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330B1 -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330B1
KR100768330B1 KR1020070049230A KR20070049230A KR100768330B1 KR 100768330 B1 KR100768330 B1 KR 100768330B1 KR 1020070049230 A KR1020070049230 A KR 1020070049230A KR 20070049230 A KR20070049230 A KR 20070049230A KR 100768330 B1 KR100768330 B1 KR 10076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digital
wrench
torque valu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영
신기문
Original Assignee
(주)엔피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피엔 filed Critical (주)엔피엔
Priority to KR102007004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토크값을 감지 및 표시하는 디지털 토크렌치에 있어서 감지된 토크값이 디지털 토크렌치를 검사하는 공인된 검교정기구 상의 기준토크값과 일치되도록 보정하는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토크렌치에 일정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일정 토크에 대응되어 감지된 검교정기구 상의 토크값인 기준토크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디지털 토크렌치의 토크센서에 의해 기 감지되어 저장된 토크값을 입력부에 입력된 기준토크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일정 토크 인가시, 저장부에 갱신 저장된 기준토크값을 디지털 토크렌치의 교정된 토크값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개시된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토크렌치의 토크센서에서 감지되는 토크값 오차를 기준토크값을 이용하여 입력부와 저장부를 통해 보정하여, 추후 디지털 토크렌치의 감지된 토크값이 기준토크값에 부합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정확성 있게 표시 제공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디지털 토크렌치, 검교정기구, 토크값

Description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System for correcting digital torque wrenc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디지털 토크렌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검교정기구의 기준토크값을 이용한 토크값 교정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을 위한 공인된 검교정기구를 이용한 토크렌치 교정이 수행되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토크센서 12...레버
13...렌치부 14...손잡이부
10...디지털 토크렌치 20...검교정기구
21...고정부 22...걸림부
23...회동축 24...회전조작부
25...표시부 26...손잡이
100...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110...입력부
120...저장부 130...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토크렌치의 토크센서에 의해 감지된 토크값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를 검사하는 공인된 검교정(儉矯正)기구 상의 기준토크값과 일치되도록 보정하는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체결 방식은 자동차나 열차 등과 같은 제품이나 구조물을 생산하는 경우 부재 간의 접합에 있어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볼트체결은 용접, 리벳, 접착제 등의 다른 접합 방법에 비해 작업이 간단함은 물론이며 렌치 등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미숙련자도 쉽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사후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업, 관리 등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볼트체결 부위의 체결이 느슨해지거나 해제되는 경우, 운행 중 차량바퀴의 이탈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의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볼트체결은 체결부위별 규정된 토크값 한도 내에서 일정한 힘으로 체결 및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토크렌치는 단지 볼트를 체결하고 해제하기 위한 역할만 수행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상기 토크렌치 내부에 토크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토크센서에서 감지된 토크값을 실시간 화면으로 출력 및 표시하여 상기 토크값을 실시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토크렌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에 따 르면 상기 볼트에 가해지는 토크값의 실시간적인 확인이 가능하고, 기존에 단지 육안 또는 체감으로만 확인되었던 체결 상태에 관한 정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디지털 토크렌치는, 일정 기간 사용시 상기 측정되는 토크값의 정도(Accuracy)가 저하될 수 있는데, 그 요인으로는 장기 사용에 따른 렌치부위의 마모, 토크센서의 열화(劣化), 주변 환경변화 등의 나열하지 않은 다양한 요소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는 정기적인 정도 검사를 수행하고 그 이력을 관리하는 것에 의해 수리, 교정 및 교체 여부의 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술한 정기적인 검사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해당 볼트의 볼트체결력의 정확성이 저하 또는 상실되고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에서 측정 및 표시되는 토크값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지 못하며, 결론적으로 그에 따른 직/간접적인 다양한 사고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는 일정 기간 사용 경과 후 정기적인 검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정기 검사는 보통 국가 등의 지정된 기관에서 공인된 검교정(儉矯正)기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는 상기 검교정기구를 이용한 토크값 검사를 매 6개월 주기마다 수행받을 수 있으며, 상기 검교정기구에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 측으로 인가되는 토크 및 상기 토크 인가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 상에서 감지되는 토크값 간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토크값이 규정범위 이내(예를 들면, 상 기 검교정기구에서 디지털 토크렌치 측으로 인가된 토크의 적정 오차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검증받을 수 있다.
