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931B1 -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931B1
KR100774931B1 KR1020060088154A KR20060088154A KR100774931B1 KR 100774931 B1 KR100774931 B1 KR 100774931B1 KR 1020060088154 A KR1020060088154 A KR 1020060088154A KR 20060088154 A KR20060088154 A KR 20060088154A KR 100774931 B1 KR100774931 B1 KR 10077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de
time
pow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가 방전되기 이전에 통화 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여 설정된 통화 시간이 가능한 잔량이 되었을 때 전원을 오프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남은 배터리 잔량으로 설정 시간 동안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꺼져있는 상태에서도 긴급한 상황 발생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몇 분 동안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전시 통화 기능에 따른 동작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을 절약하게 됨에 따라 평소보다 오랫동안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배터리, 방전, 전화 통화, 착발신, 절약, 전압검출

Description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Terminal capable of telephone conversation on discharge stat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수의 메뉴 중에서 방전시 통화 메뉴를 선택할 때 표시하는 방전시 통화 메뉴의 서브 메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모드 설정부
140 : 제어부 150 : 표시부
160 : 저장부 170 : 프로그램부
180 : 전원부 182 : 전압 검출부
190 : 멀티미디어 구동부
본 발명은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용으로 저장해 두는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단말기에 배터리가 탑재되어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고 방전되므로 다시 충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에게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기 위해 화면에 배터리 잔량을 표시해 주고 있다. 또한,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이 일정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경고음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꺼진다는 것을 알려준다.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이 되면 단말기가 오프 상태가 되어 더 이상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아무리 단말기의 사용을 자제하더라도 정기적으로 기지국에서의 호가 착신되기 때문에 일정시간 지나면 단말기는 자동으로 오프되는 문제점이 있다.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하여 단말기가 오프된 경우에, 더 이상 단말기가 동작할 수 없기 때문에 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에도 전화 통화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하여 단말기가 오프되거나 더 이상 전화 통화를 할 수 없는 긴급한 상황에서 최소한의 배터리를 소모하여 몇 분 동안 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가 방전되기 이전에 통화 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여 설정된 통화 시간이 가능한 잔량이 되었을 때 전원을 오프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남은 배터리 잔량으로 설정 시간 동안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은, 방전시 통화 기능에 따라 통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화 시간에 대응된 특정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전압의 검출시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이 온되면 설정된 상기 통화 시간 동안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착발신 모드, 절약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착발신 모드는, DBB(Digital Base Board) 및 ABB(Analog Base Board)의 동작만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착발신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은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약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안테나 서칭 및 가입자 식별 모듈(SIM) 서칭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사용자에게 통화 시간 설정 화면을 표시해 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통화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화 시간은 1분 내지 5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와, 착발신 모드, 절약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통화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와, 상기 착발신 모드, 상기 절약 모드 중에서 사용자에 선택된 동작 모드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는, 방전시 통화 기능을 설정하고, 통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통화 시간에 대응된 특정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특정 전압의 검출시 전원을 오프시키고, 이후에 상기 전원이 온되면 설정된 상기 통화 시간 동안 통신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착발신 모드, 절약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발신 모드는, DBB(Digital Base Board) 및 ABB(Analog Base Board)의 동작만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착발신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은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약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안테나 서칭 및 가입자 식별 모듈(SIM) 서칭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사용자에게 통화 시간 설정 화면을 표시해 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통화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통화 시간은 1분 내지 5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모드 설정부(130), 제어부(140), 표시부(150), 저장부(160), 프로그램부(170), 전원부(180), 전압 검출부(182) 및 멀티미디어 구동부(19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단말기와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 및 멀티미디어에 관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음성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특히, 입력부(120)는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메뉴 중에서 방전시 통화 메뉴를 선택할 때 이용된다. 또한, 입력부(120)는 방전시 통화 메뉴의 서브 메뉴인 파워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메뉴나 착발신 모드 메뉴 및 절약 모드 메뉴 중에 서 하나의 모드 메뉴를 선택할 때 이용된다.
