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32B1 -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32B1
KR100776332B1 KR1020050112490A KR20050112490A KR100776332B1 KR 100776332 B1 KR100776332 B1 KR 100776332B1 KR 1020050112490 A KR1020050112490 A KR 1020050112490A KR 20050112490 A KR20050112490 A KR 20050112490A KR 100776332 B1 KR100776332 B1 KR 10077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recovery
heat
pressure tank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468A (ko
Inventor
이순걸
최영태
남명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Priority to KR102005011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3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6Means for removing condensate from th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18Combinations of steam boilers with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상태의 급수를 가열시켜 증기를 생성하도록 된 보일러부; 상기 보일러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열교환 사용되는 열사용부; 상기 열사용부에서 열 교환 사용되고 남은 폐수열이 폐수열 회수관을 통해 증기 상태로 압력탱크 내에 회수되고, 상기 압력탱크 내에 수직방향으로 권선시킨 다중 코일관으로 급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급수가 증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잠열을 공급받고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예열수단이 포함된 폐수열 회수부; 상기 폐수열 회수부에서 예열된 급수를 예열급수 이송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된 예열급수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수열 회수부를 설치하여 열사용부에서의 열교환 사용 후, 대기중에 버려지던 고온의 폐수열을 회수하여 급수를 예열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예열된 급수가 보일러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보일러부의 스팀 생성에 필요한 가열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한 에너지절감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스팀보일러, 폐수열

Description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collecting exhaust heat system of Steam boi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부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도 1의 폐수열 회수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시스템의 증기 흐름 및 급수 흐름을 도시한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일러부 110: 스팀공급관
200: 열사용부 210: 폐수열 회수관
300: 폐수열 회수부 301: 압력탱크
303: 오물방출밸브 310: 급수예열수단
311: 다중 코일관 313: 예열급수 이송관
314: 수위감지수단 320: 비응축가스 배기수단
321: 밴트챔버 322: 유도공
323: 밴트관 330: 응축수 배출수단
331: 가스 분리관 333: 응축수 배출관
400: 예열급수 저장부 401: 저장탱크
403: 가스방출밸브 405: 오물방출밸브
407: 예열급수공급관 410: 시수 저장조
420: 응축수 집전조
본 발명은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수열 회수부를 설치시켜 열사용부에서의 열교환 사용 후, 대기중에 버려지던 고온의 폐수열(증기)을 회수하여 보일러부에 공급되는 급수를 예열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온수보일러 및 스팀보일러가 용도에 따라 각각 설치 사용되고 있다. 온수보일러는 주로 가정용 난방시스템에 사용되고 있고, 스팀보일러는 주로 대중목욕탕이나 사우나 시설, 찜질방 또는 산업체 등과 같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팀보일러는 상수도 등을 보일러에 공급받아 가열함으로써, 증기를 생성하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증기를 관로를 통해 이송시켜 각종 증기 사용기기에 보내 열교환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온수보일러에 사용된 온수는 재순환이 용이한 반면 스팀보일러에 사용된 증기는 재순환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대부분 사용 후, 버려지게 되고 이로 인한, 에너지손실 및 용수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팀보일러에 사용되는 공급용수(상수도)에는 상압, 상온 상태에서 약 8~10 ppm의 용존산소를 함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존산소는 각종 금속 설비를 부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보일러의 급수계통을 부식시키는 기체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대표적인데, 특히 산소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부식성이 5~10 배정도 크며, 탄산가스가 공존할 때는 부식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부식성은 고압으로 갈수록 커지게 된다.
