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701B1 -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701B1
KR100770701B1 KR1020070008770A KR20070008770A KR100770701B1 KR 100770701 B1 KR100770701 B1 KR 100770701B1 KR 1020070008770 A KR1020070008770 A KR 1020070008770A KR 20070008770 A KR20070008770 A KR 20070008770A KR 100770701 B1 KR100770701 B1 KR 10077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trand
auxiliary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복
Original Assignee
정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복 filed Critical 정한복
Priority to KR102007000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하여 구조물의 처짐을 보강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인장부와 구조물의 중앙에 형성되며,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보조인장부 결합면을 외측에 형성하고, 일측의 너트부와 내측의 제2 가이드홈을 형성한 보조인장부 하우징과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의 제2 가이드홈에 결합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의 제2 가이드홈에 결합하며, 일측의 강연선 자리홈과 내측의 작동홀을 형성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작동홀에 결합하는 걸림부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의 너트부와 결합하는 나사부를 형성한 보조인장부로 구성된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에 따른 인력소모 방지 및 비용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구조물의 처짐현상을 지속적으로 보강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강연선, 인장, 보강

Description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REINFORCE STRUCTURE PERMANET STRAND OF LOOSE PREVEN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인장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보조인장부의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롤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인장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보조인장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보조인장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가 인장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 : 강연선 2 : 구조물
10 : 인장부 11 : 인장부 고정플레이트
12 : 인장부 하우징 12a : 인장부 결합면
12b : 삽입부 12c : 제1 가이드홈
13 : 제1 탄성부재 14 : 강연선 클램핑부
14a : 강연선홀 14b : 쐐기부
15 : 소켓부 15a : 마찰부
15b : 오링 20 : 보조 인장부
21, 31 : 고정플레이트 22, 32 : 보조인장부 하우징
22a, 32a : 보조인장부 결합면 22b : 너트부
22c, 32c : 제2 가이드홈 23, 33 : 제2 탄성부재
24, 34 : 작동부 24a, 34c : 강연선 자리홈
24b : 작동홀 25 : 고정부
25a : 걸림부 25b : 나사부
31a : 걸림턱 32b : 스프링 스톱퍼
34a : 삽입부 34b : 스톱퍼
50 :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기적으로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연선의 처짐을 보수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인력소 모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구조물의 처짐현상을 지속적으로 보강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을 시공을 한 후에는 구조물의 자체 하중에 의해 구조물의 처짐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보강할 수 있는 여러형태의 보강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대는 여러 형태의 보강대가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용이하면서 경량인 강연선을 이용한 보강대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강연선을 이용한 보강대는 구조물의 양 측면에 인장부를 각각 형성한 상태에서 중앙부분에 보조인장부를 형성하고, 강연선을 상기 인장부와 보조인장부에 걸어놓은 후 이를 별도의 장비인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연선에 인장을 가해 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강연선을 이용한 보강대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구조물이나 보강대가 외부의 영향이나 노후화로 인하여 강연선이 느슨해 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통상 1년에 한번 정도 이를 보수하기 위해 강연선을 인장기를 이용하여 다시 인장력을 가해야만 하는데, 그에 따르는 인력 및 비용의 낭비에 의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장기간 동안 강연선이 느슨해진 상태로 방치하였을 경우, 구조물의 처짐에 의해 구조물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기도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을 보강하는 강연선의 처짐이 발생하였을 때에 인장부의 제1 탄성부재와 보조인장부의 제2 탄성부재에 의해 강연선에 자동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연선의 처짐을 보수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인력소모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강연선을 인장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변형이나 강연선의 노후에 의해 강연선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물의 처짐현상을 지속적으로 보강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는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하는 인장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인장부 고정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인장부 결합면을 외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강연선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내측으로 제1 가이드홈을 형성한 인장부 하우징과 상기 인장부 하우징의 제1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인장부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되 내측으로 강연선홀과 쐐기부를 형성한 강연선 클램핑부와 상기 강연선 클램핑부의 쐐기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되 내측으로 마찰부를 형성하고, 외측으로 오링을 형성한 소켓부으로 구성된 인장부와 상기 강연선에 