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019B1 - 바닥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바닥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019B1
KR100773019B1 KR1020060049553A KR20060049553A KR100773019B1 KR 100773019 B1 KR100773019 B1 KR 100773019B1 KR 1020060049553 A KR1020060049553 A KR 1020060049553A KR 20060049553 A KR20060049553 A KR 20060049553A KR 100773019 B1 KR100773019 B1 KR 10077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chanism
bottom plate
fixed
plate structure
connect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340A (ko
Inventor
세이지 안보
Original Assignee
글로벌 제팬 가부시키가이샤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제팬 가부시키가이샤,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글로벌 제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과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코스트가 낮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확실한 강도를 갖는 바닥판 구조체와, 이것에 사용하는 접속 금속기구, 및 레벨조정 지그 부품, 및 바닥판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 바닥판 구조체(30)는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철근(31, 32)과, 이들 제 1 및 제 2철근을 접속하는 접속 금속기구(41)와, 추가로 이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지지 금속기구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형틀을 구비하는 바닥판 구조체(30)로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철근의 각 철근에 대해서, 각각 코오킹 고정되는 고정부(42, 43)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철근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콘크리트 유동공(46)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 구조체

Description

바닥판 구조체{FLAT PLAT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바닥판 구조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바닥판 구조체를 사용한 시공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도 1의 바닥판 구조체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바닥판 구조체의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바닥판 구조체의 접속 금속기구의 개략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절단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절단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접속 금속기구의 코오킹 가공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도 5의 B-B선 절단 단면도.
도 10은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도 11의 E-E선 절단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접속 금속기구로 철근을 코오킹 고정하고, 지지 금속기구로 형틀을 고정한 상태의 개략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F-F선 절단 단면도.
도 15는 지지 금속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지지 금속기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
도 17은 도 5의 접속 금속기구로 철근을 코오킹 고정하고, 지지 금속기구로 형틀을 고정하며, 추가로 레벨조정 지그로 레벨을 조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도 18은 도 17의 레벨조정 지그의 부분 개략 측면도.
도 19는 레벨조정 지그 부품의 개략 평면도.
도 20은 레벨조정 지그 부품의 개략 정면도.
도 21은 도 17의 레벨조정 지그의 누름 볼트를 장착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도 22는 도 21의 레벨조정 지그의 부분 개략 측면도.
도 23은 도 1의 바닥판 구조체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공정도.
도 24는 종래의 바닥판 구조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주형 12:교각
30:바닥판 구조체 31:제 1철근
32:제 2철근 33:형틀
34:배력근 41:접속 금속기구
42, 43:고정부 44, 45:보강부
46:콘크리트 유동공 51:지지 금속기구
53, 54:지지축 61:레벨조정 지그
62:레벨조정 지그 부품 64:너트부재
67:누름 볼트
본 발명은 도로 등의 교량 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사용한 바닥판 구조체의 개량과, 그 바닥판 구조체에 사용되는 철근의 접속 금속기구(metal fitting), 및 주형(girder) 등에 대해서 그 철근의 레벨을 조정 관리하기 위한 레벨조정 지그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술한 교량공사에 사용되는 바닥판을 이용한 공사는, 가령, 시공 현장에서, 가설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을 조립하고, 그 형틀 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형틀을 떼어냄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형틀공, 철근공과 같은 숙련자가, 각각의 공사를 담당하며, 비교적 장기간의 시공일수를 필요로 하므로, 많은 숙련자의 이용에 따른 인건비의 코스트 상승 및 시공일수의 장기화에 따른 코스트 상승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철근, 형틀,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공장이나, 적어도 시공현장 근처에서 만들고, 완성 후에 현장으로 운반한다고 하는 수법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시공현장에 있어서는 공사 시공일수가 매우 단기화되므로, 부담이 줄어들지만,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현장까지 운반할 때에는, 매우 중량이 큰 바닥판 몸체를 운반할 필요가 있어, 운반에 있어서 너무 큰 부담이 생긴다.
