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413B1 -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413B1
KR100770413B1 KR1020070056795A KR20070056795A KR100770413B1 KR 100770413 B1 KR100770413 B1 KR 100770413B1 KR 1020070056795 A KR1020070056795 A KR 1020070056795A KR 20070056795 A KR20070056795 A KR 20070056795A KR 100770413 B1 KR100770413 B1 KR 10077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lding
functional
coating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양지스페이스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양지스페이스아트 filed Critical (주)양지스페이스아트
Priority to KR102007005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32Pigments, colouring agents or opacifiy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reinforcement
    • B29K23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3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발포폴리스티렌을 상호 믹싱하는 혼합부(30); 상기 혼합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혼합물을 고열로 녹인 후 일측으로 이송하는 압출부(40); 상기 압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성형부(50); 상기 성형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을 10∼18℃의 물속으로 통과시켜 소재의 내부 미세 조직상태를 굳어지게 하는 냉각부(70);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의 표면에 무늬 모양이 표시된 필름을 입히는 필름도포부(90); 및 상기 필름도포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상하면을 긴밀히 누르면서 소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압부(10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혼합부와 압출부, 성형부(게르마늄액 분사공급부)와 냉각부 그리고 수분제거부와 필름도포부의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는 것이고, 상기 생산된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매트, 욕실 발판, 조립식 마루, 바닥재, 몰딩 류 및 그 외에 각종 건축용 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기능성 소재에서 발생 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에 의해 피로회복의 증진과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고 또한 항균과 탈취효과로 세균성 질환의 원인균을 막아주고 또한 활동에 의해 혼탁해진 실내오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성형부, 게르마늄액 분사공급부, 냉각부,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

Description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A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ultipurpose function bio material}
도 1 의 (a)는 종래 옥 코팅 패널의 제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b)는 종래 옥 코팅 패널의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며,
(c)는 종래 옥 코팅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를 보인 전
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성형부 및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의 요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성형부의 요부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성형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혼합부 40: 압출부
50: 성형부 60: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
70: 냉각부 80: 수분제거부
90: 필름도포부 100: 가압부
본 발명은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부와 압출부, 성형부(게르마늄액 분사공급부)와 냉각부 그리고 수분제거부와 필름도포부의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는 것이고, 상기 생산된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매트, 욕실 발판, 조립식 마루, 바닥재, 몰딩 류 및 그 외에 각종 건축용 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기능성 소재에서 발생 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에 의해 피로회복의 증진과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고 또한 항균과 탈취효과로 세균성 질환의 원인균을 막아주고 또한 활동에 의해 혼탁해진 실내오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원적외선은 생명의 빛, 활력의 빛, 신비의 빛 등으로 불리며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강화, 노폐물 제거와 같이 인체에 유익함은 물론 인체의 정상체온 유지와 근육통 해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생활용품으로 유용하다.
또한 음이온은 세포 부활작용과 자율신경조절 등의 효과가 있어서 최근 들어 의료 및 웰빙 관련 제품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게르마늄은 산소량의 증가와 세포의 활성화로 신체의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몸속의 유독물질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과 음이온은 좋은 효과가 있어 이를 이용한 기술이 종래에 다수가 출원 및 등록된바 있다.
