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906B1 -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906B1
KR100773906B1 KR1020060066828A KR20060066828A KR100773906B1 KR 100773906 B1 KR100773906 B1 KR 100773906B1 KR 1020060066828 A KR1020060066828 A KR 1020060066828A KR 20060066828 A KR20060066828 A KR 20060066828A KR 100773906 B1 KR100773906 B1 KR 10077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acuum tube
voltage
out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송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버드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버드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버드랩스
Priority to KR1020060066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6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28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tub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50Amplifiers in which input is applied to, or output is derived from, an impedance common to input and output circuits of the amplifying element, e.g. cathode follower
    • H03F3/52Amplifiers in which input is applied to, or output is derived from, an impedance common to input and output circuits of the amplifying element, e.g. cathode follower with tub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41Transformer coupl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관 앰프의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는 전단 증폭부에서 출력노드로 AC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커플링 콘덴서나 트랜스를 사용해야하는 단점과, 출력 버퍼에서 진공관 음극의 바이어스 전압이 입력신호에 의해 변하게 되고, 바이어스 저항에 의해 설정된 전압 이상일 때 그 상승분 만큼 신호 감쇄현상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을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신호를 진공관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전단 증폭부와, 그 전단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진공관을 이용하여 전력 증폭하여 출력하는 출력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단 증폭부 진공관의 음극단자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진공관의 플레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음극단자의 DC전위를 영전위로 유지시키는 영전위 유지회로와, 상기 출력 증폭부 진공관의 음극단자의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신호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변형 자기 유지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진공관, 앰프, 커플링, 자기(self) 바이어스, 음극전압

Description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Output circuit for vacuum tube amplifier}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도.
도 2는 종래 진공관 앰프의 입력신호 대 출력의 특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영전위 유지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가변형 자기 바이어스 회로의 입력신호 대 출력의 특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단 증폭부 20 : 출력 증폭부
11, 21 : 진공관 G11, G21 :진공관의 그리드
P11, P21 : 진공관의 플레이트 K11, K21 : 진공관의 음극
N11 : 출력노드 12 : 영전위 유지회로
22 : 자기 바이어스회로 R11 ~ R17, R21 ~ R23 : 저항
C11 ~ C14, C21, C22 : 콘덴서 ZD21 : 제너다이오드
U11, U21 : 차동증폭기 U12, U22 : 전력증폭기
VT : 영전위 체크단자
본 발명은 진공관 앰프의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관 증폭기의 E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전위를 영전위로 유지하여 커플링 콘덴서나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고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출력단 진공관 음극의 전압을 가변형 자기 바이어스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하게 함으로써 입력신호의 상승시 음극의 영향을 받지않고 출력이 비례해서 직선성을 유지하고 출력상승 및 왜율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진공관을 사용한 오디오 증폭기(앰프)가 음악 애호가들에게 여전히 선호되고 있다. 진공관이 반도체보다 음질 특성이 우수한 것이 그 이유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부와, 출력버퍼부로 이루어지고, 증폭부는 진공관(1)의 그리드(G)에 입력신호를 입력받고, 플레이트(P)에 전압(V1)을 입력받아 증폭된 신호를 음극(K)을 통해 출력하되, 상기 진공관(1)의 음극(K)에는 바이어스용 저항(R1)과 커플링 콘덴서(C1)가 연결되며, 커플링 콘덴서(C1)를 통해서 출력노드(N1)에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단 증폭기인 경우, 상기 진공관(1)과 동일한 구성을 다단으로 병렬 연결하는 것이며, 각 진공관마다 음극에는 바이어스 저항과 커플링 콘덴서를 각각 별도로 연결하여 출력노드(N1)를 공통으로 병렬 연결하면 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진공관에 대한 설명만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버퍼부는, 상기 증폭부의 출력노드(N1)의 신호를 진공관(2)의 그리드(G1)에 입력받고, 플레이트(P1)의 출력을 스피커(4)에 출력하며, 음극(K1)에는 저항(R2)과 AC바이패스용 콘덴서(C2)를 병렬 연결하여 자기 바이어스 회로(5)가 구성된다.
