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109B1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109B1
KR101787109B1 KR1020110103131A KR20110103131A KR101787109B1 KR 101787109 B1 KR101787109 B1 KR 101787109B1 KR 1020110103131 A KR1020110103131 A KR 1020110103131A KR 20110103131 A KR20110103131 A KR 20110103131A KR 101787109 B1 KR101787109 B1 KR 10178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ive
disconnector
bu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652A (ko
Inventor
김대일
강승희
이복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10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1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02H7/2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for switches

Abstract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과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는 BUS-PT와 Line-PT의 전류값을 근거로 판단한 BUS-PT와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 및 수신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차단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BREAKDOWN OF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활선 상태에서 가스 회수 및 접지를 방지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발전소에서 변전소까지 고압으로 대전력을 공급하는 송전과, 변전소에서 저압의 소전력으로 변환하여 수용가까지 공급하는 송배전 선로가 필요하다. 배전계통이란 변전소 이후를 말하며 배전선로, 개폐기 및 수용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전계통이 복잡해지고 수용가의 증가로 인해 부하 전환능력 확보와 과부하 선로해소 방안을 수립해야하기 위해 기기의 증설이 불가피하다. 변전소 건설 최초 설비규모는 주변압기 2개 뱅크와 4∼5개의 배전선로로 구성되며, 변압기 1개 뱅크에 5∼6개의 가스절연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GIS)는 절연성능이 우수한 육불화황(SF6) 가스를 충전부 전체에 밀봉시켜 제작사별로 몇 개의 독립된 가스구획으로 분리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그 파급범위가 광범위하여 경제적 손실과 심리적 불안이 막대하게 되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운전에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가스절연개폐장치에 대한 정밀점검, 증설 등과 같은 작업시 공사감독의 착각에 의하여 사선개소(작업개소)의 가스를 회수 후 작업해야 함에도 활선구간의 가스를 회수하여 절연파괴 고장이 매년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선구간(작업구간)에 접지를 시행하여야 함에도 활선 개소에 접지를 시행하여 변전소 내에 막대한 지장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모든 작업은 공사감독 단독으로 판단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급전분소에서 SCADA(원방제어감시장치)를 통한 가스압력 상태 인지는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차단기(CB) 등 개별로 경보를 구성하지 않고 있으며, 뱅크(BANK), 베이(BAY)별로 통합(예를 들면, 제1주변압기(#1M.Tr) GAS LOW)으로 구성되어 현장 상황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가스절연개폐장치의 특성상 활선 상태의 가스회수 방지 및 접지 불가능 개소에 대한 알림 기능이 없어 작업자/공사감독의 안전과 설비고장에 의한 막대한 지장전력발생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과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PT 패널로부터 BUS-PT와 Line-PT의 전류값을 수신하고,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제어 패널로부터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차단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한 BUS-PT와 Line-PT의 전류값을 근거로 판단한 BUS-PT와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 및 수신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차단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판단부에서 판단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판단부는, 수신한 BUS-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BUS-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수신한 Line-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Line-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1BUS-PT 및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면 인출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은,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을 감지하는 단계; 제1단로기, 제2단로기, 인출단로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한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을 근거로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 및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제1단로기 및 제2단로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수신한 BUS-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BUS-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수신한 Line-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Line-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한다.
