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15B1 - 조립식 대형거푸집 - Google Patents

조립식 대형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15B1
KR100770015B1 KR1020070040063A KR20070040063A KR100770015B1 KR 100770015 B1 KR100770015 B1 KR 100770015B1 KR 1020070040063 A KR1020070040063 A KR 1020070040063A KR 20070040063 A KR20070040063 A KR 20070040063A KR 100770015 B1 KR100770015 B1 KR 10077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inding
ribs
rib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581A (ko
Inventor
박정호
박정진
Original Assignee
깨뱉시스템주식회사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효불종합건설(주)
원영건업(주)
회창건설주식회사
(주)수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깨뱉시스템주식회사,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효불종합건설(주), 원영건업(주), 회창건설주식회사, (주)수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깨뱉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Abstract

본 발명은 일표면이 매끄러운 판형상의 거푸집널부;와, 상기 거푸집널부 일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일측의 결속리브;와,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에 대응하도록 거푸집널부 타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의 결속돌기에 대응하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타측의 결속리브;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거푸집패널; 및,
하나의 거푸집패널 일측의 결속리브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거푸집패널 타측의 결속리브가 서로 맞물려 양 걸림턱에 의해 T형 결속리브를 이루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을 배치 연결하면 상기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을 감싸면서 걸리도록 설치되어 복수개의 거푸집패널 상호간을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대형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조립, 대형거푸집, 부양

Description

조립식 대형거푸집{Assembly typed big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거푸집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거푸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세사시도 및 평면이다.
도 4는 도 2의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를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대형거푸집
110: 거푸집패널 111: 거푸집널부
112, 113: 결속리브 112a: 걸림돌기
112b, 113b: 걸림턱 113a: 걸림홈
120: 연결형 패스너 121: 제1연결편
122: 제2연결편 121a, 122a: 몸체
121b, 122b: 걸림고리 130: 수평지지대형 패스너
131: T형홈 140: 띠장
141: 결속홀 142: 체결볼트
200: 거푸집 지지구
210: 결속부 220: 슬리브
230: 지지볼트 240: 받침부
300: 승강지주
R: 하층부의 돌출철근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 복수개를 나란하게 연결하여 완성되는 조립식 대형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형태의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용접을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소요너비로의 대형화를 가능케 하면서 대형화된 거푸집을 보강지지하는 장선, 띠장의 설치를 간편하게 해결한 조립식 대형거푸집과, 이를 수직면거푸집으로 사용함에 바닥슬래브와 수직부재의 일체화시공을 위해 수직부재의 시공을 위한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바닥슬래브 두께만큼 부양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거푸집(유로폼, 알루미늄폼 등)은 거푸집패널 상호간을 결속핀과 간격유지 판형 폼타이(플랫타이)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구조는 콘크리트 타설시 압송력과 전동다짐봉의 진동에 의해 결속 핀이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거푸집패널 간에 틈새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패널과 거푸집패널을 연결 조립하는 결속리브의 가공틈새로 플랫타이를 끼움하는 구조이어서 거푸집패널 밖으로 플랫타이가 돌출되기 마련이므로, 조립된 대형거푸집상태로는 탈형이 불가능하게 되어 조립된 상태를 일일이 해체하여야 하였는 바, 노동력소요면에서 상당히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형태의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용접을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소요너비로의 대형화를 가능케 하며, 나아가 대형화된 거푸집을 보강지지하는 장선 및 띠장의 설치를 간편하게 해결한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성된 하층부 수직부재의 돌출철근에 결속되는 거푸집 지지구를 이용함으로 수직부재의 수직면거푸집을 바닥슬래브 두께만큼 정확한 높이로 안정적으로 부양시킬 수 있게 되어 바닥슬래브와 수직부재의 일체화시공을 가능케 한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 복수개를 나란하게 연결하여 완성되는 대형거푸집으로서,
