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18B1 -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18B1
KR100769318B1 KR1020060025711A KR20060025711A KR100769318B1 KR 100769318 B1 KR100769318 B1 KR 100769318B1 KR 1020060025711 A KR1020060025711 A KR 1020060025711A KR 20060025711 A KR20060025711 A KR 20060025711A KR 100769318 B1 KR100769318 B1 KR 100769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yoke
steel structure
cheolgolb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227A (ko
Inventor
김래준
Original Assignee
김래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래준 filed Critical 김래준
Priority to KR102006002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318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설치시 상기 거푸집을 받쳐주는 서포트(support)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보-슬래브거푸집의 설치구조 또는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슬래브거푸집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구조물과 연결되어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거푸집을 받쳐주는 서포트(support)에서, 철구조물과 연결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를 철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구; 거푸집의 멍에를 받쳐주는 멍에받침부; 및 상기 결합구와 상기 멍에받침부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제공한다.
서포트, SRC보, S보, RC슬래브

Description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Steel structure connection support and Systemform set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1타입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2타입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3타입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4타입의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제1설치예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제2설치예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의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와 철골보가 와셔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110 : 결합구 120 : 고정구
130 : 멍에받침부 140a : 연결부(프레임형)
140b : 연결부(봉형) 150 : 높이조절너트
160 : 간격유지구
200 : 철골보
300 : 보-슬래브거푸집 310 : 보하면거푸집
320 : 보측면거푸집
330 : 슬래브거푸집
400 : 받침턱 500 : 받침구
600 : 턴버클
본 발명은 거푸집 설치시 상기 거푸집을 받쳐주는 서포트(support)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보-슬래브거푸집의 설치구조 또는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슬래브거푸집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즉 SRC(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구조는 철골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철근으로 둘러싸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박아 넣어 단일체로 만든 구조로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철골구조의 중간적인 구조법이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내화성은 좋으나 자중이 무겁고, 고층이 될수록 기둥이 굵어지고 유효면적이 작아지는 결점이 있다. 철골구조는 반대로 자중은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가볍지만 내화성이 부족하므로 값비싼 내화피복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들의 결점을 보완하여 내화성이 좋고 자중이 가벼운 구조로서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또한 S보(steel girder; 철골보)의 상부플랜지면에 맞추어 짜 댄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RC슬래브(reinforced concrete slab; 철근콘크리트바닥)를 만들기도 하는데, 상기 S보의 상부플랜지 위에는 스터드(stud), 스파이럴 등 시어 커넥터(shear connector)를 붙이고 여기에 철근을 묶고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화하면 수평력을 철골조 전체에 분배하여 건물의 강도를 높이게된다.
상기한 SRC구조에서 주로 이용되는 SRC보 및 S보는 통상적으로 단면이 I또는 H인 철골보를 사용한다.
