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141B1 - 조립식 강재 토류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강재 토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141B1
KR100770141B1 KR1020070084782A KR20070084782A KR100770141B1 KR 100770141 B1 KR100770141 B1 KR 100770141B1 KR 1020070084782 A KR1020070084782 A KR 1020070084782A KR 20070084782 A KR20070084782 A KR 20070084782A KR 100770141 B1 KR100770141 B1 KR 10077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earth plate
steel earth
soil retai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택용
Original Assignee
장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택용 filed Critical 장택용
Priority to KR102007008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141B1/ko
Priority to PCT/KR2007/006671 priority patent/WO2008082104A1/en
Priority to CN2007800490850A priority patent/CN10157349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강재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강재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은, 강판의 양단이 H형강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도록 'ㄱ'자로 절곡시킨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에는 볼트체결을 위해 소정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용 'L'자형 앵글이 결합되어 있는 강재 토류판에 있어서, 상기 강재 토류판의 하부에 설치된 앵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평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강재 토류판의 상부에 설치된 앵글에는 상기 수평장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돌출편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강재 토류판의 돌출편이 다른 강재 토류판의 수평장홀에 일체로 삽입되면서 다단으로 적층됨을 특징으로 한다.
강재 토류판, H형강, 돌출편, 수평장홀

Description

조립식 강재 토류판{Prefabricated steel soil retaining plate}
본 발명은 조립식 강재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강재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류판이라 함은, 건물의 기초 공사 또는 절개 공사 구간 및 지하 구축공사물의 공사 시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철제 빔의 사이에 다수개로 적층되는 판으로서, 경사면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토류판은 재질이 목재 또는 강재로 구성되며 목재는 낙석이나 토사의 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강재가 주로 이용되며, 강재의 토류판에 관한 기술이 계속해서 개발되거나 이용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695035호(2007. 1. 5. 출원)에 의하면, 조립식 강재 토류판(100)에 있어서, 강판의 양단이 H형강(200)의 플랜지(201) 사이에 삽입되도록 'ㄱ'자로 절곡시킨 체결부(101)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101)에는 볼트체결을 위해 소정의 체결공(101a)가 포함되며, 상기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용 'L'자형 앵글이 결합되어 있는 강재 토류판(100)과; H형강(200)의 플랜지(201)와 상기 H형강(200) 사이에 끼워진 강재 토류판(100)의 체결부(101)를 감싸며, 'ㅛ'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H형강(200)과 강재 토류판(100)의 체결부(101)를 체결하는 고정용 지그(30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용 지그(300)가 상기 강재 토류판(100) 접하는 면에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에 맞추어 너트가 용접되어 결합볼트로 강재 토류판(100)과 고정용 지그(300)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H형강과 강재 토류판의 체결부를 상기 고정용 지그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강재 토류판을 다수개로 적층시킬 수 있으며, 시공 시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강재 토류판은, H형강과 강재 토류판의 체결부를 상호 체결하기 위해 양측에 각각의 고정용 지그가 설치되며, 강재 토류판이 다수개로 적층될 때마다 상기 고정용 지그의 수량도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 H형강과 강재 토류판의 체결부를 고정용 지그를 통해 체결해야 하므로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고, 원가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한 것으로, 강판의 양단이 H형강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도록 'ㄱ'자로 절곡시킨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에는 볼트체결을 위해 소정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의 상 부 및 하부에 보강용 'L'자형 앵글이 결합되어 있는 강재 토류판에 있어서, 상기 강재 토류판의 하부에 설치된 앵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평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강재 토류판의 상부에 설치된 앵글에는 상기 수평장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돌출편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강재 토류판의 돌출편이 다른 강재 