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740B1 -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740B1
KR100769740B1 KR1020060061053A KR20060061053A KR100769740B1 KR 100769740 B1 KR100769740 B1 KR 100769740B1 KR 1020060061053 A KR1020060061053 A KR 1020060061053A KR 20060061053 A KR20060061053 A KR 20060061053A KR 100769740 B1 KR100769740 B1 KR 100769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electrode lay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길
이민호
박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6006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형태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사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하는 입사면을 가지는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고, 띠형상의 OLED를 적용하여 도광판으로 입사하는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색재현성이 우수하고, 저소비전력으로 효율적인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하며 구조적인 내구성이 강화되고 베젤 등의 부품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광원, OLED, 마이크로렌즈, 복수발광층, 백라이트장치

Description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Back light unit including strip-shaped OLED}
도1은 액정 패널을 조명하기 위한 종래에 사용되는 백 라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백 라이트 장치에서 적용되는 유기발광소자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장치에 적용되는 띠광원으로서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장치에 적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유기발광소자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장치에 적용된 띠광원으로서 또 다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7은 도 6의 유기발광소자에서 삽입된 투명 유기 전극층의 상세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양극전극층
3 : 정공 주입층 4 : 정공 수송층
5, 7 : 발광층 6 : 유기전극층
6a : 전자주입을 위한 완충층
6b : N형 유기물층
6c : P형 유기물층
8 : 전자 수송층 9 : 음극전극층
10, 20 : 백라이트 장치 11, 21 : 도광판
12, 22 : 광원 13 : PCB
14, 24 : 반사시이트 15, 25 : 확산시이트
16, 17, 26, 27 : 프리즘시이트 23 : 몰드 프레임
28 : 양면테잎 29 : 베젤
201 : 유기발광다이오드 300 : 마이크로렌즈
500 : 옥사이드 무기박막 501 : 포토닉크리스탈
본 발명은 띠형태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장치의 광원으로서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하나 이상 의 도광판의 측면에 적용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백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사이드 라이트형 면광원 장치의 일종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등의 백 라이팅 장치(back light unit) 등에 이용되어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거나, 기타 조명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된다.
통상적인 사이드 라이트 면광원 장치로는 1차 광원으로서 냉음극관 등의 봉형상 광원이 채용되어, 도광판(판상의 도광체(light guide))의 측방에 배치된다. 1차 광원에서 출사된 조명광은 도광판의 측단면을 통하여 도광판 내에 도입된다. 도입된 조명광은 도광판 내를 전파하고, 그 과정에서 도광판의 출사면에서 액정 패널을 향하여 광출사가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크기가 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데스크 탑, 노트북, 액정텔레비젼 또는 그 밖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휴대폰이나 PDA 등 비교적 소형의 단말기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보다 더 화소수가 높고, 다양한 컬러수를 구현하기 위하여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및 백라이트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현저하고, 보다 고휘도의 균일한 밝기를 제공하는 백라이팅 장치를 요구하는 동시에 보다 더 저렴한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소형 액정 패널용 백라이트 장치에 최근에 널리 이용되는 면광원 형성 장치의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액정 패널을 조명하기 위한 면광원 형성 장치로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백 라이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상기 백 라이팅 장치(10)는 도광판(11), 그 측방에 배치된 1차 광원(12), 반사시이트(14), 광확산시이트(15), 광제어부재로서의 프리즘 시이트(16, 17)를 나타낸다. 상기 반사시이트(14), 도광판(11), 광확산시이트(15), 프리즘시이트(16, 17)는 적층 배치된다.
상기 백 라이팅 장치(10)는 3개의 점광원(12a, 12b, 12c)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점광원(12)은 LED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3개의 점광원(12a, 12b, 12c)은 플렉시블 PCB(13)에 결합되어 소정의 전원과 연결된다.
도광판(11)에는 그 표면에 엠보싱 등의 처리가 되어 있어 광원(12)으로부터 도광판(11)의 측단면으로부터 도광판(11) 내에 도입되어 전반사하면서 진행하는 광을 액정 패널 방향으로 출사하도록 하는 산란 도광판이나 투명 도광판으로 이루어진다.
투명도광판은 예를들면 투명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배면에 통상적으로 광확산면이 형성된다. 산란 도광판은 산란 도광체로 이루어지는데 산란 도광체는 예를들면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메트릭스와 그 중에 똑같이 분산된 투과성의 다수의 미립자로 이루어진다. 이들 미립자의 굴절율은 매트릭스와 다르다.
반사시이트(14)에는 금속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상의 정반사부재 또는 백색 PET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상의 난반사부재가 채용된다.
