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340B1 -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340B1
KR102621340B1 KR1020230050016A KR20230050016A KR102621340B1 KR 102621340 B1 KR102621340 B1 KR 102621340B1 KR 1020230050016 A KR1020230050016 A KR 1020230050016A KR 20230050016 A KR20230050016 A KR 20230050016A KR 102621340 B1 KR102621340 B1 KR 10262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sistance grounding
circuit breaker
transform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조
김황필
Original Assignee
(주)로드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파워 filed Critical (주)로드파워
Priority to KR102023005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변압기 수용 공간(111)에 설치되는 변압기 장치(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기 수용 공간(112)에 구비되는 차단기 장치(130);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차단기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변압기 장치(120)의 지락을 감지하기 위한 고저항 접지 장치(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Shut-off System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with High Resistance Grounding equipment and Circuit Breakers}
본 발명은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변압기 수용 공간(111)에 설치되는 변압기 장치(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기 수용 공간(112)에 구비되는 차단기 장치(130);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차단기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변압기 장치(120)의 지락을 감지하기 위한 고저항 접지 장치(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고저항 접지 장치(HRG: High Resistance Grounding equipment)는 전력 계통의 지락 사고시 고저항으로 지락전류를 최소한으로 제한하여 정전으로 인한 피해를 막고 계속운전이 가능한 상태로 지락지점을 찾도록 해주며, 화재 및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저항 접지 장치는 변압기 장치, 차단기 장치 등과 함께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고저항 접지 장치와 차단기 장치 등이 함께 운영되는 기존 발명으로는, 하기 특허문헌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620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존발명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치들은, 통상적으로 차단기와 고저항 접지 장치(HRG: High Resistance Grounding equipment)를 독립된 박스 형태로 구분하여 설치 및 운영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상태 이외의 이상 상태에서 사고의 파급 효과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차단기와 전기 공급 중 지락이 발생하여도 공정의 연속성을 유지하거나 계통 조작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저항 접지 장치는 별도의 박스 형태로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설치 및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설치 방식은 차단기와 고저항 접지 장치를 같은 공간에 서로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최근들어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국지성 호우가 빌딩이 밀집한 지역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상기온현상으로 냉난방기구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전기사용량이 급증하게 되고, 그만큼 전기기구로 인한 화재발생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지성 호우 등에 따른 홍수로 인하여 건물에 침수피해가 발생한 경우 수배전반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최하층(지하)에 설치된다는 설치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배전반은 홍수로 인한 건물침수시에 가장 먼저 피해를 입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6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가를 절감하고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전기 사용량 증가에 따른 하우징 내부 장치들의 발열을 효율적인 환기를 통하여 억제하는 것은 물론, 침수 등의 위험이 있는 경우 하우징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공기압으로 인하여 수위의 상승을 지연 시킴으로서 수배전반의 피해를 최대한 지연시켜 전력의 차단에 따른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변압기 수용 공간(111)에 설치되는 변압기 장치(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기 수용 공간(112)에 구비되는 차단기 장치(130);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차단기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변압기 장치(120)의 지락을 감지하기 위한 고저항 접지 장치(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 되며, 온도 센서(161), 습도 센서(162) 및 침수 감지 센서(16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160);와, 상기 센서부(160)와 연결되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를 포함하는 가압 환기부(17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습도 센서(16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 습도가 소정의 안전 습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는,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온도 센서(16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 온도가 소정의 안전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는,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습도 센서(162) 및 침수 감지 센서(16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침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는 모두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변압기 장치와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가 하나의 장비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상기 차단기의 상태를 일률적으로 확인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 사용량 증가에 따른 하우징 내부 장치들의 발열을 효율적인 환기를 통하여 억제하는 것은 물론, 침수 등의 위험이 있는 경우 하우징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공기압으로 인하여 수위의 상승을 지연 시킴으로서 수배전반의 피해를 최대한 지연시켜 전력의 차단에 따른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의 환기 냉각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의 침수 저지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하우징(110), 변압기 장치(120), 차단기 장치(130) 및 고저항 접지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하우징(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변압기 장치(120), 차단기 장치(130) 및 고저항 접지 장치(140) 등을 수용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는 플레이트(plate) 또는 패널(pannel) 구조로 서로 구분되어 구획되거나, 랙(lack) 구조로 서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는 변압기 수용 공간(111), 차단기 수용 공간(1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통상적인 설치, 이용 및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스위치 등 각종 조작 수단 및 표시 수단이 설치되는 패널부와,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한 커버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변압기 장치(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변압기 장치(12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변압기 수용 공간(111)에 설치된다. 상기 변압기 장치(120)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 또는 전류 값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전력을 상용 전압으로 강압시킬 수 있다.
