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628B1 -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 Google Patents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628B1
KR100772628B1 KR1020070012872A KR20070012872A KR100772628B1 KR 100772628 B1 KR100772628 B1 KR 100772628B1 KR 1020070012872 A KR1020070012872 A KR 1020070012872A KR 20070012872 A KR20070012872 A KR 20070012872A KR 100772628 B1 KR100772628 B1 KR 100772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fluid
safety valv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네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네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네스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5/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simultaneous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기 본체의 상부 장착면에 고정된 하나의 안전밸브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규격의 안전밸브를 호환되게 검사할 수 있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으로써 반복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는 유체 유입홀과 하부에 형성된 둘레 밀착면을 포함하는 노즐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4개소의 조립홀이 형성된 돌출 플렌지를 포함하는 안전밸브의 인입측 연결부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장홀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 플렌지와; 중앙 유체 통과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직경이 다르게, 다수로 구비되어 선택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의 상면과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들; 및 상기 연결 플렌지의 조립 장홀과 상기 돌출 플렌지의 조립홀에 관통된 다음 볼트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와 돌출 플렌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 유입홀과 하부에 형성된 둘레 밀착면을 포함하는 노즐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4개의 조립홀이 형성된 돌출 플렌지를 포함하는 안전밸브의 인입측 연결부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으로 검사유체를 공급하는 안전밸브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장홀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 플렌지와, 중앙 유체 통과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직경을 다르고 다수로 구비되어 선택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의 상면과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들, 및 상기 연결 플렌지의 조립 장홀과 상기 돌출 플렌지의 조립홀에 관통된 다음 너트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와 돌출 플렌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에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제1유체관이 더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유체관에는 물탱크부터 검사유체 공급관까지 간격을 두고 가압펌프, 제1차단밸브, 축압기, 압력계, 제2차단밸브, 압력조절밸브,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 디지털 압력센서, 드레인관을 포함한 드레인관, 최종 차단밸브가 순서적으로 더 구비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를 특징으로 한다.
발전설비, 안전밸브, 압력검사

Description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Connection apparatus for pressure testing of safety valve and tester safety valve of generating facilities using the connec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와 발전설비의 안전밸브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가 검사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본체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연결 플렌지
11 : 둘레 돌출부
111 : 조립 장홀
12 : 유체 통과홀
121 : 연결수단, 122 : 탭부, 123 : 체결 연결관
13 : 고정 플렌지부
131 : 조립홀
14 : 원형 함몰홈
2 : 디스크
21 : 돌출 원형부
211 : 조립 관통장홀
22 : 원형 돌출부
3 : 볼트
31 : 너트
4 : 검사유체 공급관
5 : 제1유체관
51 : 물탱크
52 : 가압펌프
53 : 제1차단밸브
54 : 축압기
55 : 압력계
56 : 압력조절밸브
57 : 체크밸브
58 : 드레인밸브
59 : 최종 차단밸브
60 : 제2차단밸브
6 : 제 2 유체관
61 : 질소탱크
62 : 제3차단밸브
63 : 압력조절밸브
64 : 체크밸브
7 : 제3유체관
71 : 제4차단밸브
72 : 압력조절밸브
73 : 체크밸브
8 : 연결관
81 : 유체 개폐밸브
9 : 안전밸브
91 : 인입측 연결부
92 : 돌출 플렌지
921 : 조립홀
93 : 노즐
931 : 둘레 밀착면
10 : 디지털 압력센서
100: 검사기 본체
101: 상부 장착면
본 발명은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연결장치로 여러 규격의 안전밸브를 호환되게 검사할 수 있게 하여 안전밸브의 압력검사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킴으로써 반복검사를 쉽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검사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밸브(relief valve)라 함은, 회로의 압력이 안전밸브의 설정 압력을 넘어서게 되면 유체의 일부 또는 전량을 방출시켜 회로 내의 압력을 설정값 이하로 유지하는 압력 설정용 밸브를 말하는데, 통상적인 안전밸브는 규격에 따라 설정된 압력에서 정확하게 유체를 방출시켜야 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에는 다양한 규격의 안전밸브가 급수라인과 증기라인에 다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공장에서 출시되는 안전밸브는 제품검사를 거쳐 출고됨으로써 처음에는 안전성을 가지고 있으나,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작동압력을 설정하는 조정스프링이 노후되어 오작동할 수 있으므로 계속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성능검사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 등의 발전설비는 안전성을 확 보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설비를 분해하여 정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해정비 과정에서 안전밸브의 점검은 필수적인 작업이다.
