电站双母线接线方式110千伏系统母线合并单元双重化配置的电压布置方式
KR20130031583A (ko)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5896729A (zh) 基于ftu的配电网及诊断和隔离故障的方法
CN108270092A (zh) 一种地铁接触网可视化接地系统
CN110224491A (zh) 分布式配电网自动开关的监控装置、监控方法和监控系统
CN109510192A (zh) 配电网以及配电网的自愈方法
CN201789274U (zh) 电动机智能监控保护装置
CN106199415B (zh) 基于主站系统热倒母过程中母线刀闸位置检测方法及系统
KR101652491B1 (ko) Ac 및 dc전원 통합 접지 검출 장치
CN106054015A (zh) 一种助航灯隔离变压器开路状态监测装置及控制方法
KR100506009B1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20080017801A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현장 식별장치
CN110518702A (zh) 馈线终端、馈线控制系统及电网监测方法
KR100555926B1 (ko) Plc 모뎀을 이용한 다목적 배전자동화 시스템
KR20140055527A (ko) 배전 선로 고장발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9950883A (zh) 用于配电网自动化开关的保护测控装置和保护测控方法
KR100571540B1 (ko) Plc 모뎀을 내장한 배전자동화 통신 단말기
CN108279360A (zh) 单相接地故障线路监测系统
KR101126292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가스밸브 개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