그래서, 철근과 형틀을 조합시킨 바닥판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 바닥판 구조체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주형 등의 위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고 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도 24는 이와 같은 바닥판 구조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에서, 바닥판 구조체(1)는, 상부철근(2)과 하부철근(3)을 X형 강제(鋼製) 금속기구(4)로 접속하고, 이 X형 강제 금속기구(4)에는 현수 금속기구(6)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현수금수(6)의 타단에는 형틀(5)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시공현장에서는, 이 바닥판 구조체(1)가 반입되어, 도시하지 않은 주형 등의 위에 순차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여 배치된 바닥판 구조체(1)들 사이에는, 배력근(7, 8)을 통해서, 이들과 상부철근(2) 및 하부철근(3)의 교차부분을 체결하고, 형틀(5)내에 콘크리트를 흘려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철근과 형틀을 시공현장에서 조립할 필요 없이, 현장에 운반되는 바닥판 구조체(1)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의 구조체이기 때문에, 극단적인 중량물을 반입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특허 제 3579333호
그런데, 도 24의 바닥판 구조체(1)에 있어서는, 상부철근(2)와 하부철근(3)에 X형 강제 금속기구(4)를 장착할 경우에, 링형상의 체결 금속기구(9, 9, 9, 9)를 각 철근에 코오킹(caulking) 체결시켜 놓고, 그 후, X형 강제 금속기구(4)의 각 선단부를 대응하는 체결 금속기구(9, 9, 9, 9)에 용접으로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철근(2)와 하부철근(3)을 X형 강제 금속기구(4)를 이용하여 조립 고정하는 공정에서는, 먼저 상부철근(2)과 하부철근(3)에, 링형상의 체결 금속기구(9, 9, 9, 9)를 코오킹 고정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며, 추가로 철근에 코오킹 고정한 체결 금속기구(9, 9, 9, 9)에 대해서, X형 강제 금속기구(4)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공정이 상당히 귀찮다.
게다가, X형 강제 금속기구(4)의 각 선단부를 대응하는 체결 금속기구(9, 9, 9, 9)에 용접으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바닥판 구조체(1)의 조립 과정에서, 강제 금속기구인 부호 4의 X형 강제 금속기구(4)가, 바람직하지 않은 열처리 공정을 거치게 되어, 강도적으로도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즉, 상부철근(2)과 하부철근(3)을 접속하는 X형 강제 금속기구(4)는, 형상을 X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트러스 구조를 조합시켜, 강도향상을 꾀하려고 하지만, 상술한 체결 금속기구(9, 9, 9, 9)에 용접으로 고정할 때의 열처리 이력에 의해, 오히려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운반과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코스트가 낮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확실한 강도를 갖는 바닥판 구조체와, 이것에 사용하는 접속 금속기구, 및 레벨조정 지그 부품, 및 바닥판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철근과, 이들 제 1 및 제 2철근을 접속하는 접속 금속기구와, 추가로 그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지지 금속기구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형틀을 구비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철근과 제 2철근의 각 철근에 대해서, 각각 코오킹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강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콘크리트 유동공을 구비하는 것을 바닥판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제 1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 금속기구는 강제이고 튼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게다가 상기 제 1철근과 제 2철근의 각 철근에 대해서, 용접되는 일 없이, 코오킹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고정되어, 강인한 구조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접속 금속기구에는 콘크리트 유동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접속 금속기구를 끼고서 양쪽 영역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자유롭게 유동하여,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운반과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코스트가 낮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확실한 강도를 갖는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철근에 대해서, 상기 강판 단(end)부를 감아 붙여서 고정하 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 금속기구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철근에 대해서, 상기 강판의 단부를 감아 붙여서 고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일방향으로 가압하기만 하는 구조와는 달리, 확실한 접속,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제 3발명은, 제 1 또는 제 2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는 리브형상 또는 밭고랑 형상의 보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 금속기구를 구성하는 강판의 판두께를 얇게 해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를 구성하는 강판의 상기 고정부에 상기 보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에 의하면, 상기 접속 금속기구를 구성하는 강판의 판두께를 얇게 해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브형상 또는 밭고랑 형상의 보강부에 있어서의 돌출(凸)구조에 의해서, 철근에 대한 부착을 좋게 하여, 철근에 대한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 5발명은, 제 1 또는 제 2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금속기구는, 그 일단이 상기 접속 금속기구의 거의 중앙 부근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형틀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적어도 그 지지 금속기구의 상기 일단 고정부와 타단 고정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지지축의 주위를 따라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 금속기구의 상기 일단 고정부와 타단 고정부의 어느 한쪽이 지지축의 주위를 따라서 회동할 수 있으므로, 공장 등에서, 철근측에 형틀을 조립시킬 때에, 위치의 미세 조정이 용이해지며,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바닥판 구조체를 주형 등에 장착하는 시공현장에서도, 가설시에 주(主)철근의 위치를 움직이는 일 없이, 형틀측을 움직여서 미세조정하면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가능한 고정부는, 상기 지지축이 리벳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하기 위한 상기 지지축이 리벳인 경우에는, 공장 등에서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단시간에 가능하게 된다.
