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843B1 -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843B1
KR100771843B1 KR1020070033548A KR20070033548A KR100771843B1 KR 100771843 B1 KR100771843 B1 KR 100771843B1 KR 1020070033548 A KR1020070033548 A KR 1020070033548A KR 20070033548 A KR20070033548 A KR 20070033548A KR 100771843 B1 KR100771843 B1 KR 10077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case
corner
forming
seamles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복
이수복
정찬웅
정정환
원종우
권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7003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5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glass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내부에 전시물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투명 측면부가 서로 접합하여 이음새 없는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측면부의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모서리 단부는 측면부의 외벽과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되고, 접합 모서리부는, 진열장 외측 방향의 모서리 접합부를 형성하고, 내측 방향은 모서리 간극부를 형성하고, 모서리 간극부에는 몰딩부가 삽입된다. 이것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면 유리를 소정 크기에 맞추어 재단하는 유리 재단 공정; 모서리를 형성할 면에 대한 면취 가공 공정; 각 유리판재의 모서리를 접합하여 모서리 접합부 및 모서리 간극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모서리 간극부에 몰딩부를 개재시키는 유리 접합 공정; 및 접합된 유리판재와 기타 진열장에 필요한 전시대를 결합하는 결합 마감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열장, 유리판재, 면취가공, 이음새

Description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Showcase Having Seamless Edg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열장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열장의 모서리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접합 모서리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간극부 내 몰딩부의 형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식 진열장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진열장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감장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진열장 : 100 측면 모서리부 : 200
측면부 : 110 몰딩부 : 120
접합 모서리부 : 10 측면부의 외벽 : 20
외측 방향 : 30 내측 방향 : 40
모서리 접합부 : 11 모서리 간극부 : 12
모서리 단부 : 13 전선 : 14
전선 삽입관 : 15 힌지식 진열장 : 50
본 발명은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열장의 측면부가 서로 접합하여 모서리부를 형성 시 모서리 단부를 측면부의 외벽과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하여,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한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화재 등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진열장이 사용되는데, 힌지식 진열장, 슬라이드식 진열장 및 조감장이 있다. 이런 진열장들은 관람자가 여러 각도에서 전시물을 감상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적어도 두 면 이상의 측면부를 투명재질로 사용한다. 특히, 전체면을 유리로 제작하여 전시물을 부각시키고 진열장 자체의 외관도 미려하게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진열장의 예시도와 모서리부를 도시하는 평면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장(100)의 측면 모서리부(200) 간 접합을 위해 통상 45도로 면취가공을 하고 이 경우 몰딩부(120)가 양유리의 접합 부위에 개재되기 위해 필연적으로 일정거리(d1)에 해당하는 몰딩부(120)의 삽입 공간이 요구되며, 몰딩부(120)를 개재하지 않고 면취가공된 유리를 접합하는 가공 기술은 현재로써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면취가공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진열장(100)의 측면부 간 접합을 위한 몰딩부(120) 형성을 위해 각 측면 모서리부(200)는 일정거리(d1)의 이격이 필요한데, 이것은 몰딩부(120)가 관람객의 시야를 방해하여 전시효과를 저해할뿐만아니라, 진열장의 외관을 해친다. 특히, 전면 유리로 형성된 진열장의 경우, 외부로 노출된 접합 모서리부의 몰딩부(120)가 크게 부각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문화재 전시품의 경우 진열장(100) 내부에 전시된 문화재의 보호를 위해 외부와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면취가공된 측면부(110)와 몰딩부(120)의 접합 시 가공의 정밀도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진열장(100)의 개폐를 반복하며 장기간 사용 시 몰딩부(120)의 외형이 변형되어, 진열장 자체의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진열장의 기밀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몰딩부(120) 내부에 삽입되는 전선이 진열장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두 측면부(110) 간 압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열장의 각 측면부의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모서리 단부를 측면부의 외벽과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함으로써, 몰딩부의 노출 없이 진열장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몰딩부의 삽입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장기간 사용에도 진열장의 내외부의 기밀성이 유지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은, 내부에 전시물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투명 측면부가 서로 접합하여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부의 상기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모서리 단부는 상기 측면부의 외벽과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되고, 상기 접합 모서리부는, 상기 진열장 외측 방향의 