안전밸브는 설비에 장착된 용도에 따라서 수압검사, 기압검사, 또는 두가지의 압력검사를 병행하여 시행해야 하고 각각의 용도에 따라 설정된 압력에 일치하는 검사압력을 가해야 한다. 또 이러한 안전밸브는 구조상 전용 장착 플랜지를 통해서만 발전설비의 사용부위에 장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같은 형태의 장착플랜지를 통해서만 검사기 위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검사방법은 밸브를 간이 검사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기압검사와 수압검사를 각각 따로 수행하고 있었으며 이들 간이 검사장비에서 안전밸브의 상태를 점검하는 방법은 각각의 안전밸브의 규격에 맞추어 제작한 전용 플렌지를 간이스탠드 위에 고정하고 그 위에 안전밸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용 플렌지 하부에 고압 질소가스를 주입하는 기압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질소가스 대신 수압펌프의 관을 연결하여 안전밸브의 작동 유무를 파악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간이스탠드를 이용한 안전밸브 검사방식은 기압검사와 수압검사를 병행하기 위한 준비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다음의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안전밸브를 검사할 경우에는, 안전밸브를 연결하는 플렌지의 규격이 호환성이 없음에 따라 각 규격의 안전밸브 수량만큼의 장착플렌지를 보유해야 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 방식의 검사장비는 규격이 다른 각각의 안전밸브를 검사할 경우에는 검사기의 베드 위에 조립된 플렌지와 더불어 압력 공급관까지 전체를 교체한 다음 각각의 규격이 다른 안전밸브를 검사해야 하므로 이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플렌지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플렌지의 장착면에 조립되는 오일 링과 가스켓의 손상이 자주 발생되고 또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분해, 재조립을 반복해야 되므로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검사효율을 저하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게다가 제작단가가 높은 안전밸브 장착 플렌지를 안전밸브 규격만큼 많은 수량을 준비해야 함으로써 종래 검사장비의 경우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과 별도로 많은 수량의 플렌지를 장착면이 상하지 않도록 보관 유지하는 데에도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수압검사를 하고자 할 때 부스터펌프를 통하여 물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맥동으로 인하여 검사 설정압력을 안전밸브의 설정치와 동일하게 조정하기가 어렵기도 하고 안전밸브를 작동시키는 순간에도 압력조절밸브 후단에 맥동에 의한 충격이 전해지므로 정확한 압력검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여러 번 검사를 반복하여도 신뢰할만한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단일의 장착플렌지와 교체가 용이한 다종의 디스크들로 구성된 연결장치를 통해 여러 규격의 안전밸브를 호환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검사기의 상부 장착면에 연결플렌지를 고정시키고 검사유체 공급관을 연결플랜지에 붙박이로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의 안전밸브의 규격에 맞추어 가공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크만 바꾸어 안전밸브와 같이 장착하여 플렌지를 통째로 교체할 때 발생되는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펌프의 후단에 축압기를 설치하여 유체관 내부의 유체가 맥동없는 압력을 유지되게 함으로써 압력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수압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안전밸브 검사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유체 유입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둘레 밀착면이 형성된 노즐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4개의 조립홀이 형성된 돌출 플렌지를 포함하는 안전밸브의 인입측 연결부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장홀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이 구비되 어 있는 연결 플렌지와; 중앙 유체 통과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직경이 다르고 다수로 구비되어 선택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의 상면과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들; 및 상기 연결 플렌지의 조립 장홀과 상기 돌출 플렌지의 조립홀에 관통된 다음 너트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와 돌출 플렌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 유입홀과 하부에 형성된 둘레 밀착면을 포함하는 노즐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4개의 조립홀이 형성된 돌출 플렌지를 포함하는 안전밸브의 인입측 연결부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으로 검사유체를 공급하는 안전밸브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장홀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 