따라서, 열사용부에서 열 교환되고 남은 폐수열을 회수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수도(급수)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보일러부에 공급되기 전에 제거되도록 하는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열 회수부를 설치시켜 열사용부에서의 열교환 사용 후, 대기중에 버려지던 고온의 폐수열(증기)을 회수하여 보일러부에 공급되는 급수를 예열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수열 회수부에서 급수를 예열시켜 급수 속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사전에 분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스팀보일러의 각종 금속설비(예: 스팀 공급관 등)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수열 회수부에 회수된 증기로부터 응축수를 추출하여 보일러 공급수로 재사용하도록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유체상태의 급수를 가열시켜 증기를 생성하도록 된 보일러부; 상기 보일러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열교환 사용되는 열사용부; 상기 열사용부에서 열 교환 사용되고 남은 폐수열이 폐수열 회수관을 통해 증기 상태로 압력탱크 내에 회수되고, 상기 압력탱크 내에 수직방향으로 권선시킨 다중 코일관으로 급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급수가 증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잠열을 공급받고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예열수단이 포함된 폐수열 회수부; 상기 폐수열 회수부에서 예열된 급수를 예열급수 이송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된 예열급수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보 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유체상태의 급수를 가열시켜 증기를 생성하도록 된 보일러부; 상기 보일러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열교환 사용되는 열사용부; 상기 열사용부에서 열 교환 사용되고 남은 폐수열이 폐수열 회수관을 통해 증기 상태로 압력탱크 내에 회수된 후, 열 교환되는 과정을 통해 응축수는 압력탱크 바닥으로 가라앉고, 비응축 가스는 압력탱크 상측으로 이동되어 포집된 후, 상기 응축수를 관통하는 밴트관을 통해 압력탱크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비응축 가스 배기수단이 포함된 폐수열 회수부; 상기 폐수열 회수부로부터 배기된 비응축 가스 및 보일러에 공급되기 위한 예열급수가 저장되는 예열급수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유체상태의 급수를 가열시켜 증기를 생성하도록 된 보일러부; 상기 보일러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열교환 사용되는 열사용부; 상기 열사용부에서 열 교환 사용되고 남은 폐수열이 폐수열 회수관을 통해 증기 상태로 압력탱크 내에 회수된 후, 열 교환되는 과정을 통해 응축수 및 비응축수를 생성하되, 압력탱크바닥으로 가라앉는 응축수가 침전물이나 비응축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된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수단이 포함된 폐수열 회수부; 상기 폐수열 회수부로부터 배수된 응축수 및 보일러에 공급되기 위한 예열급수가 저장되는 예열급수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보일러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가 열사용부에 공급되어 열교환 사용된 후, 폐수열 회수부로 회수되어 보일러의 급수를 예열하는데 사용하도록 한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수열 회수부는 열사용부에서 열 교환 사용되고 남은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는 압력탱크; 상기 압력탱크 내에 복수개의 급수관이 동심원의 형태로 권선되는 코일관; 상기 코일관의 소정 권선높이까지 응축수가 채워져 급수와의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배출되어 보일러부에 재공급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압력탱크 바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높이 연장시킨 응축수 배출관; 상기 응축수 배출관 유입구 끝단의 외경이 일정범위 중첩되도록 압력탱크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가스 분리관; 상기 가스 분리관에 의해 응축수 배출관으로의 유입이 차단된 비응축 가스가 응축수 수면 위쪽의 코일관에 접촉되어 급수와의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한 곳에 포집될 수 있도록 압력탱크 상단에 형성되는 밴트챔버; 및 상기 밴트챔버의 중앙 하단으로 연장되어 가스 분리관 및 응축수 배출관을 관통시켜 비응축 가스를 배기시키는 밴트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부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폐수열 회수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크게 보일러부(100)와, 열사용부(200)와, 폐수열 회수부(300)와, 예열급수 저장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보일러부(100)는 상수도와 같은 공급용수(이하 급수라 함)를 공급받아 이를 버너로 가열시켜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스팀공급관(110)을 통해 열사용부(200)로 보내게 된다.
상기 열사용부(200)는 사우나 시설이나, 난방시설 등과 같이 산업전반에 걸친 각종의 열교환기기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사용부(200)를 거친 증기는 폐수열 회수관(210)을 통해 폐수열 회수부(300)로 회수되는데, 상기 폐수열 회수부(300)는 증기가 회수되는 압력탱크(301)와, 이 압력탱크(301)에 설치된 급수예열수단(310)과, 비응축가스 배기수단(320)과, 응축수 배출수단(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예열수단(310)은 상기 압력탱크(301) 내에 상하방향으로 권선시킨 다중 코일관(311)과, 상기 다중 코일관(311) 내로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유입관(312)과, 상기 급수유입관(312)을 통해 다중 코일관(311) 내에 공급된 급수가 증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잠열을 공급받고 예열이 이루어진 후 예열급수 저장부(400)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예열급수 이송관(3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중 코일관(31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동심원을 갖는 