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953B1 -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953B1
KR100770953B1 KR1020050095409A KR20050095409A KR100770953B1 KR 100770953 B1 KR100770953 B1 KR 100770953B1 KR 1020050095409 A KR1020050095409 A KR 1020050095409A KR 20050095409 A KR20050095409 A KR 20050095409A KR 100770953 B1 KR100770953 B1 KR 10077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ginseng
cosmetic composition
ginseng root
powd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082A (ko
Inventor
이기용
김태원
최종완
Original Assignee
한국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95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이산화탄소와 혼합하여 초임계 저온 스프레이 방법으로 담체에 흡수 및 흡착시켜 고농축 분말화 시킴으로써, 색조 화장품에 안정하고, 쉽게 배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효성분을 소실없이 피부에 전달할 수 있어 스킨케어 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부에 친화성이 우수하여 보습 효과 및 촉촉한 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Col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 pow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초임계 저온 스프레이 방법으로 담체에 흡수 및 흡착시켜 고농축 분말화 시킴으로써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B-16 멜라노마 세포에 가한 후 용해된 멜라닌의 상태를 비디오 현미경으로 관찰한 도이다.
본 발명은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표면에는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샘에서 나오는 수분이 자연적으로 잘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피지막이 각질층을 덮고 있어서 피부를 항상 매끄럽고 윤기있게 함과 동시에 촉촉한 상태로 유지시켜주고 있다. 이 와 같이 피부의 표면은 각질층에 대략 20% 정도의 수분이 존재할 때 가장 이상적인 상태가 된다. 만일 수분 함량이 10% 이하로 저하되면 피부가 거칠어져서 각질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피부관리를 잘못하면 건피증으로 발달하게 된다. 특히, 여성은 피지의 분비를 촉진하는 남성 호르몬의 작용이 생리적으로 미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피지는 외부의 기온이 높거나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많아지는 사춘기 시기에 과잉 분비되어 여드름 및 피부염의 발생원인이 된다. 반대로 외부의 기온이 낮으면 피지분비가 억제되어 피부가 건조해지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피지막을 구성하는 피지와 수분 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피부 균형이 깨져 피부가 손상되게 된다.
색조 화장품류는 피부에 도포된 상태에서 색상에 의한 미적 효과를 중요시하는 화장품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색조 화장품은 피부에 지속적으로 도포할 경우, 체온, 바람 또는 태양광에 의해 도포된 분말들이 건조되면서 피부에서 방출되는 피지, 땀, 또는 수분을 흡수하여 피부가 거칠어지는 등의 트러블을 가속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첫째, 수용성 보습성분과 미용성분을 캡슐화하여 색조 화장료에 배합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색조 화장품 제조시 고온 안정성 및 물리적 힘에 의해 캡슐이 파괴되어 내부의 유효성분이 제조 중에 휘산되거나, 분해 및 변질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량 사용시 색소 등과 접촉되면서 색상을 퇴색 및 변색시키는 등 적용상의 문제점이 많이 발생한다.
