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487B1 -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487B1
KR100771487B1 KR1020060074186A KR20060074186A KR100771487B1 KR 100771487 B1 KR100771487 B1 KR 100771487B1 KR 1020060074186 A KR1020060074186 A KR 1020060074186A KR 20060074186 A KR20060074186 A KR 20060074186A KR 100771487 B1 KR100771487 B1 KR 10077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unter
phase change
value
symbol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칩스
Priority to KR102006007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3Synchronisation based on error coding or decoding
    • H03M13/336Phase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식별(RFID) 태그 리더에서 수신된 FM0 및 밀러 코드를 주파수 옵셋에 의한 오류 없이 복호하도록 한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FM0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FM0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상기 FM0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FM0 신호의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의 값에 따라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 후, 상기 제1,2카운터 값을 초기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신호 복호시 주파수 옵셋에 의한 수신 신호 복호 오류 발생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Recovering Signal in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도 1a는 일반적인 FM0(Frequency Modulation 0)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 FM0 신호의 연속적인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일반적인 밀러(Miller)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 밀러 신호의 심볼 수에 따른 연속적인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기존의 전파식별 시스템에서 신호의 위상변화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 전파식별 태그 리더의 신호 복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 전파식별 태그 리더의 신호 복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을 분할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 신호 복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을 분할한 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33,35,37: 신호의 왼쪽 값 32,34,36,38: 신호의 오른쪽 값
41: 신호수신부 42: 위상변화검출기
43: 복호제어부 44: 제1카운터
45: 제2카운터 46: 제3카운터
47: 클럭발생기 48: 버퍼
본 발명은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파식별(RFID) 태그 리더에서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수신된 FM0 및 밀러 신호를 주파수 옵셋에 의한 오류 없이 복호하도록 한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파식별(RFID) 시스템은 재고 관리, 유료 도로에서 자동차의 자동 식별, 보안 시스템, 전자 출입 카드, 열쇠없는 출입문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파식별 시스템은 전파식별 태그 리더(인터로게이터: Interrogator) 및 전파식별 태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파식별 태그 리더는 근접 거리에서 전파식별 태그를 활성화시켜주는 디지털 코드 신호를 발생하여 전자식별 태그로 송신한다.
그리고, 전파식별 태그는 내부에 자체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부터 디지털 코드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디지털 코드 신호 내의 약간의 전원을 사용하여 내부 정보에 대한 디지털 코드를 판독한 후에, 해당 판독된 정보에 대한 디지털 코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전송한다. 즉, 전파식별 태그는 전파식별 수신기에 의해 활성화되는 수동 소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파식별 태그는 페인트, 물, 오물, 먼지, 인체, 콘크리트, 또는 태그된 품목 자체를 통해서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불리한 환경 조건 하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기존의 전파식별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복호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우선 전파식별 태그 리더는 디지털 코드 신호로 FM0(Frequency Modulation 0) 신호 또는 밀러(Miller) 신호 중 하나를 전파식별 태그로 전송한다. 여기서, 해당 디지털 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여기서, FM0 신호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를 0,1로 나타내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심볼을 하나의 데이터로 복호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밀러 신호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를 0,1로 나타내며,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볼(M) 2개를 하나의 데이터로 복호하거나, 심볼(M) 4 개를 하나의 데이터로 복호하거나, 심볼(M) 8개를 하나의 데이터로 복호한다. 여기서, 해당 심볼의 개수는 사용자가 전파식별 태그 리더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데이터 주기 구간 또한 사용자가 전파식별 태그 리더를 통해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 신호의 데이터 주기 구간(심볼 주기 구간)은 6.25 마이크로세크, 12.5 마이크로세크 및 25 마이크로세크 세가지의 경우가 있으며, 이 역시 전파식별 태그 리더를 이용한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다. 이는, FM0 신호 및 밀러 신호 모두 포함된다.
