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583A -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583A
KR20130031583A KR1020110095250A KR20110095250A KR20130031583A KR 20130031583 A KR20130031583 A KR 20130031583A KR 1020110095250 A KR1020110095250 A KR 1020110095250A KR 20110095250 A KR20110095250 A KR 20110095250A KR 20130031583 A KR20130031583 A KR 2013003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voltage
resistance
current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620B1 (ko
Inventor
신동열
박창호
김석곤
정영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9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6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배전선로의 전선 단선으로 고저항 지락고장 발생시 고장 전과 고장 후의 배전선로 저항의 변화를 근거로 고장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된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서 검출되는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를 근거로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 및 위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고, 고장정보를 근거로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근거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서의 전선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전선 단선으로 판단한 구간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제어신호를 해당 원격 단말장치들에게 전송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한다.

Description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HIGH IMPEDENCE GROUND FAULT USING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서 전선 단선으로 발생하는 고저항 지락고장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는, 송전선을 통해 송전되는 송전전압을 배전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배전전압을 배전선을 통해 수용가로 공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송전선을 통해 송전되는 154㎸ 또는 345㎸ 등의 송전전압을 변전소에서 22.9㎸의 배전전압으로 변환하여 배전선을 통해 수용가로 배전하고 있다.
수용가로 전압을 배전하는 배전선로에서 전선 노후 또는 불량 등으로 단선이 발생하면 인명사고 및 설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배전선로의 전선 단선시 지락고장의 형태에 따라 고장저항이 결정되고, 고장저항의 크기에 따라 고장 전류의 크기가 결정된다. 이때, 가공 배전선로에서 전선단선시 지락고장 및 단선고장의 2가지 형태로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락고장(10)은 전선(20)이 단선되면서 단선된 전선(20)과 대지(30) 사이의 접촉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고장 전류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선고장(40)은 접촉저항이 없는 상태의 단선으로 인한 고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접촉저항이 작을 때는 고장 전류가 크게 발생하고, 반대로 접촉저항이 클 때는 고장 전류가 작게 발생한다. 현재 보호계전기는 설정된 전류보다 큰 고장 전류가 발생하면 동작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전선(20)이 끊어져 단선될 때 보호계전기의 설정전류보다 작은 전류가 발생하면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지 않고, 단선된 상태로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감전 또는 파급사고가 발생한다.
접촉저항의 크기는 단선시 단선된 전선(20)과 접촉물질에 따라 접촉저항의 크기가 다르며 완전 지락고장(10) 일 때 대략 0~100Ω 정도의 접촉저항이 발생하며, 불완전 지락고장(10) 일 때 대략 100~1000Ω정도의 고저항 지락고장(10)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보호계전기의 설정범위는 정상 부하(55)전류보다 150% 이상 높은 전류가 발생 될 때 고장 전류로 인지하고 동작한다. 따라서 종래의 모든 보호계전기는 고저항 지락고장(10) 발생시 부하(55)전류 이하의 전류가 발생하므로 보호계전기는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단선고장(40)과 같이 발생하며, 지락고장(10) 전류는 발생하지 않고, 3상 중에 2상에만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결상으로 모터가 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저항 지락고장(10)의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수목과 접촉, 아스팔트와 접촉, 건물지붕과 접촉, 차량붕대와 접촉 등 고장의 형태는 다양하게 발생한다. 배전선로에는 전선(20) 노후 또는 불량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전선로용 보호장치로 보호계전기가 설치된다. 현재의 보호계전기는 상별 전류의 크기로 동작하는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와 지락 전류의 크기로 동작하는 지락과전류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로 구성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전류의 크기로만 동작하도록 되어 있어 고저항 지락고장(10)시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자동화시스템은 배전자동화 시스템(70)은 배전선로에 설치된 개폐기(60) 및 차단기(50)를 통신으로 원격제어 및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기(60)와 차단기(50)의 차이점은 개폐기(60)는 고장 전류를 감지할 수 있으나 차단할 수 없고, 차단기(50)는 고장 전류 차단가능 하기 때문에 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선로를 먼저 차단하고, 차단정보를 자동화시스템의 주장치(25)로 전송한다. 주장치에 구간별 개폐기(60)와 차단기(50)에서 전송된 고장정보를 근무자(90)가 분석하여 수동으로 개폐기(60)를 온/오프(ON/OFF) 조작해서 고장점을 제외하고 건전구간을 송전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화시스템은 구간별 차단기(50)와 개폐기(6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80; RTU)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자동화시스템의 주장치(25)에서 구간별 차단기(50) 및 개폐기(60)에서 검출된 고장정보(FI)를 이용하여 근무자(90)가 고장점을 판단하고, 수동으로 개폐기(60) 또는 차단기(50)를 온/오프 조작하여 고장구간을 분리 및 복구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전류는 고장발생점까지 고장 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고장구간 이내에 설치된 개폐기(60) 또는 차단기(50)에서 고장 전류를 감지하게 되고 고장정보를 주장치로 전송하며, 고장구간 이외에 설치된 개폐기(60) 또는 차단기(50)는 고장 전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고장정보가 없다. 따라서, 주장치(25)에서 구간별 차단기(50) 고장정보과 개폐기(60) 고장정보(37)를 수집하고 주장치에서 수집된 고장정보를 보고 근무자(90)가 고장위치를 파악하고, 근무자(90)가 주장치로 조작명령을 하면 주장치에서 차단기(50) 온/오프 또는 개폐기(60) 온/오프를 통해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건전구간을 복구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고장구간 방식은 사람(근무자(90))에 의해서 고장점을 판단하는 방식이고, 고저항 발생시 고장점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배전선로의 전선 단선으로 고저항 지락고장 발생시 고장 전과 고장 후의 배전선로 저항의 변화를 근거로 고장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된 차단기 및 개폐기를 이용하여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배전자동화 주장치에서 각 구간별 설비의 저항상태를 감시하여 전선 단선시 고장 전류의 크기와 관계없이 고저항 지락을 감지하도록 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자동화 주장치에서 구간별 고장정보를 전압과 전류를 동시에 검출하고, 검출된 고장정보를 근거로 고장점을 판단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도록 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된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서 검출되는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를 근거로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 및 위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들; 및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를 근거로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근거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서의 전선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전선 단선으로 판단한 구간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제어신호를 해당 원격 단말장치들에게 전송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배전자동화 주장치를 포함한다.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전원측에 각상별로 설치되어 전원측 전압을 검출하여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된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복수의 전원측 변성기들;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 각상별로 설치되어 부하측 전압을 검출하여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된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복수의 부하측 변성기들; 및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 각상별로 설치되어 전류를 감지하여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된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변류기를 더 포함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복수의 원격장치들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정상 저항을 산출하고,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저항을 산출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차이값이 저항 설정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전선 단선으로 판단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구간 내에 개폐기가 2대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하고, 구간 내에 개폐기가 3대 이상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들의 저항값들 중에서 가장 큰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과 나머지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고장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에 설치된 개폐기 및 차단기의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트립신호를 전송하고, 건전구간에 상시개방점 차단기를 투입하여 정전을 복구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전류가 부하전류 개폐가능 전류 미만이면 해당 구간의 차단 상태를 유지한다.