종래의 시공 현장에서는 상기한 SRC구조에서 주로 이용되는 SRC보 또는 S보 위에 RC슬래브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상기 보 또는 슬래브 설치 위치와 대응한 바닥에 버팀대를 대고, 상기 버팀대 위에 종래의 서포트를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종래의 서포트 위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상 기 종래의 서포트는 슬래브거푸집이나 보하면거푸집의 장선받이, 멍에 등을 받아 그 하중을 지반 또는 밑층의 바닥판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목재, 철재 등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법은 상기 버팀목과 상기 종래의 동바리를 설치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해체하는데 역시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해체작업 중 상기 종래의 동바리 등의 자재가 많이 훼손되기 때문에 해체한 자재를 재사용하는 비율도 낮았다. 또한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그만큼 작업 중 안전사고가 생길 위험이 높을 뿐 아니라 자재의 소모량이 많아 공사비용이 커지고, 자재의 소모량이 많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의 량도 많아져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경제적이고, 신속한 거푸집 설치를 위한 서포트와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철구조물과 연결되어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거푸집을 받쳐주는 서포트(support)에서, 철구조물과 연결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를 철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구; 거푸집의 멍에를 받쳐주는 멍에받침부; 및 상기 결합구와 상기 멍에받침부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상, 하부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된 철골보;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보하면거푸집, 상기 보하면거푸집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거푸집으로서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격자틀로 구성된 보측면거푸집, 상기 보측면거푸집과 직각으로 결합하는 거푸집으로서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슬래브거푸집으로 짜여진 거푸집으로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철골보를 매립시키도록 설치된 보-슬래브 거푸집; 및 결합구는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와 결속(結束)되고, 연결부에는 트여있는 전후면을 통해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멍에가 끼워지고, 멍에받침부는 보하면거푸집의 멍에를 받치도록 설치되는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상, 하부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된 철골보;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철골보의 측면에서 상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와 상기 거푸집널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된 슬래브거푸집; 및 결합구는 상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와 결속(結束)되고, 연결부에는 트여있는 전후면을 통해 상기 슬래브거푸집의 멍에가 끼워지고, 멍에받침부는 상기 슬래브거푸집의 멍에를 받치도록 설치되는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는 철구조물과 연결되는 결합구(110); 상기 결합구를 철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구(120); 거푸집의 멍에를 받쳐주는 멍에받침부(130); 및 상기 결합구(110)와 상기 멍에받침부(13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110)는 일반적으로 철골구조물과 체결(締結)된다. 이처럼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는 철골구조에 체결되면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거푸집의 하중을 바닥에 전달하는 기둥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에 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가 구체화된 실시예를 4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1) 제1타입.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1타입의 정면도이다. 도1의 (a) 내지 (c)는 상기 연결부(140)가 전, 후면이 트여있는 프레임 부재로서 상단은 상기 결합구(110)와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멍에받침부(130)와 결합하는 예이다. 상기 연결부(140a)의 폭은 최소한 상기 멍에의 폭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하고, 상기 연결부(140a)의 높이는 상기 멍에의 높이 및 슬래브거푸집이나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의 높이를 합한 높이에 맞추어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140a)는 상기 결합구(110)와 상기 멍에받침부(130)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도1(a)가 기본형이고, 도1(b) 및 (c)는 도1(a)로부터 변형된 예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양측면도 트이도록 구성할 수 있고, 멍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결합구를 포함한 서포트가 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멍에받침부(130)는 슬래브거푸집 또는 보하면거푸집의 멍에를 받쳐주는 부재이다. 도1에서 도시된 예는 상기 멍에받침부(130)가 상기 연결부(140a)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결합구(110)와 고정구(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나 도1에서는 수나사봉(111) 및 상기 수나사봉의 하단과 결합하는 볼트머리(112)로 구성된 볼 트형 결합구와 고정구(120)는 암나사선이 형성된 너트로 구성된 너트형 고정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결합구(110)와 고정구(120)는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와 철골보(20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형 결합구(110)와 너트형 고정구(120)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를 상기 철골보(200)에 간단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의 길이, 즉 도1에서 도시된 예에서 상기 수나사봉(111)의 길이는 요구되는 작업에 맞추어 자유로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1에서 도시된 결합구(110)를 사용하면 보-슬래브거푸집(300)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후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에서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를 해체하는 작업은 상기 결합구의 볼트머리(112)를 돌리는 작업으로 간단히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서포트 해체 작업 후에는 상기 고정구(120)가 콘크리트에 매립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상기 결합구(110)와 철골보(200)의 상부 또는 하부플랜지와의 구체적인 결합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2) 제2타입.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2타입의 정면도이다.