모드 설정부(130)는 파워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나 착발신 모드 및 절약 모드 중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된 모드를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에 설정 저장된 모드 상태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에 파워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또는 착발신 모드 또는 절약 모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통화 시간이 설정되도록 하고,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된 통화 시간만큼 동작할 잔량인 경우에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온 되면, 설정된 통화 시간만큼 동작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설정된 통화 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표시부(150)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50)는 단말기의 모드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
저장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시간을 저장한다.
프로그램부(170)는 방전시 통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방전시 통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방전시 통화 기능은 예컨대, 단말기의 방전 기준 전압이 3.45 V일 경우에, 방전시 통화 시간을 1 분으로 설정할 때 3.48 V, 방전시 통화 시간을 5 분으로 설정할 때 3.56 V로 자동 설정되게 한다. 따라서, 방전시 통화 프로그램은 예컨대, 검출된 전압이 3.48 V일 때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하고, 이후 전원이 온 된 경우에 1 분간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동작한 다음에 오프되도록 한다.
전원부(180)는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압 검출부(182)는 전원부(18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검출한다. 즉, 전압 검출부(182)는 검출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82)에서 전달해 준 전압을 통해 전원부(180)에서 공급되는 동작 전압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멀티미디어 구동부(190)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저장하는 카메라 모듈, MP3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전송하는 미디어 모듈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수의 메뉴 중에서 방전시 통화 메뉴를 선택할 때 표시하는 방전시 통화 메뉴의 서브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방전시 통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50)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시 통화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방전시 통화 메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Power off & Outgoing Call Mode) 메뉴나 착발신 모드(Incoming & Outgoing Call Mode) 메뉴 및 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 메뉴를 포함한다.
방전시 통화 메뉴는 도 2에 도시된 메뉴 이외에 다른 메뉴도 포함될 수 있 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된 방전시 통화 메뉴에서 단말기를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화면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메뉴를 선택한다(S302).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를 통해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한다(S304).
이후,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에 설정된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드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이므로, 제어부(140)는 방전시에 통화하고픈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는 통화시간 설정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S306).
여기서, 통화시간 설정화면은 예컨대, 1분 내지 5분을 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통화시간 설정화면은 설정할 수 있는 통화 시간의 제한을 알려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시간을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시간 설정화면에서, 방전시에 자신이 통화하고픈 시간, 예컨대 2 분의 설정 통화시간을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다(S308).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2 분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직접 2 분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통화 설정 시간 2 분을 저장부(160)에 저장해 놓는다(S310).
이때, 제어부(140)는 입력된 통화 설정 시간, 즉 2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0 V를 통화 설정 시간 2 분에 대응시켜 저장부(160)에 함께 저장해 놓는다.
이후,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전원부(18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검출한다(S312).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검출된 전압이 사용자가 설정한 2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0 V 이하가 되는지를 판단한다(S314). 여기서, 2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0 V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2 분간 통화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압이다.
따라서,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검출된 전압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특정 전압의 이하가 되면, 제어부(140)는 전원부(180)를 통해 전원을 오프시킨다(S316).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긴급하게 전화통화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 온에 관한 입력을 실행한다(S318).
제어부(140)는 단말기가 온 되어 전원부(18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 자가 방전시 통화 시간으로 설정한 통화 시간, 예컨대 2 분 동안 통신부(110)를 구동한다(S3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 통화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방전시 통화 시간으로 설정한 예컨대, 2 분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부(180)를 통해 전원을 오프시킨다(S32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된 도 2와 같은 방전시 통화 메뉴에서 단말기를 착발신 모드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화면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착발신 모드 메뉴를 선택한다(S402).
입력부(120)를 통해 착발신 모드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를 통해 착발신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한다(S404).