원격 단말장치는, 상별 전류 중에서 영상전류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류 트리거를 발생하는 영상전류 트리거 판단부; 상별 전압 중에서 영상전압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영상전압 트리거 판단부; 3상의 전압이 모두 무전압 트리거 설정값 이하이면 무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무전압 트리거 판단부; 영상전류 트리거와 영상전압 트리거 및 무전압 트리거 중에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가 발생하면,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RMS 산출부; RMS 산출부에서 산출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부; 및 이벤트 발생부에서 고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산출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배전자동화 주장치로 전송하는 고장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원격 단말장치는, 배전자동화 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하여 고장구간을 복구하는 단말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고장정보에서 고장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고장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근거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고장 판단부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을 분리를 위한 차단기 및 개폐기 제어신호를 고장 구간의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배전 제어부; 및 고장 판단부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에 대한 정보 및 고장정보를 출력하는 주장치 출력부를 포함한다.
고장 판단부는, 고장 전후의 전압과 전류를 근거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고,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변동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은,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된 복수의 차단기 및 개폐기의 전압과 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전압 및 전류를 근거로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에서 고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고장정보를 근거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근거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고장 구간에 설치된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하여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압과 전류를 수집하는 단계는,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전원측에서 각상별로 전원측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서 각상별로 부하측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서 각상별로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는, 복수의 원격장치들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 및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구간 내에 개폐기가 2대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하고, 구간 내에 개폐기가 3대 이상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들의 저항값들 중에서 가장 큰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과 나머지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한다.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차이값이 저항 설정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전선 단선으로 판단한다.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하는 단계는, 고장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에 설치된 개폐기 및 차단기의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트립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건전구간에 상시개방점 차단기를 투입하여 정전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하는 단계는,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전류가 부하전류 개폐가능 전류 미만이면 해당 구간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별 전류 중에서 영상전류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류 트리거를 발생하는 단계; 상별 전압 중에서 영상전압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단계; 3상의 전압이 모두 무전압 트리거 설정값 이하이면 무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단계; 영상전류 트리거와 영상전압 트리거 및 무전압 트리거 중에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가 발생하면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고장 구간에 대한 정보 및 고장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변동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배전선로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전선 단선 상태를 판단하여 고장을 검출함으로써, 전류의 크기에 의해 동작하는 종래의 보호장치에서 감지할 수 없는 고저항 지락고장 발생시 고장 전류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고장점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고저항 지락고장 발생시 배전자동화 주장치에서 구간별 원격제어를 통해 고장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차단기뿐만 아니라 개폐기에서도 고장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지락고장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개폐기 및 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원격 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7의 RMS 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5의 배전자동화 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5는 도 8의 고장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가공배전선로에서 2가지 형태의 지락고장 발생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과 종래의 시스템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개폐기 및 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원격 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RMS 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배전자동화 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도 8의 고장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10)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차단기(100), 복수의 개폐기(200), 상기 복수의 차단기(100) 및 복수의 개폐기(200)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차단기(100) 및 복수의 개폐기(200)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원격 단말장치(400)에게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단기(100) 및 복수의 개폐기(200) 각각의 내부에는 배전선로의 전원 및 전류를 측정하여 원격 단말장치(400)에게 전송하는 복수의 전원측 변성기(140, 240)들, 복수의 부하측 변성기(160, 260)들, 복수의 변류기(180, 28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전원측 변성기(140, 240)와 복수의 부하측 변성기(160, 260) 및 복수의 변류기(180, 280)들은 지속적으로 차단기(100) 및 개폐기(200)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여 원격 단말장치(400)에게로 전송한다. 또한, 복수의 전원측 변성기(140, 240)와 복수의 부하측 변성기(160, 260) 및 복수의 변류기(180, 280)들은 원격 단말장치(4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장 이벤트 발생 전의 전압 및 전류와, 고장 이벤트 발생 후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원격 단말장치(400)에게로 전송한다.
