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539B1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539B1
KR100770539B1 KR1020060076087A KR20060076087A KR100770539B1 KR 100770539 B1 KR100770539 B1 KR 100770539B1 KR 1020060076087 A KR1020060076087 A KR 1020060076087A KR 20060076087 A KR20060076087 A KR 20060076087A KR 100770539 B1 KR100770539 B1 KR 10077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regions
type
sour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기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539B1/ko
Priority to US11/782,820 priority patent/US20080035994A1/en
Priority to CNA2007101408287A priority patent/CN10112730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33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 H01L29/1041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with a non-uniform doping structure in the channel region surface
    • H01L29/104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with a non-uniform doping structure in the channel region surface the doping structure being parallel to the channel length, e.g. DMOS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3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a self aligned punch through stopper or threshold implant under the gat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3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due to surface inversion layer, e.g. with channel st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01L29/0653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adjoining the input or output region of a field-effect device, e.g. the source or drain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7Substrate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75Substrate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79Substrate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1087Substrate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tact structure of the substrate region, e.g. for controlling or preventing bipolar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사이즈를 최소화하고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는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웰 영역; 상기 기판 상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제2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제1 드리프트 영역;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바;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 상에 제2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제1 불순물; 및 상기 바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 형성된 폴리 게이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를 형성함으로써, 펀치 쓰루우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항복 전압을 증가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펀치 쓰루우의 발생이 억제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의 저하 없이 소자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 수평 확산형 모스 트랜지스터, 바, 펀치 쓰루우, 항복 전압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p형 웰 영역 2a, 3a: n형 드리프트 영역
2b, 3b: n형 불순물 영역 4a: p형 드리프트 영역
4b: p형 불순물 영역 5: 소자 분리 영역
6: 폴리 게이트 7a, 7b: 바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자 사이즈를 최소화하고 펀치 쓰루우(punch through)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 향상과 그에 따른 설계 기술이 점차로 발달하여 하나의 반도체 칩에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원칩(one-chip)화는 주로 시스템의 주요 기능인 제어기, 메모리 및 기타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회로를 하나의 칩으로 통합하는 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이 더욱 경량화 및 소형화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전원을 조절하는 입력단 및 출력단의 주요 기능을 하는 회로가 하나의 칩에 통합되어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고전압 트랜지스터와 저전압 씨모스트랜지스터를 하나의 칩으로 통합하는 파워 아이씨(power IC)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트랜지스터(High Voltage Transistor)는 게이트와, 게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Channel) 및 채널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농도의 n형 소오스 및 고농도의 n형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고, 소자 구동 시, 상기 고농도의 n형 드레인 영역에 걸리는 전계를 분산시키기 위해 n형 드레인 영역의 경계선과 소정거리를 유지하며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저농도의 n형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을 가진다.
한편, 최근에는 고전압 브레이크다운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고농도의 n형 드레인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이와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이를 둘러싸는 저농도의 드리프트 영역 또한 수평으로 배치하는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Lateral Diffused MOS : LDMOS)를 연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에 의해 어느 정도 소자 사이즈가 줄어들기 하지만, 그 사이즈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즉, 소자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면, 채널 길이(channel length) 또한 줄어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채널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펀치 쓰루우가 발생되기 쉽다. 이는 소자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낮추게 되어 소자의 특성을 악화시켜 고전압 소자에 적용이 불가능해지게 되어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펀치 쓰루우의 발생을 억제하여 소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물질로 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제2 도전형 물질로 제1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 상에 제2 도전형 물질로 제1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폴리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할 때,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를 동시에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는,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웰 영역; 상기 기판 상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제2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제1 드리프트 영역;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바;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 상에 제2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제1 불순물; 및 상기 바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 형성된 폴리 게이트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형 모스트랜지스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상에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p형 웰 영역(1)이 형성되고, p형 웰 영역(1)이 형성된 기판 상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상에 n형 불순물을 저농도로 주입하여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 내에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n형 불순물 영역(2b, 3b)을 형성한다. 