제1단로기 및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1단로기 및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1BUS-PT 및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가 활선 상태이면 인출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은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과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와 차단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공사감독/순회진단팀의 단독 판단으로 인한 착각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은 공사감독/순회진단팀의 오조작에 의한 활선 개소의 가스회수 또는 접지개폐기를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직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과 설비고장에 의한 막대한 지장전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14는 도 1의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가스 회수 및 접지 방지를 수행하는 실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 내지 도 14는 도 1의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가스 회수 및 접지 방지를 수행하는 실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PT 패널(200)로부터 BUS-PT(210)의 2차측 전압에서 발생하는 전류값을 수신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제어 패널(300)로부터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수신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수신한 BUS-PT(210)의 전류값과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이용하여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차단기(CB), 인출단로기,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판단결과(즉,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차단기(CB), 인출단로기,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현장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통해 화면출력 또는 음성출력하여 작업자에게 각 기기들의 활선/사선 상태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BUS-PT(210) 2차측 전압에서 발생하는 전류값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현장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알림창을 통해 단로기들의 활선/사선 상태를 표시하여 활선 개소의 가스회수를 방지한다.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의 전압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경우 계전기의 동작요소에 대한 지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변류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압상태 감지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BUS-PT(210) 2차측 전압에서 발생하는 전류값과,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투입/개방 상태 접점을 이용하여 차단기(CB)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현장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알림창을 통해 차단기(CB)의 활선/사선 상태를 표시하여 활선 개소의 가스회수를 방지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BUS-PT(210) 및 Line-PT(240)의 2차측 전압에서 발생하는 전류값과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 접점을 이용하여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현장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알림창을 통해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표시하여 활선 개소의 가스회수를 방지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BUS-PT(210) 및 Line-PT(240)의 2차측 전압에서 발생하는 전류값과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 접점을 이용하여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현장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알림창을 통해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표시하여 활선 개소의 가스회수를 방지한다.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점검 및 증설공사시 활선 개소의 가스를 회수하는 경우, 활선/사선 알림창에 설치된 방송설비에서 "활선 구간에서 가스가 방출되고 있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통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활선 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설치하여 가스회수 및 접지 방지 개소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에서 활선/사선 상태 판단을 위해 사용되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 패널(200)의 BUS PT 2차측에는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1변류기(220)가 설치된다. 제1변류기(220)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제1증폭기(230)를 통해 증폭되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로 전송된다. PT 패턴의 Line-PT(240) 2차측에는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2변류기(250)가 설치된다. 제2변류기(250)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제2증폭기(260)를 통해 증폭되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로 전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제어 패널(300)에 포함되는 각 기기의 투입/개방 접점에 연결된다. 즉,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1단로기(#1DS) 투입/개방 접점(320)으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의 투입/개방 여부로 수신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2단로기(#2DS) 투입/개방 접점(340)으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제2단로기(#2DS)의 투입/개방 여부로 수신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인출단로기 투입/개방 접점(360)으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인출단로기의 투입/개방 여부로 수신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차단기(CB) 투입/개방 접점(380)으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여부로 수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통신부(420), 판단부(440), 제어부(460), 출력부(480)를 포함한다.
통신부(420)는 PT 패널(200)로부터 BUS-PT(210) 및 Line-PT(240)의 전류값을 수신한다. 즉, 통신부(420)는 BUS-PT(210)의 2차측에 설치된 제1변류기(220)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을 수신한다. 통신부(420)는 Line-PT(240)의 2차측에 설치된 제2변류기(250)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을 수신한다.
통신부(420)는 제어 패널(300)로부터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인출단로기, 차단기(CB)의 개방/투입 상태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420)는 제어 패널(300)의 각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연결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인출단로기, 차단기(CB)의 개방/투입 상태를 수신한다. 즉, 통신부(420)는 제1단로기(#1DS)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제1단로기(#1DS)의 개방/투입 상태를 수신한다. 통신부(420)는 제2단로기(#2DS)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제2단로기(#2DS)의 개방/투입 상태를 수신한다. 통신부(420)는 인출단로기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인출단로기의 개방/투입 상태를 수신한다. 통신부(420)는 차단기(CB)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차단기(CB)의 개방/투입 상태를 수신한다.
판단부(440)는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한 BUS-PT(210) 및 Line-PT(240)의 전류값과,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와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CB)의 개방/투입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인출단로기, 차단기(CB)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판단부(440)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전류값을 근거로 각 버스 및 송전선로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440)는 BUS-PT(210)의 전류값을 설정값(예를 들면, 대략 0.1A 정도)과 비교하여 해당 버스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440)는 BUS-PT(210)의 전류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버스의 활선 상태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Line-PT(240)의 전류값을 설정값(예를 들면, 대략 0.01A 정도)과 비교하여 해당 송전선로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440)는 Line-PT(240)의 전류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송전선로의 활선 상태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M.Tr BAY의 경우 BUS-PT(210)의 활선 상태 여부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M.Tr BAY의 경우 BUS-PT(210)의 활선 상태 여부와,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1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1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M.Tr BAY의 경우 BUS-PT(210)의 활선 상태 여부와.