복수의 전원측 변성기(140, 240)는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전원측의 각 상(즉, A상, B상, C상)에 설치되어 전원측 전압을 검출한다. 이때, 전원측 변성기(140, 240)는 일측이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전원측과 접점(120, 220)을 연결하는 전선(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되어 전원측 전압을 검출한다.
복수의 부하측 변성기(160, 260)는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부하측의 각 상(즉, A상, B상, C상)에 설치되어 부하측 전압을 검출한다. 이때, 부하측 변성기(160, 260)는 일측이 접점(120, 220)과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부하측을 연결하는 전선(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되어 부하측 전압을 검출한다.
복수의 변류기(180, 280)는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부하측의 각 상(즉, A상, B상, C상)에 설치되어 전류를 검출한다. 이때, 변류기(180, 280)는 일측이 접점(120, 220)의 출력측 전선(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부하측 전선(20)과 연결되어 전류를 검출한다.
복수의 차단기(100) 및 복수의 개폐기(200)는 원격 단말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한다.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 각각은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차단기(100)들 또는 복수의 개폐기(200)들 중에 하나와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 각각은 연결된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에서 검출되는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를 근거로 고장 이벤트를 발생한다.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 각각은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를 검출하도록 해당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를 제어한다.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 각각은 해당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로부터 수신한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 및 위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배전자동화 주장치(500)에게로 전송한다.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 각각은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를 온/오프 제어하여 고장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단말장치(400)는 영상전류 트리거 판단부(410), 영상전압 트리거 판단부(420), 무전압 트리거 판단부(430), RMS 산출부(440), 이벤트 설정부(450), 이벤트 발생부(460), 고장정보 출력부(470), 단말 통신부(480), 단말 제어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전류 트리거 판단부(410)는 영상전류를 근거로 트리거를 발생한다. 즉, 영상전류 트리거 판단부(410)는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로부터 수신한 상별 전류 중에서 영상전류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 보다 크면 영상전류 트리거를 발생한다.
영상전압 트리거 판단부(420)는 영상전압을 근거로 트리거를 발생한다. 즉, 영상전압 트리거 판단부(420)는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로부터 수신한 상별 전압 중에서 영상전압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 보다 크면 영상전압 트리거를 발생한다.
무전압 트리거 판단부(430)는 3상 전압을 근거로 고장 이벤트를 발생한다. 즉, 무전압 트리거 판단부(430)는 3상(즉, A상, B상, C상)의 전압이 모두 무전압 트리거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배전계통의 무전압으로 판단하여 무전압 트리거를 발생한다.
RMS 산출부(440)는 트리거가 발생하면 트리거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을 산출한다. 즉, RMS 산출부(440)는 영상전류 트리거와 영상전압 트리거 및 무전압 트리거 중에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가 발생하면 해당 트리거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배전선로의 각상별로 고장 전 전압과 전류 및 위상, 고장 후 전압과 전류 및 위상을 산출한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MS 산출부(440)에서 영상전압 및 전류 고장이벤트 발생 전후 RMS 계산방법은 트리거 시점에서 고장이벤트 전과 고장 이벤트 후 각각 설정된 시간의 RMS값을 계산하면 고장 전후 값이 비교된다. 그러나 무전압 고장이벤트 발생시 무전압 정전트리거 시점에서 고장발생 전후를 비교하면 고장 후는 정전으로 인식한다. 또한, 무정전 복전 트리거 시점에서 보면 트리거 시점 이전은 정전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무전압 정전 트리거 시점과 무전압 복전 트리거 시점 사이 정전구간을 제외하고 고장이벤트전과 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장 전후 RMS값을 계산하기 위해서 고장 전 12CYCLE, 고장 후 12CYCLE로 디폴트값으로 계산하며, 고장 전후 설정시간에 따라 0~60CYCLE 간격으로 설정한다.
