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305B1 -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305B1
KR100770305B1 KR1020010060474A KR20010060474A KR100770305B1 KR 100770305 B1 KR100770305 B1 KR 100770305B1 KR 1020010060474 A KR1020010060474 A KR 1020010060474A KR 20010060474 A KR20010060474 A KR 20010060474A KR 100770305 B1 KR100770305 B1 KR 10077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groove
pipe
outlet
support
materi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323A (ko
Inventor
김용일
김병호
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6Pinch roll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상압연기와 수냉대박스를 차례로 통과한 소재코일을 레잉헤드로 안내하는 선재 핀치롤 설비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00)에 고정되면서 몸체에 관통되게 제1배출관로(11)가 형성된 지지대(10)와; 베이스(100)에 고정되면서 중앙부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장착홈(21)이 형성되고, 상부장착홈(21)의 좌우측에 입출구공(22,23)이 형성됨은 물론 상부장착홈(21)의 상부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로 (24)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0)에 결합되면서 상부장착홈(21)과 내부공간을 이루는 하부장착홈(31)이 형성됨은 물론 지지대(10)의 제1배출관로(11)에 연통되어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관로(32)가 형성된 하부케이스(30)와; 상하부케이스(20,30)의 상하부장착홈(21,31)에 장착되면서 공급관로(24)로 유입된 냉각수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스크류파이프(40)와; 상부케이스(20)의 입,출구공 (22,23)에 장착되면서 소재코일이 유입,배출되는 입출구파이프(50,60)로; 구성되어 공급관로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소재코일의 열팽창과 스크류파이프의 편마모가 방지되고, 스크류파이프의 내측면의 마모 또는 점검시 지지대 위에서 부품교체와 점검이 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지대, 상하부케이스, 스크류파이프, 입출구파이프.

Description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a one side wear in Outlet guide of pinchroll device of wire rod}
도 1은 종래의 출구가이드가 장착된 선재 핀치롤 설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가 도시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의 교체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대 11 : 제1배출관로
20 : 상부케이스 21 : 상부장착홈
22,23 : 입,출구공 24 : 공급관로
30 : 하부케이스 31 : 하부장착홈
32 : 제2배출관로
40 : 스크류파이프
50 : 입구파이프 60 : 출구파이프
100 : 베이스 220 : 핀치롤
300 : 레잉헤드
본 발명은 사상압연기와 수냉대박스를 차례로 통과한 소재코일을 레잉헤드로 안내하는 선재 핀치롤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재코일이 곡선라인의 레잉헤드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선재 핀치롤 설비의 출구가이드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의 제조공정은 빌렛을 가열,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 수냉, 핀치롤 및 권취로 이루어지는 공정을 단계별로 거쳐서 제조된다.
그리고, 핀치롤설비는 선재압연공정에서 사상압연기와 수냉대박스를 차례로 통과한 소재코일을 곡선라인의 레잉헤드측으로 이동시켜 우수한 나선형 코일을 만들기 위한 설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코일이 입구측 가이드인서트 (210)로 유입되고, 가이드인서트(210)를 통과한 소재코일이 핀치롤(220)을 통과할 때까지 직선으로 이동되다가 출구가이드(230)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레잉헤드(300)로 안내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열간 상태에서 다양한 길이로 압연된 소재코일이 입구측 가이드인서 트(210)와 핀치롤(220)을 거쳐 출구가이드(230)까지 이동되는 소재코일의 속도가 레잉헤드(300)측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거나 소재코일이 열팽창하게 되면, 이로인해 출구가이드(230)의 내측경사면에 소재코일의 외측면이 접촉하게 되었다.