상기 변압기 장치(120)는 예를 들면, 몰드 변압기(molded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 변압기는 상기 철심에 감겨진 상기 코일의 상기 권선 부분을 절연유 대신 난연성 에폭시 몰딩 콤파운드(epoxy mold compound, EMC)로 몰딩하여 절연한 변압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몰드 변압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화재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에폭시 수지의 피막 처리에 의해 습기 및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단기 장치(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차단기 장치(13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기 수용 공간(112)에 구비되도록 설치된다.
차단기 장치(130)는 차단부, 전류 측정기, 이상 전류 알람 발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장치(130)는 고전압 송전 선로나 전력 계통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일 수 있다. 차단기 장치(130)는 전력 계통과 연결된 선로 상에 설치되어, 일측 또는 타측의 주변 부하기기 등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이 발생한 측으로 전류가 전송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기 장치(130)는 상기 주변 부하기기나 송전 시스템 또는 상기 전력 계통에서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해당 송전 선로와 연결된 메인 스위치를 개방(Open)시킴으로써 상기 이상 전류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기 장치(13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중 차단기(ACB: Air Circiut Breaker) 또는 배선 차단기(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저항 접지 장치(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저항 접지 장치(14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차단기 수용 공간 (112) 내에 구비되어,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저항 접지 장치(140)는 상기 변압기 장치(120)의 지락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락(ground fault)을 감지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저항 접지 장치(140)는 상기 지락 발생 시, 접지 계통에 순간 과전압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시스템의 계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저항 접지 장치(140)는 돌발적인 정전, 발화위험 및 화재 등에 의한 시스템의 막대한 손실과 인명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저항 접지 장치(HRG, High Resistance Grounding equipment)(140)는 고저항부, 메타 릴레이, 지략 계전기, 펄스 발생 수단 및 지락 알람 발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저항부는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변압기 장치(120)의 중성점과 접지부(E)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접속된 다수개의 고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락으로 인해 순간 상기 과전류가 발생하면 이를 최소 전류치로 상쇄시켜 시스템의 상기 변압기 장치(120)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저항부는 01 내지 08A의 최소 전류치까지 상기 과전류를 상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저항부는 니켈(Ni)-크롬(Cr), 구리(Cu)-망간(Mn), 니켈(Ni)-크롬(Cr)-규소(Si), 니켈(Ni)-크롬(Cr)-알루미늄(Al)등의 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저항부는 고밀도, 고중량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을 위해 지면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 릴레이(meter relay)는 상기 고저항부로 상기 과전류가 흐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릴레이는 전기 장치의 내부의 전압, 전류, 전력, 무효전력, 역율, 주파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락 계전기는 상기 고저항부 및 접지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지락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상기 변압기 장치(120), 상기 차단기 장치(130) 및 상기 고저항 접지 장치(140)의 구성, 연결 및 작동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실시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는, 제어부(150), 센서부(160) 및 가압 환기장치(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센서부(160)는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 되며, 온도 센서(161), 습도 센서(162) 및 침수 감지 센서(16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센서부(160)와 연결되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를 포함하는 가압 환기부(170)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습도 센서(16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 습도가 소정의 안전 습도 이상이 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는,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 경로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압기 장치(120), 기중 차단기(ACB: Air Circiut Breaker) 장치(130) 및 고저항 접지 장치(140)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로 등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습도 센서(162)에 의해서 센싱된 수분밀도값은 한계 밀도값(95%)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안전 습도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온도 센서(16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 온도가 소정의 안전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는,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온도 센서(161)는 수배전반 내부의 전력기기, 부스바, 케이블 등의 접속부위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고압배전반의 접촉부에서의 최대 온도상승한계점은 금속의 재질에 따라 다르나 35℃ ~ 65℃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고압배전반의 볼트체결부에서의 최대 온도상승 한계점은 35℃ ~ 75℃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또한 저압배전반, 분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최대 온도상승 한계점에 대한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표준(KEMC)에 의해 정해져 있다.