일표면이 매끄러운 판형상의 거푸집널부;와, 상기 거푸집널부 일단부에서 거 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일측의 결속리브;와,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에 대응하도록 거푸집널부 타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의 결속돌기에 대응하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타측의 결속리브;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거푸집패널; 및,
하나의 거푸집패널 일측의 결속리브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거푸집패널 타측의 결속리브가 서로 맞물려 양 걸림턱에 의해 T형 결속리브를 이루도록 배치 연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이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을 감싸면서 걸리도록 설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간을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슬래브와 수직부재의 일체화시공을 위해 수직부재의 수직면거푸집을 바닥슬래브 두께만큼 부양시킨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로서,
상부로 돌출철근이 돌출되도록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된 하층부의 수직부재; 상기 하층부의 수직부재 상부면에서 시공할 상층부 바닥슬래브 두께만큼 위에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 지지구; 및, 상기 하층부 수직부재 위의 상층부 수직부재 시공을 위해 수직면거푸집으로 설치되되, 상기 거푸집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어 부양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푸집 지지구는 상기 하층부 수직부재의 돌출철근에 결속되는 결속부; 와,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며 시공할 상층부의 수직부재 외부로 돌출되어 부양된 조립식 대형거푸집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은 복수개의 거푸집패널(110)과 복수개의 거푸집패널(110) 상호간을 연결결속하는 패스너(120, 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는 패스너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거푸집패널(110)은 대형거푸집(100)을 구성하는 단위패널로서, 일표면이 매끄러운 판형상의 거푸집널부(111);와, 상기 거푸집널부(111) 일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결속돌기(112a)가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112b)이 형성된 일측의 결속리브(112);와,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112)에 대응하도록 거푸집널부(111) 타단부에서 거푸집널부(111)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의 결속돌기(112a)에 대응하는 결속홈(113a)이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113b)이 형성된 타측의 결속리브;로 구분된다.
패스너(120, 130)는 하나의 거푸집패널 일측의 결속리브(112)와 이웃하는 다 른 하나의 거푸집패널 타측의 결속리브(113)가 서로 맞물려 양 걸림턱(112b, 113b)에 의해 T형 결속리브를 이루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이 배치 연결되면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112b, 113b)을 감싸면서 걸리도록 설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간을 고정하는 것으로, 거푸집패널(110) 복수개를 상호 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패스너의 구성으로 상기 거푸집패널(110) 상호간 결속리브(112, 113)에 의한 결속은 반드시 긴결될 필요가 없는 바, 나아가 결속리브(112, 113)에 형성되는 결속돌기(112a)과 결속홈(113a)은 역사다리꼴(도브테일)과 같은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보다 사다리꼴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거푸집패널(110) 상호간 연결을 위해 역사다리꼴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거푸집패널을 상하 위치에 두고 슬라이딩방식에 의해 결속시켜야 하지만 사다리꼴 형태의 경우에는 동일 위치에 두고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결속리브(112, 113)에 형성되는 결속돌기(112a)과 결속홈(113a)의 둔각(鈍角) 처리로 손상이 적은 구조로서 관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스너로 도 1과 같은 수평지지대형 패스너(130)와 도 2에서와 같은 연결형 패스너(120)를 제안하고 있는데, 수평지지대형 패스너(130)는 수평지지대형 패스너가 거푸집패널을 보강지지하는 장선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고, 거푸집패널을 보강지지하는 띠장(140)이 설치되는 경우 띠장(140)과의 결속을 고려하여 제안한 것이다. 물론 도 2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대형 패스너(130)와 연결형 패스너(120)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평지지대형 패스너(130)는 T형홈(131)이 형성된 것으로 복수개의 거푸집패널(110)이 T형결속리브를 형성하면서 배치 연결되면 상기 T형 결속리브에 상기 수평지지대형 패스너의 T형홈(131)을 맞춰 끼움으로 설치되어 거푸집패널(110)을 상호 연결하면서 보강지지하는 형태이다.