이벤트 설정부(450)는 고장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전류 설정값, 전압 설정값, 위상 설정값을 설정한다.
이벤트 발생부(460)는 RMS 산출부(440)에서 산출한 고장 전 전압과 전류 및 위상, 고장 후 전압과 전류 및 위상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장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해, 이벤트 발생부(460)는 RMS 산출부(440)에서 산출된 전압과 전류 및 위상과, 이벤트 설정부(450)에서 설정된 전류 설정값, 전압 설정값 및 위상 설정값을 각각 비교하여 고장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벤트 발생부(460)는 RMS 산출부(440)에서 산출한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고장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벤트 발생부(460)는 고장 전 이벤트 및 고장 후 이벤트를 발생한다.
고장정보 출력부(470)는 이벤트 발생부(460)에서 고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출력한다.
단말 통신부(480)는 고장정보 출력부(47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를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로 전송한다. 단말 통신부(480)는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로부터 고장 구간의 분리 또는 복구를 위한 제어신호(즉, 차단기(100) 온/오프 신호, 개폐기(200) 온/오프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 통신부(480)는 제어신호에 따른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제어결과를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로 전송한다.
단말 제어부(490)는 단말 통신부(48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를 제어하여 고장구간을 배전선로로부터 분리한다. 단말 제어부(490)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를 제어하여 고장구간을 복구한다. 단말 제어부(490)는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결과정보(즉, 배전선로의 분리 또는 복구 상태)를 단말 통신부(480)를 통해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로 전송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10) 감지 시스템은 종래의 고장 전류의 크기로만 고장 전류를 검출하는 방식과 다르게 고장 전후 이벤트 각각 검출하여 고장 전 정상상태와 고장 후 비정상상태를 비교하여 고장을 판단하는 방식이다. 종래에는 구간별 개폐기(200) 및 차단기(100)의 원격 단말장치(400)에서 고장을 검출하여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로 보내면 근무자에 의해 고장을 판단하고, 주장치에 제어명령을 하여 고장구간을 수동으로 분리하는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간별 개폐기(200) 및 차단기(100)의 고장 전, 후 고장정보를 원격 단말장치(400)를 통해 배전 자동화 주장치로 전송하면, 배전자동화 주장치(500)에서 구간별 설비저항 상태를 계산하여 고장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식이다. 또한, 종래에는 고장발생시 차단기(100)에서만 차단하고 개폐기(200)는 수동적으로 고장구간을 분리만 하였으나, 본 발명은 부하전류 개폐가능 전류까지(대략 500A미만)는 고장발생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들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를 근거로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근거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서의 전선(20) 단선 여부를 판단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전선(20) 단선으로 판단한 구간의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제어신호를 해당 원격 단말장치(400)들에게 전송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한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주장치 통신부(520),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540), 고장 판단부(560), 배전 제어부(580), 주장치 출력부(5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장치 통신부(520)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주장치 통신부(520)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4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한다. 주장치 통신부(520)는 고장 구간의 분리 또는 복구를 위한 제어신호(즉, 차단기(100) 온/오프 신호, 개폐기(200) 온/오프 신호)를 송신한다. 주장치 통신부(520)는 기전송한 제어신호에 따른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제어결과를 수신한다.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540)는 주장치 통신부(520)를 통해 수신되는 고장정보들로부터 고장 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과, 고장 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을 검출하여 수집한다.
고장 판단부(560)는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540)에서 수집한 고장 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과, 고장 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을 근거로 배전선로 각 구간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고장 판단부(560)는 고장 전의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 저항(즉, 정상 저항)을 산출한다. 고장 판단부(560)는 고장 후의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후 저항(즉, 고장 저항)을 산출한다. 여기서, 40호 차단기(100a)와 60호 개폐기(200a) 사이의 A상 회로를 도시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전선(20) 단선시 구간별 저항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지락고장(10)시 지락형태에 따라 고장 전류의 크기가 다르게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회로도에서는 고장 전류의 크기에 따라 지락고장(10; 도 11 참조)과 단선고장(도 12 참조) 따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Zline3는 구간 선로저항이며, Zload3는 부하저항이다. 40호 차단기(100a)에서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40호~60호 사이의 저항값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항값의 변화를 고장 전 상태와 고장 후 상태로 각각 비교하여 고장을 판단한다. 40호 차단기(100a)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측정 전류값을 나누면 저항값이 계산되고, 60호 개폐기(200a)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저항값을 계산된다. 따라서 상기 60호 개폐기(200a)에서 계산된 저항값을 40호 차단기(100a)에서 계산된 저항값을 빼면 구간저항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고장이벤트 전후 저항값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먼저, 고장 전 측정된 40호의 전압은 13200V, 전류는 100A, 위상각은 25도이고, 고장 전 60호의 전압은 13000V, 전류는 50A, 위상각은 30도이다. 고장 후 측정된 40호의 전압은 13300V, 전류는 10A, 위상각은 60도이고, 고장 후 60호에서 측정된 전압은 6000V, 전류는 20A, 위상각은 230도이다.