이 경우 역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변압기 장치(120), 차단기 장치(130) 및 고저항 접지 장치(14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발열 등을 냉각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습도 센서(162) 및 침수 감지 센서(16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침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 모두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침수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 모두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빨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침수된 물의 수면을 공기압으로 강하게 누르게 되므로, 침수의 진행을 저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이 침수시간을 지연시킴으로 인하여 전력차단대비 조치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110: 하우징
120: 변압기 장치
130: 차단기 장치
140: 고저항 접지 장치
150: 제어부
160: 센서부
161: 온도 센서 162: 습도 센서
163: 침수 감지 센서
170: 가압 환기부
171: 제 1 환기 장치 172: 제 2 환기 장치

Claims (5)

  1.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변압기 수용 공간(111)에 설치되는 변압기 장치(12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기 수용 공간(112)에 구비되는 차단기 장치(130);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차단기 수용 공간(112)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변압기 장치(120)의 지락을 감지하기 위한 고저항 접지 장치(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 되며, 온도 센서(161), 습도 센서(162) 및 침수 감지 센서(16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160);
    상기 센서부(160)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환기 장치(171) 와 제 2 환기 장치(172)를 포함하는 가압 환기부(17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습도 센서(162) 및 침수 감지 센서(16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침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는 모두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습도 센서(16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 습도가 소정의 안전 습도 이상이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온도 센서(16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 온도가 소정의 안전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1 환기 장치(171) 와 상기 제 2 환기 장치(172)는,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송풍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50016A 2023-04-17 2023-04-17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KR10262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016A KR102621340B1 (ko) 2023-04-17 2023-04-17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016A KR102621340B1 (ko) 2023-04-17 2023-04-17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40B1 true KR102621340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016A KR102621340B1 (ko) 2023-04-17 2023-04-17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20B1 (ko) 2011-09-21 2013-05-29 한국전력공사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5408A (ko) * 2014-06-16 2014-07-07 주식회사 동영코엘스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 제어반용 온도 및 습도 최적 상태 유지 장치
KR101452308B1 (ko) * 2014-06-03 2014-10-23 주식회사 동영코엘스 온도 및 습도 최적 상태 유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80130278A (ko) * 2017-05-29 2018-12-07 (주)에스엠테크 침수 감지 및 방지기능이 구현된 제어함
KR20230010367A (ko) * 2021-07-12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한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KR20230026661A (ko) * 2021-08-18 2023-02-27 다우전기 주식회사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20B1 (ko) 2011-09-21 2013-05-29 한국전력공사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52308B1 (ko) * 2014-06-03 2014-10-23 주식회사 동영코엘스 온도 및 습도 최적 상태 유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40085408A (ko) * 2014-06-16 2014-07-07 주식회사 동영코엘스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 제어반용 온도 및 습도 최적 상태 유지 장치
KR20180130278A (ko) * 2017-05-29 2018-12-07 (주)에스엠테크 침수 감지 및 방지기능이 구현된 제어함
KR20230010367A (ko) * 2021-07-12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한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KR20230026661A (ko) * 2021-08-18 2023-02-27 다우전기 주식회사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449706B1 (ko) 실시간 구간별 선로이상 및 고조파, 접지저항값을 측정 감지하여 이상 발생에 따른 차단, 복구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81792B1 (ko) 콘덴서 뱅크 보호 회로의 콘덴서 뱅크 보호 방법 및 콘덴서 뱅크의 기계적 보호 장치
KR101245748B1 (ko) 과전류, 과열 및 서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저감장치
KR102621340B1 (ko)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KR100996779B1 (ko) 지중 저압 분전함 및 지중 저압 분전함의 제어방법
KR20170051984A (ko) 사용전 전기단락저항 측정기 장치를 적용한 수배전반
KR102096992B1 (ko) 송변전용 3상용 단상 전력 변압기 보호회로 시스템
CN108233244B (zh) 35kV预付费计量成套装置
Hopper et al. Distribution equipment modernization to reduce arc flash hazards
Agili et al. Prevention of sympathetic tripping phenomena on power system by fault level management
CA2986409C (en) Electrical equipment with additional compartment and wiring to account for temperature limitations of connected conductors
Kaiser et al. A Comprehensive Approach for Safety in DC-Microgrids
Fulchiron Protection of MV/LV substation transformers
WO2020026258A1 (en) Low voltage domestic board integrated with multilevel protection and multiple source
KR102237081B1 (ko)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EP1321951A1 (en) Compact measurement apparatus for the protection of medium-voltage line
CN214153551U (zh) 一种用于船舶绞缆机控制台的电气控制柜
Doughty et al. Optimum electrical system design for a modern chlor-alkali plant
KR20180119461A (ko)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US11705713B1 (en) Network primary feeder self protected transient limiting device
US20030202308A1 (en) Single phase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 of high voltage with dry insulation
US20230111809A1 (en) Optimized transformer protection
KR102103952B1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 장치
Olayinka Design Of Distribution Board Unit For A Business Foc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