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560B1 -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560B1
KR100770560B1 KR1020050084542A KR20050084542A KR100770560B1 KR 100770560 B1 KR100770560 B1 KR 100770560B1 KR 1020050084542 A KR1020050084542 A KR 1020050084542A KR 20050084542 A KR20050084542 A KR 20050084542A KR 100770560 B1 KR100770560 B1 KR 10077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tobacco
seaweed
nicotine
sm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872A (ko
Inventor
황철현
황인영
Original Assignee
황철현
황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철현, 황인영 filed Critical 황철현
Priority to KR102005008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5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8Selection of materials, other than tobacco, suitable for smo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니코틴(nicotine)을 함유한 담배잎 대신에 맛이 부드럽고 독성이 없도록 숙성 발효시킨 판상엽(版狀葉)의 김에 의해 담배를 제조하는 것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식품으로 잘 알려진 김의 성분에는 니코틴이 없고 오히려 김의 메틸메티오닌(methyl-methionine) 성분은 인체에 흡수되면 담배 니코틴의 독을 풀어주며 카로틴(carotene), 포르피오신(porphyosin) 성분은 폐암 및 궤양의 치료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김을 판상엽(版狀葉)으로 숙성 가공하여 담배를 제조함으로써, 이를 흡연시 담배의 흡연으로 인한 건강의 피해를 줄이고 니코틴의 중독을 해소하여 쉽게 금연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김, 담배, 판상엽, 연초, 금연.

Description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LAVER TOBACCO}
본 발명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니코틴(nicotine)을 함유한 담배잎 대신에 맛이 부드럽고 독성이 없도록 숙성 발효시킨 판상엽(版狀葉)의 김(해태)에 의해 담배를 제조하는 것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식품으로 잘 알려진 김의 성분에는 니코틴이 없고 오히려 김의 메틸메티오닌(methyl-methionine) 성분은 인체에 흡수되면 담배 니코틴의 독을 풀어주며 카로틴(carotene), 포르피오신(porphyosin) 성분은 폐암 및 궤양의 치료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김을 판상엽으로 숙성 가공하여 담배를 제조함으로써, 이를 흡연시 담배의 흡연으로 인한 건강의 피해를 줄이고 니코틴의 중독을 해소하여 쉽게 금연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담배는 2,000종 이상의 화학물질, 20종 이상의 발암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담배는 유독한 성분을 섞어 넣은 화학물질의 칵테일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많은 담배회사들은 이들 유독한 성분이 인체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방의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나, 원료 담배잎에서 발생하는 니코틴, 타르를 포함한 유해 물질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렇듯 담배로 인한 건강상의 피해가 명백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흡연자들이 담배의 흡연을 중단하지 못하는 이유는 함유된 니코틴이 담배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담배를 피는 사람의 몸에 니코틴이 부족하게 되면 담배를 다시 찾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연을 위한 담배 대용품으로 니코틴을 소량 함유한 껌이나 패취 형태의 제품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모두 니코틴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흡연에 의한 니코틴의 금단 현상을 보조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만 있을 뿐, 니코틴 중독을 해소하는 완전한 금연에는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니코틴을 함유하지 않고, 담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 담배 대용품으로는 미국 특허 제4,506,684호 및 제4,719,929호에 기재된 식물 펄프 등의 섬유소(cellurose, 纖維素)를 이용한 제품과 미국 특허 제4,813,438호에 기재된 밀기울(bran, 糠), 콩(soybean, 豆) 및 메스콰이트(mesquite)를 주원료로 하는 제품들이 나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평1-273574호에는 커피 원두의 분말과 우롱차 잎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이 게재되어 있다. 