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877B1 -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877B1
KR100771877B1 KR1020060068405A KR20060068405A KR100771877B1 KR 100771877 B1 KR100771877 B1 KR 100771877B1 KR 1020060068405 A KR1020060068405 A KR 1020060068405A KR 20060068405 A KR20060068405 A KR 20060068405A KR 100771877 B1 KR100771877 B1 KR 10077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command register
input
code information
ke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식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181Instruction operation extension or modification
    • G06F9/30189Instruction operation extension or modification according to execution mode, e.g. mode fl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98Register arrangements
    • G06F9/30101Special purpose regis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09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맨드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또는 ESD(Electrostatic Discharge) 등과 같은 노이즈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은 소정의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천이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커맨드의 입력에 상응하는 정보를 커맨드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커맨드, 노이즈, 프로토콜, 레지스터

Description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mmand set protocol for preventing from malfunc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커맨드 세팅 프로토콜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처리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 표시 구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세팅 프로토콜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커맨드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또는 ESD(Electrostatic Discharge) 등과 같은 노이즈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들은 EMI 또는 ESD 노이즈 에 의하여 커맨드 레지스터에 설정된 값을 변화시켜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발시키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커맨드 세팅 프로토콜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우선, 이미지 처리용 드라이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호스트로부터 커맨드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10).
단계110(S110)의 판단 결과 커맨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커맨드에 대응되는 각종 커맨드 레지스터를 커맨드에 따라 세팅 처리한다(S120).
그리고 나서, 커맨드 레지스터의 세팅 값에 따라 해당 커맨드를 실행한다(S130).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후에 EMI 또는 ESD 노이즈가 발생되어 커맨드 레지스터의 세팅 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 예로 이미지 라이트 커맨드를 처리하는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처리 회로 구성을 보여준다.
22(H) 이미지 라이트 커맨드가 발생되어 디코더(DEX0)의 출력이 "1"이 되면, D-플립플롭(FF0)의 입력 단자(D)도 "0"에서 "1"로 된다.
그리고 나서, 인덱스 클럭(INDEX CLOCK)이 D-플립플롭(FF0)에 인가되면, D- 플립플롭(FF0)의 출력 단자(Q)는 "0"에서 "1"로 된다.
D-플립플롭(FF0)의 출력 단자(Q)는 라이트 인에이블 플래그(Write Enable Flag) 상태를 나타내는데, 라이트 인에이블 플래그 상태가 "1"이면 앤드(AND) 게이트(G0)에 입력되는 데이터 라이트 클럭(DATA WRITE CLOCK)이 그대로 출력된다.
물론, 라이트 인에이블 플래그 상태가 "0"이면 앤드(AND) 게이트(G2)의 출력 단자는 데이터 라이트 클럭(DATA WRITE CLOCK)의 입력 유무에 관계없이 "0"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이미지 라이트 커맨드가 디코더(DEC1)에 입력되어 커맨드 레지스터의 라이트 인에이블 플래그 상태가 "1"로 유지되는 동안에 메모리 라이트 클럭을 발생시켜, 이후에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도면에 미도시)에 라이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EMI 또는 ESD 노이즈 등은 입력 포트에 영향을 주는데, 커맨드 레지스터의 플립플롭(FF0)의 클럭 입력단자 및 리세트 단자에 인입되는 경우에는 라이트 인에이블 플래그의 상태가 바뀌어 비정상적인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후에 해당 커맨드를 실행하는 도중에 입/출력 라인을 통하여 EMI 또는 ESD 등과 같은 노이즈가 인입되면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값이 변화하게 되면 원하지 않는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은 소정의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천이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커맨드의 입력에 상응하는 정보를 커맨드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커맨드 입력 인에이블 모드에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들이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맨드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에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들이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장치는 입력되는 커맨드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기입하는 커맨드 레지스터; 소정의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 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고, 상기 소정의 커맨드 입력 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키 코드 정보 생성 회로; 및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가 발생되는 동안에만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이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 코드 정보 생성 회로는 소정의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1특정 키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상기 소정의 커맨드 입력 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2특정 키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키 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제1특정 데이터 또는 제2특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덱스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출력 데이터를 다음 인덱스 클럭까지 보전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 및 상기 복수개의 플립플롭의 출력 데이터 값이 상기 제1특정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발생시키고, 그 외의 경우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발생시키는 디코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키 정보와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용 인덱스 클럭 신호의 논리 곱 연산하고, 연산된 출력신호를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클럭 단자에 인가하는 제1앤드 게이트; 및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키 정보와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용 리세트 신호의 논리 곱 연산하고, 연산된 출력신호를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리세트 단자에 인가하는 제2앤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의 일 예로서 액정 표시 구동 장치를 선택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이 액정 표시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 표시 구동 장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00), 마이크로프로세서(200), 메모리(300), 게이트 구동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계조전압 생성부(600) 및 액정 표시 패널(700)로 구성된다.