제 7발명은, 제 1 또는 제 2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에는, 강판에 고정한 너트부재와, 그 너트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길이가 긴 나사형상의 누름 볼트를 구비한 레벨조정 지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너트를 용접으로 장착하는 종래의 작업과 비교하면, 너트부재를 상기 접속 금속기구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현장에서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목적은, 제 8발명에 있어서는, 평행한 철근들을 잇기 위한 접속 금속기구로서, 대략 H자형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의 길이방향의 각 양단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각각 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각 철근의 주위에 감 겨 코오킹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부와, 그 고정부를 구성하는 상기 평행한 띠형상부의 사이에서, 상기 강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콘크리트 유동공과, 상기 고정부의 상기 각 띠형상부에 형성된 리브형상 또는 밭고랑 형상의 보강부를 구비하는 접속 금속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제 8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 금속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1철근과 제 2철근의 각 철근에 대해서, 용접되는 일 없이, 코오킹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고정되어, 강인한 구조가 손상되지 않는다고 하는 바닥판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속 금속기구에는 콘크리트 유동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접속 금속기구를 끼고서 양쪽 영역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자유롭게 유동하여,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 가능한 바닥판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 9발명은, 제 8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리벳용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는,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리벳용 관통공을 구비하는 접속 금속기구를 사용하면, 그 관통공에 리벳을 때려 박아, 지지 금속기구를 요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 5발명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원리에 의해, 바닥판 구조체 자체를 공장 등에서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며, 게다가 시공현장에서도 시공작업을 매우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제 10발명에 있어서는, 철근들을 잇기 위한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레벨 조절용 누름 볼트를 장착하기 위한 레벨조정 지그 부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접속 금속기구보다도 작은 강제 판체와, 그 강제 판체의 거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벨 조절용 누름 볼트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너트부와, 상기 강제 판체에 천공된 리벳 또는 볼트용 관통공을 구비하는 레벨조정 지그 부품에 의해 달성된다.
제 10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너트를 용접으로 장착하는 종래의 작업은 매우 복잡하였던 것에 비해서, 이 발명의 레벨조정 지그 부품은, 너트부재이며, 게다가 강판에는 리벳 또는 볼트용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레벨조정 지그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가령 간단한 리벳 박음만으로, 바닥판 구조체에서 레벨조정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한정이 붙여져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뜻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바닥판 구조체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바닥판 구조체를 사용하여 교량공사를 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도 1을 위에서 본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1은, 교량공사에 있어서의 교각(12) 및 교대(14) 위에 걸쳐진 주형이다. 주형(11) 상에, 유닛 형상의 바닥판 구조체(30)를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닥판 구조체(30)가, 각각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바닥판 구조체의 하나의 유닛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은 유닛 단위로 제조된 바닥판 구조체(30)가, 시공현장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3) 등으로 집어올려져서, 주형(11) 상에 순차 화살표(Y)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도 1의 바닥판 구조체(30)는, 제 1철근(31)과, 그 제 1철근(31)과 Z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철근(32)과, 이들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철근(31)과 제 2철근(32) 사이에서, 이들 철근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금속기구(41)와, 이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후술하는 지지 금속기구를 개재하여 고정 지지되는 형틀(33)을 갖고 있으며, 원칙적으로 콘크리트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철근(31)은, Y방향으로도 평행하게 복수개 배치되고, 도 3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제 2철근도 동일수만큼 마찬가지로 평행하게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배력근(34)은 X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배치되며, 제 1철근(31) 및 제 2철근에 대해서 직교하고 있다.