따라서, 소재코일의 외측면에 진행방향으로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어 제품으로서 가치를 상실하게 되고, 고정클램프(231)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가이드 (230)의 내측면과 소재코일의 접촉으로 의한 편마모가 발생되어 계속적인 소재코일의 불량이 발생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출원번호:1997-24704)에 의하면, 베이스에 고정클램프에 의해 부착되고 좌우측에 각각 입출구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장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장착홈에 상하로 내장되고 좌우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홀의 내부면에 나선형의 냉각수로가 형성되는 다수의 상하부케이스와; 동일축을 형성하면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입구홀, 상하부케이스의 중앙홀,출구홀에 차례로 취부되는 다수개의 파이프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실용신안공보에 의하면 상하부케이스의 중앙홀에 취부된 파이프는 고정되어 있고, 소재코일의 냉각이 상하부케이스에 형성된 냉각수로와 접촉되는 파이프를 통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재코일의 열팽창으로 인한 파이프의 편마모와 출구가이드의 열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파이프의 교체 또는 점검시 다수개의 볼트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정비,점검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연속 생산공장인 선재공장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중량물인 출구가이드를 베이스에서 분리하여 작업대로 운반할 때 작업자의 허리부상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상압연기와 수냉대박스를 거쳐 핀치롤을 통과한 소재코일이 곡선라인의 레잉헤드측으로 유도시 발생되는 소재코일과 출구가이드 마찰로 인한 소재코일의 스크레치를 방지함은 물론 출구가이드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출구가이드의 점검과 부품교체가 용이한 선재 핀치롤 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가 도시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의 교체상태도로서, 사상압연기와 수냉대박스를 차례로 통과한 소재코일을 베이스(100)에 장착된 핀치롤(220)을 이용하여 레잉헤드(300)로 안내하는 과정에서 소재코일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선재 핀치롤설비의 스크류파이프가 내장된 출구가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100)에 직각으로 고정되면서 몸체에 관통되게 제1배출관로(11)가 형성된 지지대(10)와; 지지대(10)에 밀착됨과 더불어 베이스(100)에 고정되면서 중앙부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장착홈(21)이 형성되고, 상부장착홈(21)의 좌우측에 입출구공(22,23)이 형성됨은 물론 상부장착홈(21)의 상부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로(24)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0)에 결합되면서 상부장착홈(21)과 내부공간을 이루는 하부장착홈(31)이 형성됨은 물론 지지대(10)의 제1배출관로 (11)에 연통되어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관로(32)가 형성된 하부케이스(30)와; 상하부케이스(20,30)의 상하부장착홈(21,31)에 장착되면서 공급관로(24)로 유입된 냉각수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스크류파이프(40)와; 상부케이스(20)의 입,출구공(22,23)에 장착되면서 소재코일이 유입,배출되는 입출구파이프(50,6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베이스(100)와 핀치롤(220)과 레잉헤드(300)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지지대(10)는 베이스(100)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평판부재로서, 몸체의 우측부에 관통되게 제1배출관로(11)이 형성되고, 몸체의 중앙에 나사결합 가능하게 고정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20)는 지지대(10)에 하부면이 접촉됨은 물론 베이스 (100)에 측면이 볼트로 고정되는 부재로서, 몸체의 중앙부에 상부장착홈(21)이 형성되고, 상부장착홈(21)의 좌우측에 입,출구공(22,23)이 형성되며, 입출구공 (22,23)의 상부에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공(22a,23a)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장착홈(21)의 상부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로(24)가 형성되며, 공급관로(24)에 일단이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타관로와의 연결이 용이 하도록 퀵커플링(25a)이 구비된 