이후,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에 설정된 착발신 모드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드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착발신 모드이므로, 제어부(140)는 방전시에 통화하고픈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는 통화시간 설정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S406).
여기서, 통화시간 설정화면은 예컨대, 1분 내지 5분을 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통화시간 설정화면은 설정할 수 있는 통화 시간의 제한을 알려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시간을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시간 설정화면에서, 방전시에 자신이 통화하고픈 시간, 예컨대 3 분의 설정 통화시간을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다(S408).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3 분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직접 3 분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통화 설정 시간 3 분을 저장부(160)에 저장해 놓는다(S410).
이때, 제어부(140)는 입력된 통화 설정 시간, 즉 3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2 V를 통화 설정 시간 3 분에 대응시켜 저장부(160)에 함께 저장해 놓는다.
이후, 제어부(140)는 단말기가 착발신 모드이므로, 멀티미디어 구동부(19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멀티미디어 구동부(19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412). 따라서, 전원부(180)에서 멀티미디어 구동부(190)로 0.001 ㎃ 의 아주 미량의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멀티미디어 구동부(190)의 동작을 위한 최소의 전류에 미치지 않으므로, 멀티미디어 구동부(190)의 동작은 정지 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구동부(19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전화 통화에만 필요한 DBB(Digital Base Board) 칩과 ABB(Analog Base Board) 칩으로만 전원부(180)의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이어,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전원부(180)에서 공급되는 전 원의 전압을 검출한다(S414).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검출된 전압이 사용자가 설정한 3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2 V 이하가 되는지를 판단한다(S416). 여기서, 3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2 V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3 분간 통화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압이다.
따라서,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검출된 전압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특정 전압의 이하가 되면, 제어부(140)는 전원부(180)를 통해 전원을 오프시킨다(S418).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긴급하게 전화통화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 온에 관한 입력을 수행한다(S420).
제어부(140)는 단말기가 온 되어 전원부(18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가 방전시 통화 시간으로 설정한 통화 시간, 예컨대 3 분 동안 통신부(110)를 구동한다(S422).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 통화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방전시 통화 시간으로 설정한 예컨대, 3 분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부(180)를 통해 전원을 오프시킨다(S424).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된 도 2와 같은 방전시 통화 메뉴에서 단말기를 절약 모드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화면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절약 모드 메뉴를 선택한다(S502).
입력부(120)를 통해 절약 모드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를 통해 절약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한다(S504).
이후, 제어부(140)는 모드 설정부(130)에 설정된 절약 모드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드 설정부(130)를 통해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절약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방전시에 통화하고픈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는 통화시간 설정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S506).
여기서, 통화시간 설정화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1분 내지 5분을 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통화시간 설정화면은 설정할 수 있는 통화 시간의 제한을 알려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시간을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시간 설정화면에서, 방전시에 자신이 통화하고픈 시간, 예컨대 5 분의 설정 통화시간을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다(S508).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5 분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직접 5 분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통화 설정 시간 5 분을 저장 부(160)에 저장해 놓는다(S510).
이때, 제어부(140)는 입력된 통화 설정 시간, 즉 5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6 V를 통화 설정 시간 5 분에 대응시켜 저장부(160)에 함께 저장해 놓는다.
이후, 제어부(140)는 단말기가 절약 모드이므로, 통신부(110)의 안테나 서칭(Searching) 및 가입자 식별 모듈(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서칭(Searching) 동작을 정지시킨다(S512). 이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하는 동작 이외에 대기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기지국과 통신하는 안테나 서칭 동작이나 SIM 서칭 동작에 소모되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함이다.
이어,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전원부(18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검출한다(S514).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검출된 전압이 사용자가 설정한 5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6 V이하가 되는지를 판단한다(S516). 여기서, 5 분에 해당하는 전원의 전압 3.56 V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5 분간 통화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압이다.