먼저, 상기 증폭부의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관의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공관 음극(K)단에 직류 차단용 커플링 콘덴서(C1)를 사용하거나, 또는 직류 차단을 위해서 트랜스를 사용해야한다. 일반적인 방식은 증폭부 진공관(1)의 플레이트 전압(V1)의 1/2로 등분된 전압이 진공관(1)의 음극(K)에 설정되도록 저항(R1)값을 설정한다. 후단 증폭기에 직접 연결한 경우 DC(+)볼트로 있기 때문에 DC는 차단하고 AC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커플링 콘덴서(C1)를 사용하거나, 트랜스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출력 증폭부는, 진공관(2)의 음극(K1)에 수백~수천Ω의 저항(R2)을 연결한다. 이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를 이용하여 진공관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다. 즉, 자기 바이어스 방식이다.
도 2는 종래 진공관의 자기바이어스 증폭회로의 입력신호에 대한 음극 및 출력 특성도이다. 도 1과 같은 자기바이어스 회로에서는, 그리드(G1)에 인가되는 전 압이 상승하면 상승 비례와 같이 음극(K1)의 전류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의 음극(K1)의 설정된 저항값에 의해 전류에 비례(정비례)한 전압이 상승한다. 이때의 진공관 동작 상태는 음극(K1)의 기본 전류값에 의한 전압과 이때의 그리드(G1)의 입력까지는 출력관의 증폭률에 의해 양호한 상태로 정비례 상승 하지만, 이상태를 넘어선 입력이 인가될시에는 음극(K1) 전압 상승이 그리드(G1) 입력전압을 음극(K1) 상승분만큼 감쇄된다. 이에 따라 입력과 출력(증폭률)이 양호한 직선성을 이루지 못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직선성으로 이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단 증폭부의 출력단자를 영 전위로 유지시키는 영전위 회로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전단 증폭부의 출력노드에서 DC차단을 위한 커플링 콘덴서나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호 전달을 할 수 있게 한 진공관 앰프의 출력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관 앰프의 출력 증폭단에서 그리드에 인가되는 입력신호 전력의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진공관의 음극에 설정된 전압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진공관 앰프의 가변형 자기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출력 회로는,
입력신호를 제1진공관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전단 증폭부와; 상기 전단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제2진공관을 이용하여 전력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증폭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진공관의 음극단자 전압에 의해서 상기 제1진공관의 플레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진공관의 음극단자의 DC전위를 영전위로 유지시키는 영전위 유지회로와,
상기 제2진공관의 음극단자의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신호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변형 자기 유지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단 증폭부는,
신호 입력단자가 그리드단자에 연결되고, 음극단자가 출력노드(N11)에 연결된 제1진공관과; 상기 제1진공관의 음극단자에 전압 V3(-)을 인가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제1진공관의 플레이트단자에 전압 V1(+)을 인가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제1진공관 음극단자의 전압에 의거해서, 상기 전압 V1(+)을 상기 저항과 분압시키기 위한 분압용 저항의 연결/단락을 소정의 시정수로 연속 제어하고, 그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진공관 음극단자의 DC전위를 제로 전위로 유지시키는 영전위 유지회로와; 상기 제1진공관의 플레이트단자와 접지단자(E) 사이에 연결된 제1평활용 콘덴서 및 상기 접지단자(E)와 상기 전압 V3(-)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평활용 콘덴서로 구성된다.
상기 영전위 유지회로는,
상기 제1진공관 플레이트 단자에 연결된 분압용 저항과; 상기 분압용 저항이 출력단에 연결된 전력증폭기와; 상기 제1진공관의 음극단자의 전압을 분압저항들 및 시정수용 콘덴서를 통해서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받고, 자신의 출력단자의 전압을 분압용 저항들 및 시정수용 콘덴서를 통해서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받으며, 상기 자신의 출력단자가 상기 전력증폭기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차동증폭기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 증폭부의 가변형 자기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제2진공관의 음극단자의 출력을 두개의 저항에 의해 분압하여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받고, 제너다이오드(ZD21)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을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받는 차동증폭기와;
그 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진공관의 음극단자의 출력을 저항을 통해서 출력단자(-)에 입력받는 전력증폭기와;
상기 제2진공관의 음극단자와 그라운드단자(E) 사이에 연결되어 파고치를 평활시키는 평활용 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전위 유지회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단 증폭기와 출력 증폭부가 연결된 회로에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진공관을 이용한 증폭회로에서 출력단에 AC 커플링 콘덴서나 트랜스포머를 사용해야하는 회로에서 커플링 콘덴서나 트랜스 포머를 사용치 않고도 AC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회로이다.