이에, 전파식별 태그는 수동소자이므로,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코드 신호(FM0/밀러 신호)에 내부 품목에 대한 정보를 실어 이를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전파식별 태그 리더는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코드 신호의 심볼 중앙에서 신호의 위상의 변화 유무를 확인한 후에, '0' 또는 '1'의 데이터로 해당 신호를 복호한다. 예를 들어, 위상이 변화된 경우에, '0'으로 복호되며, 위상이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 '1'로 복호한다.
여기서, 전파식별 태그 리더는 자체에서 송신한 신호와 같은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신호 수신 시 FM0 인지 아니면 밀러 신호 인지를 따로 식별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FM0 신호를 전파식별 태그로 송신하면 해당 전파식별 태그는 FM0 신호를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송신한다.
여기서, 전파식별 태그 리더는 전송받은 디지털 코드 신호의 심볼 중앙을 기 준으로 왼편 수신값의 평균과 오른편 수신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신호의 위상 변화(즉, 위상 반전)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전송받은 신호의 위상변화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의 심볼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 신호의 값(31,33,35,37)과 오른쪽 신호의 값(32,34,36,38)을 곱셈하여, 그 결과값으로 위상의 변화 유무를 판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복호 방법은 수신된 신호의 주기가 사용자가 전파식별 태그 리더를 통해 선택하여 설정한 데이터 주기에 고정된 경우를 전제로 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전파식별 태그 리더가 가지는 비교적 큰 주파수 옵셋(Offset)을 포함한 신호를 복호하는 경우에는 많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수신 데이터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오차가 누적되게 되어, 데이터 복호율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된 복호기의 클럭(Clock)발생기에서 출력되는 클럭 주파수 신호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 클럭 주파수 신호는 해당 전파식별 시스템에서 수신받은 신호의 주파수 옵셋에 부가되어 더욱 큰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파식별(RFID) 태그 리더에서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수신된 FM0 및 밀러 신호를 주파수 옵셋에 의한 오류 없이 복호하도록 한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파식별(RFID) 시스템에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옵셋에 전파식별 수신기 내에 구비된 복호기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정확하지 않은 클럭 주파수 신호가 부가되어 발생하는 신호 복호 오류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전파식별 태그 리더의 신호 복호 장치는, FM0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FM0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FM0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받은 FM0 신호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에,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상기 FM0 신호에 부가하여 이를 출력하는 위상변화검출부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제1,2카운터를 제어하여 그 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1,2카운터의 값에 딸 상 기 FM0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러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밀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밀러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받은 밀러 신호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에,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상기 밀러 신호에 부가하여 이를 출력하는 위상변화검출부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3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발생된 총 위상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제1,2카운터를 제어하여 그 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제3카운터를 제어하여 그 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데이터 구간 내의 총 위상변화 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1,2,3카운터의 값과 상기 버커에 저장된 총 위상변화 횟수에 따라 상기 밀러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전파식별 태그 리더 의 신호 복호 방법은, FM0(Frequency Modulation 0)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FM0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상기 FM0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FM0 신호의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의 값에 따라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 후, 상기 제1,2카운터 값을 초기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밀러(Miller)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밀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 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밀러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밀러 신호의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의 총 위상변화 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된 버퍼에 저 장시킨 후에, 상기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을 초기화시킨 후,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간 내에서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3카운터의 값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 후에, 상기 제2,3카운터의 값을 각각 초기화시키며,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전파식별 태그 리더의 신호 복호 장치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수신부(41)와, 위상변화검출기(42)와, 복호제어부(43)와, 제1카운터(44)와, 제2카운터(45)와, 클럭발생기(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수신부(41)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 리고,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복호제어부(43)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2카운터(44,45) 및 클럭발생기(47)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한다.