수평지지대형 패스너는 도 1에서와 같이 벽체거푸집패널 상호간을 연결하면서 너비방향으로 거푸집널부(111)를 지지하기 때문에 장선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장선역할을 고려하면 콘크리트 타설높이에 따른 축력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수평지지대형 패스너(130)는 하부에서는 설치간격을 좁게 하고 상부에서는 설치간격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형 패스너(120)는 몸체(121a)와 걸림고리(121b)로 구분되며 걸림고리(121b)에 의해 T형 결속리브의 일측 걸림턱(112b)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연결편(121); 몸체(122a)와 걸림고리(122b)로 구분되어 걸림고리(122b)에 의해 T형 결속리브의 타측 걸림턱(113b)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연결편(122); 및, 상기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의 몸체(121a, 122a) 상호간을 연결함으로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을 T형 결속리브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연결형 패스너(120)는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이 T형 결속리브에 완전히 맞물리도록 함이 거푸집패널(100) 상호간 긴결결속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서는 고정구(123)로 볼트를 채택하고 있는데 볼트의 체 결을 위해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몸체(121a, 122a)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는 상호 연결된 거푸집패널(110)을 지지하도록 수평방향의 띠장(140)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때 상기 띠장(140)은 연결형 패스너와의 배치관계에 따라 그 고정설치방법이 달라진다.
첫째가 띠장을 연결형 패스너(120)의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 몸체(121a, 122a) 전면(前面)에 밀착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방법(띠장밀착식 연결형 패스너 이용방법)이고, 둘째가 연결형 패스너(120)가 띠장(14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후 띠장(140)을 거푸집패널의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112b, 113b) 전면(前面)에 밀착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방법(띠장삽입식 연결형 패스너 이용방법)이다.
상기 첫째 방법인 띠장밀착식 연결형 패스너 이용방법은 띠장밀착식 연결형 패스너(120)가 띠장(140)과 맞닿기만 할 뿐 띠장(140)을 고정시키지는 못하므로, 띠장(14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에서는 띠장(14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폼타이에서 연장되는 결속구나 자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띠장삽입식 연결형 패스너(후술함)를 이용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첫째 방법의 적용에는 띠장밀착식 연결형 패스너(120)로 그 길이가 띠장(140)의 춤보다 큰 것을 채택하여 거푸집패널(110)의 콘크리트 지지력이 연결형 패스너(120)를 지나 띠장(14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둘째 방법인 띠장삽입식 연결형 패스너 이용방법은 전술한 첫째 방법과는 달리 띠장삽입식 연결형 패스너(120)에 자체적으로 고정수단을 마련하여 띠장(140)을 고정시키고 있다.
둘째 방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띠장(140)으로 일면이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된 П형 단면 부재로 폐쇄면에 결속홀(141)이 형성된 것을 채택하고, 띠장삽입식 연결형 패스너(120)로 제1연결편(121) 및 제2연결편(122)의 몸체(121a, 122a)가 띠장(140)의 개방면 개방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것을 채택해야 한다. 띠장(140)의 고정 설치는 띠장삽입식 연결형 패스너(120)가 띠장(140)의 개방면을 통해 띠장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띠장의 결속홀(141)보다 큰 머리를 가지는 체결볼트(142)를 준비한 후 이를 상기 띠장의 결속홀(141)에 끼워 상기 제1연결편 또는 제2연결편의 몸체(121a, 122a) 전면(前面)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체결볼트(142)가 띠장(140)의 폐쇄면 결속홀(141)에 걸리면서 띠장(140)의 개방면을 거푸집패널의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112b, 113b) 전면에 밀착시키게 되며, 그 결과 띠장(140)은 복수개가 상호 연결된 거푸집패널에 긴결하게 결속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도 4는 전술한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는 바닥슬래브와 수직부재(벽 체, 기둥)의 일체화시공을 위해 수직부재의 수직면거푸집을 바닥슬래브 두께만큼 부양시키기 위해 수직면거푸집을 지지하여 부양상태로 유지하는 거푸집 지지구(200)를 이용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물론, 수직면거푸집으로는 전술한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는, 상부로 돌출철근(R)이 돌출되도록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된 하층부의 수직부재; 상기 하층부의 수직부재 상부면에서 시공할 상층부 바닥슬래브 두께만큼 위에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 지지구(200); 및, 상기 하층부 수직부재 위의 상층부 수직부재 시공을 위해 수직면거푸집으로 설치되되, 상기 거푸집 지지구(200)에 의해 지지되어 부양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전술한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 지지구(200)는 하층부 수직부재의 돌출철근(R)에 결속되는 결속부(210)를 구비함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결속부(210)에 연결되면서 시공할 상층부의 수직부재 외부로 돌출되어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이 거치되는 거치부(220+230)를 구비함으로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지지하여 부양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거푸집 지지구(200)를 이용하여 조립식 대형거푸집의 부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은 그 틀이 수직부재의 형태에 맞춰 조립된 상태(수직부재가 기둥인 경우에는 기둥거푸집의 틀을 갖추고, 벽체인 경우에는 벽체거푸집의 틀을 갖춤)를 가져야 할 것이다.