그 중에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0014369호(공고번호 제2000-0166088호)(명칭: 옥 코팅 패널의 제조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된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을 살펴보면,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에서 진입되는 수지가 220℃로 가열된 스크류(11)를 통과하면서 혼합되면서 용융토록 되고, 용융된 수지는 티 다이(T-DIE)에 의하여 발포성형 제품이 압출되어지고 압출 성형된 발포체의 상하면으로는 알루미늄의 정확한 밀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접착필름을 코팅할 수 있는 연마롤(13)과 접착필름의 상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로라(14)와 접착제층이 형성된 발포체의 상하로는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는 알루미늄 박판(15)이 접착되기 직전에는 발포체와 알루미늄 박판의 사이에 온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80℃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히팅로라(16)와 히팅로라를 통과한 알루미늄 박판이 발포체와 합지토록 하기 위한 가압로라(17)와 가압로라에 의하여 합지된 상태에서 다시 히팅 챔버(16a)를 통하면서 8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2차로 가압하기 위한 2차 가압로라(17a)와 가압에 의하여 합지된 상태에서 냉각시 발포체와 알루미늄 박판의 냉각시간의 차이에 의하여 패널의 휨을 방지하고, 또한 평활도의 유지를 위하여 평활로라(18)와 평화롤라를 통과된 패널을 인취하기 위한 인취기(19)와 인취기를 통하여 인취되면서 냉각되고, 그 후 옥분말의 코팅을 위하여 또다시 접착필름과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80℃로 가열하기 위한 히팅챔버(20a)와 히팅챔버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상태에서 분말상의 옥분말이 분사토록 하기 위한 코팅로라(21)와 코팅후 발포체와 알루미늄박판의 냉각시간의 차이로 코팅된 옥분말의 탈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시 80-90℃의 열풍으로 가열시키기 위한 건조기(22)와 건조기를 통과한 패널을 인취하면서 다양한 무늬모양을 표현하기 위한 전사필름 접착로라(23)와 전사필름의 인쇄된 내용이 자외선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UV코팅로(24)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라인으로 연속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된 패널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이 일정량 함유된 폐플라스틱제를 이용하여 발포성형한 발포층(1)의 상하로 알루미늄박판(2)을 합지하고 알루미늄박팍(2)에는 접착수지에 의한 옥코팅(3)과 전사필름(4)의 접착 및 UV코팅(5)으로 형성됨으로서 옥분말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사로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신체적으로 유익한 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분말 옥을 플라스틱에 합지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분말 옥이 완성된 패널 표면에서 미세하게 요철형식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미관 및 표면 감촉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발포폴리스티렌을 상호 믹싱하는 혼합부도 없을 뿐 더러 패널의 성형과정에서 게르마늄액이 외주면에 분사 코팅되는 기술적 구성이 없기 때문에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혼합부와 압출부, 성형부(게르마늄액 분사공급부)와 냉각부 그리고 수분제거부와 필름도포부의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 생산된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매트, 욕실 발판, 조립식 마루, 바닥재, 몰딩 류 및 그 외에 각종 건축용 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특히 기능성 소재에서 발생 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에 의해 피로회복의 증진과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고 또한 항균과 탈취효과로 세균성 질환의 원인균을 막아주고 또한 활동에 의해 혼탁해진 실내오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발포폴리스티렌을 상호 믹싱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혼합물을 고열로 녹인 후 일측으로 이송하는 압출부;상기 압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을 10∼18℃의 물속으로 통과시켜 소재의 내부 미세 조직상태를 굳어지게 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의 표면에 무늬 모양이 표시된 필름을 입히는 필름도포부; 및 상기 필름도포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상하면을 긴밀히 누르면서 소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압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재료, 특히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발포폴리스티렌을 상호 믹싱하는 혼합부(3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은 혼합호퍼(33)의 일측 상부에 재료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재료를 저장하는 발포폴리스틸렌저장통(34)이 설치되고, 상기 혼합호퍼(33)에는 모터(31)의 구동에 의해 각종 재료를 믹싱하는 혼합스크류(32)가 구비되며, 상기 혼합호퍼(33)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다른 공급호퍼(44)로 혼합된 재료를 이송하는 콘베이어벨트(3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부(30)의 하단에 위치하며, 혼합물을 고열로 녹인 후 일측으로 이송하는 압출부(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압출부(40)의 내부에는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소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1) 및 소재를 250∼380℃의 고열로 녹일 수 있도록 한 히팅코일(42)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출부(40)의 일측에 구비되며,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성형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부(50)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성형부(50)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를 공급하는 일측의 압출부(40)와 게르마늄액을 공급하는 측면의 히팅부몸체(61)와 연결되는 몸체(5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51)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조립 설치되며, 소재를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을 코팅하는 제1, 제2, 제3성형판(52)(53)(54)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몸체(51)에서 배출되는 소재를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면서 배출시키도록 제1, 제2, 제3성형판(52)(53)(54)의 같은 선상에 각각의 제1, 제2, 제3소재배출공(55a)(55b)(55c)이 형성된다. 