3중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응축 가스 배기수단(320)은 압력탱크(301) 내에 회수된 증기가 다중 코일관(311) 내의 급수와 열교환되는 과정을 통해 응축수 및 비응축 가스로 분리될 때, 포화압력에 의해 압력탱크(301)의 상측으로 이동된 비응축 가스가 유도공(322)을 통해 포집되는 밴트챔버(321)와, 상기 포집된 비응축 가스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해 밴트챔버(321) 중앙에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압력탱크(301)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된 밴트관(3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도공(322)은 상기 밴트챔버(321)의 원둘레와 저면에 무수히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330)은 상기 밴트챔버(321)의 하단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밴트관(323)의 외측을 감싸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스 분리관(331)과, 상기 압력탱크(301)의 하단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밴트관(323)의 하부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관(3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333)은 상기 밴트관(323)과 함께 예열급수 저장부(400)의 저장탱크(401) 내부까지 연장되며, 압력탱크(301)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압력탱크(301)의 하부로부터 1/3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분리관(331)은 그 하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 배출관(333)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333)은 그 상단부가 상기 가스 분리관(331)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탱크(301) 내에 회수된 증기가 다중 코일관(311) 내의 급수와 열교환되는 과정을 통해 응축수 및 비응축 가스로 분리될 때, 압력탱크(301) 바닥으로 가라앉는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333)을 통해 압력탱크(30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가스 분리관(331)의 하단부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333)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스 분리관(331)의 상단부가 응축수에 의해 잠겨 있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압력탱크(301) 내부로 유입된 증기 및 비응축 가스가 응축수 배출관(333)을 통해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상기 가스 분리관(331)에 의해 응축수 배출관(333)을 통한 증기 및 비응축 가스의 유입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가스 분리관(331)으로 인하여 수면위의 침전물이 응축수 배출관(333)으로 유입되는 현상도 최소화되어 응축수 배출관(333)을 통해서 응축수가 자연정화된 상태로 유입되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탱크(301) 바닥 일측으로는 응축수의 침전물이 주기적으로 배출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오물방출밸브(303)가 형성된다.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400)는 복수개의 내부공간으로 구획된 저장탱크(401)의 일 공간에 폐수열 회수부(300)에서 공급된 예열급수가 저장되는 시수 저장조(410)가 형성되며, 상기 시수 저장조(410)의 일측 공간에 폐수열 회수부(300)에서 공급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집전조(4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시수 저장조(410)와 응축수 집전조(420)는 저장탱크(401)의 하부면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된 분리격벽(409)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401) 상단 일측에 폐수열 회수부(300)에서 배기된 비응축 가스 및 용존산소를 배출하는 가스방출밸브(403)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집전조(420)의 하단 일측에 침전물이 배출되는 오물방출밸브(405)가 형성되며, 상기 시수 저장조(410) 하단 일측에 보일러부(100)에 예열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예열급수 공급관(40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시스템의 증기의 흐름 및 급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증기(폐수열) 및 응축수와 비응축 가스의 흐름은 은선으로 도시되고, 급수의 흐름은 실선으로 도시된다.
우선, 보일러부(100)로 공급된 급수는 보일러부(100)에서 가열되어 증기로 되고, 이 고온의 증기는 스팀공급관(110)을 통해 사우나 시설이나 열교환기 등과 같은 열사용부(200)에 공급된다.
이후, 상기 열사용부(200)에서 사용되고 남은 증기(폐수열)는 폐수열 회수관(210)을 통해 폐수열 회수부(300)의 압력탱크(301) 내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급수유입관(312)을 통해 압력탱크(301) 내의 다중 코일관(311)으로 급수가 공급되어 압력탱크(301)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폐수열 회수관(210)을 통해압력탱크(301)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다중 코일관(311)을 따라 유동하는 급수와 열교환하게 되고, 이 열교환을 통해 증기의 잠열이 급수로 전달되어 급수가 가열된다.
이 때, 급수가 가열되면서 소량의 용존 가스(용존산소)가 이탈되어 예열급수와 함께 예열급수 이송관(313)을 통해 예열급수 저장부(400)로 공급된다. 이후, 예열급수는 시수 저장조(410)에 저장되고, 용존산소는 별도 구비된 가스방출밸브(40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이 고온의 증기와 저온의 급수가 열교환할 때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에 의해 증기는 응축수와 비응축 가스로 나뉘게 되고, 상기 응축수는 압력탱크(301)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응축수 배출수단(330)의 응축수 배출관(333)에 의해 하부 예열급수 저장부(400)의 응축수 집전조(420)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비응축 가스는 포화압력에 의해 압력탱크(301)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도공(322)을 통해 밴트챔버(321) 내부로 저장된 후 밴트관(323)을 따라 예열급수 저장부(400)로 배기된다.