인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구조물의 중앙에 형성되는 보조인장부로 구성된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인장부는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하여 구조물의 처짐을 보강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인장부와 구조물의 중앙에 형성되며,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보조인장부 결합면을 외측에 형성하고, 일측의 너트부와 내측의 제2 가이드홈을 형성한 보조인장부 하우징과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의 제2 가이드홈에 결합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의 제2 가이드홈에 결합하며, 일측의 강연선 자리홈과 내측의 작동홀을 형성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작동홀에 결합하는 걸림부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의 너트부와 결합하는 나사부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에 결합되어 구조물(2)을 보강하는 강연선(1)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인장부(10)와 보조인장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인장부(10)는 도 2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의 측면에 구조물과 결합된 인장부 고정플레이트(11)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인장부 고정플레이트(11)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인장부 결합면(12a)를 구성하고 있으며, 일측으로는 상기 강연선(1)이 삽입되는 삽입부(12b)를 형성하며, 내측으로는 제1 가이드홈(12c)을 형성한 인장부 하우징(12)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2)과 인장부 고정플레이트(11)를 결합하는 수단은 구조물(2)이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을 때에는 통상의 결합방법인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구조물(2)이 철강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용접으로 결합하며, 상기 인장부 고정플레이트(11)와 인장부 하우징(12)의 인장부 결합면(12a)과의 결합은 통상의 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부 하우징(12)의 제1 가이드홈(12c)에는 제1 탄성부재(1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부재(13)는 강연선(1)에 충분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지만 통상의 스프링이나 유압실린더 형태로 형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장부 하우징(12)의 제1 가이드홈(12c)에 결합된 제1 탄성부재(13)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강연선 클램핑부(14)는 내측으로 강연선홀(14a)과 쐐기부(14b)를 구성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인장부 하우징(12)의 쐐기부(14b)에 결합하는 소켓부(15)는 내측으로 마찰부(15a)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오링(15b)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부(15)는 3개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인장부(20)는 상기 강연선(1)에 인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구조물(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보조인장부(20)의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의 중앙에 결합하는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21)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21)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보조인장부 결합면(22a)을 구성하고 있으며, 일측으로 형성된 너트부(22b)와 내측의 제2 가이드홈(22c)을 형성한 보조인장부 하우징(22)으로 구성된다.
이때에, 상기 구조물(2)과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21)를 결합하는 수단은 상기에서 전술한 인장부(10)와 동일하게 앵커볼트나 용접으로써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21)와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보조인장부 결합면(22a)과의 결합은 통상의 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12)의 제2 가이드홈(22c)에는 제2 탄성부 재(2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탄성부재(23)는 강연선(1)에 충분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프링이나 유압실린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제2 가이드홈(22c)에 결합된 제2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동부(24)는 일측으로 강연선 자리홈(24a)을 구성하고 내측으로는 작동홀(24b)을 구성하고 있다.
아울러, 고정부(25)는 일측으로 작동부(24)의 작동홀(24b)과 결합하는 결합부(25a)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너트부(22b)와 결합하는 나사부(25b)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보조인장부(20a)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보조인장부(20a)는 구보조인장부(20a)는 구조물(2)의 중앙에 결합하며, 일측으로 걸림턱(31a)을 형성한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31)와 상기 보조인장부 플레이트(31)와 결합하는 보조인장부 결합면(32a)과 스프링 스톱퍼(32b)를 외측에 형성하고, 내측의 제2 가이드홈(32c)을 구성한 보조인장부 하우징(32)과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32)의 제2 가이드홈(32c)에 결합하는 삽입부(34a)를 형성하되, 일측으로는 스톱퍼(34b)를 구성하고 타측으로는 강연선 자리홈(34c)을 형성한 작동부(34)와 상기 작동부(34)의 삽입부(34a)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32)과 작동부(3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인장부(20,20a)의 제2 탄성부재(23, 33)는 강연선(1)에 충분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통상의 스프링이 나 유압실린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50)를 구조물(2)에 결합하기 전에 인장부(10)와 보조인장부(20)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부(10)는 인장부 고정플레이트(11)에 인장부 하우징(12)의 인장부 결합면(12a)을 맞닿도록 배치시킨 후 통상의 용접으로써 결합한다.
그런 후, 상기 인장부 하우징(12)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12c)에 제1 탄성부재(13)와 강연선 클램핑부(14)를 삽입하고, 상기 강연선 클램핑부(14)의 쐐기부(14b)에 오링(15b)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3개로 분할된 소켓부(15)를 결합한다.
