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834B1 -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834B1
KR100768834B1 KR1020050116730A KR20050116730A KR100768834B1 KR 100768834 B1 KR100768834 B1 KR 100768834B1 KR 1020050116730 A KR1020050116730 A KR 1020050116730A KR 20050116730 A KR20050116730 A KR 20050116730A KR 100768834 B1 KR100768834 B1 KR 100768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output
analog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263A (ko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Publication of KR2005011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05Multiplexed conver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PC 그래픽 카드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RGB 신호 증폭부(10);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를 통해 증폭입력된 신호(RGB1, RGB2)를 외부 영상선택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각각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 상기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의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후단의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 및 상기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와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로 동일한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이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CPU(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듀얼 모니터

Description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DUAL MONITOR BOAR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니터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및 주변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블록도.
본 발명은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니터가 일체화되어 있는 듀얼 모니터에 있어서 해당 듀얼 모니터가 같은 화면 또는 다른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스위칭 전환시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이 신호감쇄 및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적은 부피의 듀얼 모니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모니터는 두개의 LCD 화면을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두개의 LCD 화면에 서로 다른 화면을 각각 출력하여 다중 작업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두개의 LCD 화면에 같은 화면을 출력하여 타인과 동시에 같은 화면을 보도록 할 수 있어 상담용이나 접대용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듀얼 모니터는 각각의 LCD 화면에 다양한 영상을 출력시키기 위해 분배기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듀얼 모니터는 외부에 설치되는 분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면 품위가 저하되고 또한 각 LCD 화면에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다른 시그널을 분배기를 통해 별도로 분배하고 서로 다르게 분배된 신호를 각각의 모니터로 입력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져 작업 효율이 떨어지며 그 활용에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듀얼 모니터의 제어장치가 개발되어 별도의 분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여러 화면을 동시에 같은 화면 또는 다른 화면으로 듀얼 모니터의 LCD 화면을 전환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듀얼 모니터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PC(PC1, PC2)의 비디오 카드에서 각각 출력되는 RGB 아날로그 시그널을 디지털 시그널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21, 22)와, 비디오/DVD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시그널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23)와, 상기 복수개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 22)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를 스위칭 전환 처리하는 시그널 제어부(24)와 제 1 및 제 2 LCD 구동 콘트롤러(26, 27)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CPU(25)와, 상기 시그널 제어부(24)와 상기 비디오 디코더(23)의 시그널을 입력받고, 외부 입력단을 통한 외부 시그널을 입력받아, 입력된 시그널에 따라 듀얼모니터의 제 1 및 제 2 LCD(30, 40)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LCD 구동 콘트롤러(26, 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듀얼 모니터를 구성하기 위해 2개의 서로 다른 RGB 신호 입력을 받아 각각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팅을 하게 되며, 이 입력은 시그널 제어부(24)로 입력이 된다. 이렇게 입력된 RGB 신호는 각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는 제 1 LCD 구동 콘트롤러(26)와 제 2 LCD 구동 콘트롤러(27)로 따로 입력이 되며, 서로 같은 영상을 보여주거나, 좌우 화면이 바뀔 경우에는 시그널 제어부(24)에서 스위칭 전환을 하여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원리는 타 비디오나 외부시그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듀얼 모니터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 22)의 다음 단인 시그널 제어부(24)에서 영상 스위칭을 담당하기 때문에 여기에 대단히 많은 스위칭 회로 및 게이트(Gate)가 필요로 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듀얼 모니터의 비대함을 불러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듀얼 모니터 제어장치에서 제 1 ADC(21)에서의 입력과 제 2 ADC(22)에서의 입력이 시그널 제어부(24)라 일컬어지는 스위칭부에서 제 1 및 제 2 LCD 콘트롤러(26, 27)로 분기가 되는데, 이때 이미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컨버팅된 부분과의 연결은 RGB 신호 각각 8 비트씩 모두 24 비트(R×8Bit, G×8Bit, B×8Bit)가 연결되어 스위칭 되기 때문에 대단히 많은 스위칭 회로 및 게이트 회로가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듀얼 모니터 제어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팅이 