이후, 상기 비응축 가스는 예열급수 저장부(400)에 별도 구비된 가스방출밸브(40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전술한 것처럼 응축수 배출관(333)의 상단부가 가스 분리관(331)의 하단부가 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향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응축수 배출관(333)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응축수가 배출될 때 가스 분리관(331)의 하단부가 응축수에 의해 잠겨 있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비응축 가스가 응축수 배출관(333)으로 유입되는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침전 오물이 각기 분리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압력탱크(301) 내의 응축수에 침전된 침전물은 상기 오물방출밸브(303)의 개방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400)에 공급된 예열급수 및 응축수는 분리격벽(409)에 의해 분리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집전조(420)의 응축수가 넘치게 되면, 시수 저장조(410)에 혼입되어 보일러부(1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시수저장조(410)의 수위가 일정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감지수단(314)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수위감지수단(314)은 부구를 이용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400)의 예열급수와 응축수는 예열급수 공급관(407)을 통해 보일러부(100)에 공급되어 재가열되어 증기 순환된다. 그리고, 상기 밴트관(323)을 통해 예열급수 저장부(400)의 상측으로 공급된 비응축 가스와, 상기 예열급수 이송관(313)을 통해 예열급수 저장부(400)로 공급된 용존산소는 가스방출밸브(403)를 통해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응축수 집전조(420) 바닥에 생성된 침전물 또한, 오물방출밸브(405)를 통해 주기적으로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팀보일러의 폐수열(증기)을 이용하여 급수를 사전에 예열시켜 용존 산소를 일정 정도 제거한 상태로 보일러부(100)에 공급함으로써, 보일러부(100)에서 급수의 가열에 요구되는 열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수 관로 등의 부식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폐수열 회수부(300)를 설치하여 열사용부(200)에서 열교환되어 사용된 후 대기중에 버려지던 고온의 폐수열을 회수하여 급수를 예열시키고, 상기 예열된 급수가 보일러부(10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보일러부(100)의 스팀 생성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한 에너지절감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폐수열 회수부(300)에서 급수를 예열시켜 급수 속에 포함된 용존 기체를 사전에 분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스팀보일러의 각종 금속설비(예: 스팀 공급관 등)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보일러 시스템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안전관리로 인한 수리비용이나 부품교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수된 증기로부터 응축수를 추출하여 보일러 공급수로 재사용하게 됨으로써, 용수(상수도)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다.

Claims (18)

  1. 유체상태의 급수를 가열시켜 증기를 생성하도록 된 보일러부;
    상기 보일러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열교환하여 사용하는 열사용부;
    상기 열사용부에서 열교환되어 사용되고 남은 폐수열(증기)이 폐수열 회수관을 통해 증기 상태로 유입되는 압력탱크와,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급수 유입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급수가 유동하면서 상기 압력탱크 내의 폐수열과 열교환을 수행하는 다중 코일관과, 상기 다중 코일관에서 열교환되어 예열된 급수가 배출되는 예열급수 이송관으로 구성된 급수예열수단과;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서 폐수열과 급수 간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와 비응축가스 중 응축수를 압력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수단과; 상기 비응축가스를 압력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비응축 가스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폐수열 회수부;
    상기 폐수열 회수부에서 예열된 급수를 상기 예열급수 이송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된 예열급수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응축 가스 배기수단은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비응축 가스를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 내로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은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 내로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예열수단의 다중 코일관은 상기 압력탱크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코일관은 동심원을 갖는 3중 코일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응축 가스 배기수단은,
    상기 압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의 상측으로 이동된 비응축 가스가 유입되는 유도공이 형성된 밴트챔버와;
    상기 밴트챔버 중앙에 형성한 깔대기 형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압력탱크를 관통하여 그 끝단이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로 연통되어 밴트챔버 내에 포집된 비응축가스를 예열급수 저장부 내로 안내하는 밴트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은,
    상기 압력탱크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압력탱크의 하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단의 응축수 유입구를 통해 상기 압력탱크의 바닥에 소정의 수위로 집수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관과;
    상기 압력탱크의 상단부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되, 상기 응축수 배출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되어 응축수 배출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된 가스 분리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바닥 일측에 응축수의 침전물을 주기적으로 배출하는 오물방출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11.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는,
