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255B1 - 듀얼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255B1
KR102308255B1 KR1020210029120A KR20210029120A KR102308255B1 KR 102308255 B1 KR102308255 B1 KR 102308255B1 KR 1020210029120 A KR1020210029120 A KR 1020210029120A KR 20210029120 A KR20210029120 A KR 20210029120A KR 102308255 B1 KR102308255 B1 KR 10230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unit
moni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케이
Priority to KR102021002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모니터(10, 20);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PC (200, 300); 및 상기 제1 및 제2 PC(200, 30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은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가 순차적으로 지나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로 공급되는 신호 공급부(120), 상기 신호 공급부(120)로 지나가는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 공급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및 상기 신호 공급부(120)과 상기 제어부(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를 포함하는 듀얼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모니터 장치 {Dual Monitor System}
본 발명은 듀얼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니터의 AD보드와 전원 인버터를 하나만 구비하여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분배하여 듀얼 모니터 영상 출력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듀얼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모니터는 두개의 LCD 화면을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두개의 LCD 화면에 서로 다른 화면을 각각 출력하여 다중 작업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두개의 LCD 화면에 같은 화면을 출력하여 타인과 동시에 같은 화면을 보도록 할 수 있어 상담용이나 접대용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듀얼 모니터는 각각의 LCD 화면에 다양한 영상을 출력시키기 위해 분배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개선하고자 2개의 ADC를 통해 2개의 영상을 입력받아 하나의 시그날 제어부에서 스위칭하여 2개의 LCD콘트롤러를 통해 2개의 LCD로 출력하는 듀얼 모니터 제어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하나의 시그널 제어부에서 두개의 영상을 스위칭해야 하기 때문에 대단히 많은 스위칭 회로 및 게이트가 필요하고, 두개의 ADC에서 영상스위칭으로 인한 신호의 감쇄나 외부 노이즈에 취약한 단점이 있고, 이는 출력 화면에 영향을 미쳐 영상의 품질 저하가 우려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5-0118263호 공개 특허 제10-2019-0122328호 (2019.10.30)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AD보드로 두개의 패널을 제어하는 듀얼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개의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영상 및 사운드 신호를 두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두개의 디스플레이 각각에는 스피커 기능이 있어서 스테레오 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나의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2개의 디스플레이에서 전시될때 2개의 디스플레이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제어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2개의 입력 포트에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시될때 정지상태로 오래 있는 경우 화면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콘트롤러(160)이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가 정지 화면인것을 인식하는 경우 특정 주지마다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서로 다른 PC 신호를 보내서 교차 디스플레이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모니터(10, 20);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PC (200, 300); 및 상기 제1 및 제2 PC(200, 30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은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가 순차적으로 지나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로 공급되는 신호 공급부(120), 상기 신호 공급부(120)로 지나가는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 공급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및 상기 신호 공급부(120)과 상기 제어부(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를 포함하는 듀얼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 공급부(120)은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제1 및 제2 신호 입력부(121, 122),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입력부(121, 122)의 신호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이 되는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 상기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를 통과한 제1 신호 입력부(121)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22)의 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출력부(124) 및 제어부(160)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의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22)의 신호를 교체하는 디스플레이 교차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은 사용자가 제1 및 제2 모니터의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OSD 키 입력부(161),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과 