또한, 보조인장부(20)는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21)에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보조인장부 결합면(22a)을 맞닿도록 배치시킨 후 통상의 용접으로써 결합한다.
그런 후,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내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22c)에 제2 탄성부재(23)와 작동부(24)를 결합하고, 상기 작동부(24)에 형성된 작동홀(24b)에 고정부(25)의 나사부(25b)가 먼저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너트부(22b)와 고정부(25)의 나사부(25b)가 체결되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5)의 나사부(25b)는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너트 부(22b)에 결합시킬 때에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만큼 체결을 하여 통상의 너트로 돌출된 부분을 체결하여 고정부(25)가 보조인장부 하우징(22)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인장부(10)와 고정인장부(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인장부(10)는 구조물(2)의 양 측면에 통상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하고, 보조인장부(20)도 구조물(2)의 중앙부분에 통상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강연선(1)을 구조물(2) 양 측면에 결합한 인장부(10)와 보조인장부(20)의 강연선 자리홈(24a)에 연결을 시키고, 인장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강연선(1)에 긴장을 주어 구조물(2)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2)을 보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50)를 설치한 상태에서 자연재해 및 기타 외부의 압력, 구조물(2)의 내부 응력에 의해 구조물(2)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50)의 구성요소들의 노후화로 인하여 강연선(1)에 인장력을 가하였던 힘이 약해져서 강연선(1)이 느슨해 지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구조물(2)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인장부(10)의 제1 탄성부재(13)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부(15)와 결합되어 있는 강연선 클램핑부(14)가 후진하게 된다.
그러면, 강연선 클램핑부(14)의 쐐기부(14b)와 마찰부(15a)에 의해 소켓부(15)에 클램핑되어 있는 강연선(1)이 당겨지게 되면서, 구조물(2)의 변형이나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50)의 노후화로 인해 구조물(2)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강연선(1)에 인장력을 가하여 구조물(2)을 지속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구조물(2)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인장부(10)에서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장부(10)에서 강연선(1)을 인장하는 작용과 동시에 구조물(2)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인장부(20)에서도 강연선(1)이 느슨해 짐에 따라 강연선(1)에 인장을 주도록 작용을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구조물(2)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강연선 지지홀(24a)에 의해 강연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인장부(20)는 강연선(1)이 구조물(2)이나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50)의 노후화로 인하여 느슨해 지게 되면, 느슨해 지는 양만큼 강연선(1)이 구조물(2)을 보강하기 위해 작용하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그러면 강연선(1)의 인장력이 약해지면서 보조인장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탄성부재(23)에 의해 작동부(24)가 강연선(1)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강연선(1)에 인장력을 가하여 강연선(1)이 느슨해 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부(10)와 보조인장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탄성부재(13, 23)는 강연선(1)에 가해진 인장력과 힘이 동일해지는 시점에서 작동을 멈추게되며, 시간이 흘러 다시 강연선(1)이 다시 느슨해 지게 되면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강연선(1)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강연선(1)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 및 구조물(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조연장부(20a)의 구성을 도 6 내지 도 8의 형태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는 구조물을 보강하는 강연선의 처짐이 발생하였을 때에 인장부의 제1 탄성부재와 보조인장부의 제2 탄성부재에 의해 강연선에 자동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연선의 처짐을 보수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인력소모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으로 강연선을 인장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변형이나 강연선의 노후에 의해 강연선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물의 처짐 현상을 지속적으로 보강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강연선(1)을 이용하여 구조물(2)을 보강하기 위해 구조물(2)의 측면에 결합하는 인장부 고정플레이트(11)와 상기 인장부 고정플레이트(11)와 결합하는 인장부 결합면(12a)을 외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강연선(1)이 삽입되는 삽입부(12b)를 형성하며, 내측으로 제1 가이드홈(12c)을 형성한 인장부 하우징(12)과 상기 인장부 하우징(12)의 제1 