도2의(a) 내지 (f)는, 상기 멍에받침부(130)는 멍에받침판(131)과 상단은 상기 멍에받침판(131)의 하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부(140a)의 하단을 관통하는 봉형부재로서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봉(132)으로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봉(132)은 상기 연결부(140a)의 하단과 너트로 결합되는 예를 도 시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봉(132)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봉(132)과 상기 연결부(140a)를 결합시키는 너트는 높이조절봉을 상하(上下)로 조절하는 기능도 갖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높이조절너트(150)'라 한다. 상기 도1에서 도시된 제1타입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는 상기 연결부(140a)의 높이를 보하면거푸집(310) 또는 슬래브거푸집(330)의 멍에와 장선의 높이에 맞추어 제작해야 하지만 도2에서 도시된 제2타입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는 상기 연결부(140a)의 높이를 넉넉하게 제작하더라도 상기 높이조절봉(132)과 높이조절너트(150)에 의해 상기 멍에받침판(131)의 위치를 조정하여 시공 현장에서 요구되는 상기 멍에받침판의 높이를 얻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봉(132)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봉(棒)형 부재로서 상기 연결부(140a)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150)는 상기 연결부(140a)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높이조절봉(132)과 나사결합하는 너트로서 상기 높이조절너트(150)를 돌려 상기 높이조정봉(132)을 상하(上下)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봉(132)의 상단에는 보하면거푸집(310) 또는 슬래브거푸집(330)의 멍에를 받치는 멍에받침판(131)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멍에받침부(130)의 높이가 조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40a)는 상기 결합구(110)와 상기 멍에받침부(130)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도2의(a)가 기본형이고, 도2의(b)내지 (f)는 도2의(a)로부터 변형된 예이다. 이 때 상기 연결부(140a)는 양측면도 트이도록 구성할 수 있고 멍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결합구를 포함한 서포트가 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3) 제3타입.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3타입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의(a)는 상기 연결부(140)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봉(棒)형 부재로서 상단은 상기 결합구(110)와 일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멍에받침부(130)와 결합하는 연결부(140b)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의(b)는 상기 멍에받침부(130)는 밑면이 평평한 U자형 부재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예이다. 도3의(c)는 상기 연결부(140b)는 상기 멍에받침부(130)를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되되, 상기 멍에받침부(130)와 상기 연결부(140b)는 너트로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140b)와 나사결합 하면서 상기 연결부(140b)와 멍에받침부(130)를 결합시키는 너트는 상기 멍에받침부(130)를 상하(上下)로 조정하는 기능도 갖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높이조정너트(150)'라 한다. 도3의(d)는 상기 연결부(140b)의 하단에는 스패너결속구(141)가 부착되어 있거나 삽입공(1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예이다. 상기 제3타입은 구성이 간단하므로 제1, 2타입에 비해 제작단가가 현저히 낮아진다. 또한 상기 보-슬래브 거푸집(300)의 설치작업시 제1, 2타입에 의할 때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110)를 먼저 철골보와 체결한 후 멍에를 상기 연결부의 트여있는 전, 후면을 통해 끼워 넣음으로써 멍에받침부(130)에 받혀지게 하지만, 상기 제3타입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할 때는 멍에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상기 멍에받침부(130)가 상기 멍에를 밑에서 받쳐올리도록 하고 상기 결합구(110)와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상기 철골보(200)와 체결, 고정시키는 작업을 통해 간단하게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때 도2의(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멍에받침부(130)를 밑면이 평평한 'U'자형으로 구성하면 멍에를 좀 더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한편, 도3의(c), (d)에 도시된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는 상기 연결부(140b)의 높이를 넉넉하게 제작하더라도 상기 높이조절너트(150)를 조이거나 푸는 것으로 상기 멍에받침부(130)를 상하(上下)로 조정하여 시공 현장에서 요구되는 상기 멍에받침부의 높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3의(d)에 도시된 예를 사용하면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거푸집을 해체할 때 연결부(140b) 하단에 부착된 스패너결속구(141)를 스패너 등의 공구로 잡아 풀거나 상기 연결부(140b)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공(142)에 쇠막대 등을 삽입하여 상기 쇠막대 등을 돌림으로서 간단하게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4) 제4타입.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제4타입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4의(a), (b)는 상기 결합구(110)가 연결부(140) 상단의 위쪽으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결합구(110)의 연장된 부분에 끼워 설치되는 관(管)상의 간격유지구(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구(110)의 연장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간격유지구(160)의 길이를 초과하도록 구성된 제4타입이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 도4의(a)는 연결부(140a)가 프레임형으로 구성된 예이고 도4의(b)는 연결부(140b)가 봉형으로서 결합구와 일체로 연결된 예를 도시한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
