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109B1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7109B1 KR101787109B1 KR1020110103131A KR20110103131A KR101787109B1 KR 101787109 B1 KR101787109 B1 KR 101787109B1 KR 1020110103131 A KR1020110103131 A KR 1020110103131A KR 20110103131 A KR20110103131 A KR 20110103131A KR 101787109 B1 KR101787109 B1 KR 1017871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e
- live
- disconnector
- bus
-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02H7/2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f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4는 도 1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14는 도 1의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가스 회수 및 접지 방지를 수행하는 실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210: BUS-PT 220: 제1변류기
230: 제1증폭기 240: Line-PT
250: 제2변류기 260: 제2증폭기
300: 제어 패널 320: 제1단로기 투입/개방 접점
340: 제2단로기 투입/개방 접점 360: 인출단로기 투입/개방 접점
380: 차단기 투입/개방 접점 400: 절연파괴 방지 장치
420: 통신부 440: 판단부
460: 제어부 480: 출력부
Claims (18)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PT 패널로부터 BUS-PT와 Line-PT의 전류값을 수신하고,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제어 패널로부터 제1단로기와 제2단로기 및 차단기의 투입/차단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BUS-PT와 상기 Line-PT의 전류값을 근거로 상기 BUS-PT와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BUS-PT와 상기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근거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BUS-PT 및 상기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BUS-PT 및 상기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인출단로기 및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및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및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한 BUS-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BUS-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Line-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Line-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인출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 및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면 인출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 삭제
-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을 감지하는 단계;
제1단로기, 제2단로기, 인출단로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BUS-PT 및 Line-PT의 2차측 전류값을 근거로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근거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상기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와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의 투입/개방 상태를 근거로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및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BUS-PT 및 Line-PT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BUS-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BUS-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Line-PT의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Line-PT의 활선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지개폐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접지개폐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제2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 및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1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인출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제2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고 인출단로기가 투입 상태이면 상기 차단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출단로기의 활선/사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제1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제1BUS-PT 및 상기 제2BUS-PT가 활선 상태이고 상기 제1단로기와 상기 제2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이거나, 상기 Line-PT가 활선 상태이면 인출단로기가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131A KR101787109B1 (ko) | 2011-10-10 | 2011-10-10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131A KR101787109B1 (ko) | 2011-10-10 | 2011-10-10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8652A KR20130038652A (ko) | 2013-04-18 |
KR101787109B1 true KR101787109B1 (ko) | 2017-10-19 |
Family
ID=4843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3131A Active KR101787109B1 (ko) | 2011-10-10 | 2011-10-10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710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6311B1 (ko) * | 2013-06-07 | 2019-10-28 | 한국전력공사 |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
KR102139279B1 (ko) * | 2018-12-06 | 2020-08-11 | 한국전력공사 | 절연가스 회수오류 자동차단 장치 및 방법 |
KR102115346B1 (ko) * | 2019-10-01 | 2020-05-26 | 주식회사 대연전력기술 | 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가스오회수 방지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050Y1 (ko) * | 2006-09-21 | 2007-01-04 | 주식회사유성계전 | 선로접지개폐기 오조작 방지 장치 |
KR101073056B1 (ko) | 2010-06-25 | 2011-10-12 | 한국전력공사 | 가스절연개폐장치 고장구간 판정 시스템 및 방법 |
-
2011
- 2011-10-10 KR KR1020110103131A patent/KR10178710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050Y1 (ko) * | 2006-09-21 | 2007-01-04 | 주식회사유성계전 | 선로접지개폐기 오조작 방지 장치 |
KR101073056B1 (ko) | 2010-06-25 | 2011-10-12 | 한국전력공사 | 가스절연개폐장치 고장구간 판정 시스템 및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비특허문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8652A (ko) | 201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7530B1 (ko) |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 |
KR102035351B1 (ko) | 전기 설비 유지보수 방법 및 디바이스 | |
KR101268620B1 (ko) |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
CN106571688B (zh) | 一种直流系统运行方式及隔离开关运行状态监视的方法 | |
CN112117735B (zh) | 电弧保护系统及电弧保护系统的控制方法 | |
KR101440492B1 (ko) |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 |
KR101090425B1 (ko) | 배전 보호협조 시스템 및 운영방법 | |
CN109038511B (zh) | 基于光热预警和电弧转移的高压柜电缆仓防护系统及方法 | |
KR101505176B1 (ko) | 모선 고장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102036311B1 (ko) |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 |
CN113049901A (zh) | 电控和保护设备 | |
US9851403B2 (en) |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ic installation | |
CN108565974A (zh) | 一种基于保护装置自供电的远程失灵保护方法及系统 | |
CN208043923U (zh) | 一种配电箱的绝缘漏电自动检测装置 | |
KR20200014118A (ko) |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 |
KR20130137370A (ko) |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 |
KR101787109B1 (ko)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 |
CN108134376A (zh) | 一种高压母线故障快速保护装置及保护方法 | |
KR100305921B1 (ko) | 배전계통의 지락/단락 발생 시험 장치 | |
KR100920946B1 (ko) | 부하 기기의 영향을 고려한 배전 선로의 고장 검출 및위치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1868433B1 (ko) | 태양광 모듈 스트링 사고예방을 위한 스트링 블록 디바이스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접속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발전시스템 | |
CN101520484A (zh) | 直流系统接地故障检测判别 | |
KR102128744B1 (ko) | 전력 제어 설비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 | |
KR100996779B1 (ko) | 지중 저압 분전함 및 지중 저압 분전함의 제어방법 | |
KR102128036B1 (ko) | 아크 보호 시스템 및 아크 보호 시스템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