또한 게르마늄액을 공급하여 소재의 외주면에 코팅할 수 있도록 몸체(51) 및 제1, 제2성형판(52)(53)의 같은 선상에 각각의 제1, 제2, 제3공급공(51a)(52a)(53a)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제2, 제3성형판(53)(54)의 상호 맞닿는 면에는 제3공급공(53a)으로 배출된 게르마늄액이 모여질 수 있도록 각각 제1, 제2공간요홈부(56a)(56b)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성형부(50)에는 소재의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을 도포하여 코팅하는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6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히팅부몸체(61)의 내부에는 게르마늄액을 50∼60℃ 온도로 데워 공급할 수 있도록 히팅코일(62)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때 도면상 63은 게르마늄액을 넣어 저장하는 게르마늄저장호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성형부(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을 10∼18℃의 물속으로 통과시켜 소재의 내부 미세 조직상태를 굳어지게 하는 냉각부(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각부(70)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물저장함(71)이 구비되어 성형물이 천천천이 냉각되면서 물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부(7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의 표면에 무늬 모양이 표시된 필름을 입히는 필름도포부(9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필름도포부(90)는 상단의 필름(91)이 풀리면서 안내봉(92)에 의해 필름을 소재의 상면에 위치시킨 다음 압입로울러(93)로 소재의 상면에 필름(91)를 눌러 압입되도록 구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각부와 필름도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성형물에 묻어 있는 물기를 에어로 불어 제거하는 수분제거부(80)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필름도포부(90)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상하면을 긴밀히 누르면서 소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압부(1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가압로울러(101)와 하부가압로울러(102)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발포폴리스티렌을 상호 믹싱하는 혼합부(S110); 상기 혼합부의 혼합물을 고열로 녹이면서 일측으로 이송하는 압출부(S111); 상기 압출부 이후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성형부(S112); 및 상기 성형부에는 소재의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을 도포하여 코팅하는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S113);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성형부 이후 성형물을 물속으로 통과시는 냉각부(S114); 상기 냉각부 이후 성형물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수분제거부(S115); 상기 수분제거부 이후 성형물의 표면에 무늬 모양이 표시된 필름을 입히는 필름도포부(S116);의 일련의 과정에 의해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혼합호퍼(33)의 내부에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발포폴리스티렌을 투입하는 것으로, 이때 발포폴리스티렌은 양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별도의 저장통인 발포폴리스티렌자장통(34)을 이용하여 혼합호퍼(33)에 투입하고, 나머지 소재의 재료인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은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혼합호퍼(33)에 투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혼합호퍼(33)에 투입된 각종 소재의 재료는 모터(31)의 구동에 의해 혼합스크류(32)가 회전하면서 재료를 골고루 혼합시켜 주게 된다.
상기 혼합호퍼(33)에서 혼합된 소재의 재료는 하강한 후 콘베이어밸트(35)에 의해 다른 공급호퍼(44)로 투입된다.
상기 공급호퍼(44)로 투입된 소재의 재료는 하강한 후 압출부(4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압출부는 소재의 재료를 녹이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즉, 압출부(40)의 내부에는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41)가 있는데, 이 이송스크류가 소재의 재료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켜주게 되고, 이때 또한 압출부(40)의 내부에는 히팅코일(43)이 구비되어 소재의 재료를 250∼380℃의 고열로 녹여주게 된다.
이후 상기 압출부(40)를 통과한 소재의 재료는 성형부(50)를 통과하면서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로 성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성형부(50) 및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60)에 의해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을 도포하여 코팅시켜 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게르마늄을 녹여 융융시킨 후 이 액을 성형물의 외주면에 분사하여 코팅하는 것으로, 상기 게르마늄은 산소 공급작용, 음이온 효과, 면역력 강화 작용, 인터페론 생성, 엔돌핀 생성촉진작용, 산성체질을 알카리화, 제독작용 및 체내 중금속 배출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성형부(50) 및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60)의 기술적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압출부(40)에서 배출되는 소재의 재료가 몸체(51)를 통과한 후 제1, 제2, 제3소재배출공(55a)(55b)(55c)을 통해 성형 배출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1, 제2, 제3소재배출공(55a)(55b)(55c)의 형상은 도면상에서는 사각 바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것일 뿐, 사용처에 따라 그 모양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소재의 재료가 제2, 제3소재배출공(55b)(55c)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60)에 의해 소재의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을 코팅시켜 주게 된다.