절곡유니언(25)이 장착되며, 몸체의 측면에 베이스 (100)로 고정하기 위해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0)는 지지대(10)에 슬라이딩되면서 상부케이스(20)와 결합되는 부재로서, 몸체 중앙에 상부케이스(20)의 상부장착홈(21)과 내부공간을 이룸은 물론 입출구공(22,23)과 연통되는 하부장착홈(31)이 형성되고, 하부장착홈 (31)의 하부에 관통되게 제2배출관로(32)가 형성되며, 제2배출관로(32)에 냉각수의 배출을 위한 드레인관(33)이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또한, 몸체의 외부면에 상부케이스(30)와 결합후 지지대(10)의 고정공(12)으로 볼트체결하기 위한 관통공(34a)이 구비된 돌출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류파이프(40)는 상하부케이스(20,30)의 상하부장착홈(21,31)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부재로서, 몸체의 외부에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되고, 내부에 경사지게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출구파이프(50,60)는 상부케이스(20)의 입출구공(22,23)에 장착되면서 스크류파이프(40)와 연통됨은 물론 체결공(22a,23a)에 삽입된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부재로서, 몸체는 관형상을 이루면서 한쪽 끝부분에 플렌지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핀치롤(220)을 통과한 소재코일은 열간상태로 입구파이프(50)의 안내로 곡선축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스크류파이프(4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공급관로(24)를 통해 냉각수가 상하부장착홈(21,31)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공급관로(24)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에 의해 스크류파이프(40)와 소재코일이 냉각됨은 물론 소재코일의 고열에 의한 스크류파이프(40)의 열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공급관로(24)로 공급된 냉각수는 스크류파이프(40)의 외부면에 형성된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면서 스크류에 압력을 가함으로 인해 스크류파이프(4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크류파이프(40)의 양단에는 일정각도로 텝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거나 분리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냉각수는 하부케이스(30)와 지지대(10)의 제1,2배출관로(11,32)에 장착된 드레인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소재코일에 의해 스크류파이프(40)의 내측면의 마모로 인한 교체 또는 점검시 제1,2배출관로(11,32)에 장착된 드레인관(33)을 분리함은 물론 하부케이스 (30)를 지지대(10)의 고정공(12)에 고정시킨 볼트를 풀고나서, 상부케이스(20)에 결합된 하부케이스(30)를 지지대(10)위에서 슬라이딩시켜 분리함으로써 지지대(10) 위에서 스크류파이프(40)의 부분적 교체 및 점검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공급관로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출구가이드를 통과하는 소재코일을충분히 냉각시켜 소재코일의 열팽창이 방지되어 소재코일 외부면의 스크래치가 최대한 방지됨은 물론 냉각수의 압력에 의해 스크류파이프가 회전되기 때문에 스크류파이프의 편마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크류파이프의 내측면의 마모 또는 점검시 중량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지지대 위에서 간단히 부품교체와 위치변경 및 점검을 할 수 있으므로 교체 및 점검에 소요되는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중량물을 이동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상압연기와 수냉대박스를 차례로 통과한 소재코일을 베이스(100)에 장착된 핀치롤(220)을 이용하여 레잉헤드(300)로 안내하는 과정에서 소재코일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선재 핀치롤설비의 스크류파이프가 내장된 출구가이드 편마모 장치 에 있어서,
    베이스(100)에 직각으로 고정되면서 몸체에 관통되게 제1배출관로(11)가 형성된 지지대(10)와; 지지대(10)에 밀착됨과 더불어 베이스(100)에 고정되면서 중앙부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장착홈(21)이 형성되고, 상부장착홈(21)의 좌우측에 입출구공(22,23)이 형성됨은 물론 상부장착홈(21)의 상부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로(24)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0)에 결합되면서 상부장착홈(21)과 내부공간을 이루는 하부장착홈(31)이 형성됨은 물론 지지대(10)의 제1배출관로(11)에 연통되어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관로(32)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30)와; 