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107B1 -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107B1
KR100770107B1 KR1020050134543A KR20050134543A KR100770107B1 KR 100770107 B1 KR100770107 B1 KR 100770107B1 KR 1020050134543 A KR1020050134543 A KR 1020050134543A KR 20050134543 A KR20050134543 A KR 20050134543A KR 100770107 B1 KR100770107 B1 KR 10077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center pin
sealing part
taper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1243A (ko
Inventor
형유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1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핀의 내부에 소화제를 삽입하고 센터핀의 양단을 폐색부재로 밀폐하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초기에는 센터핀이 폐색되어 있어 소화제가 누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지 내부의 데드 볼륨(dead volume)을 줄이고, 고온에서 센터핀의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소화제가 센터핀 외부로 흘러나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 센터핀, 밀폐성, 데드 볼륨, 테퍼

Description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Center pi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도 1a는 일반적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의 사시도
도 2c는 도 2b의 A-A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도 2b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을 제조하는 과정의 수직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3a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을 제조하는 과정의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리튬 이차전지 210 - 캔
212 - 전극조립체 220 - 캡조립체
260, 360 - 센터핀 261, 361 - 몸체
262, 362 - 밀폐부 263, 363 - 테퍼
265, 365 - 폐색 부재 270, 370 - 소화제
본 발명은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핀의 내부에 소화제를 삽입하고 센터핀의 양단을 폐색부재로 밀폐하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초기에는 센터핀이 폐색되어 있어 소화제가 누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지 내부의 데드 볼륨(dead volume)을 줄이고, 고온에서 센터핀의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소화제가 센터핀 외부로 흘러나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12)와, 상기 전극조립체(112)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원통형 캔(110)과, 상기 원통형 캔(110)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원통형 캔(110)을 밀봉하며 상기 전극조립체(112)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 장치로 흐르게 하는 캡조립체(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100)는 센터핀(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12)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113)과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115)과 상기 양극판(113) 및 음극판(11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판(113)과 음극판(115)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114)가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113)은,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판(113)의 양 말단에는 양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집전체 영역, 즉, 양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112)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양극 탭(116)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극판(115)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극판(115)의 양 말단은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집전체 영역, 즉 음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니켈(Ni)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112)의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음극 탭(117)이 접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전극조립체(1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캡조립체(120) 또는 원통형 캔(110)과의 접촉을 방지하 기 위한 절연 플레이트(156, 157)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캔(110)은 상기 원통형 전극조립체(112)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 측면판(110a)과 상기 원통형 측면판(110a)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면판(110b)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측면판(110a)의 상부는 상기 전극조립체(112)를 삽입하기 위하여 개구(開口)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캔(110)의 하면판(110b) 중앙에 상기 전극조립체(112)의 음극 탭(117)이 접합됨으로써, 상기 원통형 캔(110) 자체는 음극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캔(110)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철(Fe)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니켈(Ni) 재질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원통형 캔(110)은 상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상기 캡조립체(120)의 상부를 압박하도록 상단에서 내부로 휘어진 크리핑(clipping)부가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120)는 안전밴트(121), 전류차단수단(122)과 이차보호소자 (123)및 캡업(12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안전밴트(121)는 판상으로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조립체(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차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상기 안전밴트(121)의 하면 소정위치에는 전극조립체(112)의 양극판(113) 및 음극판(115) 중에서 한 전극판 예를 들어, 양극판(113)에서 인출한 양극탭(116)이 용접되어 상기 안전밴트(121)와 전극조립체(112)의 양극판(11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양극판(113) 및 음극판(115) 중 나머지 전극판, 예를 들어 음극은 도시하지 않은 탭 혹은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해 캔(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센터핀(160)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센터핀(160)은 전극조립체(112)의 권심 부분에 삽입되어 전극조립체(112)가 권심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가스가 발생하면 가스를 안전밴트(12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전지 내부에는 빈 공간인 보이드 볼륨(void volume) 혹은 데드 볼륨(dead volume)이 존재하게 된다. 