상기한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양품 또는 불량 여부가 판단될 수 있고, 양품인 경우는 별도 교정 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하나, 불량인 경우 상술한 다양한 사고의 위험이 배제될 수 있도록 별도 교정 작업이 착수될 수 있고 일정 교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는 별도 폐기 처리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 내부에 설치되어 토크값을 감지하는 상기 토크센서는, 전원 입력에 의해 구동되는 일반적인 전기소자로서, 장시간 또는 장기 사용시 상술한 바와 같은 열화 문제 등에 의해 그 특성이 미세하게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토크센서의 미세한 특성변경은 상기 토크렌치의 불량과는 무관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정기검사시 상술한 토크센서의 미세 특성변경에 의해 단지 불량 판정되는 경우, 별도 교정작업 수행에 따라 막대한 교정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교정시간 대기로 인해 교정기간 동안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별도로 타제품을 대여해야 하는 경우 별도의 대여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유지 관리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토크센서의 미세한 특성변경으로 인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가 상기 검교정기구의 교정 범위를 약간이라도 벗어나는 경우 토크렌치 폐기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술한 특성 변형에 따라 디지털 토크센서를 폐기 하는 것은 자원의 낭비가 아닐 수 없으며 토크센서를 재구입하여 사용해야하므로 재구입에 따른 금전적인 비용부담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제품에 관한 신뢰성을 떨어뜨려 해당 제품에 관한 재구입 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토크렌치의 감지된 토크값이 디지털 토크렌치를 검사하는 공인된 검교정기구 상의 기준토크값과 일치되도록 보정함에 따라, 디지털 토크렌치에서 측정되는 토크값에 관한 신뢰성을 보장하고 검교정기구를 통한 정기검사시 간단한 보정 작업만으로도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디지털 토크렌치의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은,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토크값을 감지 및 표시하는 디지털 토크렌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토크값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를 검사하는 공인된 검교정기구 상의 기준토크값과 일치되도록 보정하는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에 일정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일정 토크에 대응되어 감지된 상기 검교정기구 상의 토크값인 상기 기준토크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토크센서에 의해 기 감지되어 저장된 토크값을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기준토크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일정 토크 인가시, 상기 저장부에 갱신 저장된 상기 기준토크값을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교 정된 토크값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는, 일정 허용범위의 토크값 한도 내에서 동작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허용범위를 일정간격으로 분할한 각각 다른 크기의 복수 개의 토크값에 관한 개별 기준토크값을 상기 각 토크값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일정간격에 관한 간격 설정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정방향 토크 및 역방향 토크의 각 경우별로 상기 기준토크값을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에 기 감지되어 저장된 각 방향별 토크값을 상기 각 방향별로 대응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각 기준토크값으로 갱신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방향별 토크값은,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정방향 토크 또는 역방향 토크의 선택 설정이 이루어지는 레버의 작동신호를 통해 구분되는 해당 방향의 토크에 관한 상기 토크센서의 토크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검교정기구과 유무선 연결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토크값의 입력 및 설정을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상기 기준토크값의 입력 및 설정 상황을 상기 입력부와 연동하여 실시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 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디지털 토크렌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검교정기구의 기준토크값을 이용한 토크값 교정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을 위한 공인된 검교정기구를 이용한 토크렌치 교정이 수행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토크센서(11)를 이용하여 토크값을 감지 및 표시하는 디지털 토크렌치(10)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토크값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를 검사하는 공인된 검교정(儉矯正)기구(20) 상의 기준토크값과 일치되도록 보정하는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는, 체결볼트의 볼트머리 상부에 실질적으로 맞물리는 렌치부(13), 상기 렌치부(13)에 인가되는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센서(11), 상기 토크센서(11)에 의해 감지된 토크값을 실시간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내장되거나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외장되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상기 토크 인가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파지되는 손잡이부(14)를 포 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센서(11)는 상기 렌치부(13)에 인가되는 토크에 따라 변형되는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을 이용하여 토크값을 감지하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렌치부(13)에 인가되는 토크량을 감지할 수 있는 그 어떤 센서류를 포괄하는 개념임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형태는 반드시 상술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토크센서(11)가 구비되어 상기 토크센서(11)에 의해 감지된 토크값을 실시간 출력 및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디지털 토크렌치(10)도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검교정기구(20)에 관해서는 도 4에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렌치부(13)가 고정되는 고정부(21),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 일단의 손잡이부(14) 부분이 걸림되는 걸림부(22), 상기 렌치부(13)에 토크를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1)와 회동되는 회동축(23)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24), 상기 회전조작부(24)의 회전량에 대응되는 상기 검교정기구(20)의 공인된 기준토크값이 표시되는 