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573B1 -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573B1
KR100772573B1 KR1020060087785A KR20060087785A KR100772573B1 KR 100772573 B1 KR100772573 B1 KR 100772573B1 KR 1020060087785 A KR1020060087785 A KR 1020060087785A KR 20060087785 A KR20060087785 A KR 20060087785A KR 100772573 B1 KR100772573 B1 KR 10077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gas
refined oi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길
Original Assignee
이수환경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환경기술(주) filed Critical 이수환경기술(주)
Priority to KR102006008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6Organic sulfur compounds, e.g. mercapt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포집이 용이하고, 포집된 대기오염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함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아주 용이한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략 T자 형상의 포집관을 통해 대기오염물질과 공기를 일률적으로 포집함으로 외부 풍속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포집하기 용이하고, 포집된 대기오염물질은 기액분리장치 및 흡착탑을 통해 보다 완벽하게 제거됨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들은 플랜지 결합됨으로 튼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측정구, 온도계 및 압력계가 구비됨으로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포집관, 송풍기, 기액분리장치, 흡착탑, 드레인, 플랜지

Description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of the air pollution material which and is generated in the stock, and the storage tank of the refined oil with the petrochemistry product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전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집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탑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탑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집관 110 : 수평부재
112 : 플랜지부 114 : 절곡부
120 : 수직부재 122 : 플랜지부
200 : 이송관 210a,210b : 플랜지부
220 : 배출구 300 : 기액분리장치
310 : 본체 312 : 뚜껑
314 : 드레인 316a,316b : 플랜지부
320 : 여과망부재 400 : 송풍기
500 : 흡착탑 510 : 본체
512 : 케이스 514 : 제 1분리판 부재
514a : 제 1분리판 514b : 제 2분리판
514c : 제 3분리판 516 : 제 2분리판 부재
518 : 제 3분리판 부재 520 : 드레인
522 : 출입문 524 : 유도관
526 : 배출관 530 : 제 1여과부재
540 : 제 2여과부재 550 : 제 3여과부재
560 : 계단 562 : 난관
570 : 측정구 580a,580b : 온도계
590 : 압력계 600 : 버터플라이밸브
700 : 저장탱크
본 발명은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포집이 용이하고, 포집된 대기오염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함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아주 용이한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은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및 총탄화수소류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지 않고 대기중에 무단 배출되면 아주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종래에는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와 결합되는 이송관과, 이 이송관을 따라 이송된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내부에 활성탄이 구비된 흡착탑으로 구성된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즉, 흡착탑 내로 유입된 대기오염물질을 활성탄이 그 일부를 흡착하게 되지만, 나머지는 대기 중으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되면, 시설이 비교적 간단한 장점은 있지만 대기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처리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 내의 대기오염물질을 포집하기 용이하고, 포집된 대기오염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의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유 및 정제유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플랜지 결합되어 공기와 함께 대기오염물질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포집관; 상기 포집관의 일측과 플랜지 결합되어 포집관을 통해 포집된 공기 및 대기오염물질이 이송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플랜지 결합되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기체와 액체의 일부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기액분리장치; 상기 기액분리장치와 플랜지 결합되어 공기 및 대기오염물질을 흡입 및 배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플랜지 결합되어 송풍기를 통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흡착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집관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 풍속에 영향을 덜 받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부에는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와 플랜지 결합되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과, 분리된 기체와 액체를 배출하도록 하면에 구비되는 드레인과, 이송관 및 송풍기와 플랜지 결합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기체와 액체 일부를 분리하는 여과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탑은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면은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 1분리판 부재, 제 2분리판 부재 및 제 3분리판 부재에 의해서 구획되고, 바닥면은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경사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면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관리자 출입문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와 플랜지 결합되어 이송되는 공기와 대기오염물질을 케이스의 바닥면 중앙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도관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대기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제 1분리판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 내로 유입되어 상승되는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산성가스(황화수소)를 1차로 환원하도록 흡수력이 뛰어난 산화제이철로 구성된 제 1여과부재; 상기 제 2분리판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 1여과부재를 통과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를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력이 뛰어난 기능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제 2여과부재; 및 상기 제 3분리판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 2여과부재를 통과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 를 다시 한번 흡착할 수 있도록 기능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제 3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배출관에는 배출되는 공기에 대해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는 내부 온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계가 추가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전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는 크게 저장탱크(700)와 플랜지 결합되는 포집관(100), 상기 포집관(100)과 플랜지 결합되는 이송관(200), 상기 이송관(200)과 플랜지 결합되는 기액분리장치(300), 상기 기액분리장치(300)와 플랜지 결합되는 송풍기(400) 및 상기 송풍기(400)와 플랜지 결합되는 흡착탑(500)을 포함 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700)는 내부에 석유 화학제품 혹은 원유, 정제유를 저장하는 탱크로써,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저장탱크(700) 내에 구비되는 원유나 정제유의 온도는 용도에 따라 상온에서 120도 내지 160도 등으로 다양하다.