제2 신호 입력부(122) 각각에 입력되는 제1 영상 및 음성 신호(201, 211) 및 제2 영상 및 음성 신호(301, 311)를 감지하는 입력 신호 감지부(162),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과 제2 신호 입력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모드 선택부(163), 디스플레이 출력부(124)와 연결되어 제1 영상 및 음성 신호(201, 211)와 제2 영상 및 음성 신호(301, 311)를 제1 모니터 및 제2 모니터(20)로 보내는 것을 제어하는 출력 모드 설정부(164)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교차부(125)와 연결되어 제1 모니터(10)와 제2 모니터(20)의 입력 신호를 교체하도록 명령할수 있는 디스플레이 교차 설정부(165), 및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모니터(10, 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모니터 위치 설정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출력 모드 설정부(164)에는 1) 제1 모니터 출력, 2) 제2 모니터 출력, 3)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 출력 및 4) 제1 및 제2 모니터 동일 출력의 4가지 모드를 구비하고, 입력 모드 선택부(163)은 1) 제1 PC 입력, 2) 제2 PC 입력 및 3) 제1 및 제2 PC 모두 입력의 3가지 모드를 구비하며,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이 선택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제1 모니터 출력 또는 제2 모니터 출력이 선택되면 제1 PC 신호 또는 제2 PC 입력가 제1 모니터 또는 제2 모니터 출력에 출력이 되고,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이 선택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 출력이 선택되면 제1 PC 신호 또는 제2 PC 신호가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에 출력이 되고,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이 선택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제1 및 제2 모니터 동일 출력이 선택되면 제1 PC 신호 또는 제2 PC 신호가 제1 및 제2 모니터에 나뉘어져 출력이 되며 1개의 영상 입력 신호가 보간법에 의하여 보상되어 2배의 이미지로 2개의 모니터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가 놓여지는 모니터 받침대(3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는 모니터 받침대(30) 위에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한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을 각각 포함하며, 제1 및 제2 모니터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10a, 20a)에는 제1 및 제2 광센서(12, 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광센서(12, 22)는 각각 발광부 및 수광부 역활을 하여 서로 수신이 되는 않는 경우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도록 모니터 위치 설정부(166)가 신호를 보내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가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모니터 받침대(30) 상부 위에는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을 회전 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회전부(33a, 3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니터(10)의 제1 회전축(13)은 제1 지지축(13a), 상기 제1 지지축(13a)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축(13a)과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상기 제1 회전부(33a)에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플레이트(13b), 상기 회전 플레이트 바닥면에 형성된 4개의 제1 오목부(13d)및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b)의 바닥면의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1 중심 돌출부(13c) 및 상기 제1 중심 돌출부(13c)의 중심에 형성된 제1 중심 오목부(13c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33a)는 상부의 4개의 제1 돌출부(33ad), 상기 제1 회전부(33a)의 중앙에 형성된 제1 회전 관통구(33a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4개의 제1 오목부(13d)는 상기 4개의 제1 돌출부(33ad)와 맞추어지고, 상기 제1 중심 돌출부(13b)는 제1 회전 관통구(33ac)와 맞추어지고, 상기 제1 회전부(33a)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b)가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AD보드로 두개의 패널을 제어하는 듀얼 모니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개의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영상 및 사운드 신호를 두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두개의 디스플레이 각각에는 스피커 기능이 있어서 스테레오 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나의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2개의 디스플레이에서 전시될때 2개의 디스플레이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제어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2개의 입력 포트에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시될때 정지상태로 오래 있는 경우 화면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듀어 모니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a은 제1 듀얼 모니터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1 듀얼 모니터에 대한 하부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2 듀얼 모니터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제2 듀얼 모니터에 대한 하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모니터 받침대(30)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니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서의 듀얼 모니터 장치는 제1 및 제2 모니터(10, 20),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PC (200, 300) 및 상기 제1 및 제2 PC(200, 30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를 포함한다.