또한, 상기 가변형 자기바이어스 회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관없이 진공 관을 이용한 전력 증폭 출력회로에서 출력단의 바이어스를 일정하게 고정전압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안정된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회로에 적용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출력 회로는, 입력신호를 진공관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전단 증폭부(10)와, 그 전단 증폭부(10)의 출력신호를 진공관을 이용하여 전력증폭하여 외부 출력하는 출력 증폭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단 증폭부(10) 증폭용 제1진공관(11)의 음극단자(K11)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제1진공관(11)의 플레이트 단자(P11)에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음극단자(K11)의 DC전위를 영(Zero)전위로 유지시키는 영전위 유지회로(12)와, 상기 출력 증폭부(20)의 전력증폭용 제2진공관(21)의 음극단자(K21)의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신호의 변화와 관계없이 자기 유지회로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변형 자기 유지회로(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단 증폭부(10)는, 증폭용 진공관(11)의 그리드(G11)단자에 신호 입력을 받고, 상기 진공관(11)의 플레이트(P11) 단자에 저항(R12)을 통해서 V1(+)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진공관(11)의 음극(K11)단자에 저항(R11)을 통해서 V3(-)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진공관(11) 음극(K11)단자와 상기 진공관(11)의 플레이트(P11) 단자 사이에 영전위 유지회로(12)를 연결한다.
상기 영전위 유지회로(12)는, 상기 진공관(11)의 음극단자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진공관(11) 플레이트(P11)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압시켜 조절한다. 상기 진공관(11)의 플레이트단자에 입가되는 전압V1(+)을 분압시킥 위한 분압용 저항(R17)의 연결/단락시키는 동작을 한다. 상기 분압용 저항(R17)의 연결/단락은 소정의 시정수에 의해 반복되게 함으로써 진공관(11) 음극(K11)단자의 DC전위를 제로 전위로 유지시키도록 영전위 유지회로(12)를 구성한다.
상기 플레이트(P11)단자와 접지단자(E)의 사이에 제1평활용 콘덴서(C11)를 연결하며, 상기 접지단자(E)와 상기 V1(-)입력단자 사이에 제2평활용 콘덴서(C12)를 연결하여 리플전압을 평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전위 유지회로(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관(11) 플레이트(P11) 단자를 저항(R17)을 통해서 전력증폭기(U12)의 출력단자(-)에 연결한다. 상기 진공관(11) 음극(K11)단자를 분압용 저항(R13, R16) 및 시정수용 콘덴서(C13)에 의해 기준전압으로 차동증폭기(U1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연결한다. 상기 차동증폭기(U11)의 자기(self) 출력을 분압 저항(R15, R14) 및 시정수용 콘덴서(C14)를 통해서 반전입력단자(-)에 연결한다. 상기 차동증폭기(U11)의 출력을 상기 전력증폭기(U12)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구성된다. 즉, 영전위 유지회로(12)는 상기 진공관 음극단자의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진공관 플레이트 단자의 전압을 저항(R12, R17)에 의해 분압시켜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음극(K11)단자와 접지단자(E)의 사이를 영전위로 유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가변형 자기 바이어스 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관(21)의 그리드(G21) 단자를 상기 전단 증폭부(10)의 출력노드(N11)를 연결하여 입력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진공관(21)의 플레이트(P21) 단자를 통해 증폭 출력한다. 상기 진공관(21) 음극(K21)단자의 출력을 두개의 저항(R21, R22)에 의해 분압하여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받고, 제너다이오드(ZD21)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을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받는 차동증폭기(U21)와; 그 차동증폭기(U21)의 출력을 입력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진공관(21) 음극(K21)단자의 출력을 바이어스용 저항(R23)을 통해서 출력단자(-)에 입력받는 전력증폭기(U22)와; 상기 진공관(21) 음극(K21)단자와 그라운드 단자(E) 사이에 연결되어 파고치를 평활시키는 평활용 콘덴서(C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단 증폭부(10)에 영전위 유지회로(12)를 포함하고, 출력증폭부(20)에 자기 바이어스 회로(22)를 포함시켜 구성하였다.