1) 40호의 고장 이벤트 발생 전 저항값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2) 60호의 고장 이벤트 발생 전 저항값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3) 40호의 고장 이벤트 발생 후 저항값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4) 60호의 고장 이벤트 발생 후 저항값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5) 고장 이벤트 발생 전의 40호 및 50호 사이의 저항값은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6) 고장 이벤트 발생 후의 40호 및 50호 사이의 저항값은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고장이벤트 발생 전과 발생 후 40~60호 사이 구간 저항값을 보면 정상시에는 A, B, C상 상별 저항이 비슷하다. 그러나 상별 저항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별 R+jX값의 변화를 분석하여 고장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수학식 5의 고장이벤트 발생 전의 저항값과 수학식 6의 고장이벤트 발생 후의 R+jX값을 비교하면, R값은 300Ω에서 -3128.7Ω 변동되었고, X값은 520Ω에서 -4196Ω으로 변동되었다. 고장이벤트 발생 후 R값이 이론적으로 -값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건전 상과 비교하면, 건전 상은 +R, +jX값이고, 고장 상은 -R, -jX값일 때, 역조류 현상으로 전선(20)단선 고장으로 판단하면 된다. 배전선로의 구성은 분산전원 연계선로와 일반선로로 구성되며, 분산전원연계선로는 배전선로에 발전기가 연계되어 있어 60호에서 측정된 값을 보면 부하측에서 전원측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역조류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일반선로에서는 전선(20)이 단선되면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60호에서 측정된 전압과 전류는 0이다. 따라서 구간별 저항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고장이벤트 발생 전후 구간별 R+jX값의 극성을 비교하여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과 둘째, 고장이벤트 발생 전후 구간별 R+jX값의 저항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고장판단 기준값 설정방법은 상별 고장이벤트 발생 전과 발생 후 각상별 저항값의 비로 계산한다. 고장이벤트 발생 전 고장상과 건전상의 R+jX값을 먼저 비교하여 고장 전 상불평형부하를 계산하고, 고장판단 기준값으로 선로부하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10배로 설정하게 되어 있으나, 아래 예시 표와 같이 고장 전 고장상과 건전상의 상 불평형 저항비에 1.5배의 디폴트값으로 고장판단 기준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고장이벤트 발생 후 상불평형 저항비의 1.5배보다 클 때 고장으로 판단하는 방법과 R+jX의 극성으로 판단하는 방법 2가지 있다.
첫째, 저항비로 동작 여부를 판단하면 기준 설정값이 R값이 1.38, X값이 1.48이므로 고장 후 저항비가 R값이 5.44, X값이 5.08로 기준설정 값보다 크므로 전선(20)단선고장으로 판단한다.
둘째, R+jX의 극성으로 판단하면 기준 설정값이 R값이 "+", X값이 "+"이고, 고장 후 극성값이 R값이 "-", X값이 "-"이므로 전선단선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구간별 고장이벤트 발생 전후 A상 불평형 저항비 계산방법을 표로 요약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Figure pat00015
고장 판단부(560)는 고장구간의 계통상태에 따라 고장구간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즉, 배전선로는 계통상황에 따라 설치되는 개폐기(200)의 대수에 차이가 있다. 즉, 배전선로의 계통상황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에 개폐기(200) 2대가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200) 3대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200) 4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장 판단부(560)는 고장구간의 계통상태(즉, 개폐기(200) 설치 대수)에 EK라 저항값의 산출방식에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고장개폐기(200) 4대가 설치된 구간에 저항값을 계산하면, 개폐기(200)마다 전압과 전류를 이용해서 저항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전원측에 가장 가까운 개폐기(200)를 차단하면 해당 개폐기(200) 이후의 부하는 모두 정전이 되기 때문에 고장구간의 저항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전원측 가장 가까운 개폐기(200)의 저항값과 나머지 구간의 저항값을 제외하면 고장구간의 저항값이 계산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구간별 개폐기(200), 차단기(100)에서 측정된 고장 전후의 전압, 전류값을 이용하여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한다.
고장 판단부(560)는 기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차이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구간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고장 판단부(560)는 차이값이 기준값을 초과하여 해당 구간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고장 판단부(560)는 해당 구간의 전선(20) 단선 상태에 따른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배전 제어부(580)는 고장 판단부(560)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면 해당 구간의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를 제어하여 해당 구간을 분리 또는 복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배전 제어부(580)는 해당 구간(즉, 고장 구간)의 차단기(100) 및 개폐기(200)에 대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원격으로 구간별 개폐기(200) 및 차단기(100)를 이용해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원격제어를 통해 건전구간을 타 선로로 절체하여 고장을 복구한다.