이들 제품 외에, 인공적으로 두충잎, 들깨잎, 녹차잎 등의 식물성 유기화합물을 증숙 가공하여 담배 대용품으로 이용한 것들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니코틴 성분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간조대 생물인 김처럼 함유성분에 흡연에 좋은 카로틴, 포루피오신, 메틸메티오닌 성분이 함유되어 폐암을 예방하고 니코틴의 독을 풀어주는 약리효과가 있는 것들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출한 것으로, 특히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니코틴을 함유한 담배 잎 대신에 맛이 부드럽고 독성이 없도록 숙성 발효시킨 판상엽(版狀葉)의 김에 의해 담배를 제조하는 것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식품으로 잘 알려진 김의 성분에는 니코틴이 없고 오히려 김의 메틸메티오닌 성분은 인체에 흡수되면 담배 니코틴의 독을 풀어주며 카로틴, 포르피오신 성분은 폐암 및 궤양치료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김을 판상엽으로 숙성 가공하여 담배를 제조함으로써, 이를 흡연시 담배의 흡연으로 인한 건강의 피해를 줄이고 니코틴의 중독을 해소하여 쉽게 금연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창안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다에서 채취한 물김을 염수로 깨끗이 세척하고 이물을 제거한 후 절단세정기로 김엽체의 크기를 7±5mm가 되도록 절단 세정하는 물김의 세척 및 절단 공정과;
절단 세정한 물김을 엽체를 부드럽게 하고 향기를 촉진하기 위하여 숙성탱크에서 물과 교반시키면서 2∼6시간 정도 습식으로 숙성시키는 물김의 숙성 공정과;
습식으로 숙성한 물김을 보충수와 교반하여 김 초제기의 발장 표면에 얇고 고르게 도포하는 물김의 발장 도포 공정과;
발장의 표면에 도포한 물김을 건조기에서 40∼90℃의 저온 열풍으로 1∼3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이 11±2%인 판상엽(版狀葉)으로 제조한 김을 분절 수거하는 판상엽김의 건조 수거 공정과;
분절 수거한 판상엽김을 수분함유량이 항상 11±2%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상온의 숙성실에 저장하여 3개월∼2년간 숙성시키는 판상엽김의 숙성 공정과;
상기 숙성된 판상엽(版狀葉)의 김을 권련담배제조기에 투입시켜 향미제의 첨가 및 가습, 토스트, 각초, 팽화, 권련성형, 필터부착, 포장 등의 작업을 실행하는 권련담배의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김의 성분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재료인 김은 침수와 건조가 번갈아 일어나는 곳에서 자라는 조간대 생물로써, 항상 물속에서만 자라나는 미역, 다시마와는 달리 김은 광합성작용을 하면서 성장하여 엽록소와 비타민C가 매우 풍부하고 '카로틴'이 매우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담배로 인한 폐암 예방에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또한 김의 함유성분인 '포루피오신'은 궤양을 일으키는 인자들을 억제하는데, 이 같은 김의 항궤양작용은 담배의 '타르' 성분에 의해 손상된 폐포를 치유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김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타우린'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간의 독풀이 기능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김은 항암효과 및 동맥경화예방, 궤양, 다혈질, 뇌졸중, 현기증, 숨이 차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좋은 식품인데, 특히 김에 많이 들어 있는 '메틸메티오닌' 성분은 담배 '니코틴'의 독을 없애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흡연자에게 유익한 성분을 많이 함유한 김을 판상엽 상태로 숙성시켜 담배 대용물로 제조한 것으로, 이와 같이 제조한 김 담배는 흡연시 유익한 함유성분들을 구강, 폐포, 위 등의 점막을 통해서 인체에 흡입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금연을 위한 담배 대용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공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공정(물김의 세척 및 절단 공정)
바다에서 채취한 물김(참김, 돌김, 파래김 등 광합성작용을 하며 성장하는 조간대의 해양생물인 해초,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2회씩 엽체를 대기에 노출시켜 기르는 무산처리 자동노출부류식 김양식법으로 생산한 친환경 김)을 염수로 깨끗이 세척하고 이물을 제거한 후 절단세정기로 김엽체의 크기를 7±5mm가 되도록 절단 세정한다. 상기한 자동노출부류식 김양식법으로 생산된 무산처리 친환경 김은 조류력에 의해 김발을 조간대 노출주기로 하루 2회씩 대기중에 건조시켜 맛과 향기가 좋음은 물론 육질이 매우 부드러워 담배 대용의 원료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제2공정(물김의 숙성 공정)
절단 세정한 물김을 엽체를 부드럽게 하고 향기를 촉진하기 위하여 숙성탱크에서 물과 교반시키면서 2∼6시간 정도 습식으로 숙성시킨다. 상기한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효소작용에 의해 김 세포가 호화되면서 판상엽으로 제조하기 좋은 부드러운 엽체가 만들어 진다.