일어나는 제 1 및 제 2 ADC(21, 22)의 다음 단인 시그널 제어부(24)에서 영 상 스위칭을 담당하기 때문에 신호의 감쇄나 외부 노이즈에 대해 대단히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PC에서 입력받는 아날로그 RGB 시그널은 일반적으로 0.7V 피크-투-피크(peak-to-peak)의 레벨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실제 아주 미세한 변화이기 때문에 외부의 외란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두가지의 입력을 동시에 받을 경우, 스위칭시의 영향 등으로 발생된 그 신호의 감쇄가 결과적으로 출력화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는 구조적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니터가 일체화되어 있는 듀얼 모니터에 있어서 해당 듀얼 모니터가 같은 화면 또는 다른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스위칭 전환을 담당하는 스위칭부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 전에 구성시킴으로써 스위칭해야할 신호선을 대폭 줄일 수 있어서, 스위칭 단에서 RGB 시그널을 처리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 및 게이트 회로를 줄일 수 있게 되고 회로의 간결함과 회로부분의 원가 절감을 이루며 최종적으로는 듀얼 모니터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전단에 외부 PC 에서 제공되는 RGB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는 신호 증폭부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 전에 구성시킴으로써 영상 스위칭시 발생할 수 있는 신호감쇄 및 외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LCD 패널로 동일한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PC 그래픽 카드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RGB 신호 증폭부(10);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를 통해 증폭입력된 적어도 둘 이상의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외부 영상선택 제어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전에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LCD 패널로 동일한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이 출력되게 둘 이상의 아날로그 RGB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ADC로 동일하게 출력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신호를 각각의 ADC로 각각 출력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각각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 상기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의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후단의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 및 상기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와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로 각각 해당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CPU(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비디오 영상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VIDEO1, VIDEO2)를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를 통해 증폭입력된 비디오 신호(VIDEO1, VIDEO2)를 각각 입력받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각각의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로 출력하는 제 1 비디오 디코더(50a) 및 제 2 비디오 디코더(5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는 해당 RGB 신호 증폭부(10)를 통해 두개의 소스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R, G, B, H, V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전에 스위칭시켜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로 각각 분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전에 미리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영상 스위칭에서 동시에 두개의 영상(RGB1, RGB2) 입력시 발생되는 신호 감쇄를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의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분배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듀얼 모니터에 같은 화면 또는 다른 화면을 출력하되, 다수의 입력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결정하는 스위칭 전환시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이 신호감쇄 및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로를 효율적으로 배치해 적은 부피의 듀얼 모니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및 주변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PC측 그래픽 카드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며 다수의 DVD 플레이어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듀 얼 모니터는 구동되게 되며, 2개의 화면을 통해 상술한 입력들 중 선택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는 해당 듀얼 모니터에 내장되게 되는데, 그 구성을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는 PC의 그래픽 카드에서 출력되는 RGB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RGB 신호 증폭부(10), 외부 비디오 영상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를 통해 증폭입력된 신호에서 R, G, B, H, V 의 5개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분기회로(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C(40), 상기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를 통해 증폭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50), 상기 ADC(40) 및 비디오 디코더(5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CPU(70)의 제어에 따라 후단의 LCD 패널(80)을 구동시키는 스케일러(60) 및 상기 ADC(40) 및 비디오 디코더(50)의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스케일러(60)를 통해 선택적으로 LCD 패널(80)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CPU(70)로 구성된다.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는 두대의 PC내 그래픽 카드에서 출력되는 RGB 아 날로그 신호들(RGB1, RGB2)를 입력받고 해당 RGB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측에서 내부 트랜지스터 증폭기를 통해 각각의 RGB 아날로그 신호들을 신호증폭시킨다.