표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조작부(24)에는 별도의 손잡이(26)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쉽게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검교정기구(20) 상의 표시부(25)에는 상기 회전조작부(24)의 회전 조작되는 양에 대응되는 공인된 기준토크값이 표시되게 되고,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 상의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디지털 토크렌치(10) 내부에 구비된 토크센서(11)에 의해 자체 감지된 토크값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검교정기구(20) 상에 표시되는 기준토크값 및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 상에 표시되는 토크값 간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토크값이 상기 기준토크값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예를 들어, 상기 기준토크값의 1% 범위 이내 등과 같은 적정 오차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는 교정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저장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내장 또는 외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일정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일정 토크에 대응되어 감지된 상기 검교정기구(20) 상의 토크값인 상기 기준토크값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즉, 상기 도 4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손잡이부(14)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렌치부(13)에 상기 일정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검교정기구(20) 상의 토크값인 상기 기준토크값이 상기 표시부(25)에 출력되게 된다. 물론 상기 일정 토크 인가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는 내부에 구비된 상기 토크센서(11)에 의해 토크값이 실시간 감지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검교정기구(20) 상의 기준토크값과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 상에서 실시간 감지되는 토크값 간에는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상기 표시부(25)에 출력 된 기준토크값을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입력부(110)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검교정기구(20)의 표시부(25)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25)에 기준토크값이 표시되는 즉시 해당 토크에 관한 상기 기준토크값을 자동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부가적으로 도 2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토크값의 설정을 위해 부수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튼은, 도 2와 같은 물리적 버튼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식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10)에 의한 기준토크값 입력은,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제작완료시 또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정기 점검시(약 6개월 주기) 상기 검교정기구(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제작완료 시점의 경우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를 판매하기 이전에 상기 토크센서(11)에서 감지되는 토크값의 미세 오차를 미리 보정하여 제품 출시 전에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정기 점검 중의 경우는 상기 토크센서(11)의 미세 오차에 따른 토크값 교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즉시 상기 미세 오차를 본 발명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간단히 보정하는 것에 의해 디지털 토크렌치(10)에 관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목적을 가지며, 이에 더하여 상술한 토크센서(11)의 오차로 인해 디지털 토크렌치(10)가 단순히 폐기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상기와 같은 간단한 보정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재사용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장기사용이 가능하고 신뢰성이 보 장되는 디지털 토크렌치(10)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내장 또는 외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토크센서(11)에 의해 기 감지되어 저장된 토크값을 상기 입력부(110)에 입력된 상기 기준토크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부분이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검교정기구(20)에 의해 인가되어 일정 토크에 대해 감지된 디지털 토크렌치(10) 상의 기 저장된 토크값(A')를 상기 기준토크값(A)으로 갱신 저장함에 따라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토크값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내장 또는 외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술한 일정 토크 인가시, 상기 저장부(120)에 갱신 저장된 상기 기준토크값을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교정된 토크값으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한 상기 기준토크값의 입력 및 설정 상황을 상기 입력부(110)와 연동하여 실시간 화면으로 표시함에 따라, 사용 및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10), 저장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2의 형태와 같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 상에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으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와 외부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일체형의 콘트롤러 장치 형태로 별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토크센서(11)에 서 감지되는 토크값 오차를 상기 기준토크값을 이용하여 입력부(110)와 저장부(120)를 통해 보정하여, 추후 디지털 토크렌치(10) 사용시 상기 감지된 토크값을 상기 기준토크값에 부합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정확성 있게 표시함에 따라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는 일반적으로, 일정 허용범위의 토크값 한도 내에서 동작되는데, 상기 토크값 한도는 제작되는 디지털 토크렌치(10)에 관한 규격에 해당되며 주문자 또는 제작자의 요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허용범위를 일정간격으로 분할한 각각 다른 크기의 복수 개의 토크값에 관한 개별 기준토크값을 상기 각 토크값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일정간격에 관한 간격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간격에 관한 분할 간격이 좁을수록 상기 허용범위 내에서 더욱 신뢰성 있는 토크값의 제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허용범위 토크값이 0J 내지 50J(Joule)인 경우, 상기 일정간격을 5J 간격으로 10번 분할한 상태로 설정받을 수 있으며, 상기 분할 간격에 관해서는 상기 입력부(110)의 다양한 버튼을 통해 