상기 제4타입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는 후술할 보-슬래브거푸집(300)이 철골보(200)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므로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110)는 상기 철골보(200)와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간의 간격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고 있어야 한다. 즉, 상기 결합구(110)의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311) 위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311)로부터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210b) 매립위치까지의 간격을 초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에는 상기 결합구(110)에 끼워지는 간격유지구(160)가 필요한데, 상기 간격유지구(160)는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311)과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까지(210b)의 간격에 맞춘 길이를 갖고 있는 관(管)상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처럼 상기 결합구(110)가 상기 간격유지구(160)에 삽입, 설치되는 이유는 첫째, 상기 간격유지구(160)를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311) 위에 세움으로써 설계상 요구되는 거푸집의 설치간격을 정확하게 맞추어 유지시키고, 둘째, 상기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 및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를 해체하는 작업을 할 때 상기 결합구(110)를 쉽게 돌려 빼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의 제1설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설치예는, 철골보(200), 보-슬래브거푸집(300),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가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철골보(200)는 상, 하부플랜지(210a, 210b)와 웨브(22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철골보(200)는 SRC보가 구축될 때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이 설치되기 전에 짜여진 철골구조의 일부분이다.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은 거푸집널(311)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312)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313)로 구성된 보하면거푸집(310), 상기 보하면거푸집(310)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거푸집으로서 거푸집널(321)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격자틀(322)로 구성된 보측면거푸집(320), 상기 보측면거푸집(320)과 직각으로 결합하는 거푸집으로서 거푸집널(331)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332) 및 상기 장선(332)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333)로 구성된 슬래브거푸집으로 짜여진 것이다. 도5에서 도시된 제1설치예는 상기 철골보(200)의 하부 플래이트(210b)가 SRC보의 하면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된 예이므로,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은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210b)와 상기 보하면거푸집 거푸집널(311)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는 상기 제1타입 내지 제3타입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물론 상기 상황에 따라 다수개의 서포트를 사용할 때, 여러 가지 타입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혼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타입에 따라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멍에(313)가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연결부(140)에 끼워져 고정되는 방식을 달리하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상기 방식의 차이는 위에서 설명하였다.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110)는 상기 결합구의 수나사봉(111)이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210b)와 결속(結束)되고,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멍에(313)가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멍에받침부(130)에 의해 받쳐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110)와 상기 철골보 하부플랜지(210b)의 결속 방법은 상기 결합구의 수나사봉(111)이 상기 철골보 하부플랜지(210b)를 관통하도록 한 후 돌출된 부분을 상기 너트형 고정구(120)로 조이면서 체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한 후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 및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를 해체하면 상기 너트형 고정구(120)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수나사봉(111)을 빼낸 자리에는 구멍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은 방치하여도 무방하나 시멘트 모르타르 등으로 충진할 수도 있다. 한편,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골보 하부플랜지(210b)의 상면에 사각와셔(121) 등의 부속재를 끼워넣고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를 상기 철골보 하부플랜지(210b)의 바깥쪽으로 배치하여 상기 철골보 하부플랜지를 뚫지 않고 체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의 제2설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설치예도 상기 제1설치예와 마찬가지로 철골보(200), 보-슬래브거푸집(300),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가 연결된 구조이다. 