여기에서, 실제 PC의 그래픽 카드에서 출력되는 RGB 아날로그 신호는 0.7V 피크-투-피크(peak-to-peak)의 레벨로 동작하기 때문에 외부의 잡음에 약한 특성을 가지게 되고, 특히 두개의 입력(RGB1, RGB2)을 동시에 받을 경우, 신호 감소로 인해 기존 회로는 화면의 왜곡 및 밝기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는 RGB 아날로그 신호의 입력 부분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부로서 추가되기 때문에 신호의 감쇄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비디오 영상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들(VIDEO 1, VIDEO 2)을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들을 후단의 비디오 디코더(50a, 50b)로 분기시킨다.
즉, 실제 비디오 신호 역시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분기되기 전에 이러한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를 추가시켜 신호의 감쇄현상을 미리 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는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를 통해 이미 증폭입력된 각각의 RGB 아날로그 신호에서 R, G, B, H, V 의 5개의 신호를 스위칭하게 된다.
즉,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는 각각의 증폭된 RGB 아날로그 신호를 스위칭시켜 후단의 제 1 ADC(40a) 및 제 1 ADC(40b)로 선택적으로 스위칭시켜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호 제어부인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가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변환을 이루는 ADC(40a 40b)의 전단에 구성됨으로써 해당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는 R, G, B, H, V 의 5개의 신호만을 스위칭하게 됨으로써 회로의 간결함을 이루고 회로 부분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도 1에도 도시된 기존의 회로에서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그널 제어부가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변환을 이루는 ADC의 후단에 구성됨으로써 RGB 신호 각각 8 Bit 씩 모두 24 Bit가 연결되게 되어 스위칭되는 구성은 H, V 까지 포함해 모두 26개의 신호선(R×8Bit, G×8Bit, B×8Bit, H, V)을 스위칭하여야 했기 때문에 많은 스위칭 회로 및 게이트가 필요되었지만, 본원발명의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변환을 이루는 ADC(40a 40b)의 전단에 구성되기 때문에 R, G, B, H, V 의 5개의 신호만을 스위칭하게 됨으로써 회로의 간결함을 이루고 회로 부분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정적인 아날로그 신호의 스위칭을 위해, 기존의 단순 게이트가 아닌 아날로그 멀티플렉서(Analog Multiplexer)를 이용하여 해당 RGB1, RGB2 신호를 절환시키게 된다.
상기 ADC(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ADC(40a) 및 제 2 ADC(40b)로 구성되어,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로부터 스위칭된 각각의 RGB 아날로그 신호를 제 1 ADC(40a) 및 제 2 ADC(40b)로 입력받고 해당 입력된 RGB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디코더(50) 역시 제 1 비디오 디코더(50a) 및 제 2 비디오 디코더(50b)로 구성되어, 상기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를 복원한다.
이때, 기존의 회로들에서는 단순하게 한쪽 화면만 비디오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양측 화면에 하나의 비디오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설계되지만, 본 발명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는 2개의 비디오 디코더 즉, 제 1 비디오 디코더(50a) 및 제 2 비디오 디코더(50b)로 구성되기 때문에 양측 화면 어디에서나 서로 다른 콤포지트(Composite) 입력, S-비디오(S-video) 입력, 콤포넌트(Component) 입력, TV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제 1 ADC(40a) 및 제 1 비디오 디코더(50a)는 제 1 스케일러(60a)에 연결되고, 제 2 비디오 디코더(50b) 및 제 2 ADC(40b)는 제 2 스케일러(60b)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는 상기 ADC(40) 및 비디오 디코더(5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영상선택 제어에 따라 각각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외부 영상선택 제어에 따라 선택된 입력영상이 각각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 영상선택 제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을 통해 어떠한 영상을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별도의 모니터키나 OSD(On Screen Display) 및 드라이버 정보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나타난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니터가 일체화되어 있는 듀얼 모니터에 있어서 해당 듀얼 모니터가 같은 화면 또는 다른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스위칭 전환을 담당하는 스위칭부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 전에 구성시킴으로써 스위칭해야할 신호선을 대폭 줄일 수 있어서, 스위칭 단에서 RGB 시그널을 처리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 및 게이트 회로를 줄일 수 있게 되고 회로의 간결함과 회로부분의 원가 절감을 이루며 최종적으로는 듀얼 모니터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전단에 외부 PC 에서 제공되는 RGB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는 신호 증폭부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 전에 구성시킴으로써 영상 스위칭시 발생할 수 있는 신호감쇄 및 외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적어도 둘 이상의 LCD 패널로 동일한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PC 그래픽 카드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RGB 신호 증폭부(10);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를 통해 증폭입력된 적어도 둘 이상의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외부 영상선택 제어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전에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LCD 패널로 동일한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이 출력되게 둘 이상의 아날로그 RGB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ADC로 동일하게 출력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신호를 각각의 ADC로 각각 출력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RGB 신호(RGB1, RGB2)를 각각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