플렌지와, 중앙 유체 통과홀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직경이 다르고 다수로 구비되어 선택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의 상면과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들, 및 상기 연결 플렌지의 조립 장홀과 상기 돌출 플렌지의 조립홀에 관통된 다음 너트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와 돌출 플렌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며 ;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에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제1유체관이 더 연결되어 있고 ; 상기 제1유체관에는 물탱크부터 검사유체 공급관까지 간격을 두고 가압펌프, 제1차단 밸브, 축압기, 압력계, 제2차단밸브, 압력조절밸브,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 디지털 압력센서, 드레인밸브를 포함한 드레인관, 최종 차단밸브가 순서적으로 더 구비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와 안전밸브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유체 유입홀과 하부에 형성된 둘레 밀착면(931)을 포함하는 노즐(93)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4개의 조립홀(921)이 형성된 돌출 플렌지(92)를 포함하는 안전밸브(9)의 인입측 연결부(91)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렌지(1)를 개량하여, 안전밸브(9)의 규격에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밸브의 인입측 연결부(91)와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장홀(111)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11)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121)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12)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 플렌지(1)와; 중앙 유체 통과홀(12)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외경을 달리하게 다수로 구비되고 선택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상면과 노즐(93)의 둘레 밀착면(931)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2)들; 및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조립 장홀(111)과 상기 돌출 플렌지(92)의 조립홀(921)에 관통된 다음 너트(31)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1)와 돌출 플렌지(92)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렌지(1)의 하부 둘레에는, 검사기 본체(100)의 상부장착면(101)에 상기 연결 플렌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4개의 조립홀(131)을 포함하는 고정 플렌지부(1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디스크(2)의 둘레에는 상기 볼트(3)가 관통될 수 있도록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관통 장홀(211)이 등간격으로 더 구비된 돌출 원형부(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상부 중앙에는 원형 함몰홈(14)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2)의 하부에는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함몰홈(14)에 삽입되는 원형 돌출부(2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체 통과홀(12)과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121)은 상기 유체 통과홀(12)의 하부에 형성된 탭부(122)와,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탭부(122)에 조여지는 체결 연결관(12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 플랜지(1)를 관통하여 형성된 유체 통과홀(12)의 하단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탭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탭부(122)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 연결관(123)에 형성된 나사산이 조여지게 하여 검사 유체 공급관(4)을 연결 플랜지(1)에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장치를 통해 안전밸브(9)와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안전밸브(9)와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다수의 디스크(2)중 검사하고자 하는 안전밸브(9)의 규격에 상응되는 디스크(2)를 선별한다. 즉 안전밸브(9)를 구성하는 노즐(93)의 둘레 밀착면(931)을 완전하게 막을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2)를 선별한다.
다음 연결 플렌지(1)의 상부에 선별된 디스크(2)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디스크(2)의 상부에 안전밸브(9)의 인입측 연결부(91)를 올려놓는다. 즉 인입측 연결부(91)를 구성하는 노즐(93)의 하부 둘레 밀착면(931)이 디스크(2)의 상면에 둘레 밀착될 수 있도록 올려놓는다.