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차단기(CB)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CB)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CB)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부(440)는 M.Tr BAY의 경우 BUS-PT(210)의 활선 상태 여부와.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부(440)는 T/L BAY의 경우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 상태 여부,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와 제6단로기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고 제6단로기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1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고 제6단로기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면 제2단로기(#2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T/L BAY의 경우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 상태 여부,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와 제6단로기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차단기(CB)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고 제6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CB)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T/L BAY의 경우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 상태 여부,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6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1BUS-PT(#1BUS-PT) 및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면 제6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BUS-TIE BAY의 경우 BUS-PT(210)의 활선 상태 여부와.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부(440)는 BUS ES를 포함하는 BUS PT BAY의 경우 BUS-PT(210)의 활선 상태 여부를 근거로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4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면 제1접지개폐기(#1ES)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면 제2접지개폐기(#2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460)는 판단부(440)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BUS-PT(210), Line-PT(240), 단로기, 차단기(CB), 접지개폐기(ES) 등의 각 기기들의 활선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480)는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각 기기들의 활선 상태를 출력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48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SF6 가스 밸브의 상부에 각 라인의 활선/사선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출력부(480)는 활선/사선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480)는 다수의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어 점멸, 점등을 통해 활선/사선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활선 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설치하여 가스회수 및 접지 방지 개소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4㎸의 문경-단양 T/L의 가스절연개폐장치(100)에서 제1단로기(#1DS; 621) 및 차단기(CB; 627)의 정밀점검을 수행하는 실례를 설명한다. 먼저, 154㎸의 제1BUS 및 문경-단양 T/L을 휴전시키고, 접지를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제1BUS에 설치된 조작 패널에서 '사선' 표시 확인 후 접지개폐기(ES; 6199)를 투입(ON)한다. 제2버스의 조작 패널에는 활선 생태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접지개폐기(ES; 629-3, 629-2, 629-1)에 설치된 조작 패널에서 '사선' 표시 확인 후 접지개폐기(ES)를 투입한다. 작업자는 메인 조작 패널에서 차단기(CB)의 '사선' 표시 확인 후 가스 회수를 수행한다. 작업자는 메인 조작 패널에서 제1단로기(#1DS)의 '사선' 표시 확인 후 가스 회수를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활선' 표시 중인 제2단로기(#2DS)에서 가스 회수를 수행하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활선 구간에서 가스가 방출되고 있습니다."라는 방송 송출한다. 작업자는 가스 회수가 완료되면 제1단로기(#1DS; 621) 및 차단기(CB; 627)의 정밀점검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2차측 전류값과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와 차단기(CB) 및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공사감독/순회진단팀의 단독 판단으로 인한 착각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공사감독/순회진단팀의 오조작에 의한 활선 개소의 가스회수 또는 접지개폐기(ES)를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직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과 설비고장에 의한 막대한 지장전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의 2차측 전류값을 감지한다(S100).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의 2차측에 설치된 변류기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수신한다. 즉,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의 2차측에 설치된 제1변류기(220)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을 수신한다.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Line-PT(240)의 2차측에 설치된 제2변류기(250)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단로기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감지한다(S200).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어 패널(300)의 각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연결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 제2단로기(#2DS), 인출단로기, 차단기(CB)의 개방/투입 상태를 감지한다. 즉,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1단로기(#1DS)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제1단로기(#1DS)의 개방/투입 상태를 감지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2단로기(#2DS)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제2단로기(#2DS)의 개방/투입 상태를 감지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인출단로기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인출단로기의 개방/투입 상태를 감지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차단기(CB) 개방/투입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접점의 상태를 이용하여 차단기(CB)의 개방/투입 상태를 감지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사선 상태를 근거로 각 버스 및 송전선로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S300). 즉,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의 전류값을 설정값(예를 들면, 대략 0.1A 정도)과 비교하여 해당 버스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의 전류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버스의 활선 상태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Line-PT(240)의 전류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해당 송전선로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Line-PT(240)의 전류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송전선로의 활선 상태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사선 상태, 단로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 및 제2단로기(#2D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S400).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M.Tr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1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1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T/L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고 제6단로기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면 제1단로기(#1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고 제6단로기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면 제2단로기(#2D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사선 상태, 단로기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차단기(CB)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S500).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M.Tr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CB)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CB)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T/L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고 제6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차단기(CB)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사선 상태, 단로기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S600).