상기 신호수신부(41)는 전파식별 태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로부터 FM0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수신된 FM0 신호를 연속적으로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수신부(41)는 RF 안테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신호수신부(41)로부터 FM0 신호를 연속적으로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연속적인 FM0 신호의 현재 상태와 이전 상태의 지속적인 곱셈 연산을 통해 그 결과값 부호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FM0 신호의 위상변화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에,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해당 FM0 신호에 부가하여 해당 위상변화 발생 시점이 부가된 FM0 신호를 상기 복호제어부(43)로 인가한다.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위상변화 발생 시점이 부가된 FM0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위상변화 발생 시점이 부가된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을 상기 클럭발생기(47)로부터 인가받은 클럭 주기를 이용하여 4등분 한다.
또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2카운터(44,45)를 각각 제어하여 그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초기화시킨다.
또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2카운터(44,45)의 값에 따라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다.
상기 제1카운터(44)는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수신받은 FM0 신호에 위상변화가 없는 구간에서는,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그 값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제1카운터(44)는 상기 위상변화 발생 시점들 간의 구간을 의미한다. 또한, 제1카운터(44)는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초기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1카운터(44)는 연속되는 시간(주기: T)의 값으로 증가된다.
상기 제2카운터(45)는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수신받은 FM0 신호에서 위상변화 발생된 순간, 즉 위상변화가 발생된 시점에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그 값이 증가된다. 또한, 제2카운터(45)는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초기화된다. 또한, 상기 제2카운터(45)는 정수 값으로 증가된다.
상기 클럭발생기(47)는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동작 시 클럭을 발생시켜 상기 복호제어부(43)로 인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을 도 5에 나타낸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FM0(Frequency Modulation 0)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FM0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해당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FM0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에, 상기 신호수신부(41)는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FM0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FM0 신호를 연속적으로 상기 위상변화검 출기(42)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신호수신부(41)로부터 FM0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FM0 신호의 위상변화 유무를 확인하여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신호수신부(41)로부터 수신받은 연속적인 FM0 신호의 현재 레벨과 이전 레벨의 지속적인 곱셈 연산을 통해 그 결과값 부호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수신받은 FM0 신호의 위상변화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연속적인 FM0 신호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FM0 신호에 부가하여 이를 상기 복호제어부(43)로 인가한다.
이 전에, 상기 제1,2카운터(44,45)는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각각 '0'으로 초기화되어 있는 상태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부가된 FM0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FM0 신호의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01). 여기서, 상기 FM0 신호의 데이터 구간은 상기 FM0 신호의 하나의 심볼 주기 구간을 의미하며,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즉, 상기 FM0 신호의 데이터 구간은 심볼 주기 구간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상기 FM0 신호를 인가받을 때마다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을 증가시킨다(단계 S502). 여기서, 상기 제1카운터(44)는 연속되는 시간(주기: T)의 값으로 증가된다.
한편,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그 순간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 값 증가를 중지하고,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은, 상기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분할한 구간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범위이다.
이때,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끝부분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끝부분에 해당하면,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에 따라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인 '0' 또는 '1'로 복호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상기 클럭발생기(47)로부터 인가받은 클럭 주기를 이용하여 4등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럭발생기(47)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주파수가 19.2메가해르츠(MHz)(클럭 주기: 약 502나노세크(nsec))이며, 상기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이 6.25마이크로세크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FM0 신호에서 심볼 주기 구간 내에 120개의 클럭 수를 가지게 되며, 이를 4등분하여 복호의 기준이 되는 DF(Determinant Factor)를 계산한다. 여기서, 해당 120개의 클럭수는 6.25마이크로세크를 502나노세크로 나누어서 계산된다. 즉, 해당 DF는 30의 크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DF의 크기는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의 4의 1(1 of 4) 크기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3DF(3 of 4)는 DF값의 3배를 의미한다.
이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심볼 주기 구간의 끝부분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4 등분된 심볼 주기 구간의 3DF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단계 S503).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 값의 구간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3DF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이 '0' 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504).
이때,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이 '0'인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 '1'로 복호한다(단계 S505).
여기서, 상기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은 현재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이다.
그 다음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와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각각 '0'으로 초기화시킨다(단계 S506).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수신받은 FM0 신호의 데이터 복호가 끝날때까지 상기 단계501(S5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이 '0'이 아닌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 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이 '1' 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507).