다음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조립 장홀(111)과 상기 돌출 플렌지(92)의 조립홀(921)에 볼트(3)를 관통시킨 다음 너트(31)로 볼트(3)를 조임으로써 연결 플렌지(1)와 안전밸브(9)의 돌출 플렌지(9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일의 연결 플렌지(1)와 교체가 용이한 다종의 디스크(2)로 구성된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규격의 안전밸브(9)와 검사유체 공급관(4)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밀착면에는 기능에 맞추어 오일 링을 더 구비하여 유체의 누설을 막을 수 있으며, 이러한 오링의 설치는 주지의 사실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안전밸브 검사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가 검사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본체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검사기는, 유체 유입홀과 하부에 형성된 둘레 밀착면(931)을 포함하는 노즐(93)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4개의 조립홀(921)이 형성된 돌출 플렌지(92)를 포함하는 안전밸브의 인입측 연결부(91)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으로 검사유체를 공급하는 안전밸브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에는 물탱크(51)와 연결되는 제1유체관(5)이 더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유체관(5)에는 물탱크(51)부터 검사유체 공급관(4)까지 간격을 두고 가압펌프(52), 제1차단밸브(53), 축압기(54), 압력계(55), 제2차단밸브(60), 압력조절밸브(56),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57), 디지털 압력센서(10) 드레인관을 포함한 드레인밸브(58), 최종 차단밸브(59)가 순서적으로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는,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장홀(111)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11)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121)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12)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 플렌지(1)와, 중앙 유체 통과홀(12)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직경이 다르고, 다수로 구비되어 선택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상면과 노즐(93)의 둘레 밀착면(931)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2)들, 및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조립 장홀(111)과 상기 돌출 플렌지(92)의 조립홀(921)에 관통된 다음 너트(31)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1)와 돌출 플렌지(92)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밸브 검사기는 수평 지지판(101)이 구비된 본체(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1)의 하부 둘레에는 다수의 조립홀(131)을 포함하는 고정 플렌지(1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장착판(101)의 상부에 체결요소를 통해 연결 플렌지(1)가 돌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 플렌지(1)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음에 따라서 안전밸브의 장착요건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유체관(5)의 체크밸브(57)와 디지털 압력센서(10)의 사이에는 질소탱크(61)와 연결된 제2유체관(6)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유체관(6)에는 질소탱크(61)부터 제1유체관(5)까지 간격을 두고 제3차단밸브(62)와 레귤레이터 역할을 하는 가스 압력조절밸브(63) 및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64)가 순서적으로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기는 상기 제1유체관(5)의 제2차단밸브(60)부터 압력조절밸브(56), 체크밸브(57)까지와 병렬로 설치된 제3유체관(7)이 제4차단밸브(71), 압력조절밸브(72), 체크밸브(73)의 순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능이 같은 병렬 유체관을 설치하는 것은 검사할 안전밸브의 압력 설정치에 따라 상대적인 저압에 적당한 압력조절밸브(56)와 상대적 고압에 적당한 압력조절밸브(72)로 역할을 분리하여 검사압력의 범위에 맞추어 선별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압력조절밸브의 기능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드레인밸브(58)와 최종 차단밸브(59)의 사이에는 유체 개폐밸브(81)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검증용 압력계를 설치할 수 있게 연결관(8)을 더 설치하였다.