데드 볼륨은 캡 조립체와 전극조립체 사이 및 센터핀의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데드 볼륨은 전지가 과충전 등에 의해 전압이 상승하거나 전지 내부의 온도가 고온이 될 때 발생하는 가스가 신속하게 안전밴트를 변형시키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지 내부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발화점에 이르게 되면 전지가 발화, 폭발하여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센터핀의 내부에 소화제를 삽입하고 센터핀의 양단을 폐색부재로 밀폐하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초기에는 센터핀이 폐색되어 있어 소화제가 누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지 내부의 데드 볼륨(dead volume)을 줄이고, 고온에서 센터핀의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소화제가 센터핀 외부로 흘러나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센터핀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소화제와, 상기 몸체의 양단을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양단에 테퍼(taper)가 형성되며, 상기 테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밀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소화제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제일인산암모늄(NH4H2PO4), 수산화나트륨(NaOH), 트리메톡시보란(TM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색부재는 상기 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며,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상기 폐색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비딩부 또는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터핀의 제조방법은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는 제 1폐색부재를 삽입하는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1폐색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밀폐부를 형성하는 제 1밀폐부 형성단계;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1폐색부재의 외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테퍼(taper)를 형성하는 제 1테퍼형성단계; 상기 몸체의 내부에 소화제를 삽입하는 소화제 삽입단계;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상기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는 제 2폐색부재를 삽입하는 제 2폐색부재 삽입단계;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2폐색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2밀폐부를 형성하는 제 2밀폐부 형성단계; 및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2폐색부재의 외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2테퍼를 형성하는 제 2테퍼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 또는 상기 제 2밀폐부 형성단계는 환 형상으로 압축하여 비딩부가 형성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터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이전에 상기 제 1폐색부재 또는 상기 제 2폐색부재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봉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의 직경을 넓히는 삽입준비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 또는 상기 제 2밀폐부 형성단계는 각각 상기 제 1테퍼형성단계 또는 상기 제 2테퍼형성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져 상기 제 1밀폐부 또는 상기 제 2밀폐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권심부분에 삽입되는 센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센터핀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소화제와, 상기 몸체의 양단을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양단에 테퍼(taper)가 형성되며, 상기 테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밀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 때, 상기 소화제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제일인산암모늄(NH4H2PO4), 수산화나트륨(NaOH), 트리메톡시보란(TM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색부재는 상기 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비딩부 또는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색부재는 고분자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2c는 도 2b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200)는, 도 2a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12)와 캔(210)과 캡조립체(220) 및 센터핀(2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12)는 양극판(213)과 음극판(215) 및 세퍼레이터(21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212)는 양극탭(216), 음극탭(21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213)은 양극집전체, 양극활물질층 및 양극무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양극집전체는 양극활물질층으로부터 전자를 모아서 외부회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양극활물질층은 양극활물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양극집전체 상에 소정의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는 양극집전체 중 양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상기 양극무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양극탭(216)이 용접된다.
상기 음극판(215)은 음극집전체, 음극활물질층 및 음극무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음극집전체는 음극활물질층으로부터 전자를 모아서 외부회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활물질층은 음극활물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음극집전체 상에 소정의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는 음극집전체 중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음극무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음극탭(217)이 용접된다.