둘째, 보습제, 유효성분 및 세포간 지질 성분 등으로 리포좀화 시킨 후, 상기 리포좀을 다공성 분말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다음, 일정 조건하에서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정이 오래 걸리고 소요 경비가 비싸며, 감압시 유효성분이 같이 소실되고, 보습제 배합량에 따라 제조 공정 중 동결되지 않는 등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에 대하여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한편, 산삼(학명 : panax ginseng)은 일정한 세월이 지나면 새싹이 나올 때 꽃을 맺는 꽃대가, 잎 및 줄기와 함께 나오는 현화식물에 속하면서도 피자식물에 속하며, 오가피과의 반음지성식물이며, 동의보감에서는 일명 '신초'라 불리운다. 산삼은 자라는 속도가 아주 느리고 번식력이 아주 약하며 환경에 민감하다. 천연산삼의 종류로는 토양의 자생지의 여건에 따라 천종, 지종 등 18종으로 분류된다. 자연적으로 산에서 나서 씨가 떨어져 생긴 천종(천연산삼), 야생동물이나 조류가 산삼씨를 먹고 산중에 배설하여 자란 지종, 사람이 씨를 뿌려 자란 인종, 이미 자란 인삼을 산에 심은 산양산삼, 사람이 인위적으로 양생시킨 장뇌삼(가삼), 연수를 알 수 없어 오래된 산삼으로 아이처럼 생긴 동자삼 등 산삼의 종류는 많이 있지만, 천연산삼은 그 모양새나 약효에서 산양산삼, 가삼 등과는 전혀 다른 모습과 약효를 지니고 있다. 또한 다른 식물이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사포닌(saponin) 등 생리활 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면역기능 항진, 암세포 생장억제, 항당뇨작용, 심장강화, 혈압조절, 간기능 강화, 위장기능 강화, 강장효과, 뇌기능 강화, 노화억제, 허약체질 개선 등의 효능이 있으며, 약리적인 효능이 매우 뛰어나 오랫동안 동양의 신비한 영약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혼화성 문제로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없었던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보습성분 및 유효성분을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고농축 분말화 시킴으로써 색조 화장품에 안정하고, 쉽게 배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효성분을 소실없이 피부에 전달할 수 있어 스킨케어 기능을 향상시키며, 피부에 친화성이 우수하여 보습 효과 및 촉촉한 감을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이산화탄소와 혼합하여 초임계 저온 스프레이 방법으로 담체에 흡수 및 흡착시켜 고농축 분말화 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물은
1) 조직 배양된 산삼 부정근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건조된 산삼 부정근에 에탄올이 함유된 용매를 첨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숙성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3) 여과 단계 이후에 에탄올 제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에탄올과 1,3-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또는 에탄올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에탄올의 양은 건조된 산삼 부정근 중량의 20 내지 40배 정도의 양을 사용하며, 농도는 약 7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에탄올과 1,3-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또는 에탄올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70% 농도의 에탄올과 산삼 부정근 중량의 약 2 내지 10배의 1,3-부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초임계 저온 스프레이 방법으로 담체에 흡수 및 흡착시켜 고농축 분말화 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조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보습제 및 방부제를 탱크에 넣고 혼합한 다. 상기 혼합물은 탱크로부터 분무되면서 정적 혼합기로 주입되는데, 여기서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물이 가압된 이산화탄소와 접촉하게 된다. 정적 혼합기는 초임계 상태(P>73.83 bar : 31.04℃)에서 이산화탄소를 수용하도록 설정된다. 산삼 부정근 추출물과 이산화탄소는 강하게 혼합되고 초임계 가스 상태의 이산화탄소 일부분은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물에 용해됨으로써, 가스-포화된 용액을 형성한다. 이때, 포화 가스는 액체의 점도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분무 과정 및 미세한 분말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가스-포화된 용액은 대기압에서 분무탑으로 방출되고, 가스는 가스-포화된 용액으로부터 빠르게 방출되며 미세한 액상입자가 형성된다.
이때, 유체화된 담체 입자가 상기 분무되는 산삼 부정근 추출물에 동시에 첨가된다. 방출된 가스에 의해 액상입자와 담체가 강하게 혼합되고 산삼 부정근 추출물은 담체에 결합된다. 방출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불활성 가스는 대기 상태가 되고, 분무탑의 온도는 평균 -10℃ 내지 0℃로 현저하게 떨어진다. 분말 형태의 산물은 분무탑 바닥으로 떨어지고, 미세입자는 침강, 여과, 사이클론 사용으로 가스로부터 이전된다. 통상적으로 미세입자의 비율은 1% 미만이다.
상세하게는, 미세한 액상입자가 유체화된 담체와 접촉하면 산삼 부정근 추출물이 흡수 및 흡착에 의해 담체 표면에 결합된다. 이런 방식으로 유체화된 담체는 얇은 액상입자 사이로 스며들며 좀더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적하하면, 산삼 부정근 추출물은 담체 입자간 액상 가교에 의해 모세관 작용력으로 결합된다. 다공성 입자를 보유하는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 구멍은 모세관 작용력에 의해 산삼 부정근 추출물로 채워진다.