상기의 설명에서 압력조절밸브(56, 63, 72)들은 레귤레이터의 역할을 하는 밸브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검사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사는 물을 이용하여 안전밸브의 동작여부를 검사하는 방법 및 가스를 이용하여 안전밸브를 검사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동일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수압검사 라인을 상대적인 저압라인과 상대적인 고압라인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압력검사를 필요로 하는 여러 안전밸브의 설정압력 범위가 너무 넓으므로 압력조절밸브(56, 72)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검사설정압력조건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저압의 범위에 속하는 안전밸브(9)를 검사할 경우에는, 제1유체관(5)의 제1,2 차단밸브(53, 60)와 최종 차단밸브(59)를 조작하고 가압펌프(52)를 작동시켜 검사용 안전밸브(9)의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대적인 저압의 압축수를 안전밸브(9)에 공급하여 압력검사를 수행할 경우에는, 압력조절밸브(56)를 완전히 푼 상태에서(일반적으로 레귤레이터는 반시계방향으로 풀면 압력이 낮게 설정되고 시계방향으로 조이면 압력이 높게 설정된다.) 최종 차단밸브(59)를 차단한 후 제1차단밸브(53)와 제2차단밸브(60)를 개방하고, 제3유체관(7)의 제4차단밸브(71)를 차단한다. 가압펌프(5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가압펌프(52)를 가동하면 압력조절밸브(56) 전단에 압력이 상승하고 이것은 압력계(55)에 나타나게 된다. 이때 압력조절밸브(56)를 조이면서 압력조절밸브 후단부터 최종차단밸브(59) 사이의 압력을 검사할 설정압력으로 조정한다. 이는 압력조절밸브(56)에 부속된 압력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디지털 압력센서(10)에 부속된 압력인디케이터(미도시)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축압기(54)를 거쳐서 공급되는 압축된 압축수는 맥동이 제거되어 세밀한 압력조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압펌프(5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컴프레셔 등의 압축공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되어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가동되며, 주입되는 공기압력의 수십배로 유체를 가압하는 부스터 펌프의 일종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가압펌프(52)에 의해 가압되고 압력조절밸브(56)에 의해 검사압력으로 조정된 압축수는 최종차단밸브(59)까지의 제1유체관(5) 내부에 충진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최종차단밸브(59)를 개방하면 안전밸브(9)에 설정압력의 압축수를 공급하게 되고 이때 안전밸브가 작동되어 공급된 물이 방출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사방법은 상대적인 고압검사 조건에서 사용되는 제3유체관(7)에서도 동일하다. 즉, 제2차단밸브(60)을 잠그고 최종차단밸브(59)를 폐쇄한 상태에서 레귤레이터의 역할을 하는 압력조절밸브(72)를 반시계방향으로 풀어두고 제1차단밸브(53)와 제4차단밸브(71)를 열어둔 후에 가압밸브(5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압력이 형성되면 압력조절밸브(72)를 시계방향으로 조여서 압력조절밸브(72) 후단의 압력을 검사할 압력으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 최종차단밸브(59)를 개방하면 안전밸브(9)에 설정압력(검사압력)의 압축수를 공급하게 되고 이때 안전밸브(9)가 작동되어 공급된 물이 방출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축압기(54)는 어큐뮬레이터의 일종으로써 가압펌프(52)에 의해서 유체관에 가해지는 충격적인 압력을 완충시킴으로써 압력조절밸브(56, 72)의 압력조정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설정된 압력으로 축적한 일정량의 압축수를 유체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기압 검사를 할 경우에는 압축 질소가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검사에 앞서 드레인밸브(58)를 열어서 유체관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을 배출시킨 후에 다시 잠근다. 최종 차단밸브(59)를 잠그고 제2유체관(6)의 제3차단밸브(62)를 개방한다. 압력조절밸브(63: 레귤레이터)를 완전히 풀어두고 제2유체관(6)과 압축 질소가스용기를 연결한 후 질소가스 용기를 개방한다. 질소가스가 제2유체관(6)에 공급된 후 제2유체관(6)의 압력조절밸브(63)를 조이면서 검사할 안전밸브(9)의 설정압력으로 조정한다. 이때 조정되는 압력은 압력조절밸브(63)에 부속된 압력계와 디지털 압력센서에 부속된 압력인디케이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63) 후 단의 압력이 검사할 압력으로 조절되면 최종차단밸브(59)를 개방하여 검사압력의 가스를 안전밸브(9)로 공급하게 되고 이때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질소가스가 방출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로 검사를 수행한다.