상기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은 각각 양극무지부와 음극무지부에 용접되어 전극조립체(212)와 전지의 다른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은 저항용접에 의해 용접되며, 용접부위에는 쇼트와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라미네이션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의 용접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214)는 상기 양극판(213)과 음극판(215)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외주면을 둘러 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14)는 상기 양극판(213)과 음극판(215)의 단락을 방지하며, 리튬 이온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막 고분자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캔(210)은 측면판(210a), 하면판(210b)을 포함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판(210a)은 대략 서로 동심원을 이루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하면판(210b)은 대략 서로 평행한 전면과 후면을 구비한다. 상기 캔(210)의 상단은 개구되어 상단개구부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상단개구부를 통해 전극조립체(212)가 삽입되고, 전해액이 주입된다. 상기 캔(210)의 하면판(210b)과 상기 전극조립체(212) 사이에는 캔(210)과 전극조립체(212)의 절연을 위해 하절연판(257)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캔(230)의 상부는 전극조립체(212)의 삽입 후 상기 전극조립체(212)가 캔(230)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캡조립체(220)의 안착을 위해 비딩부가 형성되며, 캡조립체(220)의 삽입 후 전지의 밀폐를 위해 크리핑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단과 캡조립체(220) 사이에는 전극조립체(212)와 캡조립체(220) 사이의 절연을 위해 상절연판(256)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캔(210)은 가볍고 연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재질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캔(21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캔(210)은 바람직하게는 딥드로잉(deep drawing) 방식으로 제조되며, 여기서 상기 캔(210)의 제조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조립체(220)는 안전밴트(221)와 전류차단수단(222)과 이차보호소자 (223)및 캡업(22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안전밴트(221)는 판상으로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조립체(2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차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상기 안전밴트(221)의 하면 소정위치에는 전극조립체(212)의 양극판(213) 및 음극판(215) 중에서 한 전극판 예를 들어, 양극판(213)에서 인출한 양극탭(216)이 용접되어 상기 안전밴트(221)와 전극조립체(212)의 양극판(21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양극판(213) 및 음극판(215) 중 나머지 전극판, 예를 들어 음극판(215)은, 음극판(215)에서 인출한 음극탭(217)이 베어 셀의 바닥면에 용접되어 캔(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 밴트(221)는 캔(210) 내부의 압력 상승시 변형되거나 파열되어 상기 전류차단수단(222)을 파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안전 밴트(221)의 상부에는 상기 안전 밴트(221)의 변형시 파손되어 전류가 차단되는 전류차단수단(222)이 더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전류차단수단(222)의 상부에는 과전류시 전류가 차단되는 이차보호소자(223)가 위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이차보호소자(223)의 상부에는 외부에 양극 전압 또는 음극 전압을 제공하는 도전성 캡업(224)이 더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조립체(220)는 가스켓(255)이 더 구비되어 양극 역할을 하는 캡조립체(220)와 음극 역할을 하는 캔(210)을 서로 절연시키게 된다.
상기 센터핀(260)은,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몸체(261)와 폐색부재(265) 및 소화제(2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261)는 밀폐부(262)와 테퍼(26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핀(260)은 권취된 전극조립체(212)의 권심 부분에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대략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상기 센터핀(260)은 대략 전극조립체(212)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핀(260)은 전극조립체(212)를 권취한 후에 캔(210)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212)를 삽입한 후 전극조립체(212)의 권심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핀(260)은 권취된 전극조립체(212)의 권심 부분에 삽입된 후 전극조립체(212)와 함께 캔(210)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261)는 센터핀(260)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261)는 전극조립체(21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도가 요구되므로, 스틸(steel),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구리(Cu)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내식용 강으로서, 철-크롬계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과, 철-니켈-크롬계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로 나뉜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은 상온에서 철의 결정계인 체심입방결정(BCC) 속에 크롬(Cr)을 녹여 넣어서, 산화될 때 철과 크롬의 양쪽 산화막을 표면에 만들어서 내부를 보호하며, 강자성(强磁性)을 띤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은 900~1400℃에서 철의 결정계인 면심입방결정(FCC)에 다량의 니켈(Ni), 크롬(Cr)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안정되게 한 것으로 상자성(常磁性)을 띤다. 