이때,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이 '1'인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 '0'으로 복호한다(단계 S508).
그 다음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와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각각 '0'으로 초기화시킨다. 즉,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506(S506)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수신받은 FM0 신호의 데이터 복호가 끝날때까지 상기 단계501(S5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3DF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09).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수신받은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위상변화 시점에 발생한 주위의 잡음으로 판단하여 무시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501(S5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이상 3DF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10).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이상 3DF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 값을 '1'로 증가시킨 후에(단계 S511), 상기 단계501(S5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이상 3DF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5DF 이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12).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5DF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여러 개의 수신 데이터 충돌로 인해 발생된 결과로 판단한 후에(단계 S513), 상기 제1카운터(44)와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각각 '0'으로 초기화시킨다. 즉,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506(S506)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수신받은 FM0 신호의 데이터 복호가 끝날때까지 상기 단계501(S501)부터 상기 단계513(S513)까지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장치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 전파식별 태그 리더의 신호 복호 장치의 구성에 제3카운터(46)와, 버퍼(4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수신부(41)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복호제어부(43)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2,3카운터(44,45,46), 클럭발생기(47) 및 버퍼(48)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한다.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위상변화 발생 시점이 부가된 밀러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위상변화 발생 시점이 부가된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발생한 총 위상변화의 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2,3카운터(44,45,46)를 각각 제어하여 그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초기화시킨다.
또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2,3카운터(44,45,46)의 값 및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총 위상변화 횟수에 따라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다.
상기 제3카운터(46)는 일정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그 값이 증가된다. 또한, 제3카운터(46)는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초기화된다. 또한 상기 제3카운터(46)는 정수 값으로 증가된다.
상기 버퍼(48)는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발생한 총 위상변화의 횟수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버퍼(48)는 임시 저장부이기 때문에,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어 있던 총 위상변화 횟수가 판독되면, 해당 저장되어 있던 총 위상변화 횟수를 리셋한다.
다른 구성요소들의 역할 및 기능은 상술한 제1실시 예의 구성요소들의 역할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을 도 7에 나타낸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밀러(Miller)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밀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 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전파식별 태그 리더가 해당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밀러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에, 상기 신호수신부(41)는 해당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밀러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밀러 신호를 연속적으로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신호수신부(41)로부터 밀러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밀러 신호의 위상변화 유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는 상기 신호수신부(41)로부터 수신받은 연속적인 밀러 신호의 현재 레벨과 이전 레벨의 지속적인 곱셈 연산을 통해 그 결과값 부호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수신받은 밀러 신호의 위상변화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연속적인 밀러 신호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에,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밀러 신호에 부가하여 이를 연속적으로 상기 복호제어부(43)로 인가한다.
이 전에, 상기 제1,2,3카운터(44,45,46)는 상기 복호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각각 '0'으로 초기화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버퍼(48)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부가된 밀러 신호를 연속적으로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들 중 첫번째로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을 결정한 후에, 해당 결정된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 내에 위상변화 발생 시점의 총 개수, 즉 총 위상변화 횟수를 계산한 후에, 이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해당 총 위상변화 횟수는 중간에 비정상적인 위상변화 주기를 가진 데이터 구간에서의 위상변화의 총 횟수가 아닌, 정상 주기를 가진 데이터 구간에서의 위상변화의 총 횟수를 말한다.
이때, 상기 전파식별 시스템에 사용자가 기설정해 놓은 심볼 수에 의해 상기 복호제어부(43)에서 총 위상변화 횟수를 결정하는 것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 구간을 2개의 심볼로 설정해 놓은 경우에, 해당 데이터 구간에 정상적인 주기를 가진 총 위상변화 횟수가 3번 존재하며, 4개의 심볼인 경우 7번, 8개인 경우 15번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부가된 밀러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밀러 신호의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 내의 심볼 주기 구간 안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701).
이때,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상기 밀러 신호를 인가받을 때마다 상기 제1카운터(44) 의 값을 증가시킨다(단계 S702).