광원(12)으로부터 나오는 조명광은 도광판(11)의 측단면인 입사면을 통하여 도광판(11) 내로 도입된다. 조명광은 반사이트(14)와 접하는 배면과 출사면 사이를 반복하여 반사되면서 말단으로 향하여 전파된다.
그러나, 도1과 같은 백 라이팅 장치는 도광판(11)의 측단면 중 점광원이 근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출사면에서 비교적 밝은 빛이 나타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측단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휘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도1에서와 같이 광원(12)을 일정 간격으로 세 개(12a, 12b, 12c) 설치하여 광의 균일한 분산을 도모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1과 같은 백 라이팅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광원은 점광원(12)이 근접하는 곳에서는 스폿(spot)이 발생하여 점광원 주변의 명부와 암부로 구분되어 면광원의 균일함을 저해한다.
이 경우, 상기 스폿 등에 의하여 면광원의 밝기 등이 편차가 심해지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고 해상도의 이미지 형성을 하기가 어려우므로 제품 전체의 불량을 나타내는 결과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균일함을 보장하기 위하여 마치 막대형상의 음극관을 쓰거나 이에 갈음하여 많은 점광원을 배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치의 소형화에 반하고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백라이트 장치의 광원으로서 띠형상의 OLED를 적용하여 도광판으로 입사하는 광을 균일하게 분산 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띠형상의 OLED 소자 배면에 마이크로 렌즈를 삽입하는 구조와 복수 발광층을 사용하는 구조에 의해서 LED 광원이나 일반 OLED보다 고휘도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는, 출사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하는 입사면을 가지는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전극층, 상기 제 1전극 위에 형성된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위에 형성된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위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 형성된 제 2전극층, 및 상기 기판의 기저면을 식각하여 집적화된 마이크로 렌즈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기판에 집적화된 마이크로 렌즈의 구조물에 옥사이드 무기박막을 증착하여 형성된 포토닉크리스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전극층, 상기 제 1전극층 위에 형성된 정공 주입층, 상 기 정공 주입층 위에 형성된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위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에 삽입 형성된 투명한 유기 전극층, 상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 형성된 제 2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에 삽입 형성된 상기 유기 전극층을 각각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의 상기 투명한 유기전극층은, P형 유기물층 또는 유무기 혼합물 혹은 금속층, N형 유기물층 또는 유무기 혼합물 혹은 금속층, 및 완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극층은 상기 제1전극층에 가까운 위치에는 N형 유기물층이, 상기 제2전극층에 가까운 위치에는 P형 유기물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띠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균일한 면광원을 형성하기 백라이트 장치의 실시예로서, 액정 패널을 조명하 기 위한 면광원 형성 장치로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백 라이팅 장치(20)는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백 라이트 장치(10)에서 광원부를 유기발광소자로 적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을 포함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백 라이트 장치(20)는 도광판(21), 그 측방에 배치된 광원(22), 반사시이트(24), 광확산시이트(25), 광제어부재로서의 프리즘 시이트(26, 27)가 적층 배치된다.
또한, 도면부호 23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이고, 도면부호 29는 백라이트 장치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베젤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8은 광학 시이트를 고정하고 가시화면을 구분하기 위한 양면테잎(double tape)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2의 백 라이트 장치(20)는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백 라이팅 장치(10)와는 다르게 유기발광소자(OLED)로 구성된 1개의 광원(22)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 백라이트 장치(20)는 LED와 같은 점광원을 채용한 종래의 백 라이트 장치(10)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광원의 구성에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20)에서, 상기 광원은 출사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2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22)으로서, 상기 도광판(21)의 측면에 대향하는 입사면을 가지는 띠형상(strip-shaped)의 유기발광소자가 적용된다.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로부터 상기 도광판(21)의 측면에 대응하는 가늘고 긴 입사면을 이루도록 직사각형 모양을 만들어서 적용한 것이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두께가 비교적 얇으며 구현할 수 있는 휘도가 아주 높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면광원이기 때문에 램프를 사용하는 선광원 또는 LED를 사용하는 점광원에 비하여 휘도 균일도가 우수하다.