이 때, 상기 몸체(261)는 대략 전극조립체(212)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212)의 권심 부분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폐색 부재(265)는 상기 몸체(261)의 상단 및 하단에 삽입되는 코르크 마개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폐색부재(265)는 몸체(26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몸체(261)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외면(265a)과 상기 외면(265a)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265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폐색 부재(265)는 상기 몸체(261)의 밀폐부(262)와 테퍼(263)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폐색부재(265)는 대략 원통 형상의 중앙부에서 외면(265a)과 내면(265b)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폐색부재(265)의 내면(265b)을 포함한 단부는 밀폐부(262)의 내부와 밀착하고, 상기 폐색부재(265)의 외면(265a)을 포함한 단부는 테퍼(263)의 내부와 밀착되게 된다. 상기 폐색 부재(262)의 중앙부, 즉 원통 부분은 상기 몸체(261)의 내경에 상응하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폐색부재(265)는 양 단부를 포함하여 전체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색부재(265)는 밀폐부(262) 또는 테퍼(263)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양 단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몸체(261)의 상단과 하단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색 부재(265)는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최대값으로 하고, 상기 몸체(261)의 상단과 하단을 밀폐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최소값으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폐색 부재(265)는 센터핀(260) 내부에 존재하는 데드 볼륨을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전지의 내부온도가 비교적 저온인 경우에는 상기 폐색 부재(265)가 센터핀(260)의 상단과 하단을 밀폐하여,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신속하게 안전밴트(221)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지의 내부온도가 비교적 고온(대략 100℃ 이상)이 되면 폭발 또는 발화를 방지해야 하므로,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되거나 파열되는 재질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폐색 부재(265)는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PE)은 밀도가 작고, 분자배열이 충분하지 않아 연성이 좋으며 가공하기 쉽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은 CH2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며, 구조식에서 나타나듯 탄소(C) 사슬을 중심으로 대칭성이어서 고주파 절연재료로도 우수하다. 녹는점은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략 107~112℃이다. 폴리프로필렌(PP)은 이소택틱(isotactic) 구조를 가지며, 메틸기가 같은 방향으로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다. 녹는점은 165℃ 정도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는 포화 폴리에스테르로, 내열성이 우수하다.
상기 폐색 부재(265)는 전지의 내부 온도가 대략 80~200℃가 되면 용융되거나 파열됨으로써, 상기 센터핀(260)을 이루는 몸체(261)의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다. 즉, 상기 몸체(261)의 상단과 하단이 관통된 형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몸체(261)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소화제(270)가 용융되고, 용융된 소화제가 센터핀(260) 외부로 흘러 나와 전지의 발화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핀(260)은 과충전 초기에는 상단과 하단이 폐색됨으로써 보이드 볼륨을 대폭 줄이고, 이로 인해 안전밴트(221)가 신속히 동작하도록 한다. 그러나 전지의 내부 온도가 고온에 이르면 전지가 폭발 및 발화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 때에는 상기 폐색된 센터핀(260)은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굴뚝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더 좋다. 즉, 전해액에 포함된 사이클로헥실벤젠(CHB), 바이페닐(BP) 등이 분해되어 형성된 가스가 상기 센터핀(260)의 몸체(261)를 따라서 전지의 상부로 향하도록 함이 전지의 폭발 방지 측면에서 더 좋다.
상기 소화제(270)는 분말 소화제 또는 액상 소화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분말 소화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소화제는 전지 내부의 온도가 고온이 될 때 기체를 발생시켜 폐색부재(265)가 용융되는 시점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반면, 분말 소화제는 분말이 용융점에 이르기 전까지 어떠한 기체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특정 시점에 폐색부재(265)가 용융되도록 한다. 상기 소화제(270)는 전지 내부의 온도가 고온이 되어 발화 위험이 있을 때, 전지의 발화를 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261) 내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소화제(270)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제일인산암모늄(NH4H2PO4), 수산화나트륨(NaOH), 트리메톡시보란(TM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탄산수소나트륨은 무색의 결정성 분말로, 가열하면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을 발생하고, 탄산나트륨 무수물(Na2CO3)로 변한다. 제일인산암모늄은 열분해할 때의 흡열작용으로 연소물을 냉각시키고, 조해성(潮解性)인 인산계 화합물이 발생되어 가연물을 덮는 작용을 한다. 수산화나트륨은 열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만들기 때문에 산소를 차단시킨다. 이것은 가루로 사용하므로 분말소화제로 사용된다. 