여기서, 상기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은 2개 또는 4개 또는 8개가 모여서 상기 밀러 신호의 하나의 데이터를 이루게 되는 것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또한, 상기 밀러 신호는 각 데이터 구간 경계에 항상 위상변화가 존재하는 상기 FM0 신호와는 달리, 데이터 구간 경계에 위상변화가 없을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즉, 상기 밀러 신호의 복호는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의한 데이터 복호가 아닌, 하나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의 총 횟수에 따라 데이터를 복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 값 증가를 중지하고,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은, 상기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분할한 구간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범위이다.
이때,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중앙부분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중앙분에 해당하면,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 '0' 또는 '1'로 복호하거나 또는 복호 에러로 판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상기 클럭발생기(47)로부터 인가받은 클럭 주기를 이용하여 4등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럭발생기(47)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주파수가 19.2메가해르츠(MHz)(클럭 주기: 약 502나노세크(nsec))이며, 상기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이 6.25마이크로세크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밀러 신호에서 심볼 주기 구간 내에 120개의 클럭 수를 가지게 되며, 이를 4등분하여 복호의 기준이 되는 DF(Determinant Factor)를 계산한다. 여기서, 해당 120개의 클럭수는 6.25마이크로세크를 502나노세크로 나누어서 계산된다. 즉, 해당 DF는 30의 크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DF의 크기는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의 4의 1(1 of 4) 크기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3DF(3 of 4)는 DF값의 3배를 의미한다.
이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심볼 주기 구간의 중앙부분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4 등분된 심볼 주기 구간의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단계 S703).
여기서, 상기 4등분된 심볼 주기 구간은 상기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을 이루고 있는 여리 심볼 중 하나의 심볼 주기 구간을 4등분한 것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또한, 해당 심볼 주기 구간의 길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는 것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4등분된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을 '0'으로 초기화시킨 후(S704),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과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05).
이때,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과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3카운터의 값이 20 이상 100 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06).
이때, 상기 제3카운터의 값이 20 이상 100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이 속해 있는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 '1'로 복호한다(단계 S707).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며,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단계 S708). 즉, 상기 정상적인 주기를 가진 위상변화의 총 횟수를 상기 버퍼(48)에 재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701(S7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구간의 총 위상변화 횟수를 지우기 위해 상기 버퍼(48)를 포맷한 후에, 해당 새로운 데이터 구간의 총 위상변화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
한편,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과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1' 증가시키며,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을 '1' 증가시킨다(단계 S709).
한편, 상기 제3카운터 값이 20 이상 100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3카운터 값이 20 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10).
이때,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이 20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이 속해 있는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 '0'으로 복호한다(단계 S711).
그 다음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며,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현재 복호된 데이터 구간 다음에 위치한 새로운 데이터 구간을 결정하여 해당 결정된 새로운 데이터 구간의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701(S7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3카운터 값이 20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이 100 이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12).
이때,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이 100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에러 발생으로 판단한 후에(단계 S713), 상기 제2카운터(44)와 상기 제3카운터(45)의 값을 각각 '0'으로 초기화시키고,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 즉,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708(S708)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701(S7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 다.
한편,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14).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수신받은 위상변화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위상변화 시점에 발생한 주위의 잡음으로 판단하여 무시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을 '0'으로 초기화시킨 후(단계 S715), 상기 단계701(S7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3DF 이상 5DF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16).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이상 3DF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을 '0'으로 초기화시킨 후(단계 S717),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과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18).
이때,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과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이 속해 있는 복호하려는 데이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 '0'으로 복호한다(단계 S719).
그 다음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1'로 초기화 하며,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단계 S720).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701(S7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과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1' 증가시키며,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을 '20' 증가시키고,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 총 위상변화 회수에서 '1'을 뺀 값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다시 저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이전 상기 버퍼(48)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맷한 후에, 상기 총 위상변화 회수에서 '1'을 뺀 값을 상기 버퍼(48)에 저장시킨다(단계 S721).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701(S7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1DF 이상 3DF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5DF 이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22).