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T/L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1BUS-PT(#1BUS-PT) 및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가 투입 상태이거나, Line-PT(240)가 활선 상태이면 제6단로기(즉, 인출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PT(210) 및 Line-PT(240)의 활선/사선 상태, 단로기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한다(S700).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M.Tr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TIE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1단로기(#1DS)가 투입 상태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제2단로기(#2DS)가 투입 상태이면 접지개폐기(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BUS ES를 포함하는 BUS PT BAY의 경우 제1BUS-PT(#1BUS-PT)가 활선 상태이면 제1접지개폐기(#1ES)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제2BUS-PT(#2BUS-PT)가 활선 상태이면 제2접지개폐기(#2ES)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단로기와 차단기(CB) 및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표시한다(S800).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400)는 현장(예를 들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가스 밸브 등) 또는 활선 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를 설치하여 각 기기들의 활선/사선 상태, 가스회수 및 접지 방지 개소 알림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은 BUS-PT(210) 및 Line-PT(240)의 2차측 전류값과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 및 차단기(CB)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제1단로기(#1DS)와 제2단로기(#2DS)와 차단기(CB) 및 접지개폐기(ES)의 활선/사선 상태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공사감독/순회진단팀의 단독 판단으로 인한 착각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절연개폐장치(100)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은 공사감독/순회진단팀의 오조작에 의한 활선 개소의 가스회수 또는 접지개폐기(ES)를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직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과 설비고장에 의한 막대한 지장전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가스절연개폐장치 200: PT 패널
210: BUS-PT 220: 제1변류기
230: 제1증폭기 240: Line-PT
250: 제2변류기 260: 제2증폭기
300: 제어 패널 320: 제1단로기 투입/개방 접점
340: 제2단로기 투입/개방 접점 360: 인출단로기 투입/개방 접점
380: 차단기 투입/개방 접점 400: 절연파괴 방지 장치
420: 통신부 440: 판단부
460: 제어부 480: 출력부

Claims (18)

  1. 가스절연개폐장치의 PT 패널로부터 BUS-PT와 Line-PT의 전류값을 수신하고,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제어 패널로부터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차단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BUS-PT와 상기 Line-PT의 전류값을 근거로 상기 BUS-PT와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BUS-PT와 상기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근거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BUS-PT 및 상기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BUS-PT 및 상기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인출단로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및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및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한 BUS-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BUS-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Line-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Line-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인출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 및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면 인출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9. 삭제
  10.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을 감지하는 단계;
    제1단로기, 제2단로기, 인출단로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을 근거로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근거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상기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및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BUS-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BUS-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Line-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Line-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인출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 및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면 인출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18. 삭제
KR1020110103131A 2011-10-10 2011-10-10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78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31A KR101787109B1 (ko) 2011-10-10 2011-10-10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31A KR101787109B1 (ko) 2011-10-10 2011-10-10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52A KR20130038652A (ko) 2013-04-18
KR101787109B1 true KR101787109B1 (ko) 2017-10-19

Family

ID=4843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131A KR101787109B1 (ko) 2011-10-10 2011-10-10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311B1 (ko) * 2013-06-07 2019-10-28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139279B1 (ko) * 2018-12-06 2020-08-11 한국전력공사 절연가스 회수오류 자동차단 장치 및 방법
KR102115346B1 (ko) * 2019-10-01 2020-05-26 주식회사 대연전력기술 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가스오회수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50Y1 (ko) * 2006-09-21 2007-01-04 주식회사유성계전 선로접지개폐기 오조작 방지 장치
KR101073056B1 (ko) 2010-06-25 2011-10-12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개폐장치 고장구간 판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50Y1 (ko) * 2006-09-21 2007-01-04 주식회사유성계전 선로접지개폐기 오조작 방지 장치
KR101073056B1 (ko) 2010-06-25 2011-10-12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개폐장치 고장구간 판정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52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530B1 (ko)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35351B1 (ko) 전기 설비 유지보수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268620B1 (ko)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6571688B (zh) 一种直流系统运行方式及隔离开关运行状态监视的方法
KR101090425B1 (ko) 배전 보호협조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CN112117735B (zh) 电弧保护系统及电弧保护系统的控制方法
KR101505176B1 (ko) 모선 고장 감지 장치 및 방법
CN113049901A (zh) 电控和保护设备
KR20130137370A (ko)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CN208043923U (zh) 一种配电箱的绝缘漏电自动检测装置
KR101787109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32793B1 (ko) 배전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68433B1 (ko) 태양광 모듈 스트링 사고예방을 위한 스트링 블록 디바이스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접속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0920946B1 (ko) 부하 기기의 영향을 고려한 배전 선로의 고장 검출 및위치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305921B1 (ko) 배전계통의 지락/단락 발생 시험 장치
WO2021074812A1 (en)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line equipped with switchgear unit
CN108134376A (zh) 一种高压母线故障快速保护装置及保护方法
KR102036311B1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1520484A (zh) 直流系统接地故障检测判别
US9851403B2 (en)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ic installation
KR20200014118A (ko)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0996779B1 (ko) 지중 저압 분전함 및 지중 저압 분전함의 제어방법
CN105281300B (zh) 一种实时分布式监测系统
KR102128036B1 (ko) 아크 보호 시스템 및 아크 보호 시스템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