즉, 게르마늄저장호퍼(63)에 저장된 게르마늄액이 히팅부몸체(61)를 통과한 후 몸체(51)의 내부에 형성된 제1공급공(51a)과 제1, 제2성형판(52)(53)에 형성된 제2, 제3공급공(52a)(53a)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제2, 제3공급공(51a)(52a)(53a)은 상호 같은 선상에 일치되기 때문에 게르마늄액이 후술하는 제1, 제2공간요홈부(56a)(56b)로 용이하게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게르마늄액이 최종 제3공급공(53a)으로 배출되면 더 이상 빠져나갈 곳이 없기 때문에 제1, 제2공간요홈부(56a)(56b)의 사이에 모여지게 되고, 이렇게 모여진 게르마늄액은 소재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게 되므로 자동적으로 소재의 외주면에 게르마늄엑이 도포되면서 코팅되고, 이렇게 소재의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이 도포된 상태로 소재는 제3소재배출공(55c)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게르마늄액을 히팅코일(62)에 의해 50∼60℃ 온도로 데워 소재의 표면에 코팅하는 것으로, 이는 게르마늄액의 성분 때문에 상기한 온도로 데우지 않게 되면 소재의 표면에 코팅 막이 잘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소재의 사용중 온도 변차가 클 경우 코팅 막이 잘 벗겨지기 때문에 게르마늄액을 데워주게 되면 소재의 표면에 게르마늄액이 흡수되면서 코팅되기 때문에 소재를 온도변차가 심하더라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제1, 제2, 제3성형판(52)(53)(54)은 제1, 제2, 제3체결공(57a)(57b)(57c)에 볼트(58)가 체결되면서 몸체(51)에 긴밀히 조립 설치되는 것이며, 추후 소재의 형상을 바꿀 경우에는 볼트(58)를 풀러 다른 성형판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성형부(50) 이후 성형물을 물저장함(71)의 물속으로 통과시는 냉각부(70)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부 과정에서 물의 온도는 10∼18℃임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물의 온도가 10℃ 이하일 경우에는 소재의 표면이 깨지기 쉬운 경화 상태가 되고, 물의 온도가 18℃ 이상일 경우에는 소재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되어 상기 물의 온도는 10∼18℃가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냉각부(70) 이후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성형물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수분제거부(80)를 거치게 된다.
즉, 물기를 제거해 주어야만 이후 필름도포부(90)에서 필름(91)이 소재의 표면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수분제거부(80) 이후 성형물의 표면에 무늬 모양이 표시된 필름(91)을 입히는 필름도포부(90)를 거치는 것으로, 필름(91)이 풀리면서 소재의 상면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안내봉(92)이 가이드 해주게 되고, 이의 일측에는 압입로울러(93)가 소재의 상면에 접착된 필름(91)을 더욱 긴밀히 눌러 접착시켜 주게 된다.
이후 상기 필름도포부(90)를 통과한 소재는 최종 가압부(100)를 통과하는 것으로, 이는 상,하부가압로울러(101)(102)가 소재의 상하면을 동시에 긴밀히 눌러주기 때문에 마무리 접착력 강화와 소재의 표면을 다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100)를 통과한 소재는 사용처에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된 후 최종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로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혼합부와 압출부, 성형부(게르마늄액 분사공급부)와 냉각부 그리고 수분제거부와 필름도포부의 일련의 과정에 의 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산된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매트, 욕실 발판, 조립식 마루, 바닥재, 몰딩 류 및 그 외에 각종 건축용 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능성 소재에서 발생 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에 의해 피로회복의 증진과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고 또한 항균과 탈취효과로 세균성 질환의 원인균을 막아주고 또한 활동에 의해 혼탁해진 실내오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폴리에틸렌·안료·천연광석·발포폴리스티렌을 상호 믹싱하는 혼합부(30);
    상기 혼합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혼합물을 고열로 녹인 후 일측으로 이송하는 압출부(40);
    상기 압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성형부(50);
    상기 성형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을 10∼18℃의 물속으로 통과시켜 소재의 내부 미세 조직상태를 굳어지게 하는 냉각부(70);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물의 표면에 무늬 모양이 표시된 필름을 입히는 필름도포부(90); 및
    상기 필름도포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상하면을 긴밀히 누르면서 소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압부(1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50)에는 소재의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을 도포하여 코팅하는 게르마늄액분사공급부(60)가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3. 제 1 또는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50)는,
    소재를 공급하는 일측의 압출부와 게르마늄액을 공급하는 측면의 히팅부몸체와 연결되는 몸체(51);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조립 설치되며, 소재를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게르마늄액을 코팅하는 제1, 제2, 제3성형판(52)(53)(54);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4. 제 3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배출되는 소재를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면서 배출시키도록 제1, 제2, 제3성형판의 같은 선상에 형성된 각각의 제1, 제2, 제3소재배출공(55a)(55b)(55c);
    게르마늄액을 공급하여 소재의 외주면에 코팅할 수 있도록 몸체 및 제1, 제2성형판의 같은 선상에 형성된 각각의 제1, 제2, 제3공급공(51a)(52a)(53a);