이때,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5DF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1카운터(44)의 값을 '0'으로 초기화시키며(단계 S723), 이와 동시에 여러 개의 수신 데이터 충돌로 인해 발생된 결과로 판단한다(단계 S724). 이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감지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무 시한다.
그 다음에,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제2카운터(45)의 값을 '1'로 초기화하며, 상기 제3카운터(46)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버퍼(48)에 재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단계701(S701)부터 다시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제어부(43)는 상기 위상변화검출기(42)로부터 수신받은 밀러 신호의 데이터 복호가 끝날때까지 상기 단계701(S701)부터 상기 단계724(S724)까지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파식별 시스템의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디지털 코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하는 경우에, 해당 수신된 주파수 신호와 내부에 구비된 복호기의 클럭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정확하지 않은 클럭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 옵셋 현상에 의한 수신 신호 복호 오류 발생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FM0(Frequency Modulation 0)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FM0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상기 FM0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FM0 신호의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의 값에 따라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 후, 상기 제1,2카운터 값을 초기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변화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수신받은 FM0 신호 또는 밀러 신호의 현재 레벨과 이전 레벨의 지속적인 곱셈 연산을 통해 그 결과값 부호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위상변화를 판단한 후에, 상기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부의 클럭 주기를 이용하여 4등분하여 복호의 기준이 되는 DF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4등분된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상기 DF를 기준으로 하여 위상변화가 발생된 시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F는, 그 크기가 상기 FM0 신호 또는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의 4의 1(1 of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은,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분할하여 설정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은,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끝부분인 3DF(Determinant Factor)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3DF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지 않 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무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2카운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5DF 이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5DF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무시하고, 상기 제1,2카운터의 값을 각각 초기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1. 밀러(Miller)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밀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 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밀러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밀러 신호의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의 총 위상변화 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된 버퍼에 저장시킨 후에, 상기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의 값이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을 초기화시킨 후,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간 내에서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3카운터의 값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 후에, 상기 제2,3카운터의 값을 각각 초기화시키며,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변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전파식별 태그 리더에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3카운터의 값을 각각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3카운터의 값에 따라 데이터 복호 에러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은, 상기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을 분할하여 설정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호를 위한 구간은, 상기 심볼 주기 구간의 중앙부분인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이상 3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을 초기화시킨 후, 상기 감지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무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1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3DF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3DF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을 초기화시키고, 상기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버퍼에 저장된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구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한 후, 상기 제2,3카운터의 값을 각각 초기화시키며,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3DF 이상 5DF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5DF 이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이 5DF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1카운터의 값을 초기화시킨 후, 상기 감지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무시하고, 상기 제2,3카운터의 값을 각각 초기화시키며,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운터의 값과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3카운터의 값을 각각 증가시키며,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를 1회 감소시켜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총 위상변화 횟수는, 상기 데이터 구간 내에서 정상적인 주기를 가진 위상변화 발생 시점의 총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22. FM0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FM0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FM0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받은 FM0 신호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에,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상기 FM0 신호에 부가하여 이를 출력하는 위상변화검출부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제1,2카운터를 제어하여 그 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1,2카운터의 값에 따라 상기 FM0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는,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 또는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그 값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운터는,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FM0 신호 또는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그 값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장치.
  25. 밀러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전파식별 태그와, 해당 전파식별 태그와 상호간에 밀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파식별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전파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밀러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받은 밀러 신호에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검출한 후에, 해당 검출된 위상변화 발생 시점을 상기 밀러 신호에 부가하여 이를 출력하는 위상변화검출부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1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2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그 값이 변화되는 제3카운터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발생된 총 위상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심볼 주기 구간 내에서 위상변화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제1,2카운터를 제어하여 그 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제3카운터를 제어하여 그 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데이터 구간 내의 총 위상변화 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1,2,3카운터의 값과 상기 버퍼에 저장된 총 위상변화 횟수에 따라 상기 밀러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카운터는, 상기 위상변화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밀러 신호의 데이터 구간 내에서 주기를 벗어난 위상변화가 발생된 경우, 그 값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장치.