다만, 상기 제2설치예는 상기 철골보(200)가 보의 하면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보에 완전히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 이 때는 상기 제4타입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를 이용해야 하는데,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상기 제4타입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는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210b)와 결 속하되,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311)과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까지(210b)의 간격에 맞춘 간격유지구(16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구(110)의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311) 위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311)로부터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210b) 매립위치까지의 간격 이상이 되어야 한다. 상기 결합구(110)가 상기 간격유지구(160)에 삽입, 설치되는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서는 제1, 2 설치예 공히 받침턱(400)과 받침구(500)를 이용하여 보-슬래브거푸집 설치구조의 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턱(400)은 상기 보측면거푸집의 격자틀(322)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받침구(500)는 상단과 전, 후면이 트여있어 상기 슬래브거푸집의 멍에(333)를 받치는 받침틀(510)과 상단은 상기 받침틀(510)과 일체로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받침턱과 결합하는 받침봉(5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봉(520)의 하단과 받침턱(400)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도5에서 도시된 받침구(500)의 설치예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봉(520)에 너트(530)를 결합시키고 상기 너트(530)를 상기 받침구의 받침틀(510) 부근까지 올린 후 상기 받침봉(520)을 받침턱(400)에 끼워 넣고 다시 상기 너트(530)를 상기 받침턱(400)에 밀착될 때까지 풀어내려 상기 너트(530)가 상기 받침턱(400)에 단단하게 거치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받침구(500)가 보측면거푸집(320)과 슬래브거푸 집(330)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한 방법 등으로 받침구(500)를 받침턱(400)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받침구의 받침틀(510)이 슬래브거푸집의 멍에(333)를 받치도록 하여 상기 보-슬래브거푸집(300)의 설치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도5 및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멍에(313)를 상기 보하면의 폭보다 길게 구성하여,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멍에(313)와 상기 보측면거푸집의 격자틀(322)을 연결시키는 턴버클(600)을 더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슬래브거푸집의 설치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3.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의 설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치예는, 철골보(200), 슬래브거푸집(330),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가 연결된 구조이다. 철골조 건축물의 2층 이상의 슬래브는 철골보의 상부플랜지면과 평평하게 맞추어 짜 댄 슬래브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제작한다.
상기 철골보는 상, 하부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 위에는 스터드(stud), 스파이럴 등 시어 커넥터(shear connector)를 붙이고 여기에 철근을 묶고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화하여 수평력을 뼈대 전체에 분배하여 건물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상기 철골보(200)는 상기 슬래브거푸집이 설치되기 전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슬래브거푸집(330)은 거푸집널(331)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332)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333)로 구성된다. 상기 슬래브거푸집은 상기 철골보(200)의 측면에서 상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210a)와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푸집널(331)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타입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타입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100)를 혼용할 수 있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110)는 상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210a)와 결속(結束)되고, 상기 슬래브거푸집의 멍에(333)가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멍에받침부(130)에 받쳐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110)와 상기 철골보 상부플랜지(210a)의 결속 방법은 "2.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설명한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의 결합구와 철골보 하부플랜지의 결속 방법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쉽게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는 바닥에 지지되는 기둥이 없고, 종래의 서포트 설치시 필요했던 버팀대도 필요가 없으므로 폐기물이 적게 발생 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사용함으로서 소요 자재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서포트 설치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하고 공기(工期)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이 현저히 감소된다.