제1 PC(200)는 제1 영상 신호(201)와 제1 음성 신호(211)를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의 제1 신호 입력부(121)에 입력하고 제2 PC(300)는 제2 영상 신호(301)와 제2 음성 신호(311)를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의 제2 신호 입력부(122)로 입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은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가 순차적으로 지나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로 공급되는 신호 공급부(120), 상기 신호 공급부(120)로 지나가는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 공급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및 상기 신호 공급부(120)과 상기 제어부(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공급부(120)은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신호 입력부(121)와 제2 신호 입력부(122),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22)의 신호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이 되는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 상기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를 통과한 제1 신호 입력부(121)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22)의 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출력부(124), 제어부(160)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의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22)의 신호를 교체하는 디스플레이 교차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60)은 사용자가 제1 및 제2 모니터의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OSD 키 입력부(161),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과 제2 신호 입력부(122) 각각에서 제1 영상 및 음성 신호(201, 211) 및 제2 영상 및 음성 신호(301, 311)를 감지하는 입력 신호 감지부(162),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과 제2 신호 입력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모드 선택부(163), 디스플레이 출력부(124)와 연결되어 제1 영상 및 음성 신호(201, 211)와 제2 영상 및 음성 신호(301, 311)를 제1 모니터 및 제2 모니터(20)로 보내는 출력 모드 설정부(164)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교차부(125)와 연결되어 제1 모니터(10)와 제2 모니터(20)의 입력 신호를 교체하도록 명령하는 디스플레이 교차 설정부(165), 및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모니터(10, 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모니터 위치 설정부(166)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는 모니터 받침대(30)에 설치될수 있으며, 모니터 받침대(30) 위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받침대(30) 상부 위에는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을 회전 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회전부(33a, 33b)를 포함한다.
제1 모니터(10)의 제1 회전축(13)은 제1 지지축(13a), 상기 제1 지지축(13a)과 함께 상기 제1 회전부(33a)에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플레이트(13b), 상기 회전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된 4개의 제1 오목부(13d),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b)의 바닥면의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1 중심 돌출부(13c) 및 상기 제1 중심 돌출부(13c)의 중심에 형성된 제1 중심 오목부(13ca)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회전부(33a)는 상부의 4개의 제1 돌출부(33ad), 상기 제1 회전부(33a)의 중앙에 형성된 제1 회전 관통구(33ac)를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제1 오목부(13d)는 상기 4개의 제1 돌출부(33ad)와 맞추어지고, 상기 제1 중심 돌출부(13b)는 제1 회전 관통구(33ac)와 맞추어지면서 끼워진다.
상기 제1 회전부(33a)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b)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제1 모니터(10)는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중심 오목부(13ca)에는 상기 제1 회전부(33a)와 함께 회전하는 모니터 받침대(30) 내부의 회전 돌출부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맞추어져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제2 모니터(20)의 제2 회전축(23)은 제2 지지축(23a), 상기 제2 지지축(23a)과 함께 상기 제2 회전부(33b)에서 회전 가능한 제2 회전 플레이트(23b), 상기 회전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된 4개의 제2 오목부(23d),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23b)의 바닥면의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중심 돌출부(23c) 및 상기 제2 중심 돌출부(23c)의 중심에 형성된 제2 중심 오목부(23ca)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회전부(33b)는 상부의 4개의 제2 돌출부(33bd), 상기 제2 회전부(33b)의 중앙에 형성된 제2 회전 관통구(33bc)를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제2 오목부(23d)는 상기 4개의 제2 돌출부(33bd)와 맞추어지고, 상기 제2 중심 돌출부(23c)는 제2 회전 관통구(33bc)와 맞추어지면서 끼워진다.
상기 제2 회전부(33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23b)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제2 모니터(20)는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중심 오목부(23ca)에는 상기 제2 회전부(33b)와 함께 회전하는 모니터 받침대(30) 내부의 회전 돌출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맞추어져 회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모니터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10a, 20a)에는 제1 및 제2 광센서(12, 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광센서(12, 22)는 각각 발광부 및 수광부 역활을 하여 서로 수신이 되는 않는 경우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도록 모니터 위치 설정부(166)가 신호를 보내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가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출력 모드 설정부(164)에는 1) 제1 모니터 출력, 2) 제2 모니터 출력, 3)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 출력 및 4) 제1 및 제2 모니터 동일 출력의 4가지 모드를 구비하고, 입력 모드 선택부(163)은 1) 제1 PC 입력, 2) 제2 PC 입력 및 3) 제1 및 제2 PC 모두 입력의 3가지 모드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을 선택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1) 제1 모니터 출력 (또는 제2 모니터 출력)을 선택하면 제1 PC 신호(또는 제2 PC 입력)가 제1 모니터(또는 제2 모니터 출력)에 출력이 된다.