KR1020060074186A 2006-08-07 2006-08-07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KR10077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186A KR100771487B1 (ko) 2006-08-07 2006-08-07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186A KR100771487B1 (ko) 2006-08-07 2006-08-07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487B1 true KR100771487B1 (ko) 2007-10-30

Family

ID=3881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186A KR100771487B1 (ko) 2006-08-07 2006-08-07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4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00B1 (ko) 2008-08-13 2010-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브 캐리어 방식의 태그 신호에 대한 rfid 리더의 복조 장치 및 방법
KR101011496B1 (ko) 2009-10-08 2011-01-31 쓰리에이로직스(주) 밀러 디코딩 회로와 그 방법
KR101237973B1 (ko) 2008-01-31 2013-0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러 디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rfid 리더 및그 디코딩 방법
CN104778484A (zh) * 2015-04-09 2015-07-15 深圳市科陆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rfid读写器识别电子标签的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449A (ko) * 2003-07-02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맨체스터 신호의 천이 오류 보정 방법
KR20070036624A (ko) * 2005-09-29 2007-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rfⅰd 리더의 태그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449A (ko) * 2003-07-02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맨체스터 신호의 천이 오류 보정 방법
KR20070036624A (ko) * 2005-09-29 2007-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rfⅰd 리더의 태그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973B1 (ko) 2008-01-31 2013-0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러 디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rfid 리더 및그 디코딩 방법
KR100957700B1 (ko) 2008-08-13 2010-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브 캐리어 방식의 태그 신호에 대한 rfid 리더의 복조 장치 및 방법
US8264332B2 (en) 2008-08-13 2012-09-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modulating subcarrier tag signal in RFID reader
KR101011496B1 (ko) 2009-10-08 2011-01-31 쓰리에이로직스(주) 밀러 디코딩 회로와 그 방법
CN104778484A (zh) * 2015-04-09 2015-07-15 深圳市科陆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rfid读写器识别电子标签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778484B (zh) * 2015-04-09 2017-12-01 深圳市鸿陆技术有限公司 一种rfid读写器识别电子标签的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931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nd maintaining synchronization of a pulse position modulation (PPM) decoder with a received PPM signal
CN100399350C (zh) Rfid标签装置、标签识别装置和无线电通信系统
AU763476B2 (en) Identification of objects by a reader
US83904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w cost, power efficient, wireless transponder devices with enhanced functionality
EP25699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ing reduced set communication protocol
JP2004502176A (ja) パルス位置変調(ppm)デコーダをppm信号に対して較正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20080297324A1 (en) Methods and systems of receiving data payload of rfid tags
EP1017005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multiple transponders
US8295407B2 (e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frared remote control commands
US9940489B2 (en) Radiofrequency transponder circuit
WO2001022377A1 (en) Randomization of transmit time
WO1999012122A1 (en) Method for resolving signal collisions between multiple rfid transponders in a field
KR100771487B1 (ko) 전파식별 시스템에서의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KR102124444B1 (ko) 비접촉 ic 카드 리더의 동작 방법, 비접촉 ic 카드 리더의 탐지 회로, 이를 포함하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및 카드 시스템
EP1261952B1 (en) Encoding/decoding system for coherent signal interference reduction
JP4401570B2 (ja) 各トランスポンダに対応する受信通知を有するトランスポンダシステム
US9111155B2 (en) RFID read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5515739A (ja) 電子ラベル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9197341B2 (en) Method, apparatus, and logic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CN115130484A (zh) 自适应频率的电子标签数据解码方法、系统、装置及介质
CN117596311A (zh) Rfid芯片的多协议解码电路
KR0165077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원격 송수신장치
JP403100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機及び無線受信機
CN113114412A (zh) 电子雷管数据编码方法、解码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H08161442A (ja) データ応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