상기와 같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고농도 분말화 기술은 산소의 부재와 저온 (-10℃ 내지 0℃)에서 산소 또는 온도에 민감한 물질을 품질 손상없이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에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함량은 0.1~40 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일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효능 및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끈적임이 강해 관능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에서, 보습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미노산류 및 폴리 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이 중 1,3-부틸렌 글리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보습제의 함량은 10~60 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일 보습제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보습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안정하게 파우더화 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에서, 담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고형 분말 형태의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규산(silicic acids), 셀룰로오스(celluloses), 당(sugars), 알루미나(aluminas),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s) 및 에틸렌/메타에틸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methaethyl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담체의 함량은 10~70 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일 담체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액상 성분의 수용력이 부족하여 안정화시키기 어려우며,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피부를 건 조시킬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온도 조건(실온, 35℃, 45℃) 및 물리적 파쇄에 있어서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산삼 부정근 추출물에 비해 동일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다소 떨어지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므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보존되며, 보습력 또한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류, 키토산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페이스 파우더(케이크), 페이스 파우더(파우더), 볼연지, 아이섀도우, 스킨 커버, 립스틱, 립글로스, 콤팩트,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의 파우더형 색조 화장료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의 제조
1.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조직배양된 산삼 부정근 1㎏에 70% 에탄올 30㎏을 가한 다음 충분 히 숙성시킨 후 여과지 [일본 토요로시가이샤 주식회사(Toyoroshi Kaisha, Ltd.)에서 시판되는 5C, 185㎜]로 여과시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얻었다.
2.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1,3-부틸렌 글리콜 및 방부제를 탱크에 넣고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분사시켰다. 이때 가스는 높은 압력(80~250 bar)상태에서 액체에 녹으면서 가스가 포함된 용액을 노즐에서 급격히 팽창했다가 휘산되면서 매우 미세한 액상 입자가 형성되고 동시에 담체가 같이 분사되면서 스프레이되는 미세 액상은 담체에 흡수 및 흡착되면서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초임계 저온 스프레이 방법으로 담체에 흡수 및 흡착시켜 고농축 분말화 시킴으로써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얻는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성분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성분 실시예
1 2 3 4 5 6
산삼 부정근 추출물 12.0 16.0 20.0 24.0 28.0 32.0
1,3-부틸렌 글리콜 18.0 24.0 30.0 36.0 42.0 48.0
방부제 0.5 0.5 0.5 0.5 0.5 0.5
담체 69.5 59.5 49.5 39.5 29.5 19.5
실험예 1 : 안정성 실험
1. 온도 조건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된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실온, 35℃, 45℃ 조건에서 3개월간 보존하면서 성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안정성 평가기준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고, 안정성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기 호 평가 기준
변취, 변색은 이상 없으나, 탈수현상이 수용성 성분비 10% 이내(중량%)로 유지됨.
변취, 변색은 이상 없으나, 탈수현상이 수용성 성분비 50% 이내(중량%)로 유지됨.
× 변취, 변색 현상이 있으며, 탈수현상이 수용성 성분비 50% 이상(중량%)으로 발생됨.
보존 조건 실시예
1 2 3 4 5 6
실온
35℃ × ×
45℃ × × × × × ×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실온에서 변취 및 변색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온도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2. 물리적 파쇄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된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후드 믹서에서 1분 간격으로 횟수별 반복 고속 교반시 성상 변화에 대하여 관찰하였다.안정성 평가기준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안정성 평가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기 호 평가 기준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의 수용성 제제가 분리되지 않음.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의 수용성 제제가 미세하게 분리됨.
×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의 수용성 제제가 완전히 분리됨.
횟 수 실시예
1 2 3 4 5 6
1회
2회 ×
3회 ×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이의 수용성 제제가 거의 분리되지 않으므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담체에의 흡수량을 고려할때 물리적 파쇄에 있어서 안정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의 유효성분의 보존성 확인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B-16 멜라노마 세포(Melanoma cell)는 연세대학교 원주 의과대학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블랙 마우스에서 유래된 B-16 멜라노마 세포를 10% FBS(미국 GIBCO 주식회사에서 시판)가 함유된 DMEM(미국 GIBCO 주식회사에서 시판)으로 6웰 조직배양 배지(덴마크 Nunc 사에서 시판)에 2×104 세포/웰 농도로 2mL씩 첨가하고 5% CO2, 37℃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10% FBS, 2uM α-MSH(미국 Sigma사에서 시판되는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 :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와 2mM 테오필린(theophylline; 미국 Sigma사에서 시판)이 함유된 DMEM으로 교체한 후,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조직 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 및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동일 배지로 적당량 희석한 후 각각 첨가하고 나서, 5% CO2, 37℃ 조건하에서 세포가 웰의 바닥에 약 80% 이상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미국 GIBCO 주식회사에서 시판)로 세척하고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 펠릿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펠릿을 5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상등액이 제거된 펠릿을 60℃ 항온기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1N NaOH를 첨가하여 세포내의 멜라닌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멜라닌의 상태를 비디오 현미경으로 사진 촬영후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적당량을 희석시키고 효소 면역 분석기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용해된 멜라닌의 상태를 비디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표 6에 나타내었다.