도2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도광판(21)의 일측면에만 배치되어 있으나, 휘도를 보강할 경우에는 도광판(21)의 다른 측면에도 배치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백라이트 장치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백 라이트 장치에서 적용되는 유기발광소자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소자는 유리 혹은 플라스틱등 투명한 기판(1)위에 형성된 제 1전극(2), 바람직하게 투명한 양극전극층, 정공 주입층(3), 정공 수송층(4), 발광층(5), 전자 수송층(8), 마지막으로 제 2전극인 음극전극층(9)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 수송층(8)과 제 2 전극(9) 사이에 원활한 전자의 주입을 위한 완충층이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 원리는 양쪽의 전극에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을 통하여 여기된 후 기저상태로 되며 발광하는 구조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의 광원으로서 적용되는 띠광원인 유기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전극층(2), 상기 제 1전극층(2) 위에 형성된 정공 주입층(3), 상기 정공 주입층(3) 위에 형성된 정공 수송층(4), 상기 정공 수송층(4) 위에 형성된 발광층(5), 상기 발광층(5) 위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8),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 형성된 제 2전극층(9)을 포함한다.
또한, 도3에서 도면부호 81은 전자 수송층(8)과 제 2전극(9) 사이에 원활한 전자의 주입을 위한 완충층을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장치에 적용되는 띠광원으로서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도3의 구성에 부가하여, 외부로 굴절되어 손실되는 광을 집속하여 그 효율을 향상시키고, 면광원으로의 응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투명한 유리 기판(1)에 형성된 유기발광다이오드(201)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기판의 반대쪽에 마이크로 렌즈(300)를 형성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201)는 도3에서 제1전극(2), 정공주입층(3), 정공 수송층(4), 발광층(5), 전자수송층(8), 완충층(81) 및 금속전극(9)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300)는 상기 기판(1) 기판의 기저면을 식각하여 집적화된 마이크로 렌즈 구조물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리 기판(1)의 식각으로서, 식각 용액(바람직하게 버퍼드-옥사이드-에천트)을 사용하며, 유리 기판(1)은 식각 용액에 등방성으로 식각이 되어 도 4와 같은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로 렌즈(300)는 직접 반도체 및 마이크로머시닝의 유리 식각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300)는 유기발광다이오드(201)를 위한 기판(1)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렌즈(300)가 집적화된 기판(1)으로서 사용한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렌즈(300)가 형성된 쪽의 반대면에서 기판 위에 유기발광다이오드(201)를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장치에 적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유기발광소자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기발광소자의 또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 렌즈(300)가 형성된 기판(1)에 광의 회절 및 필터, 전송로로서 포토닉크리스탈(501)이 형성된 모습이다.
기존의 포토닉크리스탈은 고가이며 복잡한 공정의 이빔 포토(E-beam lithography) 공정을 사용하며, 상대적으로 대면적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단가도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렌즈(300)가 집적화된 기판(1)면의 렌즈 형성 부분의 인접부분에 식각된 피트(pit)부분을 위로 행하게 한 후, 포토닉크리스탈의 형성에 주로 사용되는 투명한 옥사이드 무기박막(500, 바람직하게 SiO2, TiO2)을 단층 또는 다층으로 상기 피트 부분에 증착 형성하여 상기 포토닉크리스탈(501)을 형성한 후, 상기 형성된 포토닉크리스탈 위에 제 1전극(2)을 형성한 후, 이후 유기 반도체 층과, 제 2전극(8)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201)를 형성함으로서 보다 쉬운 공정으로 상기 포토닉크리스탈을 형성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장치에 적용된 띠광원으로서 또 다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6의 유기발광소자는 발광특성과 효율을 높여주고, 다크 스팟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광층이 복수로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띠광원으로 적용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층(5)위에 도 7에서 도시되는 투명 유기전극층(6)의 각층(6a, 6b, 6c)을 차례대로 적층을 한 후에 그 위에 또 다른 발광층(7)을 삽입한 다음에 음극 전극층(9)을 적층한 것이다.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는 내부의 발광층(5, 7)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투명한 유기전극층(6)은 발광층(5)과 발광층(7)의 계면에 삽입되며 이는 각 발광층(5, 7) 내부의 캐리어 농도, 주입, 발란스 특성을 향상한다.
도7은 도 6의 유기발광소자에서 삽입된 투명 유기 전극층의 상세 구조도이다.