또한 최종 차단밸브(59) 전단에 디지털 압력센서(10)를 구비하여 조작판넬에 장치한 인디케이터에 설정압력을 숫자로 나타낼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원형 압력계를 통해서 압력을 미세 조정할 때 수반되는 불편을 해소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컴퓨터 등의 기록관리장치 까지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나의 검사장치에서 수압검사는 물론 기압 검사를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체의 종류 즉, 액체나 기체에 관계없는 각종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다양한 종류의 안전밸브 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 한 개의 연결플렌지와 교체가 용이한 다종의 디스크로 구성된 연결장치를 통해 여러 규격의 안전밸브를 호환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크만을 사용함으로서 연결이 가능하여 서로 다른 연결부의 구조를 갖는 플렌지를 각각 제작함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가공정밀도까지 향상됨은 물론, 취급이 용이하므로 보관이 쉬워서 보관 중에 손상이 발생할 염려도 없으며 교체에 소요되는 노력이 적으므로 여타의 부품손상도 예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압펌프 후단에 축압기를 설치하여 맥동을 제거함으로서 검사압력의 설정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압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유체 유입홀과 하부에 둘레 밀착면(931)이 형성된 노즐(93)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 간격으로 4개의 조립홀(921)이 형성된 돌출 플렌지(92)를 포함하는 안전밸브(9)의 인입측 연결부(91)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의 조립 장홀(111)이 등 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11)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121)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12)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 플렌지(1)와 ;
    중앙에는 유체 통과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93)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직경이 달라지되, 상기 둘레 밀착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둘레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 플렌지(1)와 노즐(93)의 둘레 밀착면(931)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2)들 및 ;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조립 장홀(111)과 상기 돌출 플렌지(92)의 조립홀(921)에 관통된 다음 너트(31)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1)와 돌출 플렌지(92)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121)은, 상기 유체 통과홀(12)의 하부의 나사산이 형성된 탭부(122)와,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탭부(122)에 나사로 조여지는 체결 연결관(1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상부 중앙에는 원형 함몰홈(14)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2)의 하부에는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함몰홈(14)에 삽입되는 원형 돌출부(2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1)의 하단에는 고정플랜지부(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부(13)에는 4개의 조립홀(131)이 형성되어 검사기 본체(100)의 상부장착면(101)에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랜지부(13)가 고정되는 상부장착면(101)의 접촉부 중심에 고정플랜지부(13)에 고정된 체결 연결관(123)과 검사유체 공급관(4)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 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4. 발전 설비에 설치된 안전밸브를 검사하는 수단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유체 유입홀과 하부에 둘레 밀착면(931)이 형성된 노즐(93)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4개의 조립홀(921)이 형성된 돌출 플랜지(92)를 포함하 는 안전밸브의 인입측 연결부(91)와 검사유체가 공급되는 검사유체 공급관(4)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으로 검사유체를 공급하는 발전 설비의 안전밸브를 검사하는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둘레에는 외측이 개방된 4개 의 조립 장홀(111)이 등 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돌출부(11)를 포함하고 내부 중앙에는 하부가 연결수단(121)을 통해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유체 통과홀(12)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 플렌지(1)와, 중앙 유체 통과홀(12)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둘레 밀착면의 외경에 따라 직경이 다르게 다수로 구비되어 선택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상면과 노즐(93)의 둘레 밀착면(931)의 사이를 밀폐하는 디스크(2)들, 및 상기 연결 플렌지(1)의 조립 장홀(111)과 상기 돌출 플렌지(92)의 조립홀(921)에 관통된 다음 너트(31)를 통해 체결되어 연결 플렌지(1)와 돌출 플렌지(92)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21)은 유체 통과홀(12)의 하부의 나사산이 형성된 탭부(122)와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탭부(122)에 나사로 조여지는 체결 연결관(123)으로 구성되며 ;
    상기 검사유체 공급관(4)에는 물탱크(51)와 연결되는 제1유체관(5)이 연결되어 있고 ;