상기 n형 불순물 영역(2b, 3b)은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형성된다.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은 소자 동작시 전계가 n형 불순물 영역(2b, 3b)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계를 분산되도록 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n형 불 순물 영역(2b, 3b)에 집중된 전계가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으로 분산되게 됨으로써, 소자의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형성된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을 둘러싸도록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p형 드리프트 영역(4a)을 형성한다.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의 일부분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p형 불순물 영역(4b)을 형성한다. 상기 p형 불순물 영역(4b)은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상기 p형 불순물 영역(4b)을 통해 소정의 신호가 공급되게 되면, p형 불순물 영역(4b)으로 공급된 신호가 p형 드리프트 영역(4a)으로 전달된다.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은 소자 간의 절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특히 고전압 소자의 경우 각 소자에 고전압이 인가되게 됨에 따라 인접 소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접 소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p형 불순물 영역(4b)과 p형 드리프트 영역(4a)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p형 불순물 영역(4b)에 소정의 신호가 공급되게 되면, 이와 같이 공급된 신호가 p형 드리프트 영역(4a)의 모든 영역으로 공급되게 되어, p형 드리프트 영역(4a) 모두에 소정의 신호가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p형 드리프트 영역(4a)에 공급된 신호에 의해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 안에 형성된 n형 모스 트랜지스터에 공급된 신호가 인접 p형 모스 트랜지스터(미도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7a, 7b)가 형성된다. 상기 바(7a, 7b)는 소오스 및 드레인 사이의 채널 길이(channel length)를 최대한 늘려 펀치 쓰루우(punch through)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증가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7a, 7b)는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을 형성할 때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7a, 7b)는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과 마찬가지로 p형 불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7a, 7b)는 저면이 각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바(7a, 7b)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여러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7a, 7b)는 2개 내지 5개 이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7a, 7b)가 하나이거나 5개 이상일 경우에도 펀치 쓰루우를 억제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전류 역전 현상(current reverse)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7a, 7b)는 2개 내지 5개 정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사이의 기판 상에 폴리 게이트(6)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폴리 게이트(6)는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과 일부분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소자 간을 분리하기 위해 소자 분리 영역(STI, 5)이 형성된다. 상기 소자 분리 영역(STI, 5)은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 내에 n형 불순물 영역(2b, 3b)과 폴리 게이트(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상에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을 주입 공정을 통해 주입하여 p형 웰 영역(1)을 형성한다. 도 2a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접하는 소자 영역에는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n형 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소자 영역마다 n형 웰 영역이나 p형 웰 영역(1)이 형성될 수 있다.
p형 웰 영역(1)은 드라이브 인(drive-in) 공정을 통해 그 영역이 확산에 의해 확대될 수 있다. p형 웰 영역(1)은 주로 기판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형 웰 영역(1)을 갖는 기판 상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을 주입 공정을 통해 주입하여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을 형성한다. 이어서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을 드라이브 인(drive-in) 공정을 통해 그 영역을 확산에 의해 확대시킨다. 따라서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은 주입 공정시의 영역보다 커질 수 있다. 특히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을 수평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가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이다.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각각에 형성된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 간에는 소정 거리 즉, 채널 길이(channel length) 이격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형성된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의 둘레를 따라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을 주입 공정을 통해 주입하여 p형 드리프트 영역(4a)을 형성한다.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은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형성된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을 둘러싸게 되어, 소자 동작시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신호가 인접 MOS 트랜지스터에 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시킨다.
동시에,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에 p형 불순물을 주입 공정 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7a, 7b)를 형성한다. 상기 바(7a, 7b)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바(7a, 7b)는 저면이 각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7a, 7b) 간의 간격이나 깊이 등은 실험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7a, 7b)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에 형성함으로써, 채널 길이(channel length)를 늘리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펀치 쓰루우(punch through)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항복 전압을 증가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바(7a, 7b)는 하나일 수 있고 또는 다수개일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7a, 7b)는 2개 내지 5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바(7a, 7b)가 하나이거나 5개를 초과하는 경우 전류 역전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MOS 트랜지스터 간,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 내에 n형 불순물 영역(2b, 3b)의 측면 및 n형 드리프트 영역(2b, 3b)과 p형 드리프트 영역(4a) 사이 등에 소자 분리 영역(5)을 형성한다.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기판 상에 산화막(미도시)을 매개로 하여 폴리 게이트(6)를 형성한다. 상기 폴리 게이트(6)는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과 일부분 중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폴리 게이트(6)의 양 측면에는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 게이트(6) 및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하 여 n형 드리프트 영역(2a, 3a) 내에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을 주입 공정을 통해 주입하여 n형 불순물 영역(2b, 3b)을 형성한다. 즉, 소오스 영역의 n형 드리프트 영역(2a)과 드레인 영역의 n형 드리프트 영역(3a)에 각각 n형 불순물 영역(2b, 3b)을 형성한다.