모서리 접합부를 형성하고, 내측 방향은 모서리 간극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 간극부에는 몰딩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전시물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투명 측면부가 서로 접합하여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리를 소정 크기에 맞추어 재단하는 유리 재단 공정; 모서리를 형성할 면에 대한 면취 가공 공정; 각 유리판재의 모서리를 접합하여 모서리 접합부 및 모서리 간극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모서리 간극부에 몰딩부를 개재시키는 유리 접합 공정; 및 접합된 유리판재와 기타 진열장에 필요한 전시대를 결합하는 결합 마감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접합 모서리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장의 각 측면부(110)의 접합 모서리부(120)를 형성하는 모서리 단부(13)는 측면부의 외벽(20)과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함으로써, 진열장 외측(30) 방향으로는 모서리 접합부(11)를 형성하고 내측(40) 방향으로는 모서리 간극부(12)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관람자에게 몰딩부(120)의 노출 없이 진열장 내 전시품을 부각시킬 수가 있고, 진열장 자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진열장의 측면부(110)를 전면 유리판재를 사용하여 진열장 자체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모서리 단부(13)는 실질적으로 측면부의 외벽(20)과 25도 이상 내지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해 종래의 기술에 따른 45도 면취가공에 비해 모서리 간극부(12)의 형성이 용이하여 몰딩부(120)의 삽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견고한 접합 모서리부(10)의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합 모서리부(10)의 안정적 형성으로 진열장 내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기밀성 유지가 쉽기 때문에, 문화재 전시품과 같은 진열품의 보호가 중요한 진열장의 경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충분한 몰딩부(120) 삽입 공간 확보 및 견고한 접합 모서리부(10)의 형성은 진열장의 개폐를 반복하며 장기간 사용 시 몰딩부(120) 자체의 외형이 변형 되어 진열장의 외관을 해치고 기밀성을 퇴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모서리 단부(13)에 대한 40도 면취각의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단부(13)에 대한 면취각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40도 이하의 다른 면취각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간극부(12) 내 몰딩부(120)의 형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간극부 내 몰딩부(120) 형성 시 진열장에 필요한 전선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접합 모서리부(10) 형성 시 진열장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두 측면부(110)간 압착에 의해 몰딩부(120)내 전선(14)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단선 또는 복수의 전선(14)을 더욱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전선 삽입관(15)내 다양한 목적의 단선 또는 복수의 전선(14)을 삽입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전선(14)을 보호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식 진열장, 슬라이드식 진열장 및 조감장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식 진열장(50)은 적어도 두 면의 측면이 투명 측면부(51)로 형성되고, 회전 결합부(52)를 포함하여 투명 측면부(5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투명 개폐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슬라이드식 진열장(60)은 적어도 두 면의 측면이 투명 측면부(61)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하여 투명 측면부(61)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 합하는 투명 개폐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조감장(70)은 적어도 네 면의 측면(71) 및 상면(72)이 투명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0도 이하의 모서리 단부(13)를 형성하는 면취가공 기술을 이상의 진열장들에 활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진열장 자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취지를 흐릴 여지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제조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유리를 소정 크기에 맞추어 재단하는 제 1 단계(S10)를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재를 진열장의 구성 및 기능에 부합하도록 재단 가공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제 1 단계(S10)를 수행함으로써 재단된 유리판재를 진열장의 측면(110)으로 사용하기 위해 유리판재의 모서리 단부(13)를 측면부(110)의 외벽(20)과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하는 제 2 단계(S20)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되어질 몰딩부(120)의 크기나 몰딩부(120)내 전선(14)의 양에 따라 면취가공될 모서리 단부(13)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면취가공된 유리판재의 모서리를 접합하여 모서리 접합부(11) 및 모서리 간극부(12)를 형성시키고 모서리 간극부(12)에 몰딩부(120)를 개재시키는 제 3 단계(S30)를 수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몰딩부(12)의 재료로써 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리판재 간 안정된 접착을 유도하고 진열장의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접합된 유리판재와 기타 진 열장에 필요한 전시대 등을 결합 마감하는 제 4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것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취지를 흐릴 여지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은, 관람자에게 몰딩부를 노출하지 않음으로써 진열장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전시물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은, 충분한 모서리 간극부의 확보가 용이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몰딩부의 삽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은, 진열장의 개폐를 반복하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몰딩부의 마모에 의한 외형 변형이 최소화 되어, 진열장의 기밀성 유지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 열장 및 그 제조방법은, 모서리 간극부의 크기 제어가 용이하여 몰딩부 내 삽입되어질 전선이 기밀성 유지를 위한 두 측면부간 압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선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내부에 전시물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투명 측면부가 서로 접합하여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부의 상기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모서리 단부는 상기 측면부의 외벽과 25도 이상 내지 4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도록 면취가공되고,