거푸집 지지구(200)는 향후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층부의 수직부재 및 바닥슬래브에 매립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거푸집 지지구(200) 조립식 대형거푸집 의 거치시 충분한 지지력 확보를 위해 철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도 4(c)에서는 거치부(220+230)가 분리결합구조를 갖는 거푸집 지지구(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분리결합구조의 거치부는 시공할 상층부의 수직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결속구(210)와 연결되면서 양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슬리브(220);와, 상기 슬리브(220)의 암나사와 체결되어 시공할 상층부의 수직부재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볼트(230);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리 결합구조를 갖는 거치부(220+230)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하층부의 수직부재 시공에 사용된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상층부의 수직부재 시공에 이용하기 위해 그대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승전 단계에서 미리 설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 유리하다.
다시 말해,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상승시키기 전에 미리 슬리브(220) 부분만을 결속부(210)를 이용하여 높이(하층부의 수직부재 상부면에서 시공할 상층부 바닥슬래브 두께만큼 위)에 맞춰 돌출철근(R)에 결속시키고, 이어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상승시킨 후에 상기 슬리브(220)에 지지볼트(230)를 체결하여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상기 지지볼트(230)에 거치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푸집 지지구(200)는 거치부의 슬리브(220) 아래에 결합되어 시공된 하층부의 수직부재 상부면 위에서 거치부의 슬리브(220)를 직접 지지하는 받침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40)는 그 높이가 시공한 상층부 바닥슬래브 두께에 맞게 결정되므로 상층부 바닥슬래브 두께와 하층부 수직부재의 시공오차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도 4(c)에서와 같이 높이조절가 능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받침부(240)의 구성을 포함하면 결속부(210)는 철근에 긴결하게 결속되지 않아도 되는 바, 도 4(c)에서와 같이 단순 고리형도 무방하게 된다.
한편, 하층부의 수직부재 시공에 사용된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상층부의 수직부재 시공에 이용하기 위해 그대로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승강지주(300)가 더 결속된 상태의 조립식 대형거푸집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지주(300)는 조립식 대형거푸집이 슬라이딩하면서 상승하도록 결속되는데, 도 2에서는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을 구성하는 거푸집패널의 리브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러한 구멍에 승강지주(300)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결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승강지주(300)는 하층부의 바닥에 고정설치되며,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의 상승경로를 안내해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부양상태를 임시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하층부 바닥에 고정된 승강지주(300)는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이 거푸집 지지구(200)에 의해 부양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층부의 바닥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설치 및 철근배근 완료 후(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층부로 밀어올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립식 대형거푸집의 부양상태를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승강지주(300)는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의 하부끝보다 더 높이 올라가도록 하여 시공중인 바닥슬래브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지 않도록 하며, 향후 바닥슬래브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조립식 대형거푸집(100)의 상승 및 부양의 반복적인 작업을 위해 완성된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형태의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용접을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소요너비로의 대형화가 가능해지며, 그 결과거푸집설치 및 해체공정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형화된 거푸집을 보강지지하는 장선 및 띠장 설치에 상호 연결된 거푸집패널의 연결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를 이용함으로써 대형거푸집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대형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패널, 장선, 띠장의 긴결결속으로 견고한 대형거푸집의 완성이 기대된다.