또, 각 철근은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지만, 도시한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닥판 구조체(30)의 접속 금속기구(41)나, 그 접속 금속기구(41)에 고정되어, 형틀(33)을 지지하는 지지 금속기구(51), 및 레벨조정 지그(61) 등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접속 금속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로서, 도 5는 개략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절단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절단 단면도, 도 8은 접속 금속기구의 코오킹 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들 도에 있어서, 접속 금속기구(41)는, 강철제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높은 내식성의 도금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금속기구(41)의 표면에 실시되는 도금층은, 가령 아연에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함유시킨 용융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령, 아연에 대해서, 알루미늄 6퍼센트, 마그네슘 3퍼센트(모두 중량 퍼센트) 정도를 함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용융 아연도금 강판에 비해서 10 내지 20배의 내식성을 갖고 있다.
또, 용융도금은, 가령 아연에 대해서, 알루미늄 11퍼센트 정도, 마그네슘 3퍼센트 정도로 미량의 실리콘을 함유시킬 경우에도,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도금층을 구비하고 있으면, 비교적 큰 재료판재를 프레스 재단하여, 본 실시예의 형상으로 되는 접속 금속기구를 얻을 경우에, 그 절단면이 빗물, 결로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도, 빗물과 이슬에 의해 강판 노출면은 녹슬지만, 동시에 도금층으로부터 Zn, Al, Mg가 녹아나와서, Mg함유 Zn계 보호막이 피복된다. 이것에 의해, 절단 단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녹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접속 금속기구(41)는, 가령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예들 들어 일방향으로 긴 형상이고, 대략 H자형의 상술한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강판인 본체부(49)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으로 각 양단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각각 띠형상의 고정부(42, 42와, 43, 43)가 연장되어 있다.
이 고정부(42, 42)의 도 5에서 배후의 위치에는, 제 1철근(31)이, 고정부(43, 43)의 도 5에서 배후의 위치에는 제 2철근(32)이 대응하는 것으로, 이들 고정부(42, 42와, 43, 43)는, 각각 대응하는 각 철근(31, 32)의 주위에 감겨지도록 해서, 코오킹 고정된다.
여기에서, 접속 금속기구(41)에는, 각각 고정부(42, 42)의 사이, 고정부(43, 43)의 사이에, 슬릿 현상으로 강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콘크리트 유동공(46, 4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접속 금속기구(41)에는, 본체부(49)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 또는 밭고랑 형상의 제 1보강부(Bead; 보강비드)(44, 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띠형상의 고정부(42, 42와, 43, 43)에 있어서, 그 표면에서 돌출하도록, 리브형상 또는 밭고랑 형상의 제 2보강부(Bead; 보강비드)(45, 45, 45, 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고정부(42, 42와, 43, 43)는, 중앙영역에 비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철근에 대해서 감아 붙여 고정되는 면적이 많아지도록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고정강도가 향상되고 있다.
게다가, 접속 금속기구(41)의 본체부(49)에 있어서, 그의 거의 중앙부에 제 1관통공(47)과, 그 제 1관통공(47)을 끼고서 양쪽에 배치되도록 지지 금속기구용의 제 2관통공(48, 48)을 형성하였다. 지지 금속기구용의 제 2관통공(48, 48)은 제 1관통공(47)을 끼고서 양측에 형성됨으로써, 도 5의 접속 금속기구(41)의 좌우 단부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이 위가 되어도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 금속기구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상기 관통공(47)은 없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접속 금속기구(4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부(49)에 한쌍의 제 1보강부(44, 44)를 형성함으로써, 강성이 향상되고,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제 2보강부(45, 45, 45, 45)는, 띠형상의 각 고정부(42, 42와, 43, 43)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게다가 비드의 돌출(凸)측이 각 고정부(42, 42와, 43, 43)를 제 1 및 제 2철근(31, 32)에 감아 붙일 때에, 접촉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금속기구(41)의 각 고정부(42, 42와, 43, 43)에 제 1 및 제 2철근(31, 32)을 각각 접촉시켜서, 도에 있어서, 각 고정부(42, 42)를 먼저 각각 수직으로 하는 제 1단계의 프레스 가공과, 화살표(C, C)방향으로 절곡하는 제 2단계의 프레스 가공과, 화살표(D, D)방향으로 절곡하는 제 3단계의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다. 결국, 3단계의 프레스를 행함으로써, 각 고정부(42, 42와, 43, 43)를 제 1 및 제 2철근(31, 32)에 각각 감아 붙임으로써, 코오킹 고정된다. 이 경우, 프레스할 때에, 제 2보강부(45, 45, 45, 45)가, 돌출(凸)부로서 각 철근에 부착되므로, 고정이 한층 확실해진다.