또한, p형 드리프트 영역(4a) 내에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주입 공정을 통해 주입하여 p형 불순물 영역(4b)를 형성한다. 상기 p형 불순물 영역(4b)은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의 일부 영역에만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p형 불순물 영역(4b)을 통해 주입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p형 드리프트 영역(4a)으로 인가되어, 소자 동작시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신호가 인접 MOS 트랜지스터에 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를 형성하여 소자의 항복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소자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를 형성하여 펀치 쓰루우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항복 전압을 증가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 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물질로 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저농도의 제2 도전형 물질로 제1 및 제2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저농도의 제1 도전형 물질로 상기 제1 및 제2 드리프트 영역의 외곽 둘레를 따라 제3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에 다수의 바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폴리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드리프트 영역 각각에 고농도의 제2 도전형 물질로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드리프트 영역의 일부 영역에 고농도의 제1 도전형 물질로 제3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저면이 각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2개 내지 5개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웰 영역;
    상기 기판 상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저농도의 제2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드리프트 영역;
    저농도의 제1 도전형 물질로 상기 제1 및 제2 드리프트 영역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3 드리프트 영역;
    상기 저농도의 제1 도전형 물질로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에 형성된 다수의 바;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폴리 게이트;
    상기 제1 및 제2 드리프트 영역 각각에 고농도의 제2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불순물; 및
    상기 제3 드리프트 영역의 일부 영역에 고농도의 제1 도전형 물질로 형성된 제3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상기 제2 도전형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저면이 각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2개 내지 5개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상기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상기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바는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60076087A 2006-08-11 2006-08-1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0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87A KR100770539B1 (ko) 2006-08-11 2006-08-1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782,820 US20080035994A1 (en) 2006-08-11 2007-07-25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A2007101408287A CN101127307A (zh) 2006-08-11 2007-08-10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87A KR100770539B1 (ko) 2006-08-11 2006-08-1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539B1 true KR100770539B1 (ko) 2007-10-25

Family

ID=3881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87A KR100770539B1 (ko) 2006-08-11 2006-08-1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35994A1 (ko)
KR (1) KR100770539B1 (ko)
CN (1) CN1011273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1186B2 (en) * 2008-05-15 2014-12-30 Great Wall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high voltage SOI lateral double diffused MOSFET with shallow trench insulator
US9640638B2 (en) 2008-05-15 2017-05-02 Great Wall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power MOSFET with interconnect structure to achieve lower RDSON
CN101800247A (zh) * 2010-03-12 2010-08-11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可提高击穿电压的ldmos器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183B1 (ko) 1996-05-06 1999-06-15 김영환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50012955A (ko) * 2003-07-25 2005-02-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인버스 드리프트를 갖는 고전압 트랜지스터
US6906381B2 (en) 2000-06-09 2005-06-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ateral semiconductor device with low on-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50093487A (ko) * 2004-03-19 2005-09-2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비대칭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9238A (en) * 1992-09-02 1996-07-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rea efficient high voltage Mosfets with vertical resurf drift regions
US6064086A (en) * 1995-08-24 2000-05-16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ateral IGBT
JP4014676B2 (ja) * 1996-08-13 2007-1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絶縁ゲイト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DE19800647C1 (de) * 1998-01-09 1999-05-27 Siemens Ag SOI-Hochspannungsschalter
JP3983067B2 (ja) * 2001-03-19 2007-09-2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静電保護回路
US6573562B2 (en) * 2001-10-31 2003-06-03 Motorola, Inc. Semiconductor component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422393B1 (ko) * 2002-01-17 2004-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격자형 표류 영역 구조를 갖는 이디모스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16627B1 (ko) * 2002-06-18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7005703B2 (en) * 2003-10-17 2006-02-28 Agere Systems Inc. Metal-oxide-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and reliability
US7238986B2 (en) * 2004-05-03 2007-07-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obust DEMOS transisto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183B1 (ko) 1996-05-06 1999-06-15 김영환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6906381B2 (en) 2000-06-09 2005-06-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ateral semiconductor device with low on-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50012955A (ko) * 2003-07-25 2005-02-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인버스 드리프트를 갖는 고전압 트랜지스터
KR20050093487A (ko) * 2004-03-19 2005-09-2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비대칭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35994A1 (en) 2008-02-14
CN101127307A (zh)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8251B (zh) 半導體裝置
CN101241934B (zh)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US839995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64264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05994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7566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421153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723256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877674B1 (ko) Ldmos 소자
KR100770539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8861A (ko)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KR100947567B1 (ko) 고전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4956351B2 (ja) Dmos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20100072405A (ko) 반도체 소자, 이의 제조방법 및 플래시 메모리 소자
KR100587605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4839578B2 (ja) 横形半導体装置
KR20070071030A (ko) 수평형확산 모스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60704B1 (ko)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961549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로직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20130073776A (ko) 횡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0501B1 (ko) 수평 확산형 모스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940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089118B2 (en) Method for selective gate halo implantation in a semiconductor die and related structure
KR10079029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6593A (ko)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