설정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분할 간격을 사용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설정받을 수 있도록 분할간격 설정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일정간격의 해당 토크 인가에 관한 기준토크값 입력을 토크값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기준토크값을 입력받기 위해 디지털 토크렌치(10)에 인가될 토크(5J) 값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미리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검교정기구(20)의 표시부(25)에 상기 토크(5J) 값이 표시될 때까지 손잡이(26)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표시부(25)에 표시되는 기준토크값이 상기 토크(5J) 값에 도달되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110)의 SET버튼을 누르면 상기 표시부(25)에 표시된 기준토크값이 입력부(110)에 자동 입력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저장부(120)는 기 저장된 토크값(상기 5J값과 상대적으로 오차가 있는 값)을 상기 기준토크값(5J)으로 갱신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SET버튼에 의해 5J에 대한 기준토크값이 입력되는 즉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지털 토크렌치(10)에 인가될 다음 토크(10J) 값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미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후의 검교정기구(20)의 조작과 상기 입력부(110) 및 저장부(120)의 동작은 앞서 상술한 바와 그 원리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0,5,10,15,20,25,30,35,40,45,50J에 관한 각각의 기준토크값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오차 교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감지되는 토크값이 상기 기준토크값으로 갱신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므로, 표시되는 토크값에 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교정 상태에서 디지털 토크렌치(10)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장기 사용에 따른 렌치부위의 마모, 토크센서의 열화(劣化), 주변 환경변화 등에 따라 상기 측정되는 토크값의 정도(Accuracy)가 저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정기 점검시 그 토크값의 오차가 기준토크값의 1%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조작에 따른 보정을 통하여 큰 수리비용 없이 단시간에 재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는 정방향 토크 및 역방향 토크 각각에 관한 토크값을 개별 감지 및 구분하여 저장부(120)에 저장,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 방향별 토크값은, 도 2와 같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정방향 토크 또는 역방향 토크의 선택 설정이 이루어지는 레버(12) 작동신호를 통해 구분되는 해당 방향의 토크에 관한 상기 토크센서(11)의 토크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레버(12)의 조작을 통해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정방향 토크 및 역방향 토크의 각 경우별로 상기 기준토크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기 감지되어 저장된 각 방향별 토크값을 상기 각 방향별로 대응되어 상기 입력부(110)에 입력된 각 기준토크값으로 갱신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체결에 있어서 체결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또는 역방향인 경우 모두에 관한 토크값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토크값의 단위는 주울 단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라별 또는 지역별로 Nㆍm, ㎏fㆍm, ㎏fㆍ㎝, lbfㆍft 등의 단위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는 상술한 나라별 또는 지역별 호환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입력부(11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토크값 단위에 관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토크렌치의 토크센서에서 감지되는 토크값 오차를 기준토크값을 이용하여 입력부와 저장부를 통해 보정하여, 추후 디지털 토크렌치의 감지된 토크값이 상기 기준토크값에 부합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정확성 있게 표시 제공함에 따라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의 신뢰성을 증진시키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토크센서(11)를 이용하여 토크값을 감지 및 표시하는 디지털 토크렌치(10)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토크값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를 검사하는 공인된 검교정기구(20) 상의 기준토크값과 일치되도록 보정하는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일정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일정 토크에 대응되어 감지된 상기 검교정기구(20) 상의 토크값인 상기 기준토크값을 입력받는 입력부(110);
    상기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토크센서(11)에 의해 기 감지되어 저장된 토크값을 상기 입력부(110)에 입력된 상기 기준토크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상기 일정 토크 인가시, 상기 저장부(120)에 갱신 저장된 상기 기준토크값을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교정된 토크값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는 일정 허용범위의 토크값 한도 내에서 동작되며,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허용범위를 일정간격으로 분할한 각각 다른 크기의 복수 개의 토크값에 관한 개별 기준토크값을 상기 각 토크값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일정간격에 관한 간격 설정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100).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정방향 토크 및 역방향 토크의 각 경우별로 상기 기준토크값을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일정 토크 인가에 대해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에 기 감지되어 저장된 각 방향별 토크값을 상기 각 방향별로 대응되어 상기 입력부(110)에 입력된 각 기준토크값으로 갱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10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 방향별 토크값은,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10)의 정방향 토크 또는 역방향 토크의 선택 설정이 이루어지는 레버(12)의 작동신호를 통해 구분되는 해당 방향의 토크에 관한 상기 토크센서(11)의 토크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100).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검교정기구(20)와 유무선 연결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토크값의 입력 및 설정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한 상기 기준토크값의 입력 및 설정 상황을 상기 입력부(110)와 연동하여 실시간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100).