액정 표시 패널(70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표시 신호 라인(G1-Gn, D1-Dm)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화소 단위의 액정 표시 소자들을 포함한다.
표시 신호 라인(G1-Gn, D1-Dm)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1-G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D1-Dm)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G1-Gn)은 행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으며, 데이터 라인(D1-Dm)은 열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다.
계조 전압 생성부(600)는 화소를 단위의 액정 표시 소자의 투과율과 관련된 계조 전압을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액정 표시 패널(700)의 게이트 라인(G1-Gn)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펄스 신호를 생성시켜 각각 게이트 라인(G1-Gn)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액정 표시 패널(700)의 데이터 라인(D1-Dm)에 연결되어 계조 전압 생성부(600)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커맨드 및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커맨드를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들을 생성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스(200)에는 커맨드 해석과 실행을 담당하는 컨트롤 유니트(control unit)와 각종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레지스터들로 구성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00)에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00)로부터 입력되는 커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세팅하는 복수의 커맨드 레지스터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커맨드 레지스터들의 세팅 값에 의하여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들이 생성된다.
그런데, 커맨드 레지스터에 세팅되어 있는 값들이 EMI 또는 ESD 등과 같은 노이즈에 의하여 변경되는 경우에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시하는 새로운 규격의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은 화상 처리용 드라이버 IC에 커맨드를 입력하기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command register input enable mode)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고, 커맨드 입력 후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command register input disable mode)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에서는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인덱스 클럭 및 리세트 신호들이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에서는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인덱스 클럭 및 리세트 신호들이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입력 커맨드가 커맨드 레지스터에 입력되기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를 생성시킨다. 키 데이터(key data)는 특정 조건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키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키 데이터 생성 수단(도면에 미도시)에서 생성되며, 키 데이터 생성 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200)에 내장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키 데이터에 의하여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마이크로프로세스(200)에 내장된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회로의 일예를 보여준다.
D 플립플롭(FF0 ~ FFn)의 입력 단자(D)에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클럭 단 자에는 인덱스 클럭(INDEX CLOCK)이 인가된다. 인덱스 클럭은 키 데이터가 발생되는 구간에서 1회 발생되게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서, D 플립플롭(FF0 ~ FFn)의 출력 단자(Q)에는 키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에서 인덱스 클럭이 인가되면 키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리고 다음 인덱스 클럭이 인가되기 전까지는 이전 출력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디코더(DEC1)의 입력 단자에 키 데이터가 인가된다. 디코더(DEC1)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 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를 지시하는 키 코드 정보(Key Code_CR)를 생성시킨다.
디코더(DEC1)는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키 데이터가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key data)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출력 단자로"1"의 값을 갖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를 출력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0"의 값을 갖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회로를 참조하여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회로는 디코더(DEC11), 플립플롭(FFx) 및 앤드 게이트(G11 ~G13)로 구성된다.
앤드 게이트(G12, G13)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가 발생되는 동안에만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제어 신호(인덱스 클럭 및 리세트 신호)들이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논리 회 로(BL1)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맨드를 이미지 라이트 스타트 커맨드(Image Write Start Command; 22(H))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커맨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커맨드가 입력되기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IC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호스트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디코더(DE112)로 커맨드가 입력되기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가 발생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로부터 키 데이터에 의하여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를 세팅시키는 "1"의 값을 갖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가 생성된다.
도 4에서 생성된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 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를 지시하는 키 코드 정보(Key Code_CR)는 앤드 게이트(G12, G13)의 입력 단자에 각각 인가된다. 그리고, 앤드 게이트(G12)의 다른 입력 단자에는 인덱스 클럭 신호가 인가되고, 앤드 게이트(G13)의 다른 입력 단자에는 리세트 신호(RESETB)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서, 키 코드 정보(Key Code_CR)가 "1"인 경우(즉,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에만 인덱스 클럭 및 리세트 신호가 각각 D 플립플롭(FFX)의 클럭 단자 및 리세트 단자로 전달된다. 그리고, 키 코드 정보(Key Code_CR)가 "0"인 경우(즉,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에는 인덱스 클럭 및 리세트 신호는 각각 D 플립플롭(FFX)의 클럭 단자 및 리세트 단자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가 발생되므로 인덱스 클럭 및 리세트 신호가 정상적으로 플립플롭(FFx)으로 전달된다.