토류판의 수평장홀에 일체로 삽입되면서 다단으로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강재 토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강재 토류판에 직접 형성된 수평장홀과 돌출편의 체결에 의해 다단으로 적층됨으로써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토사에 의한 압력을 분산시켜 강재 토류판의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은, 강판의 양단이 H형강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도록 'ㄱ'자로 절곡시킨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에는 볼트체결을 위해 소정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용 'L'자형 앵글 이 결합되어 있는 강재 토류판에 있어서, 상기 강재 토류판의 하부에 설치된 앵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평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강재 토류판의 상부에 설치된 앵글에는 상기 수평장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돌출편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강재 토류판의 돌출편이 다른 강재 토류판의 수평장홀에 일체로 삽입되면서 다단으로 적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재 토류판의 중앙에는 토사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삼각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조립식 강재 토류판과 H형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은 강판의 양단이 H형강(2)의 플랜지(21) 사이에 삽입되도록 'ㄱ'자로 절곡시킨 체결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11)에는 볼트체결을 위해 소정의 체결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용 'L'자형 앵글(3)이 결합되어 있는 강재 토류판(1)에 있어서, 상기 강재 토류판(1)의 하부에 설치된 앵글(3)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평장홀(31)이 형성되고, 상기 강재 토류판(1)의 상부에 설치된 앵글(3)에는 상기 수평장홀(3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돌출편(32)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1)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강재 토류판(1)의 돌출편(32)이 다른 강재 토류판(1)의 수평장홀(31)에 일체로 삽입되면서 다단으로 적층된다.
상기 강재 토류판(1)은 KS규격품(1220×2384×8t)을 사용하며, 상기 강재 토류판(1)에 결합되는 상,하부 앵글(3)의 규격은 L-100×100×8t이고 용접에 의해 강재 토류판(1)에 접합시킨다.
상기 하부 앵글(3)에 형성된 수평장홀(31)은, 상기 상부 앵글(3)에 형성된 돌출편(32)의 삽탈이 용이하도록 돌출편(32)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재 토류판(1)의 중앙에는 토사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삼각형상의 돌출부(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시공 완료된 강재 토류판(1)에 토사의 압력이 강하게 전달되면서 상기 돌출부(12)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힘을 분산시키게 되므로 강재 토류판(1)의 파손이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강재 토류판(1)의 체결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1)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재 토류판(1)의 체결부(11)를 H형강(2)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강재 토류판(1)의 체결부(11)가 H형강(2)의 플랜지(21)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1)과 H형강(2)의 웨브(22)에 형성된 홀에 볼트를 통과시킨 후 너트로 체결한다. 특히 H형강(2)의 플랜지(21) 양측으로 설치된 강재 토류판(1)의 체결공(111)을 서로 연통되게 위치시켜 볼트체 결함으로써 강재 토류판(1)의 결속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재 토류판(1)은 암석 파쇄 또는 토사 절취 현장에서 발생되는 낙석 또는 토사가 도로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진 H형강(2)의 플랜지(21) 사이에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1)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다.
즉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 H형강(2)의 플랜지(21) 사이에 강재 토류판(1)의 삽입만으로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1)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강재 토류판(1)을 계속해서 삽입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강재 토류판(1)의 상부에 올려지는 다른 강재 토류판(1)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수평장홀(31)에 돌출편(32)이 삽입되게 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강재 토류판(1)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강재 토류판(1)에 고정수단을 위치시키고 볼트로 고정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시공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키며, 구성 부품이 줄어들면서 제품 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강재 토류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조립식 강재 토류판과 H형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재 토류판
11 : 체결부
111 : 체결공
12 : 돌출부
2 : H형강
21 : 플랜지
22 : 웨브
3 : 앵글
31 : 수평장홀
32 : 돌출편

Claims (2)