Claims (1)

  1. 거푸집패널 복수개를 나란하게 연결하여 완성되는 대형거푸집으로서,
    일표면이 매끄러운 판형상의 거푸집널부(111);와, 상기 거푸집널부 일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결속돌기(112a)가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112b)이 형성된 일측의 결속리브(112);와,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에 대응하도록 거푸집널부 타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의 결속돌기에 대응하는 결속홈(113a)이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113b)이 형성된 타측의 결속리브(113);로 구분되며,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면 하나의 일측 결속리브(112)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타측 결속리브(113)가 서로 맞물려 양 걸림턱(112b, 113b)에 의해 T형 결속리브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거푸집패널(100);
    상호 연결된 거푸집패널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의 부재로 상기 거푸집패널(110)의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112b, 113b) 전면(前面)에 밀착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일면이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된 П형 단면 부재로 폐쇄면에 결속홀(141)이 형성된 띠장(140);및,
    상호 연결된 거푸집패널의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을 감싸면서 걸리도록 설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 간을 고정하는 패스너(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패스너(120)는,
    몸체(121a)와 걸림고리(121b)로 구분되며, 몸체(121a)가 띠장의 개방면 개방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띠장의 개방면을 통해 띠장(140)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림고리(121b)에 의해 T형 결속리브의 일측 걸림턱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연결편(121);
    몸체(122a)와 걸림고리(122b)로 구분되며, 몸체(122a)가 띠장의 개방면 개방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띠장의 개방면을 통해 띠장(140)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림고리(122b)에 의해 T형 결속리브의 타측 걸림턱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연결편(122); 및,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몸체(121a, 122a) 상호 간을 연결함으로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을 T형 결속리브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구(123);
    상기 띠장의 결속홀(141)보다 큰 머리를 가지며, 띠장의 결속홀(141)에 끼워 상기 제1연결편 또는 제2연결편의 몸체(121a, 122a) 전면(前面)에 체결함으로 머리가 띠장의 폐쇄면 결속홀(141)에 걸리면서 띠장의 개방면을 거푸집패널의 T형 결속리브의 걸림턱 전면에 밀착시키는 체결볼트(1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대형거푸집.
KR1020070040063A 2007-04-24 2007-04-24 조립식 대형거푸집 KR10077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63A KR100770015B1 (ko) 2007-04-24 2007-04-24 조립식 대형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63A KR100770015B1 (ko) 2007-04-24 2007-04-24 조립식 대형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255A Division KR100772569B1 (ko) 2006-03-16 2006-03-16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581A KR20070094581A (ko) 2007-09-20
KR100770015B1 true KR100770015B1 (ko) 2007-10-25

Family

ID=3868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063A KR100770015B1 (ko) 2007-04-24 2007-04-24 조립식 대형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5319U (ko) * 1973-09-14 1975-05-26
JPS55138247U (ko) * 1979-03-23 1980-10-02
US5078360A (en) * 1989-12-22 1992-01-07 Speral Aluminium Inc. Prefabricated assembly for poured concrete forming structures
KR970005533Y1 (ko) * 1994-04-21 1997-06-05 김경상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5319U (ko) * 1973-09-14 1975-05-26
JPS55138247U (ko) * 1979-03-23 1980-10-02
US5078360A (en) * 1989-12-22 1992-01-07 Speral Aluminium Inc. Prefabricated assembly for poured concrete forming structures
KR970005533Y1 (ko) * 1994-04-21 1997-06-05 김경상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581A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KR101131679B1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890860B1 (ko)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KR10107879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CN215167019U (zh) 一种预制装配式叠合板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800536B1 (ko) 탈형이 용이한 대형거푸집,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과벽체철근의 긴결구조 및 벽체시공방법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20100081651A (ko)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KR20120002152A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0770015B1 (ko) 조립식 대형거푸집
KR101142879B1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MXPA06009181A (es) Sistemas de formas de concreto con amarres de concreto.
KR101904959B1 (ko) 내진 성능이 확보된 더블빔 pc 보-기둥 접합구조
KR20070094072A (ko)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
KR102438760B1 (ko) 조립식 독립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JP2002213077A (ja)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20070073022A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20210016758A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CN111058622A (zh) 一种柱钢筋采用绑扎搭接方式的大钢模现浇柱施工方法
KR20210079101A (ko) 바닥판 분리형 pc모듈러 구조물
CN219498851U (zh) 一种带有安装固定结构的预埋线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