    상기 제1유체관(5)에는 물탱크(51)부터 검사유체 공급관(4)까지 간격을 두고 가압펌프(52), 제1차단밸브(53), 축압기(54), 압력계(55), 제2차단밸브(60), 압력조절밸브(56),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57), 디지털 압력센서(10),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드레인밸브(58), 최종 차단밸브(59)가 순서적으로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관(5)의 체크밸브(57)와 디지털 압력센서(10)의 사이에는 질소탱크(61)와 연결되는 제2유체관(6)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유체관(6)에는 질소탱크(61)부터 제1유체관(5)과의 연결부까지 간격을 두고 제3차단밸브(62)와 가스 압력조절밸브(63) 및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64)가 순서적으로 더 구비되어 안전밸브의 용도에 따라서 수압검사와 기압검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관(5)의 제2차단밸브(60), 저압 압력조절밸브(56) 및 체크밸브(57)로 이어지는 유압라인과 병렬로 제3유체관(7)이 더 연결되고,
    상기 제3유체관(7)에는 제4차단밸브(71), 고압 압력조절밸브(72), 체크밸브(73)가 구비되어 있어서 검사할 안전밸브의 검사설정압력에 따라 저압라인과 고압라인으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검사압력 설정범위를 정하여 압력검사를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차단밸브(59)의 전단에 디지털 압력센서(10)와, 검증용 압력계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연결관(8)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8)에는 개폐밸브(8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KR1020070012872A 2006-06-21 2007-02-07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KR100772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30 2006-06-21
KR20060056130 2006-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628B1 true KR100772628B1 (ko) 2007-11-02

Family

ID=3906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872A KR100772628B1 (ko) 2006-06-21 2007-02-07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6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619B1 (ko) 2009-12-24 2016-04-12 주식회사 포스코 노 내부 측정보조장치
KR20180079594A (ko) * 2016-12-30 2018-07-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밸브 압력 검사기
KR102022709B1 (ko) * 2018-04-03 2019-09-19 주식회사 성보산업 안전밸브 성능 시험기
CN111746742A (zh) * 2020-06-22 2020-10-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化学品船货舱pv阀的压力试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010A (ko) * 1995-03-29 1996-10-24 경주현 안전밸브 테스트장치
KR200196268Y1 (ko) * 2000-04-20 2000-09-15 김기철 안전밸브의 설정압력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010A (ko) * 1995-03-29 1996-10-24 경주현 안전밸브 테스트장치
KR200196268Y1 (ko) * 2000-04-20 2000-09-15 김기철 안전밸브의 설정압력 검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35010 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619B1 (ko) 2009-12-24 2016-04-12 주식회사 포스코 노 내부 측정보조장치
KR20180079594A (ko) * 2016-12-30 2018-07-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밸브 압력 검사기
KR102058887B1 (ko) * 2016-12-30 2019-12-26 대한민국 밸브 압력 검사기
KR102022709B1 (ko) * 2018-04-03 2019-09-19 주식회사 성보산업 안전밸브 성능 시험기
CN111746742A (zh) * 2020-06-22 2020-10-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化学品船货舱pv阀的压力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593B2 (en) Double check valve assembly
US7784483B2 (en) Backflow preventer
US6513543B1 (en) Backflow preventer valve
KR100772628B1 (ko) 안전밸브의 압력검사를 위한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이용한 발전설비의 안전밸브 검사기
KR200475667Y1 (ko) 닫힘 토크제어 모터구동 평형게이트 밸브용 누설검사 장치 및 검사방법
KR101017778B1 (ko) 밸브요소의 기밀시험장치
US11125644B2 (en) Mechanical seal testing
KR20100045242A (ko) 원자로 냉각재 압력 경계 스윙 체크 밸브의 시험 장치
KR100540308B1 (ko) 가압기 안전밸브의 누설 및 압력설정 시험장치
US5801298A (en) In-line valve seat leak flow testing apparatus
KR101103990B1 (ko) 밸브 성능 시험용 테스트 플랜지
KR20130073522A (ko) 버터플라이 밸브 단면고정형 수명시험장치
US8522825B2 (en) Fluid apparatus unit structure
US11326978B2 (en) Leak indicating clamp
CN208735101U (zh) 反应堆液力闸门泄漏监测装置
CN114061851A (zh) 一种自密封式金属密封环性能测试系统及方法
KR200377628Y1 (ko) 밸브 성능 시험기
KR101425301B1 (ko) 대형 밸브용 실란트 피팅의 이중 결합식 설치구조
US5778933A (en) Orifice fitting
CN103776591A (zh) 低温阀的试验装置
EP2999910B1 (en) Pipe connection
CN115683493A (zh) 一种自密封阀门在线密封性试验装置和方法
JPH0559375B2 (ko)
RU218630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монтажа штуцера набивочного
CN115773851A (zh) 一种核电重要厂用水系统蝶式止回阀密封检测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