  1. 강판의 양단이 H형강(2)의 플랜지(21) 사이에 삽입되도록 'ㄱ'자로 절곡시킨 체결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11)에는 볼트체결을 위해 소정의 체결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용 'L'자형 앵글(3)이 결합되어 있는 강재 토류판(1)에 있어서,
    상기 강재 토류판(1)의 하부에 설치된 앵글(3)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평장홀(31)이 형성되고,
    상기 강재 토류판(1)의 상부에 설치된 앵글(3)에는 상기 수평장홀(3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돌출편(32)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강재 토류판(1)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강재 토류판(1)의 돌출편(32)이 다른 강재 토류판(1)의 수평장홀(31)에 일체로 삽입되면서 다단으로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강재 토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토류판(1)의 중앙에는 토사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삼각형상의 돌출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강재 토출판.
KR1020070084782A 2007-01-05 2007-08-23 조립식 강재 토류판 KR10077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782A KR100770141B1 (ko) 2007-08-23 2007-08-23 조립식 강재 토류판
PCT/KR2007/006671 WO2008082104A1 (en) 2007-01-05 2007-12-20 Prefabricated steel soil retaining plate
CN2007800490850A CN101573494B (zh) 2007-01-05 2007-12-20 预制钢制土壤保持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782A KR100770141B1 (ko) 2007-08-23 2007-08-23 조립식 강재 토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141B1 true KR100770141B1 (ko) 2007-10-24

Family

ID=3881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782A KR100770141B1 (ko) 2007-01-05 2007-08-23 조립식 강재 토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1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60B1 (ko) 2009-03-17 2010-03-19 정광옥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하천제방 정비공법
CN106758895A (zh) * 2016-12-27 2017-05-31 广西交通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治公路高边坡病害的棚洞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773796B1 (ko) * 2017-04-10 2017-09-01 손종민 방호벽 패널
KR101786989B1 (ko) * 2017-06-09 2017-10-18 손종민 방호벽 패널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029A (en) 1979-02-01 1980-08-12 Okasan Kogyo Kk Sheathing of trench side wall
KR200175225Y1 (ko) 1999-10-08 2000-03-15 주식회사의성실업 흙막이 벽의 설치 구조
KR200205774Y1 (ko) 2000-07-07 2000-12-01 주식회사스틸코리아 흙막이 벽체 구성용 판넬
KR20010035487A (ko) * 2001-02-20 2001-05-07 신동섭 토암막이벽용 토암막이패널
KR200258921Y1 (ko) 2001-09-27 2001-12-29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029A (en) 1979-02-01 1980-08-12 Okasan Kogyo Kk Sheathing of trench side wall
KR200175225Y1 (ko) 1999-10-08 2000-03-15 주식회사의성실업 흙막이 벽의 설치 구조
KR200205774Y1 (ko) 2000-07-07 2000-12-01 주식회사스틸코리아 흙막이 벽체 구성용 판넬
KR20010035487A (ko) * 2001-02-20 2001-05-07 신동섭 토암막이벽용 토암막이패널
KR200258921Y1 (ko) 2001-09-27 2001-12-29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60B1 (ko) 2009-03-17 2010-03-19 정광옥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하천제방 정비공법
CN106758895A (zh) * 2016-12-27 2017-05-31 广西交通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治公路高边坡病害的棚洞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773796B1 (ko) * 2017-04-10 2017-09-01 손종민 방호벽 패널
KR101786989B1 (ko) * 2017-06-09 2017-10-18 손종민 방호벽 패널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3296B2 (en) Shoring beam extension and reinforcement assembly
CN101310078B (zh) 横撑固定装置
RU2447223C2 (ru) Система переносного пористого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KR100770141B1 (ko) 조립식 강재 토류판
KR101283436B1 (ko) 플레이트 용접방식의 앵커 채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2529B1 (ko) 조립식 강지보
KR102077421B1 (ko) 홈메우기 볼트를 갖는 띠장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35777B1 (ko)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CA2866722A1 (en) Concrete form clip
US6984092B1 (en) Corner connection for temporary shoring
KR101624102B1 (ko)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US8197160B2 (en) Mine roof and rib support with reinforced channel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US20040089786A1 (en) Form panel and panel holding member
KR101610263B1 (ko)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KR100907904B1 (ko) 무띠장 가설흙막이 구조물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102008991B1 (ko)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JP3804322B2 (ja)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耐震補強鋼板の取付方法、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KR100671227B1 (ko) 흙막이용 토류패널
KR20080024040A (ko) 천정거푸집용 장선 및 멍에의 구조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JP2011174290A (ja) 建造物の基礎構造
KR200246013Y1 (ko) 강관비계용 시스템 받침구
KR200360595Y1 (ko)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