주장치 출력부(590)는 고장 판단부(560)의 판단 결과를 화면출력한다. 즉, 주장치 출력부(590)는 구간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면 해당 구간 정보와 전압, 전류, 위상 등의 고장정보를 화면출력한다. 주장치 출력부(590)는 주장치 통신부(520)를 통해 수신되는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의 제어결과를 화면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10) 감지 시스템과 종래의 시스템의 차이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6 및 도 17은 가공배전선로에서 2가지 형태의 지락고장(10) 발생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과 종래의 시스템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호 차단기(100a)와 60호 개폐기(200a) 사이에서 A상 전력선이 단선되어 지락고장(10)이 발생하면, 지락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아스팔트 지락, 수목 지락, 자갈 지락 등과 같이 전선(20)단선 형태에 따라 지락 저항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락전류도 다르게 발생한다.
종래의 보호계전기는 전류의 크기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설정치 이상의 전류가 흘러야만 보호계전기가 정상동작 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지락전류의 크기와 무관하게 배전선로의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선(20)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이다. 감지구간의 배전선로 저항은 대략 100Ω이하로 전선(20) 단선시 수천Ω이상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기(200), 차단기(100) 등 전압, 전류를 측정이 가능하면 배전선로 저항을 고장 전 상태와 고장 후 상태를 상별로 비교하여 고장을 감지하는 방법이다.
특히, 전선(20)단선시 상별 전압의 크기에 의해 동작하는 보호계전기가 있으나, 분산전원 등 계통상황에 따라 고객측 변압기에 의해 유기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동작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계통도 40호~60호 구간에서 A상 전선(20)이 단선되면 60호 이후 수용가측 변압기에 의해 A전압이 유기되어 A상은 BC상과 다르게 역방향 조류가 발생한다. 이때 Zload3부하를 A상에서 공급하기 때문에 60호 개폐기(200a)에서 전선(20)단선시 VI벡터도 측정값을 보면 전압-전류 위상차(도 17의 'θ')는 ±90도를 초과하게 되고, 벡터회전방향에 따라 2분면 또는 3분면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전선(20) 단선시 구간별 개폐기(200)에서 상별로 전압-전류 위상차를 측정하고, 배전선로의 저항값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화시스템에서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10) 감지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10)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원격 단말장치(400)는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된 차단기(100) 및 개폐기(200)로부터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한다(S110). 이때, 복수의 차단기(100)들 및 개폐기(200)들에는 변류기(180, 280)들 및 변류기(180, 280)가 설치되어 각상별로 전원측 전압, 부하측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한다. 원격 단말장치(400)는 복수의 차단기(100)들 및 개폐기(200)들 각각에 설치된 변성기들 및 변류기(180, 280)로부터 검출된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한다.
원격 단말장치(400)는 영상전류 트리거 설정값, 영상전압 트리거 설정값, 무전압 트리거 설정값을 설정한다(S120).
원격 단말장치(400)는 수집한 전압 민 전류를 근거로 영상전류 트리거, 영상전압 트리거 무전압 트리거를 발생한다. 이때, 원격 단말장치(400)는 수집한 상별 전류 중에서 영상전류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영상전류 트리거 설정값보다 크면 영상전류 트리거를 발생한다. 원격 단말장치(400)는 차단기(100) 또는 개폐기(200)로부터 수신한 상별 전압 중에서 영상전압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영상전압 트리거 설정값보다 크면 영상전압 트리거를 발생한다. 원격 단말장치(400)는 3상(즉, A상, B상, C상)의 전압이 모두 무전압 트리거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배계통의 무전압으로 판단하여 무전압 트리거를 발생한다. 영상전류 트리거와 영상전압 트리거 및 무전압 트리거 중에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중에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가 발생하면(S130; YES), 원격 단말장치(400)는 RMS 계산을 통해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 전류, 위상각을 산출한다(S140).
원격 단말장치(400)는 기산출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 전류, 위상각을 근거로 고장 이벤트를 발생한다. 즉, 원격 단말장치(400)는 RMS 산출부(440)에서 산출한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고장 이벤트를 발생한다. 고장 이벤트가 발생하면(S150; YES), 원격 단말장치(400)는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전압, 전류, 위상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한다(S160).