상기 소화제(270)는 대략 120 내지 300℃에서 액화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화제(270)는 특정한 온도까지는 어떤 기체도 발생하지 않고 분말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특정한 온도에 이르러 폐색 부재(265)의 용융과 동시에, 또는 상기 폐색 부재(265)가 용융한 후에 액상의 소화제로 용융되거나, 분말 상태 그대로 센터핀(260) 외부로 나와서 전지 내부의 발화를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화제(270)는 소화 반응이 흡열 반응에 해당하므로, 소화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전지 내부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테퍼(263)는 몸체(26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테퍼(263)는 몸체(261)의 중앙 부분에서 상단과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퍼(263)는 외부 충격에 의해 센터핀(260)이 변형될 경우에 센터핀(260)의 중앙부보다 상단과 하단이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그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각각 중앙부보다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퍼(263)는 센터핀(260)이 전극조립체(212)의 권심 부분에 삽입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테퍼(263)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선형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감소의 폭이 점점 커지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테퍼(263)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테퍼(263)는 폐색부재(265)의 외면(265a)을 포함한 단부에 형성되어 폐색부재(265)와 강하게 밀착함으로써 몸체(261)와 폐색부재(265)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밀폐부(262)는 상기 테퍼(263)로부터 몸체(261)의 중앙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폐색부재(265)의 내면(265b)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밀폐부(262)는 몸체(261)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오목한 비딩(beading)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262)가 형성된 영역은 몸체(261)의 다른 부분에 비해 외경 및 내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262)는 폐색부재(265)의 내면(265b)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폐색부재(265)의 단부와 밀착하게 된다. 상기 밀폐부(262)는 수직 단면 형상이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여기서 상기 밀폐부(262)의 수직 단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밀폐부(262)는 다른 부분에 비해 폐색부재(265)의 단부와 보다 밀착하게 되므로 밀폐성을 향상시켜 저온에서 소화제(270)가 몸체(261)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센터핀(260) 내부에 보이드 볼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3a의 실시예는 몸체 양측 단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폐색부재가 삽입되며, 밀폐부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 이외에는 상기 도 2a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캔, 캡조립체 및 센터핀(3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 캔 및 캡조립체는 도 2a의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터핀(360)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몸체(361)와 폐색부재(365) 및 소화제(3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핀(360)은 밀폐부(362)와 테퍼(36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폐색부재(365)는 몸체(361)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361)는 폐색부재(365)를 삽입하기 전에 대략 폐색부재(365)의 직경과 동일한 봉으로 양측 단부의 내경을 넓히게 된다. 상기 밀폐부(362)와 테퍼(363)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밀폐부(362)는 폐색부재(365)의 내면(365b)이 위치하는 영역 주변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밀폐부(362)는 대략 V자 형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밀폐부(362)를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을 제외한 다음 영역부터 몸체(361)의 단부까지 압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361)의 단부에는 테퍼(363)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362)는 몸체(361)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축이 끝나고 나면 폐색부재(365)도 함께 압축되어 몸체(361)의 중심부의 내경과 대략 비슷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361)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 2b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을 제조하는 과정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a 내지 도 5e는 도 3a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을 제조하는 과정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b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260)의 제조방법은,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제 1밀폐부 형성단계, 제 1테퍼 형성단계, 소화제 삽입단계, 제 2폐색부재 삽입단계, 제 2밀폐부 형성단계 및 제 2테퍼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는, 도 4a를 참조하면,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 통형의 몸체(261)를 준비하고, 상기 몸체(261)의 일측 단부에 제 1폐색부재(265)를 삽입하는 과정이다. 이 때, 상기 폐색부재(265)는 몸체(26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폐색부재(265)의 외면(265a)과 상기 외면(265a)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265b)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폐색부재(265)는 몸체(261)의 내경과 대략 유사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가공 없이 몸체(261)의 일측 단부 내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 때, 상기 폐색부재(265)는 중앙 부분이 원통 형상이고, 양측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몸체(261)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는, 도 4b를 참조하면, 몸체(261) 중 제 1폐색부재(265)의 내면(265b)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밀폐부(262)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이 때, 상기 제 1밀폐부(262)는 몸체(261)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비딩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는 링 형상의 압축도구(P)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 1테퍼 형성단계는, 도 4c를 참조하면, 몸체(261) 중 제 1폐색부재(265)의 외면(265a)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테퍼(263)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상기 제 1테퍼 형성단계는 대략 U자 형상의 압축도구(T)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소화제 삽입단계는, 도 4d를 참조하면, 몸체(261)의 내부에 소화제(270)를 삽입하는 과정이다. 