즉,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세팅된 상태에서 커맨드가 입력된다. 일 예로서 이미지 라이트 스타트 커맨드(22(H))가 디코더(DEC11)로 입력되면, 디코더(DEC11)의 출력 값은 "1"이 된다. 그리고 나서, 인덱스 클럭이 발생되고,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있는 동안에는 논리 회로(BL1)에서는 인덱스 클럭을 플립플롭(FFX)의 클럭 단자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서, 플립플롭(FFX)의 출력 단자(Q)에는 "1"이 출력된다. 참고적으로, 플립플롭(FFX)은 라이트 인에이블 플래그(Write Enable Flag)를 표시하는 커맨드 레지스터이다.
플립플롭((FFX)의 출력은 앤드 게이트(G11)의 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앤드 게이트(G11)는 라이트 제어 신호인 메모리 라이트 클럭(MEMORY WRITE CLOCK)신호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앤드 게이트(G11)의 입력 단자로 "1"인 라이트 인에이블 플래그 정보가 인가되는 동안에 앤드 게이트(G11)의 다른 입력 단자로 인가되는 데이터 라이트 클럭(DATA WRITE CLOCK) 신호가 그대로 앤드 게이트(G11)의 출력 단자로 출력된다.
만일, 앤드 게이트(G11)의 입력 단자로 "0"의 값을 갖는 라이트 디스에이블 플래그 정보가 인가되는 동안에는 앤드 게이트(G11)의 다른 입력 단자로 인가되는 데이터 라이트 클럭(DATA WRITE CLOCK) 신호는 차단되고, 앤드 게이트(G11)의 출력 단자로 는 "0"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회로를 이용하여 호스트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도 3의 메모리(300)에 라이트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에 따르면 커맨드 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시킨다.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는 위에서 커맨드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와 동일하지 않은 임의의 데이터로 결정하며, 일 예로서 모든 비트가 "0"인 키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가 플립플롭(FF0 ~FFn)의 입력단자(D)에 인가된 상태에서 인덱 스 클럭이 각 플립플롭(FF0 ~FFn)의 클럭단자에 인가되면,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세팅하기 위한 키 데이터(key data)가 플립플롭(FF0 ~FFn)의 출력단자로 출력되어 디코더(DEC1)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서, 디코더(DEC1)의 출력단자에서는 "0"의 값을 갖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된다. 즉,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를 지시하는 키 코드 정보(Key Code_CR)가 생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0"의 값을 갖는 키 코드 정보(Key Code_CR)가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회로의 논리 회로(BL1)에 인가되면, 논리 회로(BL1)에서는 인덱스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가 플립플롭(FFX)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서, EMI 또는 ESD 등의 노이즈가 커맨드 레지스터인 플립플롭(FFX)의 클럭 라인 또는 리세트 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더라도,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값이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에 대하여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은 화상 처리용 드라이버 IC에 커맨드를 입력하기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고, 커맨드 입력 후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는 커맨드 레지스터 정보 기 입에 필요한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들이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는 커맨드 레지스터 정보 기입에 필요한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들이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우선, 커맨드 입력 조건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S610). 커맨드 입력 조건의 발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도면에 미도시)를 통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펑션 커맨드(function command)가 수신되는 지로 판단한다.
단계610(S610)의 판단 결과 커맨드 입력 조건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1특정 키 데이터를 생성시켜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전환시킨다(S620). 참고적으로, 기기의 초기 상태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설정되게 설계한다.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전환시키고 나서, 화상 처리용 드라이버 IC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디코더로 커맨드를 입력한다(S630).
다음으로, 입력된 커맨드에 따라서 해당 커맨드 레지스터 값을 세팅한다(S640). 즉,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되는 커맨드에 따라서 커맨드 레지스터를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을 마치고 나서, 해당 커맨드를 실행하게 된다(S650). 일 예로서, 이미지 라이트 스타트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라이트한다.