원격 단말장치(400)는 생성한 고장정보를 배전자동화 주장치(500)에게로 전송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원격 단말장치(400)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를 근거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한다(S170).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기산출한 고장 저항과 정상 저항의 차이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차이값이 기준값을 초과하여 해당 구간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다. 고장 구간이 발생하면(S180; YES),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고장구간을 검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S190).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고장구간을 배전선로로부터 절체(분리)하기 위해서 해당 구간의 개폐기(200) 및 차단기(100)에 대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배전자동화 주장치(500)는 발생한 제어신호를 고장구간의 차단기(100) 및 개폐기(200)에 설치된 원격 단말장치(400)들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원격 단말장치(400)들 각각은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차단기(100) 및 개폐기(200)를 제어하여 고장구간을 배전선로에서 절체(분리)한다(S200).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10)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배전선로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전선(20) 단선 상태를 판단하여 고장을 검출함으로써, 전류의 크기에 의해 동작하는 종래의 보호장치에서 감지할 수 없는 고저항 지락고장(10) 발생시 고장 전류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고장점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10)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고저항 지락고장(10) 발생시 배전자동화 주장치(500)에서 구간별 원격제어를 통해 고장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차단기(100)뿐만 아니라 개폐기(200)에서도 고장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지락고장 20: 전선
30: 대지 40: 단선고장
50: 차단기 55: 부하
60: 개폐기 70: 배전자동화 시스템
80: 원격 단말장치(RTU) 90: 근무자
100: 차단기 120: 접점
140: 전원측 변성기 160: 부하측 변성기
180: 변류기 200: 개폐기
220: 접점 240: 전원측 변성기
260: 부하측 변성기 280: 변류기
300: 부하 400: 원격 단말장치
410: 영상전류 트리거 판단부 420: 영상전압 트리거 판단부
430: 무전압 트리거 판단부 440: RMS 산출부
450: 이벤트 설정부 460: 이벤트 발생부
470: 고장정보 출력부 480: 단말 통신부
490: 단말 제어부 500: 배전자동화 주장치
520: 주장치 통신부 540: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
560: 고장 판단부 580: 배전 제어부

Claims (21)

  1.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된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서 검출되는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를 근거로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상별 전압과 상별 전류 및 위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를 근거로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근거로 상기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서의 전선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전선 단선으로 판단한 구간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제어신호를 해당 원격 단말장치들에게 전송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하는 배전자동화 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전원측에 각상별로 설치되어 전원측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된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복수의 전원측 변성기들;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 각상별로 설치되어 부하측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된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복수의 부하측 변성기들; 및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 각상별로 설치되어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에 설치된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변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상기 복수의 원격장치들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정상 저항을 산출하고, 상기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저항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상기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차이값이 저항 설정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전선 단선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구간 내에 개폐기가 2대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하고,
    구간 내에 개폐기가 3대 이상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들의 저항값들 중에서 가장 큰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과 나머지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고장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에 설치된 개폐기 및 차단기의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트립신호를 전송하고, 건전구간에 상시개방점 차단기를 투입하여 정전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상기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전류가 부하전류 개폐가능 전류 미만이면 해당 구간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장치는,
    상별 전류 중에서 영상전류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류 트리거를 발생하는 영상전류 트리거 판단부;
    상별 전압 중에서 영상전압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영상전압 트리거 판단부;
    3상의 전압이 모두 무전압 트리거 설정값 이하이면 무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무전압 트리거 판단부;
    상기 영상전류 트리거와 영상전압 트리거 및 무전압 트리거 중에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RMS 산출부;
    상기 RMS 산출부에서 산출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에서 고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산출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로 전송하는 고장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장치는,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하여 고장구간을 복구하는 단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자동화 주장치는,
    상기 복수의 원격 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고장정보에서 고장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
    상기 고장 전후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고장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근거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상기 고장 판단부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을 분리를 위한 차단기 및 개폐기 제어신호를 고장 구간의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배전 제어부; 및
    상기 고장 판단부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에 대한 정보 및 고장정보를 출력하는 주장치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고장 전후의 전압과 전류를 근거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고, 상기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변동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12.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설치된 복수의 차단기 및 개폐기의 전압과 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전압 및 전류를 근거로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에서 고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고장 이벤트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고장정보를 근거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근거로 상기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고장 구간에 설치된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하여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압과 전류를 수집하는 단계는,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전원측에서 각상별로 전원측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서 각상별로 부하측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부하측에서 각상별로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원격장치들로부터 수신한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 이벤트 발생 후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구간 내에 개폐기가 2대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하고,
    구간 내에 개폐기가 3대 이상 존재하는 경우, 부하측 개폐기들의 저항값들 중에서 가장 큰 저항값에서 전원측 개폐기의 저항값과 나머지 부하측 개폐기의 저항값을 감산한 값을 해당 구간의 구간 저항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산출한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차이값이 저항 설정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전선 단선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하는 단계는,
    고장발생으로 판단한 구간에 설치된 개폐기 및 차단기의 원격 단말장치에게로 트립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건전구간에 상시개방점 차단기를 투입하여 정전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전류가 부하전류 개폐가능 전류 미만이면 해당 구간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별 전류 중에서 영상전류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류 트리거를 발생하는 단계;
    상별 전압 중에서 영상전압의 크기를 분해능으로 나누어 샘플시간당 이산신호의 변동값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영상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단계;
    3상의 전압이 모두 무전압 트리거 설정값 이하이면 무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전류 트리거와 영상전압 트리거 및 무전압 트리거 중에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트리거 발생 전후의 전압과 전류 및 위상각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 고장 구간에 대한 정보 및 고장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고장 저항 및 정상 저항의 변동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구간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방법.