KR1020070049230A 2007-05-21 2007-05-21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76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30A KR100768330B1 (ko) 2007-05-21 2007-05-21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30A KR100768330B1 (ko) 2007-05-21 2007-05-21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330B1 true KR100768330B1 (ko) 2007-10-18

Family

ID=3881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8330B1 (ko) 2007-05-21 2007-05-21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71B1 (ko) * 2009-11-17 2012-01-1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토크렌치 교정 자동화 시스템
KR101453764B1 (ko) 2013-09-04 2014-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 공압토크 토크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압 토크렌치의 토크 점검방법
KR20210002203U (ko) * 2020-03-26 2021-10-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토크렌치 교정 장치
WO2024007252A1 (en) * 2022-07-07 2024-01-11 Apex Brands, Inc. Test and calibration of a torque measuremen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629A (en) 1975-07-17 1977-02-08 Gse, Inc. Torque measuring apparatus
US4450727A (en) 1982-04-29 1984-05-29 Gse, Inc. Digital retorque measuring apparatus
US4558601A (en) 1984-01-06 1985-12-17 J. S. Technology, Inc. Digital indicating torque wrench
US6167788B1 (en) 1996-09-12 2001-01-02 Saltus-Werk Max Forst Gmbh Torque Wrench
KR200336521Y1 (ko) 2003-07-10 2003-12-24 (주)쎈스텍 디지털 토오크렌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629A (en) 1975-07-17 1977-02-08 Gse, Inc. Torque measuring apparatus
US4450727A (en) 1982-04-29 1984-05-29 Gse, Inc. Digital retorque measuring apparatus
US4558601A (en) 1984-01-06 1985-12-17 J. S. Technology, Inc. Digital indicating torque wrench
US6167788B1 (en) 1996-09-12 2001-01-02 Saltus-Werk Max Forst Gmbh Torque Wrench
KR200336521Y1 (ko) 2003-07-10 2003-12-24 (주)쎈스텍 디지털 토오크렌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71B1 (ko) * 2009-11-17 2012-01-1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토크렌치 교정 자동화 시스템
KR101453764B1 (ko) 2013-09-04 2014-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 공압토크 토크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압 토크렌치의 토크 점검방법
KR20210002203U (ko) * 2020-03-26 2021-10-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토크렌치 교정 장치
KR200498248Y1 (ko) * 2020-03-26 2024-08-09 두산에너빌리티 (주) 토크렌치 교정 장치
WO2024007252A1 (en) * 2022-07-07 2024-01-11 Apex Brands, Inc. Test and calibration of a torque measure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5193B2 (ja) 固定された締め具の検査工具及び検査方法
KR100768330B1 (ko) 디지털 토크렌치 교정 시스템
TWI429890B (zh) 數位扭力工具校正方法、驗證方法及校正系統
JP6866830B2 (ja) 材料試験機および把持力検出方法
TWI529038B (zh) 可預設之電子扭力工具
WO2002011953A1 (en) Torque wrench for further tightening inspection
WO2002030624A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torque management system for threaded fastening
KR20160133562A (ko) 플랜지 체결 스킬 판정 장치 및 플랜지 체결 스킬 판정 프로그램
CN110806286A (zh) 用于调整扭矩测量的工具和方法
CN111902243B (zh) 密封施工管理方法及其装置、存储介质、系统
JP2005351683A (ja) 締付工具とその管理装置とそれらのセット
JP5587258B2 (ja) 作業誘導システム
US20180136070A1 (en) Screwer test bench with bidirectional control
JP2017087318A (ja) 締付データ管理システム
CN102706503A (zh) 扭矩显示系统及其方法
IT201900013089A1 (it) Chiave dinamometrica elettronica con rilevamento ostacoli
JP2001009750A (ja) ねじ締め作業時の情報提供方法
JP4422061B2 (ja) 自動ねじ締め機
KR101811669B1 (ko) 전동 공구의 제어 방법
JP4075852B2 (ja) ボルトの締結評価方法
JP5382636B2 (ja) トルクインパルスレンチによって行われるねじジョイント締付け工程の品質検査方法
KR200418473Y1 (ko) 수직 이중평행판식 구조의 토크센서를 구비한 디지털토크렌치 및 이를 이용한 토크측정 데이타처리자동화시스템
JP2007111798A (ja) トルク機器
JP5286871B2 (ja) プレス工程の合否判定方法及び装置
TWM440181U (en) Sound-type digital torque wrench device with self calibr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