상기 몸체(261)의 일측 단부는 폐색부재(265)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타측 단부를 통해서 분말 소화제 또는 액상 소화제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제 2폐색부재 삽입단계, 제 2밀폐부 형성단계 및 제 2테퍼 형성단계는 상기에서 언급한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제 1밀폐부 형성단계 및 제 1테퍼 형성단계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360)의 제조방법은,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삽입준비단계,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제 1밀폐부 형성단계, 제 1테퍼 형성단계, 소화제 삽입단계, 제 2폐색부재 삽입단계, 제 2밀폐부 형성단계 및 제 2테퍼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소화제 삽입단계 및 제 2폐색부재 삽입단계는 도 4a 내지 도 4e의 제조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삽입준비단계는, 도 5a를 참조하면,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이전에 제 1폐색부재(365) 또는 제 2폐색부재(366)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봉(B)을 이용하여 몸체(361)의 양측 단부의 직경을 넓히는 과정이다. 상기 폐색부재(365, 366)는 몸체(36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봉(B)을 이용하여 미리 몸체(361)의 양측 단부의 직경을 넓히게 된다.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는, 도 5c를 참조하면, 대략 V자 형상의 압축 도구(T)c를 이용하여 제 1밀폐부(362)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하고 몸체(361)의 일측 단부까지 압축하는 과정이다. 그 결과, 압축되지 않은 영역인 제 1밀폐부(362)는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어 돌출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는 대략 V자 형상의 압축도구(T)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제 1테퍼 형성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 2밀폐부 형성단계 및 제 2테퍼 형성단계는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 및 제 1테퍼 형성단계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b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이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핀(260)은,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몸체(261), 폐색부재(265), 소화제(270), 밀폐부(262) 및 테퍼(26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과충전 등에 의해 전지의 전압이 상승하거나, 전지 내부의 온도가 어느 한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전지 내부에는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는 전지 내부를 가득 채우게 되고, 가스가 포화되면 전지 내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특히, 안전밴트(221)는 타측에 비해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지 내부의 압력에 대해 민감하다. 따라서, 상기 안전밴트(221)는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변형, 파괴되어 바로 위에 위치한 전류차단수단(222)를 파손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센터핀(260)은 상단과 하단이 폐색 부재(265)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적은 가스압에 의해서도 안전밴트(221)가 신속하게 작동하게 되어 더 이상의 전압 상승 또는 온도 상승을 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밴트(221)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안전밴트(221)의 작동 후에도 계속하여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전지는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센터핀(260)은 폐색 부재(265)가 용융하여 센터핀(260)의 상단과 하단을 개방하여 전지 내부에 차 있는 가 스들을 상부로 배출시켜 폭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터핀(260) 내부에 있는 소화제(270)가 용융하여 센터핀(260) 외부로 흘러나옴으로써, 전지의 발화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화제(270)는 분말 소화제인 경우 폐색 부재(265)의 용융 후 소화제(270)가 용융할 때까지 분말 상태로 유지되어, 어떠한 가스도 발생하지 않고 또한 용융되지도 않으므로, 폐색 부재(265)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게 되어 조기에 상기 폐색 부재(265)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폐색부재(265)는 밀폐부(262)에 의해 몸체(261)의 내면과 강하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액상 소화제의 경우라도 폐색부재(265)와 몸체(261) 사이의 틈을 따라 센터핀(26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의하면, 밀폐부에 의해 밀폐성이 향상되어 초기에는 소화제가 누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지 내부의 데드 볼륨(dead volume)을 줄이고, 고온에서는 센터핀의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소화제가 센터핀 외부로 흘러나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소화제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양단을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폐색 부재의 외면이 위치하는 상기 폐색 부재의 단부와 밀착되는 테퍼(taper)와,
    상기 폐색 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비딩부 또는 돌출부로 형성되어 상기 폐색 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상기 폐색 부재의 단부와 밀착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제일인산암모늄(NH4H2PO4), 수산화나트륨(NaOH), 트리메톡시보란(TM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핀.