도7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투명 유기전극층(6)으로서 유기전극은 전자주입을 위한 완충층(6a)위에 P형 유기물층(6c)(또는 유무기 화합물층 혹은 금속층)과 N형 유기물층(6b)(또는 유무기 화합물층 혹은 금속층)의 P-N접합으로 이루어짐을 보인다. 이는 제1전극층인 양극전극(anode, 2)쪽의 단위 셀은 제2전극층인 음극전극층(cathode, 9)쪽의 단위 셀에 비하여 전자(electron)의 주입이 약하기 때문에 N형 유기물(또는 유무기 화합물 혹은 금속)로 이루어진 N형 유기물층(6b)이 필요하며 반대로 제2전극인 음극전극층(cathode, 9)쪽의 단위 셀은 제1전극인 양극전극층(anode, 2)쪽의 단위 셀에 비하여 정공(hole)의 주입이 약하기 때문에 P형 유기물(또는 유무기 화합물 혹은 금속)로 이루어진 P형유기물층(6c)이 필요하다. 이러한 P형유기물층(6c)과 N형유기물층(6b)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층은 소자내부에서 각 셀의 캐리어 주입 및 이동이 용이하고, 밸런스 유지를 위한 전극의 개념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전극층(6)은 상기 제1전극층(2)에 가까운 위치에는 N형 유기물층(6b)이, 상기 제2전극층(9)에 가까운 위치에는 P형 유기물층(6c)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는 내부의 단일 발광을 위한 복수개의 발광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소자 뿐 아니라, 내부의 복수개의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백색광을 위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작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장치의 광원으로서 띠형상의 OLED를 적용하여 도광판으로 입사하는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색재현성이 우수하고, 저소비전력을 사용하면서도 효율적인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띠형상의 OLED 소자 배면에 마이크로 렌즈를 삽입하는 구조와 복수 발광층을 사용하는 구조에 의해서 LED 광원이나 일반 OLED보다 고휘도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장치의 도광판 측면에 복수개의 띠형상 유기발광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구조적인 내구성이 강화되고 베젤 등의 부품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출사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하는 입사면을 가지는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로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전극층;
    상기 제 1전극층 위에 형성된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위에 형성된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위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 형성된 제 2전극층; 및
    상기 기판의 기저면을 식각하여 집적화된 마이크로 렌즈 구조물과, 상기 기판에 집적화된 마이크로 렌즈의 구조물에 옥사이드 무기박막을 증착하여 형성된 포토닉크리스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출사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으로서,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하는 입사면을 가지는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로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전극층;
    상기 제 1전극층 위에 형성된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위에 형성된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위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에 삽입 형성된 투명한 유기 전극층;
    상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 형성된 제 2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에 삽입 형성된 상기 유기 전극층을 각각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의 상기 투명한 유기전극층은,
    P형 유기물층 또는 유무기 혼합물 혹은 금속층;
    N형 유기물층 또는 유무기 혼합물 혹은 금속층; 및
    완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극층은 상기 제1전극층에 가까운 위치에는 N형 유기물층이, 상기 제2전극층에 가까운 위치에는 P형 유기물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장치.
KR1020060061053A 2006-06-30 2006-06-30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KR100769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053A KR100769740B1 (ko) 2006-06-30 2006-06-30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053A KR100769740B1 (ko) 2006-06-30 2006-06-30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740B1 true KR100769740B1 (ko) 2007-10-23

Family

ID=3881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053A KR100769740B1 (ko) 2006-06-30 2006-06-30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7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3656A (ja) 2000-07-03 2002-01-2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2184567A (ja) 2000-12-15 2002-06-28 Canon Inc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37381A (ja) * 2001-02-09 2002-08-23 Nagase Inteko Kk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3248444A (ja) * 2002-11-18 2003-09-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60171A (ko) * 2004-11-30 2006-06-05 (주)케이디티 미세공동 유기 발광 소자와 광 여기 발광층을 이용한 광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3656A (ja) 2000-07-03 2002-01-2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2184567A (ja) 2000-12-15 2002-06-28 Canon Inc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37381A (ja) * 2001-02-09 2002-08-23 Nagase Inteko Kk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3248444A (ja) * 2002-11-18 2003-09-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60171A (ko) * 2004-11-30 2006-06-05 (주)케이디티 미세공동 유기 발광 소자와 광 여기 발광층을 이용한 광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717B1 (ko) 표시장치
JP4314157B2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9086512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 source and light-guiding plate with reflective plate having a bent portion surrounding the light source
US7360942B2 (en) Receiving container for a display apparatus,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receiving container, and method thereof
US20090033832A1 (en) Backlight module and application thereof
US10809451B2 (en) Back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165243A1 (en) Prism sheet,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10405279A1 (en) Backlight module
CN101539258A (zh) 背光单元和具有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件
US8345188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0525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70059764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7471354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50041324A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TWI392924B (zh) 背光模組
US20050213346A1 (en) Backlight module
KR101591336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50088838A1 (en) Light guiding device with two opposite light emitting surfaces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CN109521516B (zh) 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
US20110051248A1 (en) Hybrid Optical Film
KR101398361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2026868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253217A1 (en) Backlight Module and a Light Diffusing Module Using the Same
KR100769740B1 (ko) 띠형상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KR2008008882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