    상기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의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후단의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 및
    상기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와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LCD 패널(80a) 및 제 2 LCD 패널(80b)로 각각 해당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CPU(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비디오 영상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VIDEO1, VIDEO2)를 입력받고 신호증폭을 하는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증폭부 및 분기회로(20)를 통해 증폭입력된 비디오 신호(VIDEO1, VIDEO2)를 각각 입력받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각각의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스케일러(60a) 및 제 2 스케일러(60b)로 출력하는 제 1 비디오 디코더(50a) 및 제 2 비디오 디코더(5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및 H, V 씽크 분기회로(30)는 해당 RGB 신호 증폭부(10)를 통해 두개의 소스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R, G, B, H, V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전에 스위칭시켜 제 1 ADC 및 제 2 ADC(40a, 40b)로 각각 분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RGB 신호 증폭부(1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전에 미리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영상 스위칭에서 동시에 두개의 영상(RGB1, RGB2) 입력시 발생되는 신호 감쇄를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KR1020050116730A 2005-11-14 2005-12-02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KR100768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739 2005-11-14
KR20050108739 2005-11-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029U Division KR200410437Y1 (ko) 2005-11-14 2005-12-02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263A KR20050118263A (ko) 2005-12-16
KR100768834B1 true KR100768834B1 (ko) 2007-10-24

Family

ID=3729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730A KR100768834B1 (ko) 2005-11-14 2005-12-02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51B1 (ko) * 2006-01-26 2008-05-09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를 통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535433B2 (en) * 2006-05-18 2009-05-19 Nvidia Corporation Dynamic multiple display configuration
KR20140122967A (ko) 2013-04-11 2014-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22328A (ko)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강진테크놀리지 듀얼 모니터 장치
KR102308255B1 (ko) 2021-03-05 2021-10-06 주식회사 더케이 듀얼 모니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917A (ko) * 2001-07-02 2003-01-09 주식회사 두솔시스템 듀얼 모니터의 엘시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917A (ko) * 2001-07-02 2003-01-09 주식회사 두솔시스템 듀얼 모니터의 엘시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263A (ko) 200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834B1 (ko)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US7151520B2 (en) Liquid crystal driver circuits
US5204664A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look-up table for converting pixel data to color data
US6559836B1 (en) Source driver for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for leveling out output variations thereof
US20110205398A1 (en) Imaging processing system and digital camera
KR100819736B1 (ko)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EP1427198A3 (en) Multi-mode imaging apparatus
US6954200B2 (en) Flat panel display
KR200600456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및 데이터 전송방법
JP2004246325A (ja) Lcdパネル用データドライバ
KR200410437Y1 (ko)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US7015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utput variation by sharing analog circuit characteristics
KR20190122328A (ko) 듀얼 모니터 장치
US7480011B2 (en) Video processing chip capable of adjusting aspect ratio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thereby
JP3800826B2 (ja) 表示駆動集積回路
KR100688505B1 (ko) 면적이 감소된 lcd용 소스 구동 집적 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100400008B1 (ko) 모니터의 신호처리 장치
KR100405411B1 (ko) 듀얼 모니터의 엘시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2102A (ko)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5191757A (ja) 映像表示装置の電源制御装置
JP200521555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7782399B2 (en) System and a method to avoid on-screen fluctuations due to input signal changes while in an OSD or graphic centric mode
KR100477632B1 (ko) 컴퓨터에서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KR20070017778A (ko) 듀얼화면 표시 장치 및 화면 표시방법
JPH0981081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