KR1020110095250A 2011-09-21 2011-09-21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50A KR101268620B1 (ko) 2011-09-21 2011-09-21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50A KR101268620B1 (ko) 2011-09-21 2011-09-21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83A true KR20130031583A (ko) 2013-03-29
KR101268620B1 KR101268620B1 (ko) 2013-05-29

Family

ID=4818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50A KR101268620B1 (ko) 2011-09-21 2011-09-21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62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017A (ko) * 2013-08-26 2015-03-06 한국전력공사 상전류 편차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단선위치 검출 장치와 방법
US9864018B2 (en) 2014-02-19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diagnosing fault by using impedance of output terminal of power supply device for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US10114061B2 (en) 2016-11-28 2018-10-30 Kohler Co. Output cable measurement
CN112180290A (zh) * 2020-09-29 2021-01-05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发电机定子接地故障定位方法
KR102256502B1 (ko) * 2020-09-08 2021-05-27 주식회사 경평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복구 시스템
US11128128B2 (en) * 2018-05-08 2021-09-21 Lsis Co., Ltd. Directional over-current ground relay (DOCGR) using sampled valu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OCGR
US11362507B2 (en) * 2020-08-06 2022-06-14 Abb Schweiz Ag Ground fault protection in a high resistance grounding system
CN114822134A (zh) * 2022-05-11 2022-07-29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基于树莓派的配电自动化系统实训方法和实训平台
KR20220132988A (ko) * 2021-03-24 2022-10-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기기 상호간 1:1 통신하는 배전자동화 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전선로 부하불평형 보상 방법
CN117706279A (zh) * 2024-02-05 2024-03-15 青岛鼎信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低压配电系统断相故障诊断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714B1 (ko) * 2020-03-18 2020-07-03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단선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1340B1 (ko) 2023-04-17 2024-01-05 (주)로드파워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3248B1 (en) 1998-07-21 2002-09-17 Abb Inc. High impedance fault detection
KR100835388B1 (ko) 2008-03-06 2008-06-05 한국전력공사 고저항의 지락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017A (ko) * 2013-08-26 2015-03-06 한국전력공사 상전류 편차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단선위치 검출 장치와 방법
US9864018B2 (en) 2014-02-19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diagnosing fault by using impedance of output terminal of power supply device for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US10114061B2 (en) 2016-11-28 2018-10-30 Kohler Co. Output cable measurement
US11128128B2 (en) * 2018-05-08 2021-09-21 Lsis Co., Ltd. Directional over-current ground relay (DOCGR) using sampled valu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OCGR
US11362507B2 (en) * 2020-08-06 2022-06-14 Abb Schweiz Ag Ground fault protection in a high resistance grounding system
KR102256502B1 (ko) * 2020-09-08 2021-05-27 주식회사 경평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복구 시스템
CN112180290A (zh) * 2020-09-29 2021-01-05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发电机定子接地故障定位方法
CN112180290B (zh) * 2020-09-29 2024-03-08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发电机定子接地故障定位方法
KR20220132988A (ko) * 2021-03-24 2022-10-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기기 상호간 1:1 통신하는 배전자동화 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전선로 부하불평형 보상 방법
CN114822134A (zh) * 2022-05-11 2022-07-29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基于树莓派的配电自动化系统实训方法和实训平台
CN114822134B (zh) * 2022-05-11 2023-11-2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基于树莓派的配电自动化系统实训方法和实训平台
CN117706279A (zh) * 2024-02-05 2024-03-15 青岛鼎信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低压配电系统断相故障诊断方法
CN117706279B (zh) * 2024-02-05 2024-05-24 青岛鼎信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低压配电系统断相故障诊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620B1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620B1 (ko)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IES970641A2 (en) Faul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faults in a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EP3614513B1 (en) Dc ground fault detection system and dc ground fault detection method for dc electric railway
US8102634B2 (en) Differential protec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KR101505176B1 (ko) 모선 고장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8565974A (zh) 一种基于保护装置自供电的远程失灵保护方法及系统
JP5518926B2 (ja) 配電自動化システム
KR100920946B1 (ko) 부하 기기의 영향을 고려한 배전 선로의 고장 검출 및위치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EP1278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first section of an electrical grid from a second section of the electrical grid
KR101054386B1 (ko) 전기철도의 통합형 직류 보호 계전 시스템
US4796147A (en) Method for detecting voltage losses in a low voltage distribution system
KR20130047316A (ko) 배전용 변압기 부하 자동 절체 계전기
CN116381382A (zh) 一种新型变电站10kV开关室风险提示装置
CN106058819A (zh) 电压闭锁式弧光保护系统及方法
KR101787109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RU2638574C1 (ru) Подстанция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CN110212511B (zh) 基于电阻异地自动投切的66kV消弧线圈接地系统
KR102128036B1 (ko) 아크 보호 시스템 및 아크 보호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7230967A (zh) 电压互感器二次中性点电位漂移监控方法
WO2008067299A2 (en) Method and system for isolating disturbances to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5977927B (zh) 一种具有选择性跳闸功能的弧光保护系统及方法
KR100532925B1 (ko) 배전자동화기반의 비접지계 지락고장구간 검출방법
WO2006078869A2 (en) Remote fault monitoring in power lines
CN105116352B (zh) 变电站双套直流电源系统串电检测方法
US20240192286A1 (en) Electric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Prevention Systems Using Dual Parameter High Sensitivity Relay Device, Monitoring Small Current Reduction With Small Increase In Negative Sequence Cu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