기존의 진공관 증폭부는, 증폭된 AC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커플링 콘덴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단 증폭부(10)의 진공관(11)의 음극(K11)전위를 영전위로 유지시킴으로써, AC커플링 수단 없이 AC신호 출력이 가능해진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해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예를들어, 진공관(11)의 플레이트(P11)에 저항(R12)를 통해서 V1(+) 250를 인가하고, 상기 진공관(11)의 음극(K11)측에 저항(R11)을 통해 V3(-)200V를 인가한다. 만약, 영전위(zero volt)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도 3에서 진공관(11)의 음극(K11)단자의 전위 VT는 50V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영전위 유지회 로(12)가 동작하여 상기 플레이트(P11)에 입력되는 전압(+)250V을 상기 저항(R12)과 영전위 유지회로(12)내의 분압용 저항(R17)에 의해 분압된 전압(+)200가 인가되게 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관(11)의 음극(K11)단자 전위를 영전위로 만든다. 진공관이나 여러가지 부품등의 오차등으로 인해서 0볼트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전위 유지회로(12)를 구성한 것이다
영전위 유지회로(12)는, 진공관(11)의 음극(K11)단자에서 검출된 전압이 저항(R13, R16)에 의해 분압되어 차동증폭기(U1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때의 차동증폭기(U11)의 출력이 하이(Hi)가 되면, 전력증폭기(U12)의 입력단자(-)는 로우(LOW)가 되면서 저항(R17)이 분압저항으로서 동작한다. 즉, 저항(R12)와 저항(R17)에 의해 전압 V1(+)250V가 분압되어 플레이트(P11)에 인가된다.
상기 차동증폭기(U11)의 출력이 하이(Hi)가 되면, 하이 신호가 저항(R15, R14)에 의해 분압되어 비반전 입력단자(+)의 전위보다 높은 전압이 차동증폭기(U1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시정수용 콘덴서(C14)에 의해 지연되어 분압전압이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차동증폭기(U11)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바뀐다.
차동증폭기(U11)의 출력이 로우가 되면, 전력증폭기(U12)의 입력단이 로우가 되고 출력단(-)이 하이가 되면서, 저항(R17)은 단락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V1(+)250V는 저항(R12)을 통해서 진공관(11)의 플레이트(P11)에 인가된다.
다시, 차동증폭기(U11)의 출력이 바뀌고 저항(R17)의 연결 및 단락이 반복되 면서 플레이트(P11) 전압을 조절하고,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차동증폭기(U11)의 시정수에 의해 반복되는 시간차가 제어되며, 플레이트와 음극에 걸리는 리플전압은 평활용 콘덴서(C11),(C12)에 의해서 평활된다.
결국 영전위 유지회로(12)에 의해 진공관(11)의 플레이트(P11) 전압을 조절하여 진공관(11)의 음극단자(K11)와 그라운드(E) 사이의 전위는 영전위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단 증폭부(10)에서 증폭용 진공관(11)의 음극(K11)의 전위를 영전위로 유지하게 되므로, 출력노드(N11)에 커플링 콘덴서나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AC신호만 출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단 증폭부(10)에서 커플링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 출력노드(N11)를 통해 증폭된 AV신호를 전달하면, 출력증폭부(20)에서는 진공관의 음극단자의 바이어스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출력상승 및 왜율 개선등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관 앰프의 자기바이어스 회로(22)는, 진공관(21)의 음극(K21)의 전압이 저항 R21과 저항 R22에 의해 분압되어 차동증폭기(U2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때, 제너다이오드(ZD21)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과 상기 두개의 저항(R21, R2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차동증폭기(U21)에서 비교되어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이 높을 경우, 차동증폭기(U11)의 출력은 하이(Hi; +)가 된다. 이때, 전력증폭기(U22)의 입력단자(+)측 전압이 하이가 되므로, 그 전력증폭기(U2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진공관(21) 음극(K21)단자에는 저항(R23)이 부하로서 동작 된다.