사용자가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을 선택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3)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 출력을 선택하면 제1 PC 신호(또는 제2 PC 입력)가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에 출력이 된다.
사용자가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을 선택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4) 제1 및 제2 모니터 동일 출력을 선택하면 제1 PC 신호(또는 제2 PC 입력)가 제1 및 제2 모니터 동일에 출력이 된다. 즉, 제1 및 제2 모니터 2개에 하나의 PC 입력(제1 또는 제2 PC 입력)이 나타난다. 이경우에는 1개의 영상 입력 신호가 1개의 모니터에 출력될 때보다 화면이 2배 크므로 선택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 신호를 보간법에 의하여 보상하여 2개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여 화면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입력 신호 감지부(162)에서는 제1 신호 처리부(121)와 제2 신호 처리부(122)로 지나는 영상 신호를 인식하며, 영상 신호가 설정된 시간 정지된 시간인 경우 디스플레이 교차 설정부(164)에서 신호를 보내어 디스플레이 교차부(125)가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으로 보내는 제1 PC 및 제2 PC 입력 신호를 교차하여 화면이 정지되어서 꺼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스피커(11, 21)를 구비하여 제1 PC 및 제2 PC 입력 신호중 음성 신호가 제1 및 제2 스피커(11, 21)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 제1 모니터 20: 제2 모니터
30: 모니터 받침대 100: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Claims (3)

  1. 제1 및 제2 모니터(10, 20);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PC (200, 300); 및
    상기 제1 및 제2 PC(200, 30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00)은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가 순차적으로 지나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로 공급되는 신호 공급부(120), 상기 신호 공급부(120)로 지나가는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 공급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및 상기 신호 공급부(120)과 상기 제어부(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공급부(120)은 제1 및 제2 PC(200, 300)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제1 및 제2 신호 입력부(121, 122),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입력부(121, 122)의 신호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이 되는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 상기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를 통과한 제1 신호 입력부(121)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22)의 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출력부(124) 및 제어부(160)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의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22)의 신호를 교체하는 디스플레이 교차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은 사용자가 제1 및 제2 모니터의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OSD 키 입력부(161),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과 제2 신호 입력부(122) 각각에 입력되는 제1 영상 및 음성 신호(201, 211) 및 제2 영상 및 음성 신호(301, 311)를 감지하는 입력 신호 감지부(162), 디스플레이 입력 선택부(1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21)과 제2 신호 입력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모드 선택부(163), 디스플레이 출력부(124)와 연결되어 제1 영상 및 음성 신호(201, 211)와 제2 영상 및 음성 신호(301, 311)를 제1 모니터 및 제2 모니터(20)로 보내는 것을 제어하는 출력 모드 설정부(164)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교차부(125)와 연결되어 제1 모니터(10)와 제2 모니터(20)의 입력 신호를 교체하도록 명령할수 있는 디스플레이 교차 설정부(165), 및 제1 및 제2 모니터(10, 20)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모니터(10, 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모니터 위치 설정부(166)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드 설정부(164)에는 1) 제1 모니터 출력, 2) 제2 모니터 출력, 3)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 출력 및 4) 제1 및 제2 모니터 동일 출력의 4가지 모드를 구비하고, 입력 모드 선택부(163)은 1) 제1 PC 입력, 2) 제2 PC 입력 및 3) 제1 및 제2 PC 모두 입력의 3가지 모드를 구비하며,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이 선택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제1 모니터 출력 또는 제2 모니터 출력이 선택되면 제1 PC 신호 또는 제2 PC 신호가 제1 모니터 또는 제2 모니터 출력에 출력이 되고,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이 선택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 출력이 선택되면 제1 PC 신호 또는 제2 PC 신호가 제1 및 제2 모니터 각각에 출력이 되고,
    입력 모드 선택부(163)에서 제1 PC 입력 또는 제2 PC 입력이 선택되고 출력 모드 설정부(165)에서 제1 및 제2 모니터 동일 출력이 선택되면 제1 PC 신호 또는 제2 PC 신호가 제1 및 제2 모니터에 나뉘어져 출력이 되며 1개의 영상 입력 신호가 보간법에 의하여 보상되어 2배의 이미지로 2개의 모니터에 출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가 놓여지는 모니터 받침대(3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10, 20)는 모니터 받침대(30) 위에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한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을 각각 포함하며,