농도 (w/w, %) 멜라닌 생성 억제율 (%)
산삼 부정근 추출물 0.2 58.2
0.3 76.3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0.2 32.2
0.3 60.7
도 2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산삼 부정근 추출물에 비해 동일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다소 떨어지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산삼 부정근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보존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피부 보습력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의 피부 보습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23세 내지 48세 연령의 정상 피부 또는 건성 피부를 갖는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왼쪽 부분에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15%를 함유하는 페이스 파우더(제제예 1)를, 얼굴의 오른쪽 부분에는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이 빠진 종래 성분들로 제조된 페이스 파우더(비교제제예)를 매일 아침 세안 후, 1일 1회씩 3주간 도포하여 비교하였다. 측정 기기로는 피부 수분 측정기[(Courage and Khazaka)Koln-WestGermany사 제품 CORNEOMETER(모델명: CM820)]를 사용하였다. 보습력 평가기준은 표 7에 나타내었으며, 측정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구 분 평가 기준
O = 0 개선 없음.
+ = 1 약간 향상됨.
++ = 2 다소 향상됨.
+++ = 3 명확하게 향상됨.
++++ = 4 매우 명확하게 향상됨.
연령 피부 상태 비교제제예 제제예 1
1 39 OS ++ +++
2 45 DS ++ ++
3 27 NS ++ ++
4 30 NS + +++
5 37 DS O ++
6 28 NS + +++
7 29 OS + ++
8 42 NS + ++
9 31 DS + ++
10 44 DS + ++
11 23 NS + +++
12 38 NS O O
13 36 DS + +++
14 43 NS + +++
15 26 NS + +++
16 35 OS O +++
17 42 DS ++ ++++
18 25 OS + ++
19 40 NS O ++
20 38 NS O ++
21 29 NS O +
22 35 DS + ++
23 48 OS O ++
24 29 NS + ++
25 32 DS + +++
26 47 OS O +
27 41 DS + ++
28 35 NS + ++
29 23 NS + ++
30 36 NS O +
합 계 26 65
※ NS : 정상 피부, OS : 지성 피부, DS : 건성 피부.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함유한 페이스 파우더는 종래의 성분들로 제조된 페이스 파우더에 비해 개선효과가 39가 더 많아 피부 보습력이 150%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 화장료 제제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함유한 색조 화장료 제제를 제조하였다.
1. 페이스 파우더(케이크) (함량 : 중량%)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보습제 함유) 15.0
탈크 적량
세리사이트 10.0
옥시염화비스무스 15.0
마이카 10.0
결합제 5.0
색소 1.5
방부제 0.2
향료 0.1
총계 100.0
2. 페이스 파우더(파우더) (함량 : 중량%)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보습제 함유) 30.0
탈크 적량
마이카 20.0
나이론 파우더 10.0
이산화 티탄 3.0
색소 1.0
방부제 0.2
향료 0.1
총계 100.0
3. 볼연지 (함량 : 중량%)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보습제 함유) 10.0
세리사이트 적량
마이카 15.0
옥시염화비스무스 5.0
이산화 티탄 5.0
결합제 5.0
색소 8.0
방부제 0.2
향료 0.1
총계 100.0
4. 아이섀도우 (함량 : 중량%)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보습제 함유) 10.0
마이카 적량
세리사이트 10.0
옥시염화비스무스 10.0
이산화 티탄 5.0
결합제 5.0
색소 및 펄 10.0
방부제 0.2
향료 0.1
총계 100.0
5. 스킨 커버 (함량 : 중량%)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보습제 함유) 5.0
유동 파라핀 적량
스쿠알란 15.0
디이소 스테아릴 말레이트 10.0
파라핀 납 2.0
카르나우바 납 3.0
이산화 티탄 10.0
나이론 파우더 5.0
마이카 5.0
색소 1.0
방부제 0.2
향료 0.1
총계 100.0
6. 립스틱 (함량 : 중량%)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보습제 함유) 3.0
디이소 스테아릴 말레이트 적량
라놀린 오일 15.0
올레일 알콜 10.0
칸데릴라 납 8.0
카르나우바 납 3.0
색소 및 펄 10.0
방부제 0.2
향료 0.2
총계 100.0
7. 립글로스 (함량 : 중량%)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보습제 함유) 5.0
디이소 스테아릴 말레이트 적량
폴리 부텐 35.5
라놀린 오일 15.0
올레일 알콜 10.0
밀 납 5.0
색소 및 펄 10.0
방부제 0.2
향료 0.2
총계 100.0
비교제제예 : 페이스 파우더(케이크) (함량 : 중량%)
탈크 적량
세리사이트 15.0
옥시염화비스무스 15.0
마이카 10.0
결합제 5.0
색소 1.5
방부제 0.2
향료 0.1
총계 100.0
본 발명에 따른 조직 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이산화탄소와 혼합하여 초임계 저온 스프레이 방법으로 담체에 흡수 및 흡착시켜 고농축 분말화 시킴으로써, 색조 화장품에 안정하고, 쉽게 배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효성분을 소실없이 피부에 전달할 수 있어 스킨케어 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부에 친화성이 우수하여 보습 효과 및 촉촉한 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9)