도 9 및 도 10은,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는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형예 1의 접속 금속기구(41-1)는, 각 고정부(42-1, 42-1, 43-1, 43-1)가 도 5의 경우와 비교하여,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 금속기구는 콤팩트하게 형성해도 된다.
도 9(b)는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 2를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 2의 접속 금속기구(41-2)는 도 5의 구성과 비교하면, 제 2보강부(45, 45)가 하나의 고정부에 대해서 폭방향으로 2개 병렬적으로 형성되고, 게다가 제 1보강부(44)는 폭방향으로 서로 달라지도록 병렬적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철근에 고정할 경우의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도 9(c)는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 3을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 3의 접속 금속기구(41-3)는, 제 1보강부(44-1, 44-1)가 접속 금속기구(41-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고정부(42, 42, 43, 43)의 개소(箇所)에서는 제 1보강부(45, 45, 45, 45)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철근에 고정할 경우의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도 9(d)는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 4를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 4의 접속 금속기구(41-4)에서는, 제 1보강부(44)는 폭방향으로 서로 달라지도록 병렬적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보강부(45-1)는, 각 고정부(42, 42, 43, 43)에 있어서, 접속 금속기구(41-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철근에 고정할 경우의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특히, 각 고정부(42, 42, 43, 43)에서는 제 1보강부(45-1)인 돌기가 철근에 대한 회동 슬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철근에 대한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도 10(a)는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 5를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 5의 접속 금속기구(41-5)에서는, 제 1보강부(45-2)가, 각 고정부(42, 42, 43, 43)에 있어서, 접속 금속기구(41-5)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철근에 고정할 경우의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즉, 각 고정부(42, 42, 43, 43)에서는, 제 1보강부(45-2)인 돌기가 철근에 대한 회동 슬립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철근에 대한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도 10(b)는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 6을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 6의 접속 금속기구(41-6)에서는, 제 1보강부(45-3)가, 각 고정부(42, 42, 43, 43)에 있어서, 격자 모양을 이루고 있도록 돌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철근에 고정할 경우의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즉, 각 고정부(42, 42, 43, 43)에서는, 제 1보강부(45-3)인 돌기가 철근에 대한 회동 슬립방향과 비스듬히 십(十)자 방향으로 교차하므로, 철근에 대한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도 10(c)는 접속 금속기구의 변형예 7을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 7의 접속 금속기구(41-7)에서는, 제 1보강부(45-4)가, 각 고정부(42, 42, 43, 43)에 있어서, 비드형상의 돌출(凸)부 없이, 복수 또는 다수의 작은 보스(boss)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철근에 고정할 경우에, 확실하게 복수 개소에 서 접촉함으로써, 부착을 강화시키고 있다.
도 11은, 제 1철근(31)과 제 2철근(32)을, 접속 금속기구(41)로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E-E선 절단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의 상태에서는, 형틀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형틀을 고정하는 데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금속기구(51)가 사용된다.
도 13은, 제 1철근(31)과 제 2철근(32)을, 접속 금속기구(41)로 접속하여, 추가로 형틀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F-F선 절단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금속기구(41)와 형틀을 잇는 지지 금속기구(51)는, 도 13과 같이, 제 2철근(32)에서부터 형틀(33)까지의 거리인 콘크리트의 덮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지 금속기구(51)는, 본 실시예에서는, 일방향으로 긴 거의 기다란 종이형상의 금속제 판체로서, 일단, 즉 상단이 접속 금속기구(41)의 제 2관통공(48)에 지지축(5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인 하단이 L자 금속기구(52)를 개재하여 형틀(33)과 고정되어 있다.