따라서, 전압 검출부(182)를 통해 검출된 전압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특정 전압의 이하가 되면, 제어부(140)는 전원부(180)를 통해 전원을 오프시킨다(S518).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긴급하게 전화통화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 온에 관한 입력을 수행한다(S520).
제어부(140)는 단말기가 온 되어 전원부(18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가 방전시 통화 시간으로 설정한 통화 시간, 예컨대 5 분 동안 통신부(110)를 구동한다(S522).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 통화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방전시 통화 시간으로 설정한 예컨대, 5 분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부(180)를 통해 전원을 오프시킨다(S52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가 방전되기 이전에 통화 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여 설정된 통화 시간이 가능한 잔량이 되었을 때 전원을 오프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남은 배터리 잔량으로 설정 시간 동안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 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꺼져있는 상태에서도 긴급한 상황 발생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몇 분 동안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전시 통화 기능에 따라 발신 전화만 가능하게 하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하지 않거나, 통화에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을 절약하게 됨에 따라 평소보다 오랫동안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방전시 통화 기능에 따라 통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화 시간에 대응된 특정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전압의 검출시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이 온되면 설정된 상기 통화 시간 동안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착발신 모드, 절약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모드는, DBB(Digital Base Board) 및 ABB(Analog Base Board)의 동작만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은,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약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안테나 서칭 및 가입자 식별 모듈(SIM) 서칭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사용자에게 통화 시간 설정 화면을 표시해 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통화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시간은 1분 내지 5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와, 착발신 모드, 절약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통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와, 상기 착발신 모드, 상기 절약 모드 중에서 사용자에 선택된 동작 모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전시 통화 방법.
  11. 방전시 통화 기능을 설정하고, 통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통화 시간에 대응된 특정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특정 전압의 검출시 전원을 오프시키고, 이후에 상기 전원이 온되면 설정된 상기 통화 시간 동안 통신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전원오프 및 발신전화 모드, 착발신 모드, 절약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모드는, DBB(Digital Base Board) 및 ABB(Analog Base Board)의 동작만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 동작은,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약 모드는, 통화 시간을 설정한 이후에 안테나 서칭 및 가입자 식별 모듈(SIM) 서칭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시 통화 기능은, 사용자에게 통화 시간 설정 화면을 표시해 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통화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시간은 1분 내지 5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KR1020060088154A 2006-09-12 2006-09-12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7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54A KR100774931B1 (ko) 2006-09-12 2006-09-12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54A KR100774931B1 (ko) 2006-09-12 2006-09-12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931B1 true KR100774931B1 (ko) 2007-11-09

Family

ID=3906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154A KR100774931B1 (ko) 2006-09-12 2006-09-12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9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441A (ko) * 2006-01-27 2007-08-0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배터리 모드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441A (ko) * 2006-01-27 2007-08-0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배터리 모드 설정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7-0078441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1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ower-saving signal
US8482259B2 (en) Battery charge status indicator for user terminal device
US7194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US8483765B2 (en)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imultaneously
CN101345962A (zh) 一种通话模式切换控制方法、系统和移动终端
KR201100725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CN101170659A (zh) 广播接收机及其控制方法
CN101442574A (zh) 一种提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EP1686780B1 (en) Battery detection circuit for cordless telephones
CN105807894A (zh) 应用持锁的处理方法和装置
JP2003008738A (ja) 移動体端末
JPH0669850A (ja) 無線通信装置
KR100774931B1 (ko) 방전시 통화 기능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13014998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urgent communication
CN101631169B (zh) 便携式电子装置
US2007027019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KR20000041312A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절약 장치 및그 방법
JP2002125265A (ja) 複合通信端末装置
KR101082569B1 (ko) 저전압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N108803853A (zh) 终端运行方法、装置及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60057368A (ko) 단말기 고유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동작방법
CN112821508A (zh) 充电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1764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전원절약방법
KR100605820B1 (ko) 피디에이 기능과 폰 기능을 구비한 피디에이폰에서사용자데이터 보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