넷째, 종래의 서포트를 운반, 설치, 해체할 때 종종 발생하던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철구조물과 연결되어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거푸집을 받쳐주는 서포트(support)에서,
    철구조물과 연결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를 철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구;
    거푸집의 멍에를 받쳐주는 멍에받침부; 및
    전, 후면이 트여있는 프레임 부재로서 상단은 상기 결합구와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멍에받침부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구와 상기 멍에받침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3. 제2항에서,
    상기 멍에받침부는 멍에받침판; 과 상단은 상기 멍에받침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부의 하단을 관통하는 봉형부재로서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 되어 있는 높이조절봉; 으로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봉은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연결부 상단의 위쪽으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결합구의 연장된 부분에 끼워 설치되는 관(管)상의 간격유지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구의 연장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간격유지구의 길이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9. SRC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상, 하부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된 철골보;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보하면거푸집, 상기 보하면거푸집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거푸집으로서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격자틀로 구성된 보측면거푸집, 상기 보측면거푸집과 직각으로 결합하는 거푸집으로서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슬래브거푸집으로 짜여진
    거푸집으로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철골보가 매립되도록 설치된 보-슬래브 거푸집; 및
    결합구는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와 결속(結束)되고, 연결부에는 트여있는 전후면을 통해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멍에가 끼워지고, 멍에받침부는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멍에를 받치도록 설치되는 제2항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10. 제9항에서,
    상기 보-슬래브거푸집은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와 상기 보하면거푸집 거푸집널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11. 제9항에서,
    상기 보-슬래브거푸집은 상기 철골보를 둘러싸도록 설치하고,
    상기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는 결합구가 연결부 상단의 위쪽으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결합구의 연장된 부분에 끼워 설치되는 관(管)상의 간격유지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구의 연장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간격유지구의 길이를 초과하는 것이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보하면거푸집의 거푸집널과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까지의 간격에 맞추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12. 제9항에서,
    상기 보측면거푸집의 격자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턱; 및
    상단과 전, 후면이 트여있어 상기 슬래브거푸집의 멍에를 받치는 받침틀과 상단은 상기 받침틀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받침턱과 결합하는 받침봉으로 구성된 받침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13. 삭제
  14. S보 위에 RC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상, 하부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된 철골보;
    거푸집널과 상기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및 상기 장선과 격자로 배치되는 멍에로 구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철골보의 측면에서 상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와 상기 거푸집널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된 슬래브거푸집; 및
    결합구는 상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와 결속(結束)되고, 연결부에는 트여있는 전후면을 통해 상기 슬래브거푸집의 멍에가 끼워지고, 멍에받침부는 상기 슬래브거푸집의 멍에를 받치도록 설치되는 제2항의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 설치구조.
KR1020060025711A 2006-03-21 2006-03-21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KR100769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711A KR100769318B1 (ko) 2006-03-21 2006-03-21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711A KR100769318B1 (ko) 2006-03-21 2006-03-21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44U Division KR200418070Y1 (ko) 2006-03-21 2006-03-21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27A KR20070096227A (ko) 2007-10-02
KR100769318B1 true KR100769318B1 (ko) 2007-10-24

Family

ID=3880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711A KR100769318B1 (ko) 2006-03-21 2006-03-21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70Y1 (ko) * 2013-03-13 2013-11-11 김진태 장선과 멍에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0495B (zh) * 2010-07-14 2016-03-30 无锡圣泰建筑模板有限公司 建筑用支承结构
CN102400551A (zh) * 2010-09-10 2012-04-04 上海蓝科钢结构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钢结构楼面体系的模板支撑工具及施工方法
KR101734433B1 (ko) 2015-08-21 2017-05-12 (주)금강시스템즈스케폴딩 구조물 제작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173A (ja) 1997-05-27 1998-12-08 Kobayashi Jun 梁の構築方法及び梁型枠装置並びに側板用の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173A (ja) 1997-05-27 1998-12-08 Kobayashi Jun 梁の構築方法及び梁型枠装置並びに側板用のキャ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70Y1 (ko) * 2013-03-13 2013-11-11 김진태 장선과 멍에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27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140B1 (ko) Pc부재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JP3242984U (ja) プレハブ式デッキユニット,プレハブ式デッキユニットを製造する方法,及び球状空隙形成体
US20110107716A1 (en) Connector system for secur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structural member to a vertical cast concrete member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US6270057B1 (en) Reuseable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guardrail system
KR100769318B1 (ko)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KR100644745B1 (ko)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769999B1 (ko) 개량형 동바리, 자립식 개량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거푸집 설치구조
KR101176846B1 (ko)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CN102124168A (zh) 复合面板、连接器和相关的方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418070Y1 (ko)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KR100949584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20200136127A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KR20230144438A (ko)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CN111321807B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柱-柱集束钢筋连接结构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JP6918613B2 (ja) 壁面構造および壁面の構築方法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0840279B1 (ko)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