상하부케이스(20,30)의 상하부장착홈(21,31)에 장착되면서 공급관로(24)로 유입된 냉각수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스크류파이프(40)와; 상부케이스(20)의 입,출구공(22,23)에 장착되면서 소재코일이 유입, 배출되는 입출구파이프(50,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KR1020010060474A 2001-09-28 2001-09-28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KR100770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474A KR100770305B1 (ko) 2001-09-28 2001-09-28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474A KR100770305B1 (ko) 2001-09-28 2001-09-28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323A KR20030027323A (ko) 2003-04-07
KR100770305B1 true KR100770305B1 (ko) 2007-10-25

Family

ID=2956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474A KR100770305B1 (ko) 2001-09-28 2001-09-28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326A (en) * 1979-09-13 1981-04-18 Sumitomo Electric Ind Ltd Cooling apparatus for quenching steel wire rod
JPS5930309U (ja) * 1982-08-13 1984-02-25 株式会社中山製鋼所 丸鋼、角鋼圧延材の水シ−ル式ガイド
JPS62144813A (ja) * 1985-12-18 1987-06-29 Kobe Steel Ltd 線棒材圧延機の冷却装置
JPS6380014A (ja) * 1987-09-12 1988-04-11 Yamaha Motor Co Ltd 吸気装置
KR980006839U (ko) * 1996-07-26 1998-04-30 김종진 선재압연기용 출구가이드 고정장치
KR19980032306U (ko) * 1996-12-02 1998-09-05 김종진 선재가이드롤러 회전장치
KR19990011350U (ko) * 1997-08-30 1999-03-25 이구택 선재핀치롤의 출구가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326A (en) * 1979-09-13 1981-04-18 Sumitomo Electric Ind Ltd Cooling apparatus for quenching steel wire rod
JPS5930309U (ja) * 1982-08-13 1984-02-25 株式会社中山製鋼所 丸鋼、角鋼圧延材の水シ−ル式ガイド
JPS62144813A (ja) * 1985-12-18 1987-06-29 Kobe Steel Ltd 線棒材圧延機の冷却装置
JPS6380014A (ja) * 1987-09-12 1988-04-11 Yamaha Motor Co Ltd 吸気装置
KR980006839U (ko) * 1996-07-26 1998-04-30 김종진 선재압연기용 출구가이드 고정장치
KR19980032306U (ko) * 1996-12-02 1998-09-05 김종진 선재가이드롤러 회전장치
KR19990011350U (ko) * 1997-08-30 1999-03-25 이구택 선재핀치롤의 출구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323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810B1 (ko) 노즐 헤더,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0770305B1 (ko) 선재 핀치롤설비의 출구가이드 편마모 방지 장치
WO2020261547A1 (ja) 鋼材の冷却装置及びこの冷却装置を使用した鋼材冷却設備
KR101105106B1 (ko) 압연선재 냉각장치
CN1686625A (zh) 带冷却装置的热态工作辊
KR101405325B1 (ko) 제철설비용 가이드 롤러
US3604237A (en) Work rolls and cooling method thereof
US5257511A (en) Split water box nozzle with removable inserts
US4507949A (en) Apparatus for cooling a hot-rolled product
EP1944097B1 (en) Spiral cooling of steel workpiece in a rolling process
KR101714924B1 (ko) 압연기용 냉각수 차단 장치
KR100306148B1 (ko) 선재 열처리 수냉대
KR20090037660A (ko) 선재 권취기의 분할 곡선 가이드
KR19990011350U (ko) 선재핀치롤의 출구가이드
JPH025484B2 (ko)
KR20050114397A (ko) 압연재의 이송 가이드장치
KR20100062457A (ko) 선재 냉각장치
KR100321036B1 (ko) 선재 제조설비에서의 코일형 선재의 경로 조정용안내롤 및 이를 이용한 선재의 안내방법 및 냉각방법
KR100946039B1 (ko) 선재 가이드장치
JPS587367B2 (ja) 線材の圧延装置
KR101185022B1 (ko) 냉각유로 구조를 갖는 압연롤 장치
KR200267433Y1 (ko) 열간압연소재안내장치
KR20000000175U (ko) 선재 가이드 장치
JPH0719605Y2 (ja) ロール及び誘導ガイドへの冷却水供給装置
KR101867713B1 (ko) 이송형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 냉각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