커맨드 레지스터를 세팅시킨 후에는, 제2특정 키 데이터를 생성시켜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전환시킨다(S660).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에서는 커맨드 레지스터 정보 기입에 필요한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들이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EMI 또는 ESD 등의 노이즈가 커맨드 레지스터인 플립플롭(FFX)의 클럭 라인 또는 리세트 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더라도,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값이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은 화상 처리용 드라이버 IC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처리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호스트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처리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방법, 장치, 시스템 등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ROM, 플레쉬 메모리, 이레이져블 ROM(EROM : Erasable ROM),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F) 망, 등이 있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망 채널, 광 섬유, 공기, 전자계, RF 망, 등과 같은 전송 매체 위로 전파될 수 있는 어떠한 신호도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맨드가 입력되기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command register input enable mode)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고, 커맨드 입력 후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command register input disable mode)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새로운 규격의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EMI 및 ESD 등과 같은 노이즈에 의하여 커맨드를 잘못 인식하여 오동작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8)

  1. 소정의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모드로 천이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커맨드의 입력에 상응하는 정보를 커맨드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세팅 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커맨드는 이미지 라이트 스타트 커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입력 인에이블 모드에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들이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맨드 입력 디스에이블 모드에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들이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입력되는 커맨드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기입하는 커맨드 레지스터;
    소정의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고, 상기 소정의 커맨드 입력 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는 키 코드 정보 생성 회로; 및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가 발생되는 동안에만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정보 기입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이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인덱스 클럭 신호 및 리세트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코드 정보 생성 회로는
    소정의 커맨드 입력 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1특정 키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상기 소정의 커맨드 입력 후에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2특정 키 데이 터를 생성시키는 키 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제1특정 데이터 또는 제2특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덱스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출력 데이터를 다음 인덱스 클럭까지 보전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 및
    상기 복수개의 플립플롭의 출력 데이터 값이 상기 제1특정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발생시키고, 그 외의 경우에는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디스에이블 키 코드 정보를 발생시키는 디코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키 정보와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용 인덱스 클럭 신호의 논리 곱 연산하고, 연산된 출력신호를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클럭 단자에 인가하는 제1앤드 게이트; 및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 입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키 정보와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용 리세트 신호의 논리 곱 연산하고, 연산된 출력신호를 상기 커맨드 레지스터의 리세트 단자에 인가하는 제2앤드 게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장치.
KR1020060068405A 2006-07-21 2006-07-21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77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05A KR100771877B1 (ko) 2006-07-21 2006-07-21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05A KR100771877B1 (ko) 2006-07-21 2006-07-21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877B1 true KR100771877B1 (ko) 2007-11-01

Family

ID=3906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405A KR100771877B1 (ko) 2006-07-21 2006-07-21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8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758B1 (ko) * 1995-08-10 1998-11-16 김광호 레지스터 세트 방법 및 회로
KR19990025122A (ko) * 1997-09-10 1999-04-06 김경래 모드 분배 장치 및 방법
KR20000046220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가변 에스에프알 어드레스 기능을 갖는 에뮬레이션 마이크로 컨트롤러
US20020078336A1 (en) 2000-12-15 2002-06-20 Intel Corporation And Analog Devices, Inc. Extended processor reset
WO2003058447A2 (en) 2001-12-31 2003-07-17 Intel Corpo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execution of a thread until a specified memory access occu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758B1 (ko) * 1995-08-10 1998-11-16 김광호 레지스터 세트 방법 및 회로
KR19990025122A (ko) * 1997-09-10 1999-04-06 김경래 모드 분배 장치 및 방법
KR20000046220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가변 에스에프알 어드레스 기능을 갖는 에뮬레이션 마이크로 컨트롤러
US20020078336A1 (en) 2000-12-15 2002-06-20 Intel Corporation And Analog Devices, Inc. Extended processor reset
WO2003058447A2 (en) 2001-12-31 2003-07-17 Intel Corpo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execution of a thread until a specified memory access occu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8916B1 (ko) 유에스비 허브 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US20080022024A1 (en) Method for link bandwidth management
EP1991930B1 (en) Write data mask method and system
US200200179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litch protection for input buffers in a source-synchronous environment
US6594787B1 (en) Input/output device managed timer process
CN111800658B (zh) 一种芯片参数写入方法、电视机及存储介质
US10223110B2 (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rithmetic unit
CN209947397U (zh) 显示面板的驱动电路及显示装置
US11322187B2 (en) Protection circuit for memory in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CN114818585A (zh) 一种适用于多电平通信的io电路及其控制方法
KR100771877B1 (ko) 오동작 방지용 커맨드 세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33806B1 (ko) 영구적인 락아웃 공격 검지
US10977206B2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CN112885280A (zh) 一种显示装置的驱动方法、装置、显示设备及存储介质
US20210335300A1 (e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US20190325810A1 (en) Driving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6393558B1 (en)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card for selectively processing a PCI bus reset signal and method for resetting the PCI card
CN114490477B (zh) 接口切换电路、方法、液晶显示屏及存储介质
US7984213B2 (en) Control device for a USB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39157B2 (en) Methods, circuits, systems and arrangements for undriven or driven pins
CN209947398U (zh) 显示面板的驱动电路及显示装置
US8120418B2 (en) Large-scale integrated circuit
CN110781118B (zh) 实现并行总线从模式的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介质
US20240045826A1 (en) Micro controller unit, op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13204504B (zh) 串行数据处理装置与数据偏移修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