  4. 삭제
  5.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는 제 1폐색부재를 삽입하는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1폐색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밀폐부를 형성하는 제 1밀폐부 형성단계;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1폐색부재의 외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테퍼(taper)를 형성하는 제 1테퍼형성단계;
    상기 몸체의 내부에 소화제를 삽입하는 소화제 삽입단계;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상기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는 제 2폐색부재를 삽입하는 제 2폐색부재 삽입단계;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2폐색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2밀폐부를 형성하는 제 2밀폐부 형성단계; 및
    상기 몸체 중 상기 제 2폐색부재의 외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2테퍼를 형성하는 제 2테퍼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핀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 또는 상기 제 2밀폐부 형성단계는 환 형상으로 압축하여 비딩부가 형성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핀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폐색부재 삽입단계 이전에 상기 제 1폐색부재 또는 상기 제 2폐색부재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봉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의 직경을 넓히는 삽입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핀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밀폐부 형성단계 또는 상기 제 2밀폐부 형성단계는 각각 상기 제 1테퍼형성단계 또는 상기 제 2테퍼형성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져 상기 제 1밀폐부 또는 상기 제 2밀폐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핀의 제조방법.
  9.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권심부분에 삽입되는 센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센터핀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소화제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양단을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폐색 부재의 외면이 위치하는 상기 폐색 부재의 단부와 밀착되는 테퍼(taper)와,
    상기 폐색 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부분에 비딩부 또는 돌출부로 형성되어 상기 폐색 부재의 내면이 위치하는 상기 폐색 부재의 단부와 밀착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제일인산암모늄(NH4H2PO4), 수산화나트륨(NaOH), 트리메톡시보란(TM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는 고분자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050134543A 2005-12-29 2005-12-29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077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543A KR100770107B1 (ko) 2005-12-29 2005-12-29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543A KR100770107B1 (ko) 2005-12-29 2005-12-29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243A KR20070071243A (ko) 2007-07-04
KR100770107B1 true KR100770107B1 (ko) 2007-10-24

Family

ID=3850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543A KR100770107B1 (ko) 2005-12-29 2005-12-29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289B1 (ko) 2009-06-08 2011-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1106397B1 (ko) 2009-09-02 2012-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CN112018299B (zh) * 2020-10-19 2021-02-19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箱体、电池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759A (ja) * 1999-08-31 2001-03-23 Sanyo Electronic Components Co Ltd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030079773A (ko) * 2002-04-04 2003-10-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20040110600A (ko) * 2003-06-19 2004-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KR20060115022A (ko) * 2005-05-03 200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060115021A (ko) * 2005-05-03 200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759A (ja) * 1999-08-31 2001-03-23 Sanyo Electronic Components Co Ltd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030079773A (ko) * 2002-04-04 2003-10-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20040110600A (ko) * 2003-06-19 2004-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KR20060115022A (ko) * 2005-05-03 200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060115021A (ko) * 2005-05-03 200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243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710B1 (ko) 센터핀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6490053B2 (ja) 円筒形密閉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6538650B2 (ja) 円筒形密閉電池
KR100997043B1 (ko) 누액 차단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JP6254102B2 (ja) 密閉型電池
KR100929033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TWI415319B (zh) 柱狀二次電池之蓋組及包含該蓋組之柱狀二次電池
KR20070071238A (ko)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JP2009224319A (ja) キャップ組立体及びこれを備えた二次電池
KR101054748B1 (ko) 전해액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캡 어셈블리
JP2009218013A (ja) 密閉型電池
KR100914115B1 (ko) 이차전지
KR100788591B1 (ko) 각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123365A (ko) 이차전지
KR100770107B1 (ko) 센터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0770110B1 (ko)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KR101243529B1 (ko) 리튬 이차전지
JP2019114472A (ja) 集電リード及びこの集電リードを備えている二次電池
KR100778978B1 (ko) 리튬 이차전지의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0490546B1 (ko) 이차전지
KR100731426B1 (ko) 캔형 이차 전지
KR20020078084A (ko) 안전변을 구비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22228B1 (ko)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5443A (ko) 이차 전지
JPH1186820A (ja) 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