    상기 폐수열 회수부에서 공급된 예열급수가 저장되는 시수 저장조와, 상기 폐수열 회수부에서 공급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집전조가 분리 형성된 저장 탱크와;
    상기 저장 탱크의 시수 저장조 하단 일측에서부터 상기 보일러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시수 저장조 내의 예열급수를 보일러부로 공급하는 예열급수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이 압력탱크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압력탱크의 하부로부터 1/3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밴트챔버의 원둘레와 저면에 비응축 가스의 유입을 유도시키기 위한 유도공이 무수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급수 저장부는,
    상기 저장탱크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폐수열 회수부에서 배기된 비응축 가스와 상기 예열급수 이송관을 통해 유입되는 용존산소를 배출하는 가스방출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18. 삭제
KR1020050112490A 2005-11-23 2005-11-23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KR10077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90A KR100776332B1 (ko) 2005-11-23 2005-11-23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90A KR100776332B1 (ko) 2005-11-23 2005-11-23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468A KR20070054468A (ko) 2007-05-29
KR100776332B1 true KR100776332B1 (ko) 2007-11-13

Family

ID=3827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90A KR100776332B1 (ko) 2005-11-23 2005-11-23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3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02Y1 (ko) 2009-12-30 2012-08-13 선진정밀(주) 증기보일러의 폐증기 회수장치
US10128112B2 (en) 2016-10-05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10028911A (ko) 2019-09-05 2021-03-1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열에너지 회수형 스팀 보일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24B1 (ko) * 2007-10-25 2010-01-06 정진희 폐수 열회수기가 내설된 응축수 탱크
KR100847591B1 (ko) * 2008-01-04 2008-07-21 주식회사 서원테크 증기회수장치용 펌핑장치
KR100847589B1 (ko) * 2008-01-04 2008-07-21 주식회사 서원테크 증기회수장치용 탱크압조절장치
KR101627603B1 (ko) * 2014-10-31 2016-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팀 보일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918A (ja) * 1993-10-25 1995-05-12 Miura Co Ltd ドレン回収装置
KR19990036782U (ko) * 1998-02-27 1999-09-27 이영한 폐열 회수 보일러
KR20000010878U (ko) * 1998-11-27 2000-06-26 이구택 가스제거장치에서의 가스배출을 원활하게 하는보조장치
KR20020026292A (ko) * 2002-02-01 2002-04-09 정성원 목욕탕용 증기 및 온수 공급 보일러 시스템
KR20040069022A (ko) * 2003-01-28 2004-08-04 에스케이 주식회사 재증발 증기 회수장치를 구비한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918A (ja) * 1993-10-25 1995-05-12 Miura Co Ltd ドレン回収装置
KR19990036782U (ko) * 1998-02-27 1999-09-27 이영한 폐열 회수 보일러
KR20000010878U (ko) * 1998-11-27 2000-06-26 이구택 가스제거장치에서의 가스배출을 원활하게 하는보조장치
KR20020026292A (ko) * 2002-02-01 2002-04-09 정성원 목욕탕용 증기 및 온수 공급 보일러 시스템
KR20040069022A (ko) * 2003-01-28 2004-08-04 에스케이 주식회사 재증발 증기 회수장치를 구비한 급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02Y1 (ko) 2009-12-30 2012-08-13 선진정밀(주) 증기보일러의 폐증기 회수장치
US10128112B2 (en) 2016-10-05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10028911A (ko) 2019-09-05 2021-03-1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열에너지 회수형 스팀 보일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468A (ko)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332B1 (ko) 스팀보일러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US89555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oil and generating steam from produced water
CA2588252C (en) Natural circulation industrial boiler for steam assisted gravity drainage (sagd) process
CN101415992B (zh) 电站设备的水汽循环
CA2947574A1 (en) Remote preheat and pad steam generation
CN102588989B (zh) 燃气锅炉或燃气、燃油设备的烟气喷淋净化热回收系统
CN107940437A (zh) 一种汽化冷却排污系统及其排污方法
CN201429062Y (zh) 工业锅炉连续排污节能装置
JP2006275410A (ja) ボイラ装置
KR20120015898A (ko) 보일러용 폐열 회수기
EA016587B1 (ru) Продувочный бак
CN206771309U (zh) 一体式锅炉排污水收能系统
CN106120222B (zh) 一种蒸丝系统的余热回收装置
KR100611144B1 (ko) 진공가열식 가스히터
KR100935424B1 (ko) 폐수 열회수기가 내설된 응축수 탱크
CN207716401U (zh) 一种汽化冷却排污系统
CN209763032U (zh) 一种锅炉排污锅水零排放装置
CN211060085U (zh) 一种余热锅炉排污系统
CN211400316U (zh) 一种新型燃气锅炉冷凝水收集系统
CN212720958U (zh) 一种热泵凝结水换热回收装置
CN211198870U (zh) 一种锅炉房废水收集再利用装置
CN107062190A (zh) 一体式锅炉排污水收能系统
CN201187660Y (zh) 一种凝结水自动回收装置的多级气蚀消除装置
KR101571490B1 (ko) 선박의 폐열 회수를 통한 보일러 급수 가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급수의 가열 방법
KR100439250B1 (ko) 탈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