이어서 상기 저항(R23)이 부하로서 작동되므로, 상기 차동증폭기(U21)의 비반전 입력단자(+)의 전압은 떨어지고, 그 차동증폭기(U21)의 출력이 로우(-)가 되면, 다시 전력증폭기(U22)가 반전되어 저항(R23)은 단락 상태가 되고, 상기 두개의 저항(R21, R22)에 의해 진공관 음극(K21)의 전압을 분압한 전압이 차동증폭기(U2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하이 출력이 되고, 전력증폭기(U22)에 의해 저항(R23)이 상기 진공관 음극(K21)단자의 부하로서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진공관(21) 음극(K21)단자의 전압이 상기 두 개의 저항(R21, R22)의 설정된 전압 값에 의해서 고정되게 된다. 즉, 차등증폭기(U21)와 전력증폭기(U22)의 작용에 의해 반복적으로 저항(R23)가 부하로서 작용/단락이 이루어지면서 이때의 파고치는 평활용 콘덴서(C21)에 의해 평활된다. 그러므로 진공관(21) 음극(K21)의 바이어스 전압은 고정되고,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진공관의 출력관의 기본전류를 예를 들어 50mA에서 100mA로 유기된다 하더라도 진공관 음극(K21)의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저항(R21, R22)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에 의해서 변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G21)의 입력전압이 상승하면 상승 비례와 같이 음극(K21)의 전류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저항(R21, R22)에 의해 음극(K21)의 가변형 작동이 이루어지면, 설정된 범위에서는 음극(K21)의 전압이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된 한계까지는 그리드(G21)의 입력신호의 상승이 음극(K21)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W은 입력신호의 상승과 정비 례하여 양호한 직선성이 얻어지고, 출력상승(25% up)과 왜율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관 오디오 앰프에 있어서, 전단 증폭부의 진공관 음극단자의 전위를 영전위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AC커플링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AC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증폭부의 진공관 음극단자의 자기바이어스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고정된 값으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음극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신호에 정비례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양호한 직선성 출력에 의해서 출력상승효과와 왜율의 개선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입력신호를 제1진공관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전단 증폭부와,
    상기 전단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제2진공관을 이용하여 전력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증폭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진공관의 음극단자 전압에 의해서 상기 제1진공관의 플레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진공관의 음극단자의 DC전위를 영전위로 유지시키는 영전위 유지회로와,
    상기 제2진공관의 음극단자의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신호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변형 자기 유지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증폭부는,
    신호 입력단자가 그리드(G11)단자에 연결되고 음극단자(K11)가 출력노드(N11)에 연결된 제1진공관(11)과;
    상기 제1진공관(11)의 음극단자(K11)에 전압 V3(-)을 인가하기 위한 저항(R11)과,
    상기 제1진공관(11)의 플레이트(P11)단자에 전압 V1(+)을 인가하기 위한 저항(R12)과;
    상기 제1진공관 음극단자의 전압에 의거해서, 상기 전압 V1(+)을 상기 저 항(R12)과 분압시키기 위한 분압용 저항(R17)의 연결/단락을 소정의 시정수로 연속 제어하고, 그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진공관 음극단자의 DC전위를 제로 전위로 유지시키는 영전위 유지회로(12)와;
    상기 제1진공관의 플레이트단자와 접지단자(E) 사이에 연결된 제1평활용 콘덴서(C11) 및 상기 접지단자(E)와 상기 전압 V3(-)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평활용 콘덴서(C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전위 유지회로(12)는,
    상기 제1진공관 플레이트 단자에 연결된 분압용 저항(R17)과;
    상기 분압용 저항(R17)이 출력단(-)에 연결된 전력증폭기(U12))와;
    상기 제1진공관의 음극단자(K11)의 전압을 분압저항(R13),(R17) 및 시정수용 콘덴서(C13)을 통해서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받고, 자신의 출력단자의 전압을 분압용 저항(R14, R15) 및 시정수용 콘덴서(C14)를 통해서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받으며, 상기 자신의 출력단자가 상기 전력증폭기(U12)의 입력단(+)에 연결된 차동증폭기(U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증폭부의 가변형 자기바이어스 회로(22)는,
    상기 제2진공관(21)의 음극단자(K21)의 출력을 두개의 저항에 의해 분압하여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받고, 제너다이오드(ZD21)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을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받는 차동증폭기(U1)와;
    그 차동증폭기(U1)의 출력단자가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관의 음극(K2)단자가 저항(R23)을 통해서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전력증폭기(U2)와;
    상기 제2진공관(21)의 음극(K2)단자와 그라운드단자(E) 사이에 연결되어 파고치를 평활시키는 평활용 콘덴서(C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5. 증폭용 진공관의 그리드 단자에 입력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진공관의 플레이트 단자에 제1저항을 통해 제1전압을, 상기 진공관의 음극단자에 제2저항을 통해 제2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극단자에 연결된 출력노드를 통해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진공관 앰프의 증폭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을 상기 제1저항과 분압하여 상기 플레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분압용 저항(R17)과;
    상기 분압용 저항(R17)이 출력단(-)에 연결되고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분압용 저항(R17)의 연결/단락을 제어하는 전력증폭기(U12))와;
    상기 진공관 음극단자(K11)의 전압을 분압저항(R13),(R17) 및 시정수용 콘덴서(C13)을 통해서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받고, 자신의 출력단자의 전압을 분압용 저항(R14, R15) 및 시정수용 콘덴서(C14)를 통해서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받아 차동증폭에 의해 상기 전력증폭기(U12)의 입력단(+)의 전압을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음극단자의 DC전위를 0전위로 수렴시키는 차동증폭기(U11);로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6. 진공관의 그리드(G21) 단자에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플레이트(P21) 단자를 통해 증폭 출력하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버퍼 자기 바이어스 회로에 있어서,
    진공관(21) 음극(K21)단자의 출력을 두개의 저항(R21, R22)에 의해 분압하여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받고, 제너다이오드(ZD21)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을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받는 차동증폭기(U21)와; 그 차동증폭기(U21)의 출력단자가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관(21) 음극(K21)단자가 바이어스용 저항(R23)을 통해서 출력단자(-)에 연결된 전력증폭기(U22)와; 상기 진공관 음극(K21)단자와 그라운드단자(E) 사이에 연결되어 파고치를 평활시키는 평활용 콘덴서(C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관 앰프 출력회로의 가변형 자기 바이어스 회로.