제3공정(물김의 발장 도포 공정)
습식으로 숙성한 물김을 보충수와 교반하여 김 초제기의 발장 표면에 얇고 고르게 도포한다. 상기한 보충수는 민물, 또는 물에 염(鹽)(0.1∼0.3중량%)나 글리세린(0.3∼0.5중량%)를 가미하여 김의 보습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공정(판상엽김의 건조 수거 공정)
발장의 표면에 도포한 물김을 40∼90℃의 저온 열풍으로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이 11±2%인 판상엽(版狀葉)으로 제조한 김을 분절 수거한다. 상기한 열풍건조의 조건은 최대한 저온으로 서서히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김의 수분 및 품질 변형을 막아 좋은 형태의 판상엽김을 만들 수 있다.
제5공정(판상엽김의 숙성 공정)
분절 수거한 판상엽(版狀葉)김을 수분함유량이 항상 11±2%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상온의 숙성실에 저장하여 초기의 검붉은 판상엽김 색택이 효소 및 산화에 의해 옅은 적자색으로 변하면서 잎 표면의 끈적끈적한 왁스 및 고분자화합물이 분리되고 엽체가 얇아져 유연성이 증가하도록 3개월∼2년간(바람직하게는 1년간) 숙성시킨다. 이 공정은 판상엽김의 연소시 타르의 생성을 줄이고 독하지 않은 순한 맛의 끽연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의 숙성에 의한 왁스 및 고분자화합물의 제거는 연소시 타르의 생성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자는 판상엽김이 숙성에 의해 타르의 생성이 줄어드는 것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전혀 숙성하지 않은 판상엽김, 3개월간 숙성한 판상엽김, 6개월간 숙성한 판상엽김, 1년간 숙성한 판상엽김, 2년간 숙성한 판상엽김을 각각 10개의 길이 8.4cm, 직경 0.8cm, 둘레 2.4cm 사이즈의 필터 권련으로 제조하여 추출한 타르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타르 측정법은 '스모킹머신'에 권련 필터의 맨 끝을 장착하고 연소된 연기를 분당 35㎖를 흡입하여 측정하는 미국 연방 통상 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 FTC)의 측정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테스트 결과는 다음의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05511162500-pat00001
상기한 측정결과에서 보면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색택은 적자색으로 엷어지고 추출 타르량은 줄어들었다. 그리고 초기의 흑갈색인 판상엽김이 숙성 발효에 의해 적자색으로 변하면서 잎 표면의 끈적끈적한 왁스 및 고분자화합물이 감소되고 엽체가 얇아지는 등의 기질적 변화는 타르의 생성을 감소시킨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 숙성에 의한 판상엽김의 색택 변화 및 기능성 향상은 6개월 정도(타르량 5.7mg)가 되면 거의 완숙의 단계에 이른다고 볼 수 있다. 2년 이상의 숙성도 할 수 있지만 시간과 관리, 비용의 측면에서는 1년 정도의 숙성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공정에서 숙성기간의 수분함유량은 항상 11±3%로 유지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김은 습기가 너무 많으면 축축해지며 엉겨 붙어 급속히 변질 및 부패가 진행되고, 너무 건조하면 숙성기간이 더디어지고 부스러짐에 의해 제품의 품질 이 나빠진다.
제6공정(권련담배의 제조 공정)
이와 같이 숙성된 판상엽(版狀葉)의 김 담배는 권련담배제조기에 투입시켜 향미제(향미제는 통상의 담배 제조에 가미되는 향미제(flavoring), 예를 들면 글리세롤(glycerol), 덱스트린(dextrin), 감미제(sweetner), 향료(spices) 및 배합연초 등이 있다)의 첨가 및 가습, 토스트, 각초, 팽화, 권련성형, 필터부착, 포장 등의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니코틴이 없는 권련담배를 제조한다.