또, 형틀(33)은 강제이며, 재료로서는 가령 상술한 접속 금속기구(41)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형틀(33)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내식성의 도금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실시되는 도금층은, 가령 아연에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함유시킨 용융도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령 아연에 대해서 알루미늄 6퍼센트, 마그네 슘 3퍼센트(모두 중량 퍼센트) 정도를 함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용융 아연도금 강판에 비해서 10 내지 20배의 내식성을 갖고 있다.
또, 용융도금은, 가령, 아연에 대해서 알루미늄 11퍼센트 정도, 마그네슘 3퍼센트 정도에 미량의 실리콘을 함유시킨 경우에도,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 금속기구(51)의 상단 지지축(53) 및/또는 하단 지지축(54)은, 지지 금속기구(51)를 각각 대상에 대해서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금속기구(51)는, 각각 지지축(53)과, 지지축(54)의 각 주위를 따라서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하며, 그 회동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0도 정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가령 지지 금속기구(51)를 접속 금속기구(41)나 L자 금속기구(52)의 기립부에 대해서, 리벳을 때려 박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각 리벳 상대부재의 축구멍보다도 작은 외경이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어, 지지 금속기구(51)의 고정작업도 용이하다.
이것에 의해, 지지 금속기구(51)의 일단 고정부와 타단 고정부 중 어느 한쪽이, 각각의 지지축(53, 54)의 주위를 따라서 회동할 수 있으므로, 공장 등에서, 철근 측에 형틀을 조립할 때에, 위치의 미세 조정이 용이해져,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 구조체(30)를 주형(11)등에 장착하는 시공현장에 있어서도, 가설시에 주 철근의 위치를 움직이지 않고, 형틀(33)측 을 움직여서 미세 조정하면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17 및 도 18은, 추가로 바닥판 구조체의 레벨조정 지그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으로, 도 17은 그 개략 정면도, 도 18은 그 개략 측면도이다.
이들 도에 있어서, 접속 금속기구(41)에는 레벨조정 지그(61)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판 구조체(30)에 있어서는, 화살표 (X)방향을 따라서, 복수 또는 다수의 접속 금속기구(41)가 배치되어, 상측의 제 1철근(31)과 하측의 제 2철근을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속 금속기구(41)는 모두 형틀(33)과 접속될 수는 없으며,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주형(11)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은, 제 2철근(32) 및 그 주형(11)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레벨조정 지그(61)가 장착되어 있다.
즉, 도 21, 도 22는, 도 17 및 도 18과 같이 레벨조정 지그(61)가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그를 위해서는, 도 19,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레벨조정 지그 부품(62)을 접속 금속기구(41)에 장착해야 한다.
도 17에 있어서, 레벨조정 지그(61)는, 접속 금속기구(41)에 고정되는 레벨조정 지그 부품(62)과, 그 레벨조정 지그 부품(62)의 너트부재(64)에 나사결합되는 누름 볼트(67)를 갖는다.
누름 볼트(67)는, 길이가 긴 환봉의 외주에 나사를 자른 형태이며, 너트부재(64)에 대해서 나사결합되어 있고, 축둘레를 따라서 회동함으로써, 도 17 또는 도 18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금속기구(41)와 주형(11)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변화시켜서,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접속 금속기구(41)에 고정되는 부품인 레벨조정 지그 부품(62)은, 강제 판체(63)와, 그 강제 판체(63)에 용접등으로 미리 고정된 너트부재(64)를 구비하고 있다.
강제 판체(63)는, 관통공(65, 66)을 이용하여, 볼트나 리벳으로 접속 금속기구(4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강제 판체(63)는, 접속 금속기구(41)보다는 작지만, 작업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5㎝ × 5㎝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다.