KR1020060066828A 2006-07-18 2006-07-18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KR100773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828A KR100773906B1 (ko) 2006-07-18 2006-07-18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828A KR100773906B1 (ko) 2006-07-18 2006-07-18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906B1 true KR100773906B1 (ko) 2007-11-07

Family

ID=3906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828A KR100773906B1 (ko) 2006-07-18 2006-07-18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86B1 (ko) * 2015-08-28 2016-10-12 주식회사 실바톤어쿠스틱스 진공관을 이용한 증폭회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015A (ja) * 1994-05-09 1995-11-14 Wako Technical Kk 管球式アンプ
US5604461A (en) 1996-01-22 1997-02-18 Rozenblit; Bruce M. Transformerless output vacuum tube audio amplifier
JPH09260959A (ja) * 1996-03-25 1997-10-03 Zanden Audio Syst:Kk 音声用真空管増幅回路
KR19990084015A (ko) * 1999-06-08 1999-12-06 고범종 진공관 바이어스 회로와 이를 채용한 오디오앰프
JP2000101357A (ja) 1998-09-22 2000-04-07 Wako Technical Kk 自動バイアス調整回路及びこれを含む管球式アン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015A (ja) * 1994-05-09 1995-11-14 Wako Technical Kk 管球式アンプ
US5604461A (en) 1996-01-22 1997-02-18 Rozenblit; Bruce M. Transformerless output vacuum tube audio amplifier
JPH09260959A (ja) * 1996-03-25 1997-10-03 Zanden Audio Syst:Kk 音声用真空管増幅回路
JP2000101357A (ja) 1998-09-22 2000-04-07 Wako Technical Kk 自動バイアス調整回路及びこれを含む管球式アンプ
KR19990084015A (ko) * 1999-06-08 1999-12-06 고범종 진공관 바이어스 회로와 이를 채용한 오디오앰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86B1 (ko) * 2015-08-28 2016-10-12 주식회사 실바톤어쿠스틱스 진공관을 이용한 증폭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9958B1 (en) Open loop DC control for a transimpedance feedback amplifier
US9647614B2 (en) Power amplifier
US8736367B2 (en) Power amplifier with switching means and feedback circuit
US20080303590A1 (en) Power amplifier with noise shaping function
WO2022217946A1 (zh) 一种补偿电路
JP2001358544A (ja) 増幅回路
GB2558973A (en) Offset calibration for amplifier and preceding circuit
US4472687A (en) Audio power amplifier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load by switching of power supply voltage
US20070296492A1 (en) Single Stage Balanced Voltage Amplifier
JP2008311832A (ja) 電気音響変換器
US6809591B1 (en) AGC circuit providing control of output signal amplitude and of output signal DC level
US8264275B2 (en) Amplifi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signal amplification
KR100773906B1 (ko) 진공관 앰프의 출력회로
JP2014143537A (ja) 負荷電流検出回路
US7583141B1 (en) Output circuit of vacuum-tube amplifier
CN110677134A (zh) 一种自适应带宽调整电路
US7355475B2 (en) Output circuit of vacuum-tube amplifier
TWI474614B (zh) 功率放大器
JP2008042641A (ja) 真空管アンプの出力回路
EP1895655A1 (en) Output circuit of vacuum-tube amplifier
US9065408B2 (en) Voltage controlled amplifi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202316792A (zh) 功率放大器
US7583140B1 (en) Output circuit of vacuum-tube amplifier
JP2002208823A (ja) 増幅回路
CN217116040U (zh) 功放增益自动控制电路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