    제1 및 제2 모니터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10a, 20a)에는 제1 및 제2 광센서(12, 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광센서(12, 22)는 각각 발광부 및 수광부 역활을 하여 서로 수신이 되는 않는 경우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도록 모니터 위치 설정부(166)가 신호를 보내서 제1 및 제2 모니터(10, 20)가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모니터 받침대(30) 상부 위에는 제1 및 제2 회전축(13, 23)을 회전 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회전부(33a, 3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니터(10)의 제1 회전축(13)은 제1 지지축(13a), 상기 제1 지지축(13a)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축(13a)과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상기 제1 회전부(33a)에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플레이트(13b), 상기 회전 플레이트 바닥면에 형성된 4개의 제1 오목부(13d)및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b)의 바닥면의 중심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1 중심 돌출부(13c) 및 상기 제1 중심 돌출부(13c)의 중심에 형성된 제1 중심 오목부(13c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33a)는 상부의 4개의 제1 돌출부(33ad), 상기 제1 회전부(33a)의 중앙에 형성된 제1 회전 관통구(33ac)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제1 오목부(13d)는 상기 4개의 제1 돌출부(33ad)와 맞추어지고, 상기 제1 중심 돌출부(13c)는 제1 회전 관통구(33ac)와 맞추어지고,
    상기 제1 회전부(33a)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b)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29120A 2021-03-05 2021-03-05 듀얼 모니터 장치 KR10230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120A KR102308255B1 (ko) 2021-03-05 2021-03-05 듀얼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120A KR102308255B1 (ko) 2021-03-05 2021-03-05 듀얼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255B1 true KR102308255B1 (ko) 2021-10-06

Family

ID=7807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120A KR102308255B1 (ko) 2021-03-05 2021-03-05 듀얼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2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40A (ko) * 2002-03-27 2003-10-04 지승주 옥내외 광고용 멀티비젼 구동장치
KR20050118263A (ko) 2005-11-14 2005-12-16 피닉스정보기술(주)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KR20190122328A (ko)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강진테크놀리지 듀얼 모니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40A (ko) * 2002-03-27 2003-10-04 지승주 옥내외 광고용 멀티비젼 구동장치
KR20050118263A (ko) 2005-11-14 2005-12-16 피닉스정보기술(주) 듀얼 모니터의 영상출력 제어장치
KR20190122328A (ko)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강진테크놀리지 듀얼 모니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651B2 (en) Portable multimedia projection system
KR10021231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구조
KR1024381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9980034367A (ko) 스탠드부에 전원 및 신호부를 갖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34365A (ko) 균형유지가 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JPH1014308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11417A (ko) 음성 출력과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와 제어 방법
KR102308255B1 (ko) 듀얼 모니터 장치
US20060126854A1 (en) Acoustic apparatus
EP1521236A2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display device
US62090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monitor in a PC/TV convergence system
US669768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udio output control means in accordance with image signal type
KR20190122328A (ko) 듀얼 모니터 장치
WO2023088126A1 (zh) 电子设备、声音控制方法及存储介质
WO2006001605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10047989A (ko) 텔레비젼의 스피커장치와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4737516B2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258833A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200815881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6235156A (ja) プロジェクタの設置スタンド
KR200172840Y1 (ko) 양면 액정 모니터
KR100315071B1 (ko) 노래 반주기의 동영상 전송시스템
CN117529907A (zh) 可旋转显示装置
KR100413687B1 (ko)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 방법
JP200130603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