가이드홈(12c)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1 탄성부재(13)와 상기 인장부 하우징(12)의 내측에 삽입되되 내측으로 강연선홀(14a)과 쐐기부(14b)를 형성한 강연선 클램핑부(14)와 상기 강연선 클램핑부(14)의 쐐기부(14b)와 맞닿도록 형성되되 내측으로 마찰부(15a)를 형성하고, 외측으로 오링(15b)을 형성한 3개로 분할하여 형성된 소켓부(15)으로 구성된 인장부(10)와 상기 강연선(1)에 인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구조물(2)의 중앙에 형성되는 보조인장부(20)로 이루어진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인장부(20)는 구조물(2)의 중앙에 결합하는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21)와 상기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21)와 결합하는 보조인장부 결합면(22a)을 외측에 형성하고, 일측의 너트부(22b)와 내측의 제2 가이드홈(22c)을 형성한 보조인장부 하우징(22)과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제2 가이드홈(22c)에 결합하는 제2 탄성부재(23)와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제2 가이드홈(22c)에 결합하며, 일측의 강연선 자리홈(24a)과 내측의 작동홀(24b)을 형성한 작동부(24)와 상기 작동부(24)의 작동홀(24b)에 결합하는 걸림부(25a)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22)의 너트부(22b)와 결합하는 나사부(25b)를 형성한 고정부(25)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인장부(20)는 구조물(2)의 중앙에 결합하며, 일측으로 걸림턱(31a)을 형성한 보조인장부 고정플레이트(31)와 상기 보조인장부 플레이트(31)와 결합하는 보조인장부 결합면(32a)과 스프링 스톱퍼(32b)를 외측에 형성하고, 내측의 제2 가이드홈(32c)을 구성한 보조인장부 하우징(32)과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32)의 제2 가이드홈(32c)에 결합하는 삽입부(34a)를 형성하되, 일측으로는 스톱퍼(34b)를 구성하고 타측으로는 강연선 자리홈(34c)을 형성한 작동부(34)와 상기 작동부(34)의 삽입부(34a)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인장부 하우징(32)과 작동부(3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 방지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070008770A 2007-01-29 2007-01-29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방지장치 KR10077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770A KR100770701B1 (ko) 2007-01-29 2007-01-29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770A KR100770701B1 (ko) 2007-01-29 2007-01-29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701B1 true KR100770701B1 (ko) 2007-10-29

Family

ID=3881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770A KR100770701B1 (ko) 2007-01-29 2007-01-29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17B1 (ko) * 2015-05-07 2015-11-05 김윤기 외부 긴장재 플랜지 통과형 거더
CN108004941A (zh) * 2017-12-15 2018-05-08 重庆桥都桥梁技术有限公司 桥梁维护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411A (ko) * 2003-04-14 2004-10-21 이승영 진동 저감형 교량 보강장치
KR20050010706A (ko) * 2003-07-21 2005-01-28 신효섭 교량빔의 외부긴장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411A (ko) * 2003-04-14 2004-10-21 이승영 진동 저감형 교량 보강장치
KR20050010706A (ko) * 2003-07-21 2005-01-28 신효섭 교량빔의 외부긴장 보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17B1 (ko) * 2015-05-07 2015-11-05 김윤기 외부 긴장재 플랜지 통과형 거더
CN108004941A (zh) * 2017-12-15 2018-05-08 重庆桥都桥梁技术有限公司 桥梁维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5964T3 (es) Dispositivo de conexion.
CN109653531B (zh) 一种体外预应力钢绞线连接器及配套张拉装置
KR101213678B1 (ko) 앵커정착장치
KR100770701B1 (ko) 반발계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강연선 인장의 영구 풀림방지장치
GB2378979A (en) Suspension means
KR200437296Y1 (ko) 커플링 역할을 하는 조임부웨지콘을 구비한 양방향프리스트레스 강선 정착장치
KR10146858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KR0173153B1 (ko) 교량 빔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20130092356A (ko) 앵커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20032A (ko) 긴장재 정착장치
KR20100115070A (ko) 와이어 정착용 앵커볼트
KR100991870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JP3771105B2 (ja) コンクリート棒状構造体の補強器具および補強方法
JP2011043025A (ja)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JP4711850B2 (ja) 脚柱の構造
KR101055175B1 (ko) 인장케이블 재인장 구조 및 공법
KR102258959B1 (ko)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 거더 제작방법
KR100734169B1 (ko)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19243Y1 (ko) 제거식 앵커
KR200372851Y1 (ko) 강연선 재인장 구조
KR100356724B1 (ko) 토목, 건축용 재인장형 앵커의 헤드와 재인장 장치
KR100457650B1 (ko)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KR102405376B1 (ko) 2중 정착 기능을 갖는 케이블 정착구
KR101843076B1 (ko) 재인장 커플러 유닛
JP2005002558A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