상기한 권련담배제조기(바람직하게는 담배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공지의 권련담배제조기를 사용한다)는 향미제의 첨가 및 가습, 토스트, 각초, 팽화, 권련성형, 필터부착, 포장 등의 작업을 콘베어 및 로봇에 의해 연속적으로 처리하도록 개발되어 있어 이를 활용하는 것이 인력과 비용을 줄이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 청구범위 기재의 청구범위 이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니코틴을 함유한 담배잎 대신에 맛이 부드럽고 독성이 없도록 숙성 발효시킨 판상엽(版狀葉)의 김에 의해 담배를 제조한 것으로, 인체에 이로운 식품으로 알려진 김의 성분에는 흡연시 니코틴이 전혀 없고 오히려 김의 메틸메티오닌 성분이 인체에 흡수되면 담배 니코틴의 독을 풀어주며 카로틴, 포루피오신 성분은 폐암 및 궤양의 치료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김을 판상엽으로 숙성 가공하여 담배를 제조함으로써, 이를 흡연시 담배의 흡연으로 인한 건강의 피해를 줄이고 니코틴의 중독을 해소하여 쉽게 금연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바다에서 채취한 물김을 염수로 깨끗이 세척하고 이물을 제거한 후 절단세정기로 김엽체의 크기를 7±5mm가 되도록 절단 세정하는 물김의 세척 및 절단 공정과;
    절단 세정한 물김을 숙성탱크에서 물과 교반시키면서 2∼6시간 정도 습식으로 숙성시키는 물김의 숙성 공정과;
    습식으로 숙성한 물김을 보충수와 교반하여 김 초제기의 발장 표면에 얇고 고르게 도포하는 물김의 발장 도포 공정과;
    발장의 표면에 도포한 물김을 건조기에서 40∼90℃의 저온 열풍으로 1∼3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이 11±2%인 판상엽(版狀葉)으로 제조한 김을 분절 수거하는 판상엽김의 건조 수거 공정과;
    분절 수거한 관상엽김을 수분함유량이 항상 11±2%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상온의 숙성실에 저장하여 3개월∼2년간 숙성시키는 판상엽김의 숙성 공정과;
    상기 숙성된 판상엽(版狀葉)의 김을 권련담배제조기에 투입시켜 향미제의 첨가 및 가습, 토스트, 각초, 팽화, 권련성형, 필터부착, 포장의 작업을 실행하는 권련담배의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담배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50084542A 2005-09-08 2005-09-08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77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542A KR100770560B1 (ko) 2005-09-08 2005-09-08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542A KR100770560B1 (ko) 2005-09-08 2005-09-08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72A KR20050096872A (ko) 2005-10-06
KR100770560B1 true KR100770560B1 (ko) 2007-10-29

Family

ID=3727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542A KR100770560B1 (ko) 2005-09-08 2005-09-08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1925A (zh) * 2011-11-07 2012-06-27 上海聚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紫菜加工成烟草辅制品的方法
CN105029674B (zh) * 2015-08-28 2017-05-31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以紫菜为骨架材料的片状嚼烟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52A (ja) * 1991-07-11 1993-01-29 Nkk Corp 金属管被覆光フアイバケ−ブ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2024114A (ja) * 2000-07-03 2002-01-25 Kenwood Corp 情報配信要求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52A (ja) * 1991-07-11 1993-01-29 Nkk Corp 金属管被覆光フアイバケ−ブ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2024114A (ja) * 2000-07-03 2002-01-25 Kenwood Corp 情報配信要求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993-19152호
공개특허공보 제2002-24114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72A (ko)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872B1 (ko) 녹차를 주성분으로 한 담배대용품 및 그 제조방법
US3067068A (en) Tobacco-like composition
JP5976690B2 (ja) 乾燥処理されたタバコ及び乾燥処理方法
CN106820251A (zh) 一种草本茶烟
JPS6024172A (ja) たばこ用香料の製造方法
CN102940309B (zh) 一种淡雅香品类卷烟用白肋烟丝的制备方法
US11206863B2 (en) Vegetable based tobacco alternatives and articles comprising same
US4201228A (en) Non-tobacco containing smoking product
EP4030935A1 (en) A smokeless article
CN105146732A (zh) 无毒香烟
CN106858704A (zh) 六堡茶茶烟及其制备方法
KR100770560B1 (ko) 김 담배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EP3868222A1 (en) Smokeless article
KR100623991B1 (ko) 백련(白蓮)꽃향이 착향된 백련잎차의 제조방법
KR101622517B1 (ko) 곶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곶감
Darkis et al. Cigarette tobaccos. Chemical changes that occur during processing
KR101193900B1 (ko)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868223A1 (en) Smokeless article
CN111616402B (zh) 一种混合花香茶烟的制备工艺
EP3868221A1 (en) Smokeless article
KR100885376B1 (ko) 송이버섯차 제조방법
KR100822945B1 (ko) 수국(감)차나무 엽을 주재료로 만든 담배 대용품
KR20040018691A (ko) 담배의 제조방법
KR100458314B1 (ko) 녹차담배의 제조방법
CN111602841A (zh) 一种清口茶烟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