또, 강제 판체(63)를 접속 금속기구(41)에 겹치고, 그 강제 판체(63)의 관통공(65, 66)을 도 5에서 설명한 접속 금속기구(41)의 제 2관통공(48, 48)과 겹침으로써, 공장 내에서 리벳 박음 등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도 21 및 도 22의 상태로 할 수 있따.
이것에 의해, 비교적 작은 너트부재를 직접, 접속 금속기구(41)에 용접으로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위치결정을 포함하여 곤란한 작업이 되리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나, 상술한 레벨조정 지그 부품(62)을 사용함으로써, 시공현장에 갖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도 21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바닥 구조체(30)의 제조공정의 일예를 도 23의 공정도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 도 23의 공정은 통상 공장에서 행해지지만, 그 일부를 시공현장의 근처에서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3(a) 및 도 23(b)의 좌측 도에서는 철근의 조립공정을, 우측 도에서는 강제 형틀의 조립공정을 병렬로 표시하였으나, 이들은 각각 별개로 (따로따로) 진행하는 것이다. 또, 도 23(a) 내지 도 23(d)에 있어서, 상측의 도는 각 공정의 평면도이고, 하측의 도는 각 공정의 정면도이다.
도 23(a)의 좌측 도에 있어서, 먼저 제 1철근(31)과 제 2철근을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들을 접속 금속기구(41)로 접속한다(ST1-1). 이 공정은 도 1 내지 도 12까지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3(b)의 좌측 도에 있어서는, 접속 금속기구(41)에, 도 17 내지 도 2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레벨조정 지그(61)의 레벨조정 지그 부품(62)을 리벳으로 고정한다(ST2-1).
도 23(c)의 좌측 도에 있어서는, 접속 금속기구(41)가 코오킹 고정된 제 1철근(31)과 제 2철근(32)을 도 1의 Y방향을 따라서 소정피치로 복수, 또는 다수의 쌍으로 배열한다. 또한, 철근의 평판(71)을 제 1 및 제 2철근(31, 32)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그 평판(71)을 각 접속 금속기구(41)에 대해서 스폿 용접하여 고정한다(ST3). 또, 평판(71)은, 이것 대신에, 이것에 추가해서 철근 파이프 앵글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도 23(a)로 되돌아가서, 우측 도를 참조하면서, 형틀의 형성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강제의 형틀 재료를 가공한다. 이 재료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내식성의 도금강판이 사용된다. 이 강판을, 형틀을 형성하는 적절한 형상으로 가공한다(ST1-2).
다음에, 도 23(b)의 우측 도에 있어서, ST1-2에서 형성한 형틀(33)에, 도 13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지지 금속기구(51)를 L자 금속기구(52)를 개재하여 리벳 체결하여 고정한다(ST2-2).
마지막으로, 도 23(d)에 있어서, ST1-1 내지 ST3의 공정을 거친 철근측과, ST2-2를 거친 형틀(33)을 지지 금속기구(51)를 개재하여 리벳으로 고정하여, 바닥판 구조체(30)를 완성시킨다(도 1등 참조)(ST4).
이 상태에서,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형 상에 배치해 두고서, 그 단계에서는, 도 21 및 도 22와 같이 누름 볼트(67)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주형 상에서 그 누름 볼트(67)를 너트부재(64)에 통과시켜 높이 조정하고(도 17 참조). 그 후, 형틀(33)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바닥 구조체(30)에 의하면, 그 접속 금속기구(41)는 강제로서 튼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게다가 제 1 철근(31)과 제 2철근(32)의 각 철근에 대해서, 용접되는 일 없이, 코오킹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고정되어, 강인한 구조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접속 금속기구(41)에는 콘크리트 유동공(4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 금속기구(41)를 끼고서 양쪽 영역에 타설된 콘트리트가 자유롭게 유동하여,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운반과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코스트가 낮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확실한 강도를 갖는 바닥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구성은, 필요에 따라서 그 일부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하여, 다른 구성의 조합을 토대로 실시해도 된다.