    상기 제2, 제3성형판의 상호 맞닿는 면에는 제3공급공으로 배출된 게르마늄액이 모여질 수 있도록 각각 제1, 제2공간요홈부(56a)(56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5.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40)의 내부에는 소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1); 및
    소재를 250∼380℃의 고열로 녹일 수 있도록 한 히팅코일(4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6.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와 필름도포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성형물에 묻어 있는 물기를 에어로 불어 제거하는 수분제거부(8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7. 제 3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몸체(61)의 내부에는 게르마늄액을 50∼60℃ 온도로 데워 공급할 수 있도록 히팅코일(6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KR1020070056795A 2007-06-11 2007-06-11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KR10077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95A KR100770413B1 (ko) 2007-06-11 2007-06-11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95A KR100770413B1 (ko) 2007-06-11 2007-06-11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413B1 true KR100770413B1 (ko) 2007-10-26

Family

ID=3881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95A KR100770413B1 (ko) 2007-06-11 2007-06-11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7666A (zh) * 2019-11-04 2021-05-07 一二三德(北京)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板材生产设备与制备工艺
KR20210064500A (ko) * 2019-11-25 2021-06-03 주식회사 호원 복합소재용 접착필름 제조장치
CN114179349A (zh) * 2022-01-12 2022-03-15 安徽省力捷机器人技术应用有限公司 一种泡沫板覆膜进板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472A (ko) * 1999-07-20 2001-02-15 김영성 옥 코팅 패널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20006002A (ko) * 2000-07-11 2002-01-18 시오미 마사나오 수지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장치
KR20040053665A (ko) * 2002-12-17 2004-06-24 (주)하이페트코리아 건축내장재용 난연성 섬유매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09454B1 (ko) 2002-03-22 2005-08-24 이종학 바이오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472A (ko) * 1999-07-20 2001-02-15 김영성 옥 코팅 패널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20006002A (ko) * 2000-07-11 2002-01-18 시오미 마사나오 수지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장치
KR100509454B1 (ko) 2002-03-22 2005-08-24 이종학 바이오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040053665A (ko) * 2002-12-17 2004-06-24 (주)하이페트코리아 건축내장재용 난연성 섬유매트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7666A (zh) * 2019-11-04 2021-05-07 一二三德(北京)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板材生产设备与制备工艺
KR20210064500A (ko) * 2019-11-25 2021-06-03 주식회사 호원 복합소재용 접착필름 제조장치
KR102300591B1 (ko) 2019-11-25 2021-09-13 주식회사 호원 복합소재용 접착필름 제조장치
CN114179349A (zh) * 2022-01-12 2022-03-15 安徽省力捷机器人技术应用有限公司 一种泡沫板覆膜进板机构
CN114179349B (zh) * 2022-01-12 2024-01-30 安徽省力捷机器人技术应用有限公司 一种泡沫板覆膜进板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5655B2 (en) Carpet waste composite
KR100770413B1 (ko)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제조장치
CN103625062B (zh) 挤出覆膜多层板及其生产方法
CN103395102B (zh) 用于包覆异型基材的uv漆贴面胶合板及其方法
CN101372545A (zh) 一种新型木塑地板及其生产方法
JP2019522745A (ja) 接着剤が不要でダストがない複合床材料システム
JP2019527783A (ja) 接着剤が不要でダストがない複合床材料システムの製造方法
US6663733B2 (en) Resin formed product and methods and devices for making the same
US20200378133A1 (en) Flooring panel equipped with quick-release adhesive sheet
US20080210366A1 (en) Method of making a mat
JP2002525219A5 (ko)
WO2020103850A1 (zh) 一种塑胶地板立体纹路的成型方法
TW393398B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synthetic leather
US20050236106A1 (en) Fabric coated foam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307691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갖는 가구용 엣지마감재
KR101630694B1 (ko) 입체적인 요철무늬 및 문양을 갖는 장식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장식패널
KR101069046B1 (ko)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 욕실용 벽체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60688B1 (ko)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 및 그 제조방법
ITRE20090025A1 (it) Metodo per realizzare prodotti di plastica
JP2011051104A (ja) 板状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611049B1 (ko) 폐기물처리가 용이한 폴리스티렌수지 재질의 도어
KR200166088Y1 (ko) 옥 코팅 패널의 제조장치
CN211330011U (zh) 一种脱模剂自动涂覆固化装置
CN220947082U (en) Composite device for sofa fabric
CN110549459B (zh) 一种封边条反扣封边流水线整机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