  1.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산삼 부정근 추출물과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혼합한 혼합물을 담체와 함께 스프레이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이 -10℃ 내지 0℃의 저온에서 상기 담체에 흡수 및 흡착되어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상태는 온도 31.04℃에서 압력 73.83 bar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물은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총 중량 중 0.1~4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규산(silicic acids), 셀룰로오스(celluloses), 당(sugars), 알루미나(aluminas),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s) 및 에틸렌/메타에틸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methaethyl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총 중량 중 10~7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케이크형 페이스 파우더, 파우더형 페이스 파우더, 볼연지, 아이섀도우, 스킨 커버, 립스틱, 립글로스, 콤팩트 및 파우더 파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7.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은, 산삼 부정근 추출물과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혼합한 혼합물을 담체와 함께 스프레이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이 -10℃ 내지 0℃의 저온에서 상기 담체에 흡수 및 흡착되어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삼 부정근 추출분말은 추가로 보습제, 방부제를 포함하며,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 총 중량에 대하여, 0.1~40 중량%의 산삼 부정근 추출물, 10~70 중량%의 담체, 10~60 중량 %의 보습제, 및 잔량의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KR1020050095409A 2005-10-11 2005-10-11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KR10077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409A KR100770953B1 (ko) 2005-10-11 2005-10-11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409A KR100770953B1 (ko) 2005-10-11 2005-10-11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082A KR20070040082A (ko) 2007-04-16
KR100770953B1 true KR100770953B1 (ko) 2007-10-26

Family

ID=3817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409A KR100770953B1 (ko) 2005-10-11 2005-10-11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81B1 (ko) * 2012-05-31 2014-02-25 (주)에코마인 초임계 유체와 반용매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의 수용성 미립자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845B1 (ko) 2001-07-04 2005-06-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01399B1 (ko) 2003-05-23 2005-07-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62691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씨비엔바이오텍 산삼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845B1 (ko) 2001-07-04 2005-06-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01399B1 (ko) 2003-05-23 2005-07-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62691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씨비엔바이오텍 산삼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082A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US20140377201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JP3696862B2 (ja) 保湿剤および植物抽出物の使用方法ならびに外用剤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8091B1 (ko) 깻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9626B1 (ko) 산양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크럽제 화장료조성물
KR100770953B1 (ko) 산삼 부정근 추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KR101982510B1 (ko)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352637B1 (en) Hair growth inhibito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1497191B1 (ko)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285294B2 (en) Hair growth inhibitor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1745B1 (ko) 청소년 체취 억제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6893A (ko)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4475A (ko) 화장료 조성물
JPH1087440A (ja) 養毛化粧料
KR102205789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1161A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17253B1 (ko) 효소 처리에 의해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