Claims (10)

  1.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철근과, 이들 제 1 및 제 2 철근을 접속하는 접속 금속기구와, 추가로 그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지지 금속기구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형틀을 구비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철근과 제 2 철근의 각 철근에 대해서, 각각 코오킹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강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콘크리트 유동공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금속기구는, 그 일단이 상기 접속 금속기구의 거의 중앙 부근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형틀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적어도 그 지지 금속기구의 상기 일단 고정부와 타단 고정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지지축의 주위를 따라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철근에 대해서, 상기 강판의 단부를 감아 붙여서 고정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는 리브형상 또는 밭고랑 형상의 보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를 구성하는 강판의 상기 고정부에 상기 보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구조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가능한 고정부는, 상기 지지축이 리벳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구조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속기구에는, 강판에 고정한 너트부재와, 그 너트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길이가 긴 나사형상의 누름 볼트를 구비한 레벨조정 지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구조체.
  8. 삭제
  9. 삭제
  10. 철근들을 잇기 위한 접속 금속기구에 대해서, 레벨 조절용 누름 볼트를 장착하기 위한 레벨조정 지그 부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접속 금속기구보다도 작은 강제 판체와,
    그 강제 판체의 거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벨 조절용 누름 볼트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너트부와,
    상기 강제 판체에 천공된 리벳 또는 볼트용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조정 지그 부품.
KR1020060049553A 2005-08-25 2006-06-01 바닥판 구조체 KR100773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4551A JP2007056583A (ja) 2005-08-25 2005-08-25 床版構造体
JPJP-P-2005-00244551 200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340A KR20070024340A (ko) 2007-03-02
KR100773019B1 true KR100773019B1 (ko) 2007-11-02

Family

ID=3792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553A KR100773019B1 (ko) 2005-08-25 2006-06-01 바닥판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056583A (ko)
KR (1) KR100773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1628B2 (ja) * 2008-03-18 2012-09-19 株式会社アイ・テック 桟橋構造ユニット、桟橋構造及び桟橋の施工方法
JP5841786B2 (ja) * 2011-09-16 2016-01-13 株式会社横河住金ブリッジ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構築用パネルおよび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KR102219607B1 (ko) * 2017-09-22 2021-02-24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전단보강 슬래브 구조체를 자동생산하기 위한 자동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121A (ja) * 2000-08-22 2002-02-28 Katayose Kogyo:Kk 桁橋用床板型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121A (ja) * 2000-08-22 2002-02-28 Katayose Kogyo:Kk 桁橋用床板型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56583A (ja) 2007-03-08
KR20070024340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019B1 (ko) 바닥판 구조체
US20120180427A1 (en) Tower Reinforcement Apparatus and Method
CN110453598B (zh) 一种高性能预制钢混组合梁桥面板拼装接缝构件
WO2016100343A2 (en) Wing diamond foundation
CA2300691C (en) Reinforcement device for trusses
US5987680A (en) Bridge deck unit and process for construction bridge deck using the unit
EP1564351A1 (en) Fencing section with flat rod panels fixed to fencing post
EP2602403B1 (en) Anchor terminal for safety lines
US8381469B2 (en) Cold formed joist
KR200365941Y1 (ko) 'ㄱ'자형 비드를 구비하는 트러스 합성 데크플레이트
Valtinat et al. Bolted connections of hot dip galvanized steel members with punched holes.
JP2009254023A (ja) ケーブルラック及びトンネル壁面へのケーブルラックの施工方法
JP5054807B2 (ja) トラス付きデッキプレート
KR100385798B1 (ko) 조립식 커튼월 철재 트러스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6152673A (ja) 鉄骨梁組体
KR200494002Y1 (ko) 전주 근가용 유볼트 어셈블리
CN219671862U (zh) 一种抗裂的预制梁结构
KR100430600B1 (ko)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JP2010144342A (ja) 踊り場の基礎構造および踊り場用基礎プレート
CN215252271U (zh) 结合不锈钢和页岩陶粒混凝土的装配式桥墩
CN110170546B (zh) 一种钢板矫正机构及钢板矫正方法
BE1027657B1 (nl) Steigervloer en werkwijze voor het produceren van een steigervloer
KR20023454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CN117211507A (zh) 外架紧密包覆安全网的方法及多层密目安全网结构
US2009004979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Roof Anchors for a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