상기 포집관(100)은 상기 저장탱크(700)의 플랜지부와 플랜지 결합되어 저장탱크(700) 내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과 외부 공기를 동시에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관(200)은 상기 포집관(100)과 상기 기액분리장치(300)와 플랜지 결합되도록 양 끝단에 플랜지부(210a)(210b)가 각각 형성되어 이들과 플랜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200)의 일측면에는 배출구(220)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고온의 대기오염물질이 이송될 때 외부 온도와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220)에는 배출을 단속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수동 및 전자밸브를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미도시 되었지만 응축수가 배출되면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집관(100)과 이송관(200)의 연결부에는 공기 및 대기오염물질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버터플라이밸브(6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버터플라이밸브(600)는 통상 산업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인데,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써, 관로 내부에 구비된 원판을 회전시켜 관로를 개방 혹은 차단하게 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버터플라이밸브(600)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다양한 밸브가 설치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될 것이다.
상기 기액분리장치(300)는 상기 이송관(200)과 송풍기(400)와 각각 플랜지 결합되도록 양 측면에 플랜지부(316a)(3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로 유입된 대기오염물질의 기체 혹은 액체를 일부 제거하게 된다. 이 구성에 대해서도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상술하겠다.
상기 송풍기(400)는 상기 기액분리장치(300)와 흡착탑(500)과 플랜지 결합되며, 저장탱크(700) 내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과 공기를 포집관(100)을 통해 포집하여 이송관(200) 및 기액분리장치(300)를 거쳐 흡착탑(500) 내에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송풍기(400)는 통상 산업현장에 다소 적용되고 있음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흡착탑(500)은 상기 송풍기(400)와 플랜지 결합되며, 송풍기(400)에서 배출된 공기 중 대기오염물질만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이 구성 또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집관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포집관(100)은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120)로 이루어진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관체이며, 상기 수평부재(110)의 일단에는 이송관(200)의 일측 플랜지부(210a)와 결합되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 풍속에 영향을 덜 받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20)의 끝단부에는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700)와 플랜지 결합되도록 플랜지부(122)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부재(120)를 통해서는 저장탱크(700) 내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수평부재(110)의 절곡부(114)를 통해서는 공기가 유입되어 대기오염물질과 공기가 동시에 포집되어 적절하게 희석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곡부(114)가 하향 절곡되어 있음으로 외부 풍속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률적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기액분리장치(300)는 크게 본체(310) 및 여과망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310)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312)과, 분리된 기체와 액체를 배출하도록 하면에 구비되는 드레인(314)과, 이송관(200) 및 송풍기(400)와 플랜지 결합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316a)(316b)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망부재(320)는 상기 본체(31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관(200)을 통해 이송된 공기 및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기체와 액체 일부를 분리하게 되는데, 아주 미세한 망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미세한 망을 여러 번에 걸쳐 접게 됨으로 더욱 미세하게 하여 기체와 액체를 흡수하게끔 구현하였는데, 이는 부직포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액분리장치(30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여과망부재(320)를 씻거나 새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에 개폐 가능한 뚜껑(312)을 통해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310)의 바닥면은 여과망부재(320)에 의해서 분리된 기체와 액체가 드레인(314)을 통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레인(314)을 통해 배출된 기체와 액체는 미도시 되었지만 별도의 저장조에 저장한 후 다시 여과를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탑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탑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면, 흡착탑(500)은 크게 본체(510), 제 1여과부재(530), 제 2여과부재(540) 및 제 3여과부재(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10)는 케이스(512), 드레인(520), 출입문(522), 유도관(524) 및 배출관(5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12)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면에는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 1분리판 부재(514), 제 2분리판 부재(516) 및 제 3분리판 부재(518)에 의해서 구획되고, 바닥면은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오목한 경사를 가진다. 그리고, 케이스(512) 일측에는 관리자가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계단(560)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관리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난관(56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분리판 부재(514) 내지 제 3분리판 부재(518)는 상기 제 1여과부재(530) 내지 제 3여과부재(550)를 각각 안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써,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 1분리판 부재(514) 내지 제 3분리판 부재(518)는 제 1분리판(514a), 제 2분리판(514b) 및 제 3분리판(514c)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분리판(514a)이 케이스(512) 내면에 부착되고, 제 2분리판(514b) 및 제 3분리판(514c)은 그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각 분리판(514a)(514b)(514c)에 형성된 소공(a,b,c)의 지름은 제 1분 리판(514a) 보다 제 2분리판(514b)이 좁고, 제 2분리판(514b) 보다 제 3분리판(514c)이 더 좁게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부에 안치되는 제 1여과부재(530) 내지 제 3여과부재(550)는 낙하되지 않고, 동시에 대기오염물질은 통과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520)은 상기 케이스(512) 하면에 설치되며, 케이스(512) 바닥면의 경사를 따라 모이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배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밸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밸브 또한 수동식 혹은 전자밸브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522)은 상기 케이스(512)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열고 닫기 용이하도록 일측을 힌지 결합하여 관리자가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상기 유도관(524)은 상기 케이스(512)의 하부에 구비되며,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400)와 플랜지 결합되며, 이송되는 공기와 대기오염물질을 케이스(512)의 바닥면 중앙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유도관(524)은 통상의 엘보관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출관(526)은 상기 케이스(512)의 상부에 구비되어 대기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한다. 