    상기 접합 모서리부는, 상기 진열장 외측 방향의 모서리 접합부를 형성하고, 내측 방향은 모서리 간극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 간극부에는 몰딩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은,
    적어도 두 면의 측면이 투명 측면부로 형성되고, 회전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투명 측면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투명 개폐부를 포함하는 힌지식 진열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은,
    적어도 두 면의 측면이 투명 측면부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투명 측면부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투명 개폐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식 진열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은,
    적어도 네 면의 측면 및 상면이 투명 판재로 형성되는 조감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유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전선 삽입관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9. 내부에 전시물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투명 측면부가 서로 접합하여 접합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리를 소정 크기에 맞추어 재단하는 유리 재단 공정;
    모서리를 형성할 면에 대한 면취 가공 공정;
    각 유리판재의 모서리를 접합하여 모서리 접합부 및 모서리 간극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모서리 간극부에 몰딩부를 개재시키는 유리 접합 공정; 및
    접합된 유리판재와 기타 진열장에 필요한 전시대를 결합하는 결합 마감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의 제조방법.
KR1020070033548A 2007-04-05 2007-04-05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77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548A KR100771843B1 (ko) 2007-04-05 2007-04-05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548A KR100771843B1 (ko) 2007-04-05 2007-04-05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843B1 true KR100771843B1 (ko) 2007-10-31

Family

ID=3881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548A KR100771843B1 (ko) 2007-04-05 2007-04-05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25B1 (ko) * 2017-12-12 2019-01-28 (주)지일 쇼케이스의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5574A (ja) * 1990-03-14 1991-11-26 Natl House Ind Co Ltd 多孔質セラミック板のコーナー役物の製法
KR19990073029A (ko) * 1998-12-08 1999-10-05 성필호 평판디스플레이의 커버그라스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20000004397U (ko) * 1998-08-06 2000-03-06 이혁병 오픈 쇼케이스의 엔드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5574A (ja) * 1990-03-14 1991-11-26 Natl House Ind Co Ltd 多孔質セラミック板のコーナー役物の製法
KR20000004397U (ko) * 1998-08-06 2000-03-06 이혁병 오픈 쇼케이스의 엔드 패널
KR19990073029A (ko) * 1998-12-08 1999-10-05 성필호 평판디스플레이의 커버그라스 제조방법 및 그 물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25B1 (ko) * 2017-12-12 2019-01-28 (주)지일 쇼케이스의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0183T3 (es) Sistema de bloqueo mecánico para paneles de muebles
US10830268B2 (en) Furniture panel
US7266920B2 (en) Picture frame having an inner frame movably received in an outer frame for exhibiting a planar drawing or a three dimensional object
EP3232426B1 (en) Unit display screen, spliced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US20170058926A1 (en) Assemblable structure
US2017036281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rner siding
KR100771843B1 (ko) 이음새 없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진열장 및 그 제조방법
JP2004510921A (ja) 解体可能な構造用の継ぎ合わせ構成
JP6230301B2 (ja) カバー材及びカバー材施工方法
JP2016169507A (ja) 窓枠接合部材と該部材を用いた窓枠
KR20150001376U (ko) 섀시 조립용 정션
USD828026S1 (en) Drywall knife case
JP2016121522A (ja) 外壁の出隅部の構造、及び、外壁材構造物
JP5508939B2 (ja) 紙製額縁
KR102270225B1 (ko) 전시 부스용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시 부스의 시공방법
JP6329453B2 (ja) ドア枠の枠材、及び、ドア枠の納まり構造
KR101580915B1 (ko) 포장상자 및 그 조립방법
USD827301S1 (en) Drywall knife case
US10774859B2 (en) Strip and slot bonded joint
CN107071319B (zh) 一种电视机
JP6050032B2 (ja) 窓接続枠
JP2017119948A (ja) 枠体コーナーカバー
JP6933363B2 (ja) ダクト用コーナーピース
JP2015172314A (ja) 建具枠
KR101347691B1 (ko) 조립식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