이 배출관(526)의 최상단부에는 상부 및 측면 이 막힌 커버체가 부착되므로 비가 유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제 1여과부재(530)는 상기 제 1분리판 부재(514)의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510) 내로 유입되어 상승되는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산성가스(황화수소)를 1차로 환원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써,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력이 뛰어난 산화제이철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여과부재(540)는 상기 제 2분리판 부재(516)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 1여과부재(530)를 통과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를 흡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써,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에 대한 흡착력이 뛰어난 기능성 활성탄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3여과부재(550)는 상기 제 3분리판 부재(518)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 2여과부재(540)를 통과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를 다시 한번 흡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써, 이 또한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에 대한 흡착력이 뛰어난 기능성 활성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10)의 배출관(526)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성분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구(5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관리자는 계단(560)을 통해 본체(510) 상부에 올라가서 대기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배출관(526)을 통해 최종적으 로 배출되는 공기에 대해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이 측정은 측정기계를 이용하거나 혹은 측정기계를 측정구에 매립시켜 상시 육안으로 확인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510)의 상하부에는 내부 온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계(580a)(580b)가 구비된다. 상부에 구비된 온도계(580a)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시침이 마련된 육안 확인용 온도계(580a)로 구현할 수 있으며, 반면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계(580b)는 내부 온도를 센서에 의해 측정한 후 이 결과를 유무선으로 관리실에 송신하도록 구현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계(580a)(580b)는 통상의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음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510)의 상하부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59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또한, 상기 온도계(580a)(580b)와 마찬가지로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결과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현하거나 외부에서 육안으로 압력을 볼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먼저 송풍기(400)를 가동시키면 원유 및 정제유가 저장된 저장탱크(700)와 플랜지 결합되어 있는 포집관(100)이 대기오염물질과 공기를 함께 포집하게 되며, 포집된 공기는 이송관(200)을 따라 기액분리장치(3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포집관(100)에는 절곡부(114)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외부 풍속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일률적으로 공기와 대기오염물질을 포집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송관(200)에는 외부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20)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관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기액분리장치(300)로 유입된 대기오염물질은 여과망부재(320)를 통과하면서 기체 및 액체가 일부 제거되어 흡착탑(500)으로 유입되며, 흡착탑(5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 1여과부재(530), 제 2여과부재(540) 및 제 3여과부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대기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때, 흡착탑(500)의 유도관(524)은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을 본체(510) 바닥면 중앙부로 유도 배출하게 됨으로 대기오염물질이 균일하게 상승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제 1여과부재(530), 제 2여과부재(540) 및 제 3여과부재(550)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여과부재를 100% 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드레인(520)을 통해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510)에는 온도계(580a)(580b) 및 압력계(590)가 구비됨으 로 내부 온도 및 압력을 쉽게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음으로 유지관리가 아주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의하면, 대략 T자 형상의 포집관(100)을 통해 대기오염물질과 공기를 일률적으로 포집함으로 외부 풍속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포집하기 용이하고, 포집된 대기오염물질은 기액분리장치(300) 및 흡착탑(500)을 통해 보다 완벽하게 제거됨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장치들은 플랜지 결합됨으로 튼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측정구(570), 온도계(580a)(580b) 및 압력계(590)가 구비됨으로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의하면, 대략 T자 형상의 포집관을 통해 대기오염물질과 공기를 일률적으로 포집함으로 외부 풍속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포집하기 용이하고, 포집된 대기오염물질은 기액분리장치 및 흡착탑을 통해 보다 완벽하게 제거됨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들은 플랜지 결합됨으로 튼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온도계 및 압력계가 구비됨으로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원유 및 정제유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플랜지 결합되어 공기와 함께 대기오염물질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포집관;
    상기 포집관의 일측과 플랜지 결합되어 포집관을 통해 포집된 공기 및 대기오염물질이 이송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플랜지 결합되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기체와 액체의 일부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기액분리장치;
    상기 기액분리장치와 플랜지 결합되어 공기 및 대기오염물질을 흡입 및 배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플랜지 결합되어 송풍기를 통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흡착탑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 풍속에 영향을 덜 받 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부에는 원유 및 정제유 저장탱크와 플랜지 결합되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과, 분리된 기체와 액체를 배출하도록 하면에 구비되는 드레인과, 이송관 및 송풍기와 플랜지 결합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기체와 액체 일부를 분리하는 여과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탑은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면은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 1분리판 부재, 제 2분리판 부재 및 제 3분리판 부재에 의해서 구획되고, 바닥면은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경사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면에 설치되어 응축수 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관리자 출입문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와 플랜지 결합되어 이송되는 공기와 대기오염물질을 케이스의 바닥면 중앙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도관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대기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제 1분리판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 내로 유입되어 상승되는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산성가스(황화수소)를 1차로 환원하도록 흡수력이 뛰어난 산화제이철로 구성된 제 1여과부재;
    상기 제 2분리판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 1여과부재를 통과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를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력이 뛰어난 기능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제 2여과부재; 및
    상기 제 3분리판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 2여과부재를 통과한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된 메틸메르캅탄, 총탄화수소류를 다시 한번 흡착할 수 있도록 기능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제 3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출관에는 배출되는 공기에 대해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는 내부 온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계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KR1020060087785A 2006-09-12 2006-09-12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KR10077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785A KR100772573B1 (ko) 2006-09-12 2006-09-12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785A KR100772573B1 (ko) 2006-09-12 2006-09-12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573B1 true KR100772573B1 (ko) 2007-11-06

Family

ID=3906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785A KR100772573B1 (ko) 2006-09-12 2006-09-12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19B1 (ko) 2007-06-05 2008-11-26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건식 탈황기
CN107173241A (zh) * 2017-04-26 2017-09-19 苏州市金燕净化设备工程有限公司 垫料收集系统
CN116251445A (zh) * 2023-05-15 2023-06-13 大庆亿鑫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石油醚制备用提取装置及其提取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306A (ko) * 1999-12-14 2001-07-04 차동순 주유소용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리회수장치.
KR100375079B1 (ko) 2000-10-17 2003-03-07 안창덕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응축식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0406496B1 (ko) 2001-03-19 2003-12-06 비앤이테크(주)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306A (ko) * 1999-12-14 2001-07-04 차동순 주유소용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리회수장치.
KR100375079B1 (ko) 2000-10-17 2003-03-07 안창덕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응축식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0406496B1 (ko) 2001-03-19 2003-12-06 비앤이테크(주)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19B1 (ko) 2007-06-05 2008-11-26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건식 탈황기
CN107173241A (zh) * 2017-04-26 2017-09-19 苏州市金燕净化设备工程有限公司 垫料收集系统
CN116251445A (zh) * 2023-05-15 2023-06-13 大庆亿鑫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石油醚制备用提取装置及其提取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052B1 (ko) 저탄소 악취 저감장치
CN104667672B (zh) 一种烟尘水化器
ATE497816T1 (de) Separatortank zur trennung eines wasser, öl und gas enthaltenden fluids, verwendung eines derartigen tanks und verfahren zur trennung eines wasser, öl und gas enthaltenden fluids
RU2569349C1 (ru) Адсорбер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KR20130117042A (ko) 응축수 트랩장치 및 그에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장치
KR100772573B1 (ko) 석유 화학제품 시설 및 원유, 정제유의 저장탱크에서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US10675561B2 (en) Sulfur seal device
KR101558239B1 (ko) 빗물 여과장치
EA03927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загрязнений из газовых потоков
KR102191964B1 (ko)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건식 흡착탑
CN203874635U (zh) 罐区重污油废气回收装置
KR101643139B1 (ko) 반도체 제조설비용 배기관의 드레인포켓
CN208287741U (zh) 一种工业废气除尘净化装置
CN208194034U (zh) 一种通风柜智能排污装置
RU252163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тделения от воды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мехпримесей
CN211201924U (zh) 余气回收系统
CN110040385A (zh) 一种分液污油集成装置
JP3338964B2 (ja) オイル/水混合物からオイルを分離する装置
CN208995457U (zh) 一种天然气脱硫除尘装置
CN210448645U (zh) 一种管道内气液两相旋流发生装置
CN112611693A (zh) 一种基于气体净化装置的烟气测量系统
KR102411590B1 (ko) 역세 기능을 갖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정수장치 및 그 정수방법
KR200463